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관한 연구

        이명훈 ( Myung-hoon Y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 시 적정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매토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면적과 초본 종수가 0.6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에 따라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적용하여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 종수, 목본 개체수, 초본 종수 및 초본 개체수 모두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58.3%였다. 종수와 개체수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한 개의 함수가 유의하였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2.4%이고,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의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 개체군의 크기는 면적 64m²이상, 종수 21종 이상, 개체수 120개체 이상을 권장하며 초본 종수의 영향에 따라 매토종자군집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의 적용 시 초본 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minimum viable population of a seed bank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pine forest using a seed bank. It examined the germinated soil seed bank from August 2010 to November 2011.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rea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were the highest at 0.686.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four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woody species, the number of woody individuals,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individuals using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o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in studied plots showed that all four variables were significant with area at the level of 0.05, and R square was 0.583. One function was selected between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from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 square was 0.824. Both canonical function and squared canonical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1. The result of study recommended the area size of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in pine forest applied by seed bank to be larger than 64m², the number of species to be over 21,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to be over 120. It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determined the cluster size of the seed ban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rbaceous species that appear in the seed bank.

      • 지표성 딱정벌레의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 예측

        이철민,김유승,권태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금세기 최대 화두 중 하나이다. 이런 생물다양성의 변화를 평가할 때 생물지표종을 많이 이용하며 곤충은 유용한 지표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중 지표성 딱정벌레는 생태 및 분류학적 연구가 잘 되어 있고, 산림관리, 벌채, 산불, 도시화 등과 같은 환경변화를 평가할 때 자주 이용된다. 국내에서도 지표성 딱정벌레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조사기간과 조사방법이 다르고 특정 지역만을 연구했기 때문에 전국단위의 분석 및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지표성 딱정벌레의 종수와 종다양도의 전국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도 0.5도와 경도 0.5도의 격자 안에 8개의 조사지를 임의로 배치하고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산림 359개 조사지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종수의 범위는 0~16, 종다양도의 범위는 0~2.432이였다. 딱정벌레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공간내삽(Interpolation)인 역거리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ed : IDW)를 이용하였다. 359여개 지점에서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0.5㎞ × 0.5㎞의 래스터를 구축하여 지역별 종수와 종다양도를 ArcGIS Zonal Statistic 기능을 이용하여 도출하여 비교 및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저수지의 환경요인이 월동수조류의 개체수와 종수에 미치는 영향

        문영민(Young-Min Moon),최진환(Jin-Hwan Choi),유정칠(Jeong-Chil Yoo)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저수지의 환경요인들과 월동수조류의 개체수와 종수간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조류 서식지로서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2008년 1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충청남도 서해안 일대의 저수지 21곳에서 수행되었다. 저수지의 환경요인 중 개체수와 종수의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저수지의 면적이었다(각각 Y=1.884+1.583X, R²= 0.584; Y=6.948+13.225X, R²=0.504). 한편, 둘레복잡도지수가 커질수록 개체수와 종수가 감소하여(Y=3.935-2.654X, R²=0.318; Y=3.682-2.483X, R²=0.278) 같은 면적일지라도 형태에 따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의 면적 또한 종수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Y=-0.470 +14.006X, R²=0.236), 영양 물질(TP, Chl-a)의 농도와 저수지의 조성 후 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저수지를 이용하는 월동수조류의 개체수와 종수는 저수지의 면적 및 형태 등의 지형 요인과 수생식물의 면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of reservoir and abundance, species richness of wintering waterbird at 21 reservoir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Korea from November 2008 to March 2009. Reservoir area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which affects on increasing of waterbird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Y=1.884+1.583X, R²=0.584; Y=6.948+13.225X, R²=0.504, respectively). Perimeter complexit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Y=3.935-2.654X, R²=0.318; Y=3.682-2.483X, R²=0.278, respectively), implying that reservoir shape influences them in given the same area. Vegetation cover affected on increasing of species richness (Y=-0.470+14.006X, R²=0.236). On the other hand, concentration of trophic factors(TP, Chl-a) and reservoir age didn't influence on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Consequently,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waterbirds which overwintered in reservoirs were more affected by morphological factors and area of vegetation cover than by other factors.

