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도적 대처, 주의조절력 및 과경계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현승주,구자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Aspinwall and Taylor’s (1997) theoretical discussions, which suggest that hypervigilance may emerge as a maladjustment for proactive coping, but that attentional control can be cultivated to reduce hypervigilance while using proactive coping strategies. However, prior research on each variable suggests that the interaction of proactive coping and attentional control may increase hypervigilanc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teraction of proactive coping and attentional control increases hypervigilance, and whether attentional control changes the mediating effect of hypervigi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oping and perceived stress. Surveys (PCI, ACQ, BHS, and PSS) were administered to 521 Korean adults, and moder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proactive coping and attentional control increased hypervigilance. Additionally, the effect of proactive coping on perceived stress through hypervigilance changed according to attentional contro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주도적 대처, 주의조절력 및 과경계의 관계성에 대한 Aspinwall과 Taylor(1997)의 이론적 논의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Aspinwall과 Taylor(1997)는 주도적 대처의 잠재적 부적응으로 과경계가 나타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동시에, 이들은 주도적 대처를 사용하면서도 과경계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의조절력을 배양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각 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려할 때, 주도적 대처와 주의조절력의 상호작용은 오히려 과경계 수준을 상승시킬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도적 대처와 과경계의 관계를 주의조절력이 역기능적으로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논의를 확장하여 주의조절력에 따라 주도적 대처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과경계의 매개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 성인 521명을 대상으로 주도적 대처, 주의조절력, 과경계, 지각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도적 대처와 주의조절력의의 상호작용은 과경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주의조절력 고집단에서만 주도적 대처가 과경계를 통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주도적 대처 증진 프로그램에서 참여자들의 주의조절력 수준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침습적 반추의 관계에서 주의조절력의 조절효과

        노해림,심은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4

        Attention control in known to be a protective factor against attentional bias for threat stimuli.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it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TSS) and intrusive rumination. To this end, a total of 276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completed a self-report survey. The questionnaire included an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an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 Attention Control Questionnaire, and a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from 189 students who experienced a trauma event rated as being shocking, fearful, and helpless. The Process macro for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on effect. As a result, the moderating effect of attention 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emotional dullness and dissociation and intrusive rumination. Attention control worked as the protective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TSS and intrusive rumina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PTSS (e.g. hyperarousal, avoidance, and intrusive symptoms) and intrusive rumination in the range of attention control using the Johnson-Neyman technique revealed that there was a region in which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changes. Specifically, the hyperarousal symptom in a group above 3.70% of attention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rusive rumination. Furthermore, the avoidance symptom in a group above 29.63% of attention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rusive rumination ei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attention control may be useful in mitigating PTSS and intrusive rumination. 본 연구는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의 보호요인으로 알려진 주의조절력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TSS)과 침습적 반추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남 지역 광역시 소재 대학교 재학생 276명을 대상으로 개정판 사건 충격 척도, 사건관련 반추 척도, 주의조절력 척도, 특성 불안 척도를 작성하게 하였고, 이 중 보통 이상의 충격적이고 두려움 및 무력감을 주는 사건을 경험한 189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Process macro for SPSS로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정서적 둔마 및 해리 증상과 침습적 반추의 관계에서 주의조절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의조절력이 수면장애/정서적 둔마 및 해리 증상과 침습적 반추의 관계에 있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존슨-네이만 기법으로 주의조절력의 범위에서 다른 PTSS와 침습적 반추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성이 달라지는 영역을 발견하였다. 과각성 증상의 경우 주의조절력이 상위 3.70%인 지점에서부터, 회피 증상은 주의조절력이 상위 29.63%인 지점에서부터 침습적 반추와 더 이상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의조절력 향상이 PTSS와 침습적 반추를 완화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MeFOT기반 주의집중훈련이 유아의 주의집중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김보경 mefot창의인성학회 2014 MeFOT 창의인성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MeFOT 창의성 사고훈련에 근거한 주의집중훈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능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2 학급 50명을 선정하여, 이중 25명은 MeFOT기반 주의집중 훈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에 배정하고 나머지 25명은 일상적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통제집단 에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유아의 주의집중력은 곽소영(1998)이 제작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력검사는 Kendall과 Wilcox(1979)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유혜정 (1998)이 번안하고 이지현(2001)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도구는 모두 8차시로 구성된 MeFOT기반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MeFOT기반 주의집중훈련은 유아의 성별에 관계없이 주의집중 전체 및 시각적 주의집중, 청각적 주의집중, 지속적 주의집중 등 모든 하위요인 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MeFOT 기반 주의집중훈련이 유아자기조절 전체와 자기통제, 충동성, 주의집중 등 모든 하위요인의 향상에 유 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중 충동성은 성별에 따른 효과가 있다.

