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적 성과평가에서의 전이효과와 사업단위 특성의 조절효과

        이경태,최병현,이상철 한국관리회계학회 2019 관리회계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한 객관적 성과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다. 또한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가 비재무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평가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개년 간 A기업의 287개 사업단위/년 자료를 최종 표본으로 선정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주관적 성과평가 점수이며, 독립변수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된 객관적 성과평가 점수이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객관적성과평가 점수와 주관적 성과평가 점수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조절변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구분한 객관적 성과평가는 주관적 성과평가에 모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적 성과평가의회귀계수와 표준화회귀계수가 비재무적 성과평가의 계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주관적 성과평가가 객관적 성과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이효과가 존재하며, 재무적 성과평가가 비재무적 성과평가보다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과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경우,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하는 경우, 사업단위 성과가 높은 경우, 그리고 사업단위 규모가 큰 경우에 비재무적 성과평가가 주관적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실험에 의한 선행연구와 달리 객관적 성과평가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를 실제 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했음은 물론, 객관적 성과평가를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구분하여, 각각이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의차이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 불가능한 요인이외에 성과평가의 공정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비재무적 성과평가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전이효과와 관련한 실증연구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자료로활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무적인 성과평가 과정에서이러한 전이효과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and business unit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Methodology] This study samples 287 business unit data of a Korean company from 1999 to 2003.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both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At the same time, the moderating variables are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and business unit size. The study set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cluding the interaction terms to test moder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Findings]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At the same time, 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more influential to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directionally influenced by objective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cor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 is. In addition,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nd business unit siz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On the contrary,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has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These test results imply that when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is high, sales is used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or the size of the business unit is large, non-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the subjectiv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is high, non-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the subjective performance. [Implication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earlier studies, is that it has empirically verified not only the spillover effects of objective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pillover effect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u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effects of spillover effects and the differences in such effects depending on the business unit characteristics.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pillover effect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will serve as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fairly.

      • KCI등재

        주관적 안녕에 대한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의 비교

        한미영,안서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global evalu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was different from episodic one and the difference was interpreted as indicating influence of normative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subjective well-being on global evaluation. In study 1, married and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evaluated their life globally and episodically. In study 2, college students made global and episodic evaluations of subjective well-being of hypothetical married and single women in their thirties. Study 2 aimed to see if college students evaluated hypothetical women differently in the two evaluations and the pattern of difference was different from that of women in their thirties in study 1. The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married women evaluated their global subjective well-being more highly than single women. However, episodic evalu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The difference in the two evaluations suggests the influence of normative beliefs on global evaluation and the pattern of the difference demonstrates that women in their thirties have normative beliefs that marriage makes their life happier. On the contrary, the results from college students in study 2 showed that the belief in marriage as a norm was somewhat weak. Generational change in normative belief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riage and subjective well-being seemed to be reflected in the differences between global and episodic evaluations.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그 차이를 결혼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 사고가 전반적 평가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30대 미혼과 기혼 여성의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를 비교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에게 가상의 30대 미혼/기혼 여성의 주관적 안녕에 대해 전반적 평가와 일화적 평가를 하게 하여 두 평가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대학생이 보이는 두 평가 간의 차이가 연구 1의 30대 여성의 차이와 그 양상이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30대 여성의 경우 기혼이 미혼보다 전반적 평가에서 자신의 주관적 안녕을 더 높이 평가하였다. 그러나 일화적 평가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두 평가 간의 차이는 결혼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 사고가 전반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30대 여성은 결혼을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행복하다는 규범적 사고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대학생들은 30대 여성보다는 결혼을 사회적 규범으로 받아들이는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나 결혼과 주관적 안녕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 사고에서의 세대 간 차이가 주관적 안녕의 두 평가 간의 차이에도 반영되어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지도자의 주관적평가와 무산소파워, 축구기능검사 및 체지방과의 상관분석

