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화에 나타난 서낭신을 향한 대비적 시각과 그 의미

        이경화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6

        The tales in which the Seonang appea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tory of God's position and Gam Eung-Story. These two types show different perspectives to the seonangsin. The story of God's position of the Seonang explains the origin of the act of spitting on the Seonang. The act of spitting is seen as an act of insulting the Seonang. We discussed that this is due to the distance the villagers feel towards Seonang. The weak belief to Seonang reflected into story of God's position. On the other hand, emotional tales contains the view of reverence toward the Seonang. The characters in Gam Eung-Story are those who live on the borders of villages and those who come and go across the borders. Their affiliation in family and village society is unclear. This is similar to that of Seonang's position. Seonang helps these characters to settle down. At the same time these people restore the status of the god of seonang. The perspective toward Seonang wa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the village, and these conflicting views are embodied in each of story of God's position and Gam Eung-Stor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relationships that people have with Seonangsin through story of God's position and Gam Eung-Story. 본 연구는 설화에 나타난 서낭신을 향한 멸시와 숭상의 대비적 시각의 공존 양상을 살피고, 경계의 신으로서의 서낭신이 갖는 특수성을 통해 그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낭신이 나타나는 설화는 크게 좌정담과 감응담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두 가지 유형은 서낭신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에 주목하여 각 유형이 내재하고 있는 서낭을 향한 시각의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낭신의 좌정담에서는 신을 향한 멸시의 시각과 이를 인간 사회의 가치관으로서 정당화 하는 시각이 두드러진다. 한편 가치관이나 신 관념을 토대로 서낭신을 동정하거나 위무하려는 목소리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을 수호의 이중 구조 속에서 마을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서낭신은 물리적, 심리적으로 거리를 갖게 했을 것이다. 믿음의 약화는 신을 향한 의례를 일상적 침 뱉기와 동일시 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졌으나, 신을 향한 믿음이 남아 있었기에 신을 복원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좌정담에 담긴 것이다. 한편 감응담은 서낭신을 향한 숭상의 시각만을 담고 있다. 특징적인 것은 감응담 속 주요 인물은 마을의 경계로 밀려난 존재 혹은 마을의 경계를 오가는 존재라는 점이다. 이들은 가족과 마을 중심의 사회에서 어디에도 명확히 속하지 못하는 존재이며 경계에서 서성인다. 이러한 성격은 경계의 신으로서의 서낭신의 성격과 유사하다. 감응담에서 서낭신은 이들이 마을에 정착하여 가족을 꾸릴 수 있도록 도와주며 또 이들은 서낭신과 그의 보호를 받는 사람들 간의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도록 도움으로써 서낭신의 위상을 회복시킨다. 노신(路神)인 서낭신과 특정 인물군 간의 긴밀한 관계를 감응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서낭신은 마을 안팎의 사람 모두와 관계를 맺은 신이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나, 그 다채로운 관계 양상은 기록되지 못하고 사라졌다. 우리는 좌정담과 감응담을 통해 이를 일정부분 이해해볼 수 있다.

      • KCI등재

        서울 당신화의 유형에 따른 성격과 의미 - 좌정담을 중심으로 -

        권선경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aspect of Dang-Sin-Hwa(Mythology of Dang) in Seoul. Therefore I have a review of overall aspect of Joa-Jeong-Dam, and then I have classified for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existence of deification as "deification" and "non-deification". "non-deific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main god as "real person", "hiding deification" and "alternate deification". As a result, I have verified that Dang-Sin-Hwa has a characteristic of Seoul and Seoul Bu-Gun-Dang is included in Seoul shamanism. And I would like to give a opinion that "location" can be have high priority compared with "process". 본고의 목적은 ‘서울’만이 갖고 있는 당신화의 면모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 당신화 중에서 좌정담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피고, 유형을 분류하여 그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서울 당신화는 신격화의 존재 유무에 따라 ‘신격화형’과 ‘신격화 부재형’으로 나뉘었고, ‘신격화 부재형’은 다시 주신(主神)의 성격에 따라 ‘실존인물 신격형’, ‘숨은 신격형’, ‘이주(대체) 신격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계획 도시’였던 서울의 모습이 당신화에 그대로 녹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서울 ‘부군당’이 서울 무속의 자장(磁場)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좌정담에서 ‘신격화 과정’보다 ‘해당 위치에 좌정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제기였다.

