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홍보학 교과과정으로서의 질적자료분석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중심으로

        장안리 한국PR학회 2022 PR연구 Vol.26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ich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would be more suitable for PR undergraduates and to suggest ways to teach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with 29 students who have learned either Grounded Theory or Thematic analysis methods in the research methods course. Results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found way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esting, and became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specific methods. However, they felt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was not easy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and found the data analysis part particularly challenging. Students perceived Thematic analysis as less challenging than those who learned Grounded theory; and by learning the entire process of research, students ear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which lead to positive experiences in 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erms of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allowing students to practice various methods led to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gainst qualitative research and provided them an opportunity to grow as researchers.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eaching lesser challenging methods and focusing on repetitive analysis practice to boost confidence in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offers what needs to be focused on and the proportion of the course contents that would strengthen what students found most challenging. Implications and topic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홍보학 전공생들에게 적합한 질적자료분석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9명의 홍보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과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각각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질적연구 자체의 특징에서 흥미를 발견하였으며 실제 체험을 통해 연구자로 성장하였고,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 도구로서 객관성 유지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연구 실습 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낯설음에서 오는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데이터 분석의 어려움을 느꼈다. 연구결과 참여자 들은 주제분석방법의 난이도가 낮다고 인식하였고 연구를 모두 마무리했을 때 성취감, 자신감을 느껴 전반적으로 연구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의 교수법에 있어서는 질적연구방법을 실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방법론에 대한 편견을 해소시키고 자율적 학습과 실전을 통해 질적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쉬운 분석방법 위주의 지도와 반복적 연습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처음 접하는 홍보학 전공생들이 연구방법론을 배우면서 느꼈던 어려움을 근거로 향후 교수법 측면에 있어 질적방법론 수업에 적절한 내용, 구성, 비중 및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국내 전자무역 연구동향 분석: 2006-2015

        윤희영(Hee Young Yoon) 한국국제상학회 2017 國際商學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전자무역연구에 대한 최근 10년간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균형 있는 연구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내용은 141편의 학술지논문을 15개의 연구주제, 5개의 연구방법, 7개의 자료분석방법으로 분류하고, 심층적인 연구주제별 변수분석 등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무역에 관한 연구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프라 및 시스템적 발전과 더불어 15가지의 다양한 주제와 전자무역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로 연구범위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주제적 측면에서는 전자무역활용, 전자무역정보시스템, 고객관계관리와 국제협력 및 동향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적 측면에서는 문헌고찰방법이, 자료분석방법 측면에서는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이 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전자무역연구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주제별 변수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첫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전자무역 환경에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체계적인 연구기반 및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the themes and the methods of the researches on the electronic trade during the last 10 years and suggests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balanced research.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Among 141 research articles, 15 research topics, 5 research methods, 7 data analysis methods are classified into the content of the analysis, including the variable analysis through in-depth research topic. Results :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search on e-trad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over the past decade, and the scope of research has been expanded by analyzing the relevance of 15 different topics and electronic trade along with infrastructure and system development. In terms of research them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e-trade utilization, electronic trade information syste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rend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while in terms of data analysis method,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mainly used. Conclusions :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elaborate deeply the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thematic variables of e-trade research centered on domestic journals and to draw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systematic research foundation and research directions that approach multilaterally to various changes in e-trade environment.