      •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

        류부현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This study explores the existing claims about the kinds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of Jaejo Daejanggyung and then suggests a new perspectiv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gyungmyung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written in Daejangmokrok and all the scriptures and numbers in Jaejojang, and entered the gyungmyung and suitable numbers in a table to estimate the exact amount of kinds and numbers of the scripture of Jaejo Daejanggyung. And then, the kinds and numbers of Jaejojang including the kinds and kownsu of each scripture and one-volume of the scripture are produced through computer processing. As a result, it proves that the scripture in Jaejojang has 1496[1530] kinds; ‘1496 kind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a variety of scriptures in one volume as one type and ‘1530 kinds’ in each bracket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each of the various scriptures in one volume as one type of individual scripture, and 6555. 본 연구는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에 대한 종래의 주장을 살펴본 다음 필자의 새로운 주장을 피력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대장경 경전의 종수와 권수에 대한 타당하고 정확한 수량을 산정해 내기 위해 먼저 「대장목록」에 기재된 경전의 경명과 권수 및 재조장에 수록된 모든 경전과 그 권수를 조사하여 하나의 표 속에 경명과 해당 경전의 권수를 입력하였다. 다음으로 전산처리를 통하여 독립된 경전의 종수와 권수 그리고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경전을 포함한 재조장 경전의 종수와 권수를 산출해 내었다. 그 결과 재조장에 수록된 경전은 1496[1530]종(‘1496종’은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여러 경전을 1종으로 간주해서 산정된 것이고, 각괄호([ ]) 안의 ‘1530종’은 한 권으로 合卷되어 있는 여러 경전을 각각 개별 경전 1종으로 간주해서 산정된 것임), 6555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본 조경식물 재배(종수법(種樹法))와 가꾸기(양화법(養花法))