      • KCI등재

        구비담론으로 본 군자봉 성황제

        장장식(Jang Jang-Sik)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1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군자봉 성황당은 성격상 경기도 일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도당굿의 하나이다. 또 무당 개인으로 볼 때에는 진적에 해당하며, 마을 전체로 볼 때 대동굿의 성격을 지닌다.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성황제라 할 수 있다. 군자봉 성황당의 신격으로 김부대왕(金傳大王)이라 불리는 경순왕과 그의 부인 안씨 부인과 장모 홍씨 부인 등이다. 일 년에 세 차례씩 성황당신을 위한 주요 의례를 거행한다. 정월 홍수맥이, 칠석날, 시월 초사흘이 의례를 거행하는 날인데, 특히 시월 초사흘의 의례를 성황제라 하여 매우 성대하게 거행하고 있다. 그러나 군자봉 성황과 성황제가 언제부터 설치되고 거행되어 왔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성황사가 두 개 있다는 기록으로 보아 조선 성종조 이전에 이미 성황사가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와는 달리 구비담론에서는 중국으로 가던 서희와 신라 제56대 경순왕인 김부와 왕비 안씨, 그 어머니 홍씨의 혼령과의 만남을 전해주고 있다. 이 구비담론에 의하면, 고려 성종 때부터 모셔져 온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문헌자료가 미비하기 때문에 필자는 군자봉 성황당의 단골판에 들어있는 몇몇 제보자를 인터뷰했다. 군자봉 성황당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구비담론을 조사한 결과 일종의 당신화인 군자봉성황당신화는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우선 지역의 고유한 전설이 사라져가고 있는 현실에서 군자봉을 둘러싼 담론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이다. 이는 신앙과 제의라는 실제성에서 가능한 일이다. 여타의 사례처럼 신앙을 바탕으로 하지 않을 때 지역의 정체성과 어긋날 것이고, 그럴 경우 전설화하거나 지역의 구체성이 사라진 민담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군자봉의 담론은 그럴 개연성이 약하기는 하나 이야기가 단편화되는 현상은 뚜렷하다. 담론을 주도하는 세대가 소멸된 까닭도 있고, 필자의 주된 인터뷰이(interviewee)가 여성이라는 점도 큰 요인이 된다. 담론이 이루어지는 시공간의 제약과 청자가 없다는 사실도 담론의 소멸을 촉진시킨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급격한 도시화와 그에 따른 전통문화의 해체가 구비담론의 문화를 급속히 파괴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당신화는 크게 좌정담과 영험담으로 유형적 특징을 보인다. 좌정담은 현재에 존재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과거에 일어났었다고 말해지는 신성담론이며, 영험담은 현재에 존재하는 신격의 장엄을 증명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행위양식 및 현상에 관한 담론이다. 그러나 이들 양대 담론은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수정되거나 삭제, 선별되거나 변호하는 필요에 맞추어 재해석될 수밖에 없다. 군자봉 성황당신화도 예외는 아니다. 군자봉 당신화가 약간의 착오를 보이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과연 군자봉〔구준물〕 성황당 신인 김부대왕의 부인은 안씨일까, 아니면 홍씨일까? 아직 명백한 논증자료가 미비하여 추론에 그칠 따름이지만 군자산의 성황당과 잿머리의 성황당의 본디 모습은 하나의 짝을 이루는 관계가 아닐까 한다. 특히 동해안 지방에 집중해 있는 남서낭과 여서낭의 관계처럼 군자산과 잿머리는 암수서낭의 관계일지도 모른다. 이것이 차츰 분화ㆍ독립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고, 그 결과 중의 하나가 여성 신격의 혼란이 아닌가 한다. 사정이 이렇다 할지라도 분명한 것은 이들 당신화가 여전히 군자산 군자봉을 기반으로 하는 구준물의 공동체신앙을 지속시키고 있고, 군자봉 성황제라는 제의를 강화시켜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점은 군자봉과 잿머리와의 인식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여전히 군자봉이 우위를 지니고 있고, 군자봉을 중심으로 분화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 끝으로 군자봉 성황당의 당신화들을 비교 검토할 때 주목해야 할 두 가지 사항이 있다. 우선 90년대 이후 파편적인 담론들이 정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1995년 향토문화 총서를 출간하던 시점과 맞물려 있는 사항이다. 둘째, 서희 사신행 모티브가 90년대 이후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는 이전의 자료는 물론 현재의 구비담론에서는 잘 나오지 않는 모티브임을 감안할 때,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사항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섣부른 판단은 오류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이 역시 엄정한 자료를 필요로 한다. Seonghwangdang on the Gunjabong hill in Siheung, Gyeonggi-do Province, is one of the Dodanggut (a shamanistic ritual) ceremonies around the province. To individual shamans, it could be a kind of Jinjeok(Gut rituals which shamans perform for gods controlling themselves) and to the whole village it features Daedonggut. Thus, it has comprehensive interpret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God characters of Seonghwangdang on the Gunjabong hill are King Kyeongsun called KIM, Budae