      • KCI등재

        유라시아연구(2004~2007)에 게재된 논문의 내용분석

        김용겸 ( Yong Kyeom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1

        아시아·유럽 관련 연구주제 및 연구 방법론 등에 대한 현황 및 추세 등을 분석하는 것은 아시아·유럽 관련 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대단히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유라시아와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를 전문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창간된 유라시아연구는 (사)아시아유럽미래학회에서 발간하는 전문학술지 중 하나로서 4년 전인 2004년도부터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분석적 내용분석 관점에서 유라시아연구에 게재된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지난 4년 간(2004~2007) 유라시아연구에 게재된 학문영역별 게재논문수 추세,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별 소속 및 논문점수, 대학 또는 기관별 논문점수, 세부연구주제의 연도별 추세를 확인한다. 또한 지난 4년 간 게재된 논문들에 대한 정밀분석을 통해 가장 많이 사용된 방법론 및 이에 대한 추세를 확인하고,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한 상위 연구자의 연구주제와 최다선호방법론을 확인함으로써 가장 훌륭한 프랙티스(practices)와 미래의 연구방향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 아시아·유럽 관련 연구는 주로 수도권에 위치한 교수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또한 경영학 관련 연구주제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상위/중위/하위 연구자를 불문하고 고찰/논평 및 틀 관련 방법론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변수모형 실증연구 방법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상위 20위권 연구자의 연구주제에서 재무금융이 가장 많았으며, 지역경제와 경영사가 뒤를 이었다. 또한 국별 관계에서 한국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 외의 내용분석으로 연구변수 종류, 연구 분석단위, 참고학문 영역, 연구자의 수, 소속 기관의 유형, 인용패턴(인용문헌, 사용언어), 문헌의 반감기(문헌의 최신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수와 소속기관의 유형은 의미가 있어 분석하였으며, 소속기관의 유형분석은 소속기관에 대한 표기를 정밀하게 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사용언어별 분석의 경우 국문논문은 62편, 영문논문은 35편, 독문논문은 10편, 불문논문과 일문논문은 각각 1편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유럽 관련 연구는 아직 미완의 연구분야이고 폭발적 성장이 예견되는 분야이다. 비록 본 연구가 아시아·유럽 연구에 대한 시발점에 불과하고 특정 부분에 국한된 연구라고 할지라도 상위 연구자의 연구를 거울삼아 기존연구에서 미진한 분야의 보완 및 결합, 발전방향이나 새로운 탐구영역의 발견 등을 통해 최선의 성과를 거둘 필요성이 있다. 그동안 경영분야의 연구자들이 많이 참여하였지만, 앞으로는 타 분야의 연구자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유라시아연구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궁극적으로 유라시아연구는 기본이론을 계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유사한 연구주제를 다루는 관련 학회와의 상호 비교연구도 유라시아연구가 발전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인문과학이나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지의 특성상 특정 국가(들) 또는 국가(들) 간 연구에 대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아시아·유럽 관련 주제는 점증하는 지식의 내용과 다양성을 다룰 필요가 있으므로 특화되는 것이 필연적일 수도 있다. The Journal of Eurasian Studies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academic journals among Asia/Europe-related Journals. In a spirit of self-introspective content analysis, this paper profiles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urasian Studies during the past 4year period(2004~2007). The author identify frequency trends by science department, affiliation(region)/paper scores by researcher, paper scores by affiliation(region), frequency trends by research subjects, the most utilized methodology(ranks)/frequency trends, research subjects/maximum preferred methodology by top 20 researchers, the others, and presen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the The Journal of Eurasian Studies. Based on a more detailed analysis of paper during the past 4years, the author identify that the Asia/Europe-related research was performed by professor or researcher belong to university or institution in capital region, most often investigated subject areas are business management and most often employed research methodologies are speculation·commentary/frameworks. The author identify best practices by way of analyzing the subjects(i.e. finance, local economics, history of management), methodologies(i.e. speculation·commentary, frameworks), and nation-related paper number(the number of paper on Korean subject is 25, it is maximum in respect of nation-related paper number) performed by highly published top 20 researc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ia/Europe-related research is clearly dominated by few university or few research institution. These findings should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editor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ions, and etc.. Besides pre-analysis noted above, it is included that sort of research variable, analysis unit of research, reference discipline, number of researcher, affiliation type, citation type(citation literature, language to be written), half-period of literature(i.e. utilizing index of up-to-date literature or utilizing index of the newest literature). Among above analysis number of researcher, type of affiliation, and language to be written were analyzed. Type of affiliation is represented by replacing precision representation about affiliation and number of paper to be written by Korean is 62, by English is 35, by German is 10, by French is 1, and by Japanese is 1. Ultimately, then, Asia/Europe-related research will progress only by developing fundamental theories that endure. Therefore, it need to reflect, build on, refine, and redefine core theories in the light of new knowledge linked with new environment. Comparative study between related association(or society) will be needed for activation of Asia/Europe-related research including humanities(i.e. cultural science)/scientific technique. It is necessary that revitalization of research on specific nation(s) or research between nations. Besides some researchers in management area,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researchers belong to other science discipline participate actively in this Asia/Europe-related research for comprehensive research about Asia/Europe-related research. As time goes by, the author believe that it is inevitable that the Eurasian subjects will be specialized due to the need to handle an ever increasing contents and diversity of knowledge. For example, the author believe that region-related journal(e.g. journal on the field of the management/economics/politics/diplomacy/commercial trade/society/culture in relation to Africa) that is representative of region as well as specific constituencies(e.g. resource diplomacy related constituencies) would be publish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물류성과 연구동향: 2001-2015