        신상섭,Shin, Sang Sup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3

        우리나라 최초의 농업과학기술 종합교본으로 평가되고 있는 홍만선(洪萬選 : 1643~1715년)의 편저, '산림경제'를 대상으로 추적한 조경 식물 관련 재배(종수(種樹))와 가꾸기(양화(養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은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즐기는 것이고, '산림경제'는 의향에 따라 꽃과 나무를 심고 새와 물고기를 기르는 것인데, 10년 계획으로 알맞은 나무를 심으면 봄에는 꽃을 볼 수 있고 여름에는 그늘을 즐길 수 있으며, 가을에는 열매를 먹을 수 있고 자산을 늘리는 방법임을 역설하고 있다. 특히, 꽃과 나무를 가꾸고 재배하기 위해서는 생태적인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 등장하는 식물의 출현 종은 초기에 비해 중기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한데, '산림경제'에서 그 증가 경향을 추적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술된 52종의 성상은 교목 31종, 관목 8종, 기타 3종, 초본 10종으로 분석되어 교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28종에 이르는 유실수 등 이용후생의 경향이 표출된다. 셋째, 식목 길일은 음력으로 정월이 가장 좋고(상시(上時)) 2월이 차선이며 3월이 가장 나쁜 시기(하시(下時))임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식에는 숙토를 많이 붙여 분 뜨기 하고, 남쪽 가지를 원래 방향에 맞춰 심으며, 묻혔던 높이만큼 복토하여 버팀목을 세워야 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1치 정도 깊이로 씨를 심으면 새순이 잘 나고, 꺾꽂이는 3월 상순에 손가락 굵기 만한 것을 골라 5치 길이로 심는 것이 좋다 하였다. 접붙이기는 싹이 틀 때가 좋고, 과일나무를 접붙일 때 남쪽으로 뻗은 가지를 쓰면 열매가 많이 달리며, 정월에 곁가지들을 전정하면 힘이 갈리지 않고 열매가 탐스러우며 굵어진다 하였다. 특히, 식재 적기를 음력 정월로 기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오늘날 식재 적기 판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넷째, 꽃나무 가꾸기와 관련하여 분재는 정월이나 2월 거름흙을 주고 옮겨 심거나 씨를 뿌리는데, 꽃망울이 맺히면 거름 물을 주어 3~4월에 분을 올리는 것을 권장하였다. 말똥을 물에 섞어 꽃나무에 주면 일찍 꽃이 피고, 붉은 꽃을 희게 하려면 유황 연기를 이용하며, 화분은 반음지에 벽돌로 괴어 주는 것이 좋고, 석류 치자 동백 사계화 등은 꽃이 진 뒤 흙에 묻어주는 것이 좋다하였다. 꽃나무는 담 밑에 심으면 가지가 집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자주 돌려놓아야 하고, 햇볕이 잘 드는 움 속에 씨앗을 갈무리하는데 출입구 겸 환기구를 남쪽으로 내서 화분 관리에 편하도록 해야 한다 하였다. 다섯째, 정월 초하룻날 닭이 울 때 횃불로 과수나무를 그을리면 잠복중인 벌레를 살충할 수 있고, 청명일 새벽에 볏짚을 매달아두면 모충(毛蟲)이 잠복소에 유인되며, 과수에 발생한 벌레는 유황가루로 구멍을 막아 질식시키거나 유황불로 훈연하는 방제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토양조건과 관련하여 비옥토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있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sults of study on planting and cultivate of Hong Man-Seon(1643~1715)'s 'Salimkyungjae(The Economy of Forest)' the first summative textbook of agricultural skill of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Salimkyungjae' suggests that one can enrich oneself, eat fruits in fall, enjoy the shade of trees in summer, and enjoy flowers in spring if one plants tree with 10 year plan with knowledge of ecology. Second, the number of plants had increased continuously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to the mid Chosun Dynasty. The 52 plants in the book are classified into 31 trees, 8 shrubs, 3 others, and 10 herbs, and 28 of them are fruit trees. Hence, we can see that the book is for the promotion of welfare. Third, planting(transplantation) is the best on January of the lunar calendar, and the second on February, and fertile soil should be added much. Trees must be planted as deep as once it was planted, and buttressed. It will sprout well if it is planted at the depth of one inch, and planting a cutting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early March with 5 inch and finger-thick branches. Grafting is the best when it begins to sprout. Fruit trees will bear many fruits if they are grafted at the direction of South, and fruits will be greater if the trees' branches are cutting off on January. Especially, January was selected for the best season of planting traditionally. Fourth, flower trees are planted or sowed with manure around January and February of the lunar calendar, and it is recommended to replant them into flowerpots with manure when having flower buds around March and April of the lunar calendar. It would bloom earlier when using water mixed with stable manure, and sulfur smoke can be used in order to change the flower color from red to white. Flowerpots would be placed at half shaded lot with being supported by bricks. Pomegranate, gardenia, camellia and four-season flower should be planted after flowers fallen. When flower trees are beside walls, they need to be rotated frequently since their branches all point toward house. Seeds need to be preserved in a sunny hut, where its entrance and ventilating openings would be at south because it is convenient to manage pots. Fifth, insects hidden at fruit trees would be destroyed by torch smoke when roosters cry on New year's day of the lunar calendar. Insects would be decoyed into straw hanged at dawn of Cheongmyeongday(淸明日). Insects on fruit trees would be controlled using sulfur powder to close up holes or sulfur smoke to fumigate. Particularly, it suggests that utilization of fertile soil would be the best solution for growing health plants and preventing pest.