wang(King), his wife Lady An, his mother in law Lady Hong and so on. The main ritual ceremonies for Gods are held three times a year.; Hongsumaegi in January, on the seventh of July, and on the forth of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Particularly, the ceremony on the forth of October called Seonghwangje is the most splendid one. However, it has not been known to the people when Seonghwang and Seonghwangje on the Gunjabong hill wer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Only one literary source, 『Sinjeungdonggukyeojiseungnam』 which tells there were two Seonghwangsa at that time, can prove that there had already been Seonghwangsa customs before King Seongjong's regime. Unlikely, discourses in oral traditions tell one of the major politicians, Seohee met departed souls of KIMbu(King Kyeongsun), queen Lady An and her mother Lady An, on his way to China, According to these oral traditions, it can be assumed to be continued from King Seongjong regime in the Goryo Dynasry. Due to the lack of literary sources, I took several interviews with people whose names are in the regular customers' name list. As the primary sources for examining Seonghwangdang on Gunjabong hill, different discourses in oral traditions have made myths of Seonghwangdang on the Gunjabong hill, a kind of sanctuary myths, which show several features. First of all, in spite of the circumstance to vanish local legends, discourses on the Gunjabong hill still have their validity. It is possible within the realistic beliefs and ritual significance. If they were not based on beliefs, they would cause severe conflicts with local identity and they would be easily degraded to commonly simple legends or folk tales which do not manifest local features. Accordingly, discourse on the Gunjabong hill shows fairly distinctive points; weak probability and fragmentary-ness of stories. They are because the generation leading the discourses has already passed away and the main interviewees are femal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facts of space-time limits and non-existence audience group, accelerate an extinct of discourses. In addition, I can not deny that rapid urbanization and disorga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s massively ruins the culture from oral traditions. Sanctuary myth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Joajeongdam and Yeongheomdam, in a large way. While Joajeongdam is a kind of sacred discourse to insist that something in the past happened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current existence, Yeongheomdam is a discourse on behaving style or phenomena which have been processing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divine dignity of God and goddess. However, those polarized discourses ate subject to be re-interpreted in modifying, eliminating, selecting and explaining them There is no exception in Seonghwangdang myths, the Gunjabong hill. In this sense, we can understand slight confusion about who is the wife of KIMbudae-wang between Lady An and Lady Hong, in Dang myths of the Gunjabong hill. Due to the lack of crucial evidence, every discourse and possibilities are merely assumptions. However, I can guess that Seonghwangdangs on Gunjabong hill and Seonghwangdangs at Jaetmeori(peak entrances) are originally pair. In particular, My assumption is that those things has been gradually specializ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ne of the results from them is confusion with goddess features. In spite of these circumstances, it is sure that these sanc