      • KCI등재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창민(Chang Min Park),태진미(Jin 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만3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유아의 주의집중력은 곽소영(1998)이 개발한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를 자기조절력은 양옥승(2006)이 개발한 교사용 자기조절력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진단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5주간 총 12회에 걸쳐 조율놀이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게는 만3세 누리과정의 수업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율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주의집중력이 만3세 누리과정의 수업활동을 실시했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선택적 주의집중력 중 시각적 주의집중력이, 지속적 주의집중력 중 청각적 주의집중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율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했던 실험집단은 자기조절력 면에서도 향상되었는데,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중 정서인식과 대처하기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초능력 배양 차원에서의 유아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으로서의 조율놀이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a tuning play program on the improvement in attention ability and self-regulation in children. As subjects of this study, we selected 30 fully thre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Public Child Care Centers. To measure children's attention ability, ‘Attention ability test’ developed by Gwak So-yeong (1998) was used. To gauge children's self-regulation, ‘Checklist of self-regulation test for the teacher’ developed by Yang Ok-seung (2006) was us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12 times for five week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llowed to experience a tuning play program.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ontinued with ordinary instructional activities that is composed of life themes in the Nuri Curriculum for those aged thre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their attention abil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 group-based difference shows significance in the visual attention out of the selective attention ability and in the auditory attention out of the continuous attention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enhanced children's self-regulation. It was more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emotional recognition and coping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tuning pla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attention ability and self-regulation, which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children's potential ability.