        김용권,안상인 대한운동사협회 2009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and anaerobic power, soccer skill, and percentage of body fat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The subjects were 35 healthy soccer players in total(FW: 10, MF: 13, DF: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W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DF in 20 meter shuttle dribble and M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F in ball passing capacity. In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athletes with less than 10% of body fa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over 15% of body fat(p=.008). The percentage of body fa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all passing capacity(r=-.336) and subjective assessment(r=-.501). Also, anaerobic pow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g kick(r=.522) and shooting(r=.524).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had significant high correlation with juggling(r=.525), crossing(r=.379), shooting(r=.373), 20meter shuttle dribble (r=-479), passing(r=.578), and trapping(r=.434). It was concluded that subjective assessment by coach ha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ith percentage of body fat and soccer skill(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anaerobic power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p>.05).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남자 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의 주관적평가와 무산소파워, 축구기능검사, 체지방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손상이 없는 건강한 축구선수 2~3학년 총 35명(FW: 10명, MF: 13명, DF: 12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FW 집단이 DF 집단보다 20m 왕복드리블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패싱능력은 MF 집단이 DF 집단보다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구 지도자는 체지방이 10% 미만인 선수를 체지방이 15%를 초과한 선수보다 주관적평가 점수를 유의하게 높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체지방은 패싱능력(r=-.336)과 주관적평가(r=-.501)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산소파워는 롱킥(r=.522), 슛팅(r=.524)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p<.05), 주관적평가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리고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는 패싱 능력과 r=.578로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저글링(r=.525), 20m 왕복드리블(r=-479), 트래핑(r=.434), 크로싱(r=.379), 슛팅(r=.373)의 순으로 상관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학교 축구 선수를 대상으로 한 지도자의 주관적평가는 체지방과 축구기능검사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5). 그러나 지도자의 주관적평가와 무산소파워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5).

      • KCI등재후보

        축구기술에 대한 객관적 측정자료와 주관적 평가자료의 비교

        엄한주 ( Han Joo Eom ),김목수 ( Mok S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2 체육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축구 기초기술에 대한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축구경기의 주요 기술인 헤딩, 지그재그 드리블, 롱 킥, 드리블 슛, 슛, 센터링, 30m 드리블, 10m 왕복 드리블 등 8개의 측정항목을 선정하여 중(n=112), 고(n=133), 대학교 선수(n=114)들을 대상으로 축구기술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점수와 측정자료의 관련성을 상관 및 교차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선수들의 종합경기력 평가점수와 가장 관련이 깊은 기술요인을 선별하기 위하여 객관적 측정자료와 주관적 평가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기술 8개 측정항목의 결과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에서는 대학생이 현저하게 우수한 기록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고교생, 중학생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측정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점수에서는 대학생과 고교생 집단은 뚜렷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자료와 각 항목에 대한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관련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두 자료의 상관계수는 매우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일치성은 매우 낮았다. 객관적 측정자료와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자료의 관련성이 매우 낮게 나타난 결과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스포츠 기술의 객관적 측정 및 평가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지도자의 종합경기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결과, 중학생 집단은 기술의 정확성과 기초체력에 관련된 변인, 즉 ``패스의 정확성``, ``돌파력``, 그리고 ``10m 왕복 드리블``이 가장 관련이 많았으며, 고교와 대학 집단은 전반적으로 복합적인 요인, 즉 지도자의 주관적 평가 항목인 ``경기감각``, ``연결동작``, ``킥 및 득점력``이 종합경기력 점수와 가장 관련이 높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for soccer skill performances. Eight test items, such as heading, zigzag dribble, long kick, dribble shoot, shoot, centering, 30m dribble, and 10m shuttle dribble, were devised based on valid measurement procedure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basic soccer skill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59 varsity soccer players (112 junior high, 133 senior high, and 114 university athletes) and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the mean performance of each skill test among the 3 groups. Correlational method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measures of the tests and the subjective measures of the corresponding skills evaluated by the coaches of the participating players. From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being expected, the comparison of the mean performances among the 3 groups revealed that the university group was prominent in all 8 skill tests, followed by the senior high and junior high school players. 2. It was shown that the coach`s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players` performance on each test was not quite in agreement with the field test scores. In most test items, there was a moderate size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scores and the coach`s evaluation. However, although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was not large enough to grant practically meaningful interpretations. 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variables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of the overall playing ability consisted of mostly the subjective measures of the skills evaluated by the coaches.