      • KCI등재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유형별 특징과 의미

        김혜정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In this paper, two types of Jeju Island Josangsin Bonpuri <Yangssiami Bonpuri> were compared and examined. <Yangssi Bonpuri> has so far reported a total of eight episodes, whi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f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First, <Yechon Yangssiami Bonpuri> is an example that explains how ‘Yangssiami’, born in Simbang(shaman)’s fate, was enshrined as ‘Ancestral God’. It’s God’s Origin Story, and the function is to relieve his grudges by appeasing an unjustly dead soul and honoring him as an ancestral god. In comparison, <Nunmi Yangssiami Bonpuri> shows people who treat ‘Yangssiami’ completely differently, and shows how ‘Yangssiami’ affects them.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Miracle Story’, which is designed to show that ‘Yangssiami’ has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its offspring and to consolidate its function as ‘Ancestral God’. In order for <Yangssi Bonpuri> to continue to function as Josangsin Bonpuri, we can summarize the significant points that caused epic variation. First, to reaffirm his ability, his spirituality, he is punishing those who distrust him. In other words, by creating a new, remarkable punishment, it reduces the opposition to having him as Ancestral God and shows that it can still exert its influence on the offspring. Second, by speaking of having the most powerful function of Ancestral God, ‘prosperity of a family’ or ‘extermination of a family’, we can see that the ‘universal trait’ is strengthened. This, in turn, is a good source of evidence for identifying the key elements of Josangsin Bonpuri’s tradition. In other words,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raised about ancestral gods, myths are about to secure legitimacy by highlighting the most basic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that ancestral gods should have, rather than adding special abiliti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also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ors in Confucian rituals.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두 유형을 비교 고찰하여, 유형별 특징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씨아미본풀이>는 지금까지 총 8편이 채록 보고되었는데, 이를 서사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예촌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조상신으로 모시게 된 경위를 설명하는 본풀이이다. 이는 좌정 유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억울하게 죽은 영혼을 달래주고 그를 조상신으로 모심으로써, 그를 해원 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비해 <눈미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대하는 대조적 사람들을 보여주고, 양씨아미가 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는 영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양씨아미가 후손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조상신으로의 기능을 공고히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양씨아미본풀이>가 조상신본풀이로 계속해서 기능하기 위해, 서사적 변이를 일으킨 유의미한 지점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능력, 영험함을 재확인시키기 위해, 그를 불신하는 세력에게 응징을 가하고 있다. 즉 뚜렷한 징치 대상을 새롭게 만듦으로써, 그를 조상신으로 모시는 것에 대한 반발심을 줄이고, 자손에게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조상신의 가장 강력한 직능인 후손을 번영시키거나 혹은 대(代)를 끊을 수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보편적 특성’을 강화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조상신본풀이의 전승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근거 자료가 된다. 즉 조상신에 대한 근원적 물음이 제기될 때, 신화는 시대․환경 변화에 따른 특수한 능력을 추가하기보다, 조상신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 특성을 부각함으로써, 정통성을 확보하려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유교식 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의 특성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울진 어촌 당신화와 전승터전의 관계

        이중구 국립민속박물관 2014 민속학연구 Vol.0 No.34

        Shrine myths were generated and handed down upon the history, natural environment,occupation and political base that a tradition group is based on. Accordingly, shrine myths wereable to form semantic network amidst the relations with the base for transmission and toassume the transmission power. To put it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claim that shrine mythsare drawing out meaning of the diverse contexts that are related to the base for transmission. Accordingly, the initiative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wo parties can contribute toexplaining community’s life and culture. Uljin fishery town’s shrine myths were handed down while forming close-knit relations withlocal administrative area system, the town’s history, mountain which is a natural environment,quasi farming and quasi fishing occupational activity, family clams and autonomousorganizations. shrine myths related to history encompass issue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divinity, and identity. Meanwhile, shrine myth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reveal thesource of spiritual experience of divinity. Shrine myths related to occupation details out thegoals for wishing for big catch or maritime safety. In case of shrine myths related to politicalorder,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y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gods and humanbeing and among the human beings. Accordingly,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for transmissionand shrine myths can be interpreted from the ancestral rites legitimacy aspect. Moreover, it ispossible to examine dynamism as well since extinction and transmutation of shrine myths takepla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base for transmission. 이 글은 울진 어촌의 당신화가 역사, 자연환경, 생업, 정치질서 등 전승터전과 관계 맺고 있는 양상을 살피려는 것이다. 당신화는 전승집단이 뿌리내리고 있는 역사와 자연환경, 생업과 정치적 터전 위에서 생성되고 전승됐다. 따라서 양자간의 관계 속에서 의미가 생성되고 전승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는 당신화가 전승터전과 관련한 다양한 맥락들을 의미화하고 있다고 환언할 수 있다. 따라서 당신화와 전승터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공동체의 삶과 문화를 해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울진 어촌의 당신화는 지방행정구역과 개촌의 역사, 자연환경인 산, 반농반어의 생업활동, 성씨집단ㆍ자치조직 등 정치질서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전승되고 있다. 역사와 관련한 당신화는 신격의 생성과 관련한 문제를 담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관련한 당신화는 신격이 갖는 영험의 원천을 밝히고 있다. 생업과 관련한 당신화는 풍어나 해상안전 등 제의의 목적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정치질서와 관련한 당신화는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관념화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승터전과 당신화의 관계는 제의의 정당성을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전승터전의 변화에 따라 당신화의 소멸ㆍ변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역동성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