      • 산림성 파리의 종수와 종다양도 분포변화 예측

        이철민,권태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인구의 급격한 증가, 화석연료 사용 및 숲의 파괴와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인하여 지난 100년 동안 전지구적으로 0.75℃상승하였고, 우리나라의 기온은 약 1.5℃증가하였다. 이런 기온변화는 육상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파리는 육상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곤충 중의 하나이며, 생태계에서 부식자, 식식자, 수분매개자, 상위포식자의 먹이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기후변화 연구에서 파리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해충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국가적인 수준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파리의 분포변화를 예측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기후변화로 예상되는 산림성 파리의 분포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 위도 0.5도와 경도 0.5도의 격자 안에 8개의 조사지를 임의로 배치하고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295개 조사지의 결과를 기초로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종수와 풍부도(10 트랩당 밀도)의 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현재 분포에서 종수는 강원도 산간지방, 경상북도 북부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50년 후에는 크게 감소하고 강원도 산간지방에서만 종수를 유지하였다. 풍부도는 해안가와 내륙지방에서 급감했으며 주로 강원도 산간지방에서 비교적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낙엽송림에서 간벌이 나무좀 군집에 미치는 영향

        이차영,남영우,최원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강원도 인제군 낙엽송 임지에서 2010년, 2012년 봄, 2012년 가을 간벌지와 최근 5년 이상 간벌하지 않은 비간벌지에서 나무좀 군집을 다중깔때기트랩과 Ips속 나무좀류 유인제인 Ipsenol, Ipsedienol을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1~2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3아과(긴나무좀아과, 나무좀아과, 소나무좀아과) 53종 46,317개체가 채집되 었다. 간벌 이력이 1년 미만, 1년, 2년, 3년, 4년 된 사이트와 비간벌지에서 연간 트랩 당 채집된 평균 개체수는 각각 4,003개체, 1,159개체, 814개체, 97개체, 146개체, 그리고 256개체였다. 종수추정곡선(rarefaction curve)으로 간벌 이력에 따라 추정된 종수를 비교한 결과, 간벌 이력이 1년 미만, 1년, 2년인 간벌지의 종수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3년, 4년 된 간벌지와 비간벌지 사이트가 유사한 종수를 보였다. 나무좀류를 phloem과 xylem을 섭식하는 종으로 분류하였을 때, phloem을 섭식하는 나무좀류가 간벌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 5 : 구룡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박인협,서영권 한국환경생태학회 200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5 No.4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한 산림군집구조 조사시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혼효율이 비교적 높은 구룡산 상금정계곡 활엽수혼효림군집의 교목층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각각 10m×10m, 5m×5m 크기의 조사구를 15개씩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의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0개 이상이었다. 교목층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해지며, 조사구수 8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이었다 교목충의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7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교목층 전체 조사구수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이상,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관목층의 경우, 종수-면적 곡선에 의한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2개 이상이었다. 관목충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조사구수 13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으로 유지되었다. 관목층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6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in Guryongsan area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adequate number of plots of tree and shrub strata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Fifteen 10m×10m plots were set up in the tree stratum and fifteen 5m×5m plots were set up in the shrub stratum. Species-area curves and performance curves were made from vegetation analysis of the plots In tree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 number of species was five.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ts h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ten.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dominant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the subdominant species was four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eight. In tree stratum, the difference of species diversity(H') between seven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was less than 0.05 Similarity index was more than 80% between ay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and more than 90% between nin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 number of species was five .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twelve. In shrub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dominant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the subdominant species was four.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thirteen. In shrub stratum, the difference of species diversity(H') between six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was less than 0.05. Similarity index was more than 80% between fiv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and more than 90% between nin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 KCI등재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V) - 구룡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