      • KCI등재

        주관적 크롤영법 기능검사 평가표 개발 및 대학교 교양체육에 적용 가능성 평가

        석창혁(Chang-hyeok Seo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크롤(crawl) 영법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주관적 평가표를 개발하고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대학 교양수영 강좌에 적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양으로 수영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크롤영법을 검사하기 위한 주관적 기능검사 평가표를 제작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문헌고참을 통한 개념 정립 후 올바른 수영의 자세를 구조화하여,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평가표는 4개의 세부 동작(팔, 다리, 호흡, 종합동작)으로 구분, 총 18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는 3단계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능검사 평가표가 올바르게 크롤 기술을 측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A시 소재의 대학교에서 교양수영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 48명파 B체육 중·고등학교에 소속된 수영 선수 29명의 자료를 연구 분석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술검사 평가표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술검사 평가표의 타당도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주관적 크롤영볍 기능검사 평가표는 대학교 교양수영 깅좌에 적용하는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ubjective crawl-swim skill test an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skill test to physical activity courses in colleges. To develop the skill test inventory literature review and constructing correct crawl-swim technique were conducted followed by the expert review for content validity. Final version of the inventory consists of four major parts (stroke, kick, breathing, and overall) with 18 items. A three-point scale was employed for the inventory; Inferior-Moderate-Superior. Data from 77 subjects (48 college students and 29 middle & high school swimming athletes) was used for group difference test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50-meter crawl swimming records and test scores. The subjective crawl-swim skill test discriminated the groups based on their swimming skill levels and the test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respective swimming records. In summary the inventory is applicable to evaluate and grade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activity courses even though it might be insufficient to test expert level swimmers and athletes.

      • KCI등재

        평가자의 청지각적 음성평가와 대상자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김재옥(Jaeock Kim),최홍식(Hong-Shik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음성장애를 평가할 때 객관적 평가와 청지각적 평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이들 뿐만 아니라 음성장애를 경험하는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지각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120명과 정상인 12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KoreanVoice HandicapIndex: K-VHI, 이하 K-VHI)와 한국어판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Korean Voice-RelatedQuality of Life: K-VRQOL, 이하 K-VRQOL)을 작성하게 하였으며, 숙련된 음성언어치료사와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GRBAS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GRBAS 척도 중 G 척도와K-VHI 및 K-VRQOL의 총점수와 세부영역별 점수 간에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G 척도에 따른 음성장애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K-VHI의 영역별 점수는 높았으며, K-VRQOL의 영역별 점수는 낮았다. 또한 진단별 분류에 따라 K-VHI의 신체 점수를 제외한 K-VHI의모든 영역별 점수와 K-VRQOL의 모든 영역별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청지각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어 평가자가 평가한 음성장애의 정도와 대상자가 지각하고 있는 음성장애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청지각적 평가 분류 및 진단별 분류에 따라 주관적 평가의 차이가 있었다. 이에, 음성장애를 평가할 때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를 함께 포함하는 다양한 측면의 음성평가가 요구된다. Background & Objective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voice evaluations, objective quantitative evaluations and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re commonly used. However,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must be considered to accomplish a more accurate and total assessment of voice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nd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of voice disorders. Methods: We enrolled 120 people with voice disorders and 120 people without voice disorders and asked them to fill out Korean Voice Handicap Index (K-VHI) and Korean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forms. The patients’ voices were perceptually evaluated by an experienced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an otolaryngologist using GRBAS scales. Results: There was a low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G scale on the GRBAS scales and the K-VHI and K-VRQOL self-reports. However, mean scores on both total and subscales in K-VHI and K-VRQOL decreased as the severity of voice disorders on the G scale Increased. In particular, G3 differed significantly from G0, G1, and G2 in the results of both K-VHI and K-VRQOL. In additio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differentl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and subscale scores on the K-VHI and K-VRQOL, with the exception of the physical score on the K-VHI. Discussion &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inicians’ perceptual evaluations and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of voice disorders. The severity of voice disorders assessed by clinicians differed from the voice handicap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perceptions of pati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use various assessment methods when evaluating voice disorders, including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s.