      • KCI등재

        코딩놀이 경험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주의집중력이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부성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attention concentration on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ding play experience in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5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to-one interviews for children and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computational thinking, self-regulation, attention concentration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ithout coding play exper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computational thinking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coding play experi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putational thinking and self-regulation.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logical thinking 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regulation 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attention concent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uting thinking ability of infants with coding play experience, and self-regul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ttention concentration was found to have 21.4% explanatory power, and neither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of children without coding play experience.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and attention concentration as predictive variables that can explain computation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and confirmed that coding play exper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computing thinking ability. Therefor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applicability and necessity of coding play (or cod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presented to improve children's computational thinkin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코딩놀이 경험 유무에 따라 자기조절력과 주의집중력이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35명이고, 유아 대상 일대일 면접과 교사와 부모 대상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딩놀이 경험이 있는 유아가 없는 유아보다 컴퓨팅 사고력과 자기조절력, 주의집중력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딩놀이 경험이 있는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과 주의집중력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나타났으나, 컴퓨팅 사고력과 자기조절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컴퓨팅 사고력 하위요인 중 논리적 사고력은 자기조절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코딩놀이 경험이 있는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해 주의집중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집중력은21.4%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딩놀이 경험이 없는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해서는 두 변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기 컴퓨팅 사고력을 설명할 수 있는 예측 변인으로 자기조절력과 주의집중력의 영향력을 밝혔고, 코딩놀이 경험이 컴퓨팅 사고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코딩놀이(또는 코딩교육)의 적용 가능성 및 필요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주의조절력, 과경계 및 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현승주(Hyun Se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소진을 예측할 수 있는 심리적 변인을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세부적으로, 주의조절력이 과경계 및 스트레스의 매개를 거쳐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4명의 참여자가 주의력 조절 척도(ACQ), 축약형 과경계 척도(BHS),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13일까지 약 2주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3.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조절력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과경계와 스트레스의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해당 경로에서 과경계와 스트레스의 직렬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경계와 스트레스가 주의조절력과 학업소진을 연결하는 기제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주의조절력이 낮은 개인은 과경계 상태가 되어 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게 되고, 결국 학업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In detail, We examined whether hypervigilance and stress mediated in sequential mann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al control and academic burnout. For this, 234 college students completed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Brief Hypervigilance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and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data was collected for about two weeks from April 1 to 13, 2020,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4. The results indicate that hypervigilance and stress bot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al control and academic burnou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ypervigilance and stress can be the possible mechanism for linking attentional control and academic burnout. More so, it was also observed that both hypervigilance and stress mediated sequenti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individuals with low attentional control may become hypervigilance and perceive more stress, which in turn may lead to academic burnou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시기능 훈련이 조절기능장애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정,이현미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2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 of vision training on attention by conducting visual func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accommodative dysfunction. Methods: Twelve and 10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and placebo groups, respectively, were divided into training rooms once a week and home therapy for 15 min 5 times a week for 3 months. As visual function evaluation, refractive power, college of optometrist in vision development/quality of life, far/near vergence,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and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far/near deviation, accommodative lag, accommodative power, accommodative ease, convergence near point, and stereoacuity were assessed. The atten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Frankfurt attention inventory test. Results: Accommodative amplitude, accommodative facility,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stereopsis were greatly improved through visual function training. Sustained attention, selective attention, and self-control showed notable changes in that order.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visual func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accommodative dysfunction helped improve their attention and accommodative ability. 목적: 조절기능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을 진행하여 시기능훈련이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훈련그룹 12명, 위약 그룹 10명으로 나누어 3개월 동안 주 1회 훈련실훈련과 주 5회 매 15분씩 홈테라피를 실시하였다. 시기능평가로 굴절력, COVD–QOL, 원/근 버전스, NRA/PRA, 원/근 편위도, 조절 lag, 조절력, 조절용이성, 눈모임근점, 그리고 입체시평가를 하였고, 주의력은 FAIR 주의력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시기능훈련을 통해 조절력, 조절용이, 눈모임근점, 그리고 입체시 능력이 많이 향상되었다. 주의력은 지속주의력, 선택주의력, 그리고 자기통제력 순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 조절기능장애아동에 대한 시기능훈련은 조절 능력 향상과 더불어 주의력 개선에도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수영운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최승식,김현정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수영운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있는 W유치원과 K유치원에 있는 만5세 유아 총 40명으로 실험집단20명(남12명, 여8명), 비교집단20(남11명, 여9명)으 로 무작위로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수영프로그램을 , 비교집단은 기존의 신체활동을 주 50분씩, 총 22차시를 실시하였다. 수영운동 전 후에 두 집단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을 측정한 후, 공변량분석을 통해 사전과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영운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유 아의 자기조절력은 수영운동 후 자기조절력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주의집중력 과 자기조절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영운동 적용이 필요하다고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wimming exercise on improvement of children'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regul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children aged 5 at W kindergarten and K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and they were randomly group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20 children (10 males and 10 females) and the control group with 20 children (10 males and 10 females). This study performed the swimming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performed the existing physical activities for the comparative group for 50 minutes a week for a total of 22 sessions. The pre‐ and post‐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after measuring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regulation of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swimming exercise.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swimming exercis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attention concentration improvement. Seco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swimming exercise. This study suggests that swimming exercise should be applied to increase children’s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regulation ability.

      • KCI등재

        사관생도의 주의조절력이 지각된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현승주(Seungju Hyun),조원영(Wonyoung Cho)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1 한국군사학논집 Vol.77 No.3

        This study verified whether cadet"s attentional control negatively influences academic burnout by mediating perceived stres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attentional control,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burnout between cadets of Korea Military Academy and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ere 118 cadets and 230 college students, and the measures were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ACQ), Perceived Stress Scale(PSS), and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 the relationhsip between attentional control and perceived stress, attentional control and academic burnout,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burnou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perceived stres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attentional control on academic burnout. This means that attentional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in devising interventions to reduce cadets" academic burnout. Third, the total effect, direct and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ttentional control,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burnout were significant in both cadets and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