        박인협,서영권 한국환경생태학회 200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5 No.4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한 산림군집구조 조사시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혼효율이 비교적 높은 구룡산 상금정계곡 활엽수혼효림군집의 교목층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각각 10m$\times$10m, 5m$\times$5m 크기의 조사구를 15개씩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의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0개 이상이었다. 교목층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해지며, 조사구수 8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이었다 교목충의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7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교목층 전체 조사구수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이상,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관목층의 경우, 종수-면적 곡선에 의한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2개 이상이었다. 관목충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조사구수 13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으로 유지되었다. 관목층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6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관목층 전체 조사구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우점종과 준우점종이 구분되는 일반적인 수준의 적정 조사구수는 교목층과 관목층 모두 대체로 5개, 준우점종 내에서의 순위까지 구분되는 보다 정화겅을 요구하는 수준의 적정 조사구수는 교목층 10개, 관목층 13개 정도이었다.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in Guryongsan area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adequate number of plots of tree and shrub strata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Fifteen 10m$\times$10m plots were set up in the tree stratum and fifteen 5m$\times$5m plots were set up in the shrub stratum. Species-area curves and performance curves were made from vegetation analysis of the plots. In tree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 number of species was five.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ts h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ten.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dominant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the subdominant species was four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eight. In tree stratum, the difference of species diversity(H') between seven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was less than 0.05 Similarity index was more than 80% between ay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and more than 90% between nin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 number of species was five .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twelve. In shrub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dominant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the subdominant species was four.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thirteen. In shrub stratum, the difference of species diversity(H') between six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was less than 0.05. Similarity index was more than 80% between fiv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and more than 90% between nin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adequate number of 10m$\times$10m plots for the tree stratnm was about 5 in general acse and 10 in case of requiring more accuracy, and that the adequate number of 5m$\times$5m plots for ahrub stratum was about 5 in general case and 13 in case of requiring more accuracy.

      • KCI등재

        조선전기 선종계 고승과 보조선

        황인규(Hwang In gyu)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4 No.-

        본 논문은 보조국사 자눌의 선풍이 조선전기 선종계 고승을 중심으로 불교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무신집권기초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수제자 진각국사 혜심이후 13국사가 배출되어 지눌의 선풍인 보조선이 계승되었다. 조선초 나옹의 상수제자이자 무학자초의 동문인 고봉법장은 송광사를 중창하면서 지눌과 나옹의 선풍을 선양하였으며, 무학의 상수제자 함허기화는 『현정론』을 지어 정도전의 억불논리에 대응하였는데 정도전의 불씨잡변 가운데 지눌 관련 기록을 인용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지눌의 선풍이 조선초 선종계를 대표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조선초 숭유억불에 대응하는 논리에는 지눌의 선풍이 나름대로 그 역할을 한 것이 아닌가 한다. 함허의 손제자인 듯한 혜각존자 신미도 지눌의 『수심결』을 언해하는 등 지눌의 선풍의 영향을 받았다. 함허의 문손 홍준, 신미의 아우 김수온에게서 지눌의 선풍을 엿 볼 수 있다. 설잠 김시습도 華嚴禪을 주창하는 등 지눌의 선을 계승하였던 모습을 엿 볼수 있으며, 그와 교유한 순교승 雪峻도 송광사에서 머무는 등 지눌 선의 유풍을 엿 볼 수 있다. 한편 청허휴정과 그의 문도들에 의해 확립된 조계종 법통상의 고승인 태고보우의 제자 상총은 송광사의 ‘普照의 遺制’를 강조한 바 있으며, 벽계정심과 그의 제자 벽송지엄도 강원의 이력과정에 지눌의 저서를 포함시켰다. 지엄의 문도인 부용영관과 경성일선도 지눌의 선풍이라고 할 선교융합적 요소를 강조하였다. 또한 퇴계 이황의 문집에 의하면 소백산 일대에서 활동한 승려 宗粹의 경우, 지금은 전하고 있지 않은 『목우자시집』을 가지고 공부하였다고 하여 조선 전기 불교계에 보조선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make clear the influence of Bojo Chinul(知訥)’s Seon Thought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Dynasty, through Buddhist master’s Seon thought. Bojo-seon(普照禪) continued the main streams with Successor of Naong(懶翁) and Taego(太古)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had effected the different kind buddhist sections and masters. They were Gobong(高峰), Sangchong(尙聰), Geehwa(己和), Sinmee(信眉), Jium(智嚴), Myogak(妙覺), Seoljoon(雪峻), Yeongkwan(靈觀), and Kinsiseub(金時習), Jongsoo(宗粹) etc. They leaded to the Budddhism in Successors of Naong and Taego with their Dharma lineage between the present & the middle Chosun dynasty. And so Bojo-Chinul, Bojo-Zen, the Zen thought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