      • KCI등재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김지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로 후두과긴장 평가방법 중 하나로서 주관적 음성장애 평가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후두과긴장 중증도에 따른 주관적인 음성평가의 점수를 비교하고,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장애 평가 점수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성대결절, 성대폴립, 성대폴립에 성대결절 동반으로 진단된환자 67명이다. 후두의 과긴장 평가는 후두외근을 4개 영역으로 나누어 과긴장 유무를 평가한 후두촉진 결과에 따라 후두과긴장의 중증도를 ‘없음, 경도, 중도, 심도’로 분류하였다. 주관적인 음성장애 평가는 Vocal fatigue index (VFI)를 통해 측정되었다. 결과: 후두과긴장중증도따라 K-VFI-total (F=4.155, p=.009) K-VFI-fatigue (F=15.628, p=.000), physical (F=6.959, p=.000), rest (F=10.673, p=.000) 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중비교 시, 과긴장이 있는 세 집단은 각각 과긴장이 없는 집단에 비해 K-VFI-total, physical, rest 의 점수가 높았고, K-VFI-fatigue에서는 중도와 심도 과긴장 집단이 과긴장이 없는 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또한, 후두과긴장 중증도는주관적음성장애인 K-VFI-total (r=.530, p=.000), K-VFI-fatigue (r=.375, p=.001), K-VFI-physical (r=.592, p=.000), K-VFI-rest (r=.425, p=.000)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과기능적 음성장애에서 후두과긴장이 있는 집단은 후두 과긴장이없는 집단에 비해 주관적인 음성장애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후두과긴장의 중증도는 VFI 총점 및 각 영역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는 임상가가 촉진을 통해 평가한 후두의 과긴장을 환자는 주관적으로 느낄 수 있고 바르게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VFI가후두의 과긴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음성장애의 한 평가 영역으로 후두과긴장평가가시행될수기초를마련한다는점에의의를가진다.

