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동 구문의 요건과 의미 자질

        김원경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2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ssive category and the features of argument, verb and noun affix in Korean passive constru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Feature Computation Grammar. Korean passive is not a grammatical category, but a semantic category. To inquiry this category, it is important to indicate the Semantic Criterion of Passive Construction accurately. And based on this criterion, the features of components in Korean passive construction must be represented properly. Following features play a key role in the Feature Computation Process: [animate], [power], [action], [state], [pass], [target], [inanimate],[benefit]. To inquiry various types of Korean passive construction, that is Morphological passive, syntactic passive, lexical passive sentences, it is necessary to apply this Feature Computation Process. 한국어의 피동에 대해서는 국어 문법을 기술하기 시작한 전통 문법 시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동의 개념과 범위를 지정하는 단계부터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피동 범주를 구성하는 성립의 요건이나 유형이 단순하게 정립되기 어려운 다수의 특질들을포함하기 때문이다. 또한 영어 문법의 태 라는 범주와의 관련성이나 영어의 수동태에 직접 대응하여 한국어의 피동을 설명하려는 연구의 태도, 그리고 생성문법과 같은 언어 이론에서 계속 변화하며 발전해 온 수동태에 대한 연구 성과등도 이 범주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촉발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이 논의에서는 한국어의 피동 구문을 의미 범주로 파악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그의미론적인 성립 요건을 다시 살피고, 이를 의미 자질의 표시 방법을 통해 세부적으로 형식화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에 의해 피동의 성립 요건이 좀 더 구체화되면서 개별 문장에서 피동 범주 성립에 관여하는 자질과 비가시적인 자질등이 정리될 수 있다. 의미 자질 표시는 의미 범주로 규정되는 피동 범주의 본질이나 그 유형적 특성을 명시적으로 밝히고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는데 대한 적절한 연구 방법론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현대러시아어 무인칭 환경에 나타나는 ЭТО와 ОНО의 문법적 기능

        정하경(Jung, Hakyung),이수현(Lee, Suhyo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3

        본 논문은 현대러시아어의 구어적 사용에서 무인칭 환경에 나타나는 지시대명사 중성 단수형 эmо와 인칭대명사 중성 단수형 оно의 문법적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эmо와 оно의 이러한 허사적 사용이 현대러시아어의 문법체계 범주화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эmо와 оно의 사용이 허용되는 정확한 무인칭 환경 유형을 파악하고 이 형태들이 실제로 문법적 주어의 지위를 가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무인칭구문 및 그에 상응하는 эmо, оно 구문에 대해 원어민 피험자들(총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 실험 결과, 자연현상이나 신체적 작용을 나타내는 무인칭 정형동사 구문에서는 эmо/оно가 사용될 수 없었던 반면, 무인칭 재귀동사와 부사적 술어 구문에서는 종속절(원형부정사절 및 정형절)이 있을 경우 эmо/оно의 용인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эmо의 용인성이 оно보다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무인칭 재귀동사의 경우에는 어휘에 따라 종속절이 없는 경우에도 эmо와 оно의 삽입이 가능했다. 이와 같이 무인칭 환경에 삽입되는 эmо와 оно는 인상술어의 주어로 인상될 수 있고, 재귀사를 결속시키며, 술어일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인 환경이기는 하지만 문법적 허사 주어로 인정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Modern Russian features (semi-) expletive subjects, based on the judgement test that was taken by 35 Russian native speakers. The test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cceptability of оно and это in three impersonal environments, in which no thematic subject is allowed: Finite verbs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adverbial predicates, and reflexive verbs deriving from unergative verbs. The test shows that оно and это may be acknowledged as true expletive subjects in limited environments although a clear contrast is seen between это and оно. The acceptability of это is clearly higher than that of оно irrespective of the construction type, which can be ascribed to the strong deictic nature of это. First, finite verb constructions denoting natural phenomena do not allow overt expletives at all: The semantics of a subject is available in this type of constructions although the covert subject cannot be referential. As this invisible argument related to natural phenomena already occupies the subject position, an overt expletive cannot be inserted into this position. This result parallels with the analysis of the weather-it in English as denoting an (quasi-) argument in the literature. Second, in the case of reflexive verbs and adverbial predicates, expletives are allowed if a subordinate clause (infinitival or finite) follows. In a limited case of reflexive verbs, это and оно are allowed even without a subordinate clause. This must be because there is no argument in the subject position in this type of reflexive verb constructions unlike finite verbs expressing natural phenomena. Это and оно in the given impersonal environments can be raised as the subject of a raising verb, can bind subject-oriented reflexives, and trigger agreement on predicates, which indicates that это and оно may be construed as grammatical subjects occupying Spec,TP, a position dedicated to a nominative subject.

      • KCI등재

        아랍어 문장의 주어-동사 일치현상에 대한 통사적 연구

        최진영 ( Jin Young C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3 중동연구 Vol.31 No.3

        The puzzle of agreement in Arabic sentence lies in its apparent dependence on the surface order of the subject and the verb. If the subject precedes the verb, the verb shows full agreement with the subject in the features of person, number, and gender. If,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follows the verb, the verb shows some kind of impoverished agreement: it has the features of third person singular, and shows agreement with the subject only in the features of gender. The phenomenon of agreement was the main criterion to distinguish the nominal sentence from the verbal sentence, and is closely linked to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rabic sentence. So, this study aims to analyzing the full agreement in the nominal sentence and the impoverished agreement in the verbal sentence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syntactic properties of Arabic sentence. In Chapter 2, I`m going to look at how to classify Arabic sentence by the word order in the traditional grammar, and investigate the notion of government (al-□amal) to make the difference of the word order. In Chapter 3, I will explain subject-verb full agreement in the nominal sentence through analyzing the grammatical function of the subject(al-mubtada?). In Chapter 4, I will analyze impoverished agreement in the verbal sentence by setting two subjects, lexical subject and expletive subject in the deep structure.

      • KCI등재

        프랑스어 부정사–주어 구문의 통사구조와 병렬이동

        김신호(KIM, Shin-ho)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3 No.-

        Cette étude s'occupe de la structure syntaxique des constructions comprenant le sujet -infinitif en français, en analysant à la fois sa catégorie syntaxique et sa position structurale dans une phrase. Nous allons ensuite introduire le déplacement parallèle et l'héritage des traits de Chomsky(2008) à notre analyse. Lorsque nous traitons sa structure syntaxique, des questions souvent formulées se rapportent au fait qu'il est difficile de déterminer son statut catégoriel dans une manière précise. L'apparition du sujet-infinitif dans la position spec-TP sous-entend non seulement sa caractéristique nominal(DP) mais aussi sa propriété propositionnelle(CP) si nous admettons par hypothèse que ce sujet se déplace dans une position intérieure de CP, non pas de TP. Du point de vue catégoriel, le syntagme infinitif inclu dans une phrase n'est pas un syntagme nominal(DP) authentique. Pourtant, on peut suggérer que, dans une des étapes dérivationnelles, il soit dominé par une certaine projection. Nous pouvons aussi prendre en considération sa propriété de CP s'il a la même distribution syntaxique que celle de qu-phrase. En conséquence, cette étude va s'occuper de l'analyse des caractères du sujet-infinitif contenant respectivement DP et CP en proposant ses opérations syntaxiques via les concepts d'héritage des traits et déplacement parallèle de Chomsky(2008).

      • KCI등재
      • KCI등재
      • SSCIAHCISCOP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