        윤희영(Heeyoung Yoon) 한국국제상학회 2016 國際商學 Vol.31 No.1

        본 연구는 물류성과연구가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물류성과를 연구한 국내 학술지논문 164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164편의 학술지논문을 14개의 연구주제, 4개의 연구방법, 11개의 자료분석방법을 분류하고 각각의 교차분류와 연구주제별 변수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류성과에 관한 연구는 지난 15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13가지의 다양한 주제와 물류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주제적 측면에서는 물류관리시스템, 환경, 파트너십과 물류성과와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적 측면에서는 설문조사방법이, 자료분석방법측면에서는 회귀분석과 구조 방정식모형이 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물류성과연구에 대한 연대기적변화와 발전방향에 대해 조망하고 학문적인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 첫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분석대상과 연구방법을 다양화하고, 국내외 물류성과 연구를 비교연구하는 등 심층적 인 접근이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164 research articles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on logistics performance during the period 2001-2015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logistics performance research to achieve proportionate developmen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Individual article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14 research topics, 4 research methodologies and 11 data analysis methodologies and were subjects of cross-classification and variable analysis by research topic. Results :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over the past 15 years, research on logistics performance has steadily grown in its volume and subject. The main focus of research has be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stics performance and 13 various topics. For research topics, logistics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 and partnership have been among the most popular ones. Questionnaire has been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ers have used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ost as data analysis methodology. Conclusions :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which examines the chronicle and development paths of research on logistics performance and gives suggestions on future study for the field of logistics performance research to grow fur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logistics performance research improve its scope and depth such as diversifying analysis subjects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d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of related research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

        문헌정보학 분야 핵심 학술지들의 가중 주제 - 방법 네트워크 분석

        이기헌,정효정,송민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sta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op 20 journals from 1990 to 2015, in subject and method perspectives. We developed weighted subject-method network to investigate on centralities of a subject and a method as well as their relations. This network is composed of subject nodes and method nodes and gives a weight on each node by topic occurrence. As a result, for 25 year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need analysis, bibliometrics, information policy were top topics. Modeling, literature review, scientific research impact analysis, web data analysis were top methods. A recent rise of text mining is highlighted. We also analyzed communities made from the past 25 years and the recent 5 years. Bibliometrics is extending its field by applying various network analyzing algorithms. Text mining is specialized in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user interface. This result identifies the interests of excellent stud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also can be fundamenta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 간 국외 유수 문헌정보학 학술지들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구분하여 현 선도 학술지의 연구 누적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구분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가중 주제-방법 네트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는 주제와 방법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며, 해당 토픽 소속 단어의 동시 출현 빈도를 기초로 주제와 방법에 가중치를 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5년간 경영정보시스템, 정보요구분석, 계량서지연구, 정보정책 등이 상위 연구 주제들이었다. 또한, 모델링, 개념/문헌연구, 연구협업분석, 웹데이터 분석 등이 상위 연구 방법들이었으며, 최근 텍스트 마이닝의 비상이 괄목할 만하다. 빈번히 짝을 이루는 연구 주제들과 연구 방법들의 지난 25년간의 군집들과 최근 5년간의 군집들을 살펴보면, 계량서지연구가 네트워크분석 방법들을 다수 적용하면서 그 저변을 넓히며 자리를 확고하게 하고 있으며, 텍스트 마이닝이 의료정보시스템, 이용자인터페이스에 특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헌정보학의 선도 연구자들의 관심 연구 영역과 관점을 확인시켜주고, 향후 문헌정보학 발전을 위한 연구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항만경제학 분야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손용정(Yongjung So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4