      • 구조화된 평가척도와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 증상 연구

        이종범,김오룡,김진성,서완석,배대석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주관적인 증상의 정도와 관련한 인구동태학적 요인, 뇌 손상의 특성, 신경심리학적 평가결과 및 MMPI 성적을 비교한 뒤 주관적인 정신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정도와의 일치정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 1일부터 2003년 8월 31까지 두부외상 후 정신과적인 증상을 나타내어 진료를 받았거나 자문이 의뢰된 경우 및 후유장애 평가를 위해 내원한 환자 498명 중 배제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18세 이상 성인 281명에게 SCL-90-R, K-WAIS, K-MAS, K-BNT 및 MMPI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정신과적 증상 정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자는 SCL-90-R의 표출증상의 문항당 평균점수를 바탕으로 주관적인 정신과적 증상이 경미한 집단(minimal distress group), 경한 집단(mild distress group), 증등도 집단(moderate distress group), 심한 집단(severe distress group)으로 구분하고, SCL-90-R을 수행하지 못한 집단을 불능집단(failed group)으로 구분하여 그 성적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SCL-90-R을 비롯한 신경심리검사 및 MMPI를 온전히 수행한 18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 정도를 비교하여 주관적 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정도가 일치하는 집단(no difference group),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비해 추정된 장애정도가 심한 집단(faking good group) 그리고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비해 추정된 장애정도가 약한 집단(faking bad group)으로 구분하여 성적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따라 SCL-90-R의 성적을 비교한 결과에서,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따라 SCL-90-R의 하위척도 및 전체지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관적 증상과 추정된 손상정도의 일치정도에 따른 구분에서도 각 집단 간에 하위척도 및 전체지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지만 공포불안 척도의 점수가 다른 척도 점수에 비해 높은 프로파일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주관적인 증상의 정도에 따라 신경심리검사 성적을 비교한 결과에서, 지능의 경우 주관적인 증상이 심할수록 사고 후 지능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증상을 과소평가한 집단은 차이가 없는 집단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지적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세 번째, 주관적인 증상정도에 따른 기억능력을 비교한 결과 주관적 증상이 심할수록 기억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인 증상을 과소평가한 집단의 수행이 다른 집단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판 이름대기 검사에서도 이와 동일한 수행성적을 보이고 있었다. 네 번째, MMPI에서는 주관적 증상의 정도 혹은 추정된 손상의 일치정도와는 상관없이 주관적 증상을 경미하게 호소하고 있는 집단을 제외하고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이 기본적인 신경증적인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증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정신병적 증상들을 주로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 손상의 주관적 증상이 심하던 그렇지 않던 혹은 추정된 손상정도의 일치여부와는 상관없이 이들이 신경증적인 증상을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증상의 과대호소를 위하여 주로 정신증적 증상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외상성 뇌손상이 있은 뒤 인지적 기능수준이 나을수록 자신의 정신과적 증상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o search for the character of subjective symptom among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 we tri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and the character of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suggested disability. The factor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characteristics of head trauma, the score of neuropsychological test and MMPI were compared for those subjective symptoms. Methods : SCL-90-R, K-WAIS, K-MAS, K-BNT and MMPI was conducted for 281 patients who are suitable for this study with age over 18, out of 498 patients who visited hospital for their psychiatric symptom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or disability evaluation after requesting consult from Mar 1, 1999 to Aug 31, 2003. Subjec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positive symptom total in SCL-90-R as four groups such as minimal distress group to observe character depending on the subjective symptoms level. Mild distress group, moderate distress group, and severe distress group and compared with failed group which couldn't perform SCL-90-R. And 180 patients of all of tests conducted, were divided to the three groups such as no difference group, faking good group, and faking bad group by comparing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to suggested disability and assessed its results. Results : In the result of SCL-90-R depending on the subjective symptom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subscale and global index of SCL-90-R.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the division depending on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suggested disability on subscale and global index in each group. However, the score in phobic anxiety scale was high other than subscale score. The result of neuropsychological test depending on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represented more severe in subjective symptoms and lower in intelligenc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But, even or better intellectual capability was possessed in faking good group by comparing to no difference group. Memory ability is reduced as subjective symptoms severe and faking good group was superior in its performance. The same result was shown in K-B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or discrepancy of the subjective symptoms between suggested disabilit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except the group appealed minimal distress) experienced basic neurotic symptoms and they appealed psychotic symptoms as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is severe in MMPI. Conclusion : In this research, All the patient commonly have experienced neurotic symptom weather the symptom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is severe or not. Psychotic symptoms was mainly used for the faking bad of symptom and proved that they underestimated their psychiatric symptoms with better cognitive function level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KCI등재

        퍼지적분을 이용한 영상품질의 객관적이고 정량적 평가: 팬톰 연구

        김성현,서태석,최보영,이형구,Kim, Sung-Hyun,Suh, Tae-Suk,Choe, Bo-Young,Lee, Hyoung-Koo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4