        항만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학계에 발표되어 왔고, 이러한 항만에 관한 연구들은 항만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자들의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정리한 연구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정리하고 체계화하기 위해 최근까지 수행된 국내 항만경제학 관련 연구에 대한 성과들을 전체적인 조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항만경제학 관련 연구지인 한국항만경제학회지에 1991년부터 2010년까지 659편의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항만경제학과 관련된 연구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총 3개의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먼저 연구자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연구주제에 대해서 논의하며, 연구논문에 사용된 주된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전반적인 연구내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항만경제학은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었으며, 최근 들어 항만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연구자의 증가 등으로 질적인 측면에서도 이전 보다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이 세분화되고 다양화 되면서 더욱 발전해 나가고 있다. 특정 연구방법이 지나치게 편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권장하는 내용의 논문투고요령의 보완도 필요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과에 기초하여 유관 학회 연구와의 비교를 통한 연구도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ports and they have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ports.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search that classified and organized the results comprehensive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ults of studies related to Korean port economics. For the purpose, we carried out a meta-analysis targeting 659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from 1991 to 2010. For the meta-analysis on themes of port economics and methods, the study presented a total of three items to be analysed: First, we analyse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discussed themes and identified contents by analysing research methods used for the studies. As a result, port economics have shown great growth in volume and recently, more attentions have been paid to ports along with increase of researchers, and themes and methods of research have been sub-categorized and diversifi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mparative studies should be added.

      • KCI등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분석을 통해 본 한국교육사상학회 30년간 발표논문 동향과 시사점

        최진(Jin Choi),장윤선(Yoonsun Ja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이 글은 부산 경남지역에서 교육사상을 연구하는 한국교육사상학회에서 지난 30년간 이루어졌던 발표 및 연구경향성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사상 연구의 고유성에 대하여 생각해볼 만한 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91년 제1회부터 90회까지 총 341번 이루어졌던 발표주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비정형데이터의 분석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인 LDA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0년간의 발표주제들은 크게 네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었는데 첫 번째 주제로는, 어떠한 사안이나 텍스트로부터 교육사상의 ‘교육적, 혹은 교육학적 의의’를 도출하려는 교육 본질에 대한 탐구로 모아졌다. 두 번째는 당대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현안이나 과제, 혹은 사회에 대한 교육학적 분석이나 전망’ 등의 주제로 모아졌고, 세 번째는 ‘한국교육 고유의 특성’을 이해하거나 ‘학교, 교사의 문제’를 연구하는 주제,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사상가에 대한 연구’나 그 사상가의 개념 혹은 사유에 대한 연구로 모아졌다. 이 네 가지 주제 모두에서 “서양근대사상가”라는 용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내의 교육사상 및 교육철학 연구가 지니는 일인칭적 글쓰기 방식인 고유한 ‘행위’로서의 연구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아울러 실천적 교육학과 교육과학이 협업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of Korean educational idea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presented in KEIA. A total of 341 research topics presented since 1991 were analyzed using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hich is a text min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ccording to the LDA analysis, the research topics presented for 30 ye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opics. The first topic was about an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o as to discover the ‘educational or pedagogical meaning’ from specific issues. The second topic was about analyzing and prospecting ‘the current issues or tasks of education.’ The third topic was ab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 or ‘studying the problems of schools and teachers’. Lastly, the fourth topic was about Eastern and Western scholars and their concepts or thoughts. The term ‘Western modern scholars’ appeared frequently over these four topics, and this result was suggested that the first-person writing “action” is the unique research method in domestic educational ideas and philosophies Furthermore, this study was suggested the need of collaboration with practical and scientific approaches to research in educational idea and philosophy of education.

      • KCI등재

        소비자학연구 30년: 과거를 돌아보며, 미래를 지향하다

        주소현 ( Joo¸ So-hyun ),석관호 ( Suk¸ Kwanho ),나종연 ( Rha¸ Jong-you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본 논문은 소비자에 대한 다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를 지향하기 위해 1990년에 창간된 소비자학연구30주년을 기념하여,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소비자학연구에 게재된 총 1,051편 논문의 저자, 방법론, 연구주제의 특성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본 학술지의 특성은 다양성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학, 마케팅, 광고/심리, 패션, 법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자들이 각 분야의 연구 또는 융합연구를 통해 소비자학연구에 기여해왔다.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는 초기에는 설문조사를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험연구, 2차자료의 활용 등 다양한 방법론과 자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에 있어서도 의사결정, 의사결정 영향요인, 가계경제, 마케팅, 소비자주의, 친사회적 행동 등 소비자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또한 주제어 분석을 통해 소비자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주제가 연관분야와 차별적으로 다양하게 발표된 점과 연구 주제의 중요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난 30년의 역사를 돌아보며, 소비자학연구가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해 나가기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In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that was born in 1990 a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n consumer research, this article analyzes author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of all 1,051 articles published over the last 30 year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most unique feature of th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is diversity. Authors with various academic expertise that includes consumer studies, marketing, advertising, psychology, fashion, and law have contributed to this journal. In terms of research method, survey was most common at early ages. However, the trend showed increases in the variety in the types of data and methods in consumer research. Th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covers various research topics including decision making, person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at affect decision making, family economics, marketing, consumerism, and 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author-provided keyword analysis showed popular research topic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Finally, based on the reflection on the 30-year history of the journal,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continuous grow and glow of th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KCI등재

        질적연구에 대한 선입견 및 앞으로의 과제: 광고홍보학과 재학생들의 생각 중심으로

        장안리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rses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curriculum and ways in which PR undergraduate students vi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Results Analysis of 1:1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with 23 students using Thematic Analysis show that they have thought of qualitative research as difficult, not objective because it does not use numbers; and not necessary to learn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particular method. However, after taking the course their perception changed to that of systematic and in-depth. During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were found forming research questions, choosing topic appropriate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analyzing data challenging. After learning the qualitative research, students viewed it as a functiona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ous situations, suggested increasing exposure to PR majors, and offering advance course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 to resolve negative biases towards qualitative research, suggestion for course contents to increase students skills and better prepare them for the field are provided as well as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목적본 연구에서는 광고홍보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의 질적연구에 대해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수업을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연구방법론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았다. 방법23명의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 및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연구 결과 수업을 듣기전 학생들은 질적연구는 어려운 연구방법, 수치를 사용하지 않아 객관적이지 않는 연구방법, 전혀 모르고 있어 필요하지 않은 방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업을 들은 후에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방법으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을 배우는 단계에서 학생들은 연구주제와연구질문 설정 및 데이터 분석을 어렵게 느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연구는 활용도 높은 연구방법이기때문에 교과과정에 질적연구방법 학습 기회를 늘리고 심화 과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본연구는 질적연구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질적연구 수업 구성, 실무를 위한 역량 강화방안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시한다

      • KCI우수등재

        『관광학연구』에 게재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구를 대상으로

        김지언,이계희,한관희,박득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3

        This study examined 52 research trends related to tourism behavior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1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Korea's only class-one tourism journ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identify trends in tourism behavior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directly related to tourism behavior was on the decline overall. In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purchasing behavior, sharing behavior, and civic behavior were the most widely published, followed by behaviors related to sustainability and tourism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terms of methods, 86.5 percent of tourism behavior studies used quantitative methods, indicating that Korean tourism researchers continue to favor quantitative methods. However, in order to fully comprehend the behavior of tourists, mor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must be used. Because research was conducted on a variety of topics each year, specific research topics by year of publication were not identified. In addition to these main topics, studies on the behaviors of disabled tourists and risk perception studies are mention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uture tourism behavior research directions using diverse research methodologies. 이 연구는 수요자 중심으로의 관광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연구 패러다임에 대한 편향성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관광학 분야에서 국내 유일의 우수 등재 학술지인 『관광학연구』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21년 사이 게재된 52편의 관광 행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의 수는 전반적인 감소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논문의 세부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구매행동, 공유 행동, 시민 행동 등 의사결정과 관련한 한 연구와 지속가능성 및 관광 정보와 관련된 연구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 행동 연구의 86.5%는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한국 관광연구자들의 정량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선호가 아직도 매우 강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관광자의 행동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질적 측면의 행동 연구에 대한 접근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매년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게재 연도 별 특정 연구 주제가 다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만 지속적으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성 및 관광정보 관련 연구, 문화 예술 분야의 관광 행동 연구뿐만 아니라 장애인 관광 행동, 위험 지각 연구 등 사회⋅경제적 이슈에 따른 특징적인 주제를 가진 연구 또한 적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내 관광 행동 연구에 대한 논의 이후 향후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활용을 통한 관광 행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