        물리적 평가(physical evaluation)가 영상품질의 객관화와 정량화를 위한 토대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부정확하고 가변적인 특성을 지닌 주관적 평가(subjective evaluation)가 영상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방사선 영상의 물리적 평가와 주간적 평가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 객관적 정량화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4대의 디지털 방사선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동일한 임상조건에서 흉부 팬톰 영상을 획득하였다. 물리적 영상평가를 위하여 디지털 흉부 팬톰 내에서 3개의 영역(폐, 심장, 그리고 복부)에 존재하는 CNR (contrast-to-noise ratio)를 측정하였고 분할(segmentation)과 정합(registration)등 다양한 영상처리기술이 적용되었다. 주관적 평가는 5명의 관찰자에 의한 저 대조도 물체의 식별 정도를 점수화 하였다. 두 평가의 특성을 보완 및 결합하고자 퍼지적분 이론이 도입되었다. 4대의 시스템으로부터의 평가결과가 비교되었으며, 물리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가 항상 비례하지 않음을 보였다. 물리적 평가에서는 높은 점수를 보였던 시스템이 주관적 평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퍼지적분에 의한 영상평가의 정량화는 물리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평가 방법이며, 다양한 영상품질 평가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Physical evaluations provide the basis for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age quality. Nonetheless, there are limitations in using physical evaluations to judge the utility of the image quality if the observer's subjectivity plays a key role despite its imprecise and variable nature.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for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to compensate for the demerits of both physical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and combine the merits of them. The images of chest phantom were acquired from four digital radiography systems on clinic sites. The physical image quality was derived from an image analysis algorithm in terms of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of the low-contrast objects in three regions (lung, heart, and diaphragm) of a digital chest phantom radiograph. For image analysis, variou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were used such as segmentation, and registration, etc. The subjective image quality was assessed by the ability of the human observer to detect low-contrast objects. Fuzzy integral was used to integrate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hysical evaluation did not agree with the subjective evaluation. The system with the better performance in physical measurement showed the worse result in subjective evaluation compared to the other system. The proposed protocol is an integral evaluation method of image quality, which includes the properties of both physical and subjective measurement. It may be used as a useful tool in image evaluation of various modalities.

      • KCI등재

        논술 평가자의 주관적 경험 분석

        박영민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이 연구는 논술 평가 과정에서 겪는 평가자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쓰기 평가와 관련된 평가자 정보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단위 학생 논술 평가 과정을 연구 배경으로 삼아 12명의 평가자를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주관적 경험에 대한 설문 반응을 수집ㆍ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일차가 진행됨에 따라 평가자의 집중도, 피로도가 증가하는 추세 경향이 있었으며, 평가의 긍정적 정서는 감소하는 추세 경향을 보였다. 능력 인식, 과업 인식, 전문성 인식은 평가 일차에 따른 추세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평가자의 주관적 경험은 경력 5~10년일 때 가장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력 5~10년의 평가자들은 능력 인식, 과업 인식, 피로도, 긍정적 정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평가자들의 평가 속도는 최저 1.33분으로부터 최고 7.61분에 이르는 차이를 보였다. 평가자들의 전체 평균 평가 속도는 3.37분(202.2초)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800~2000자로 작성된 학생 답안을 약 4분 정도의 속도로 평가할 수 있음을 뜻한다. 넷째, 평가자들은 내용의 일관성이 부족한 글, 내용의 중복이나 반복이 많은 글, 단어 및 문장 표현이 적절하지 못한 글을 가장 읽기 싫은 글로 꼽았다. 글씨나 표기와 같은 전통적인 영향 요인도 논술 평가의 의욕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figured out the information of subjective experiences of 12 essay raters in assessment. For this research this paper made to 12 rater asked the changing subjective experiences in assessment of the student essays which submitted on essay contest committee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07. Their respons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in essay assessment by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ings. First, the consistency and tiredness of essay raters in assessment increased as gone assessment days. but positive emotions of raters in assessment cut down gradually. On 3rd and 4th day in whole assessment period the raters had the most positive subjective experiences. Second, the raters group of teaching career 5~10 years had more positive degree experiences than other groups on subjective experiences : awareness of assessment abilities and prof -essional task, tiredness of assessment, and positive emotions in assessment. According to this data the raters group of teaching career 5~10 years will be suitable for essay assessment. Third, the average speed of essay assessment was 3.337 minutes. This time covered one written work of student in 1,800~2,000 letters. Fourth, the raters hated the student paper had inconsistency of meaning, repetition of same remarks and overlap of contents, unsuitableness of expressions. And the shape of letter also made a negative effect on raters subjective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