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세계종교 수업을 위한 제언: 전통과 이론의 구분을 넘어선 세계종교 교육

        방원일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The classroom of World Religion is a special place serving a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ocial demands for the religious studies are communicated. The harmonization of the academic ideals with the realistic demands within the lecture can be an important attempt to test the social role of the religious studies. New suggestions are required to dissolve the gaps between the ideals of religious studies and the reality of the lecture room, rather than sticking on the conventional teaching styles; limited time frames, within pre-programmed lectures, and the various levels of students. In the past, the World Religion classes are given under the assumptions and even the prejudices of the separ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theory. This idea of separation could not be avoided that World Religion is a kind of class of conveying the 'clear facts' about the religious traditions. However, recent religious studies criticizes that the past classes have been merely functioned as transferring of the knowledge system and now required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World Religion. Alternatively, World Religion classes of today encourage the students to virtually recognize the 'facts' of religion as the 'discourses' of religion,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ability of criticizing it in every regards. This effort is to establish a new identity as the study of religion and the realistic demands for the religious studies. The members of this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have so far confusedly experienced of teaching the World Religion classes in Korean context. Based on this conflicting experiences, they published a book which succinctly showed the problems of the reality and ideal of the study of religion in the Korean classroom. Some limitations and defaults of the book should be pointed, but it contains clues approached to the problematics that can be linked to the critique of the World Religion paradigm, of which the students of religion of today are now discussing. The progress of the World Religions class can be anticipated if we put together the problematics and the clues in it and produce a new text focused on the raised questions. 세계종교 강의는 종교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전달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특별한 수업이다. 강의 내에서 학문적 이상과 현실적인 요구를 조화하는 것은 종교학의 사회적 역할을 시험하는 중요한 무대를 실험하는 의미를 지닌다. 한정된 시간, 강의라는 형식, 다양하고 많은 수강생을 이유로 기존의 수업 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종교학의 정체성을 녹여낼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요청된다. 기존의 세계종교 수업에는 종교학 내의 전통과 이론의 잘못된 구분이 전제되어 있었다. 세계종교가 종교전통에 대한 ‘명확한 사실’들을 전달하는 수업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종교학계에서는 기존의 수업이 지식체계 전달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비판하고 새로운 세계종교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안적인 세계종교수업은 종교에 대한 ‘사실’들이 사실은 ‘담론’임을 인지하고 이를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부여하는 것을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노력은 종교학이 당면한 현실적인 요청에 부응하면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종교문화연구소는 한국의 강의실에서 세계종교 강의를 진행했던 이들을 구성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이 저자가 되어 한국 강의실에서 느낀 문제와 나름의 답변을담은 교재를 발간하였다. 현재 시점에서는 그 책이 가진 현실적인 한계들을 지적할 수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책이 지금 종교학계가 논의하는 세계종교 패러다임 비판과 연결될 수 있는 문제의식의 실마리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시점에서 그 실마리들에 대한 학문적 진전을 모아 물음 중심의 새로운 교재를 기획한다면, 세계종교 수업의한 단계 진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종교사적 시각에서 본 신의 “자기묘사”로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이해

        최태관 ( Tae Kwan Choi ) 한국해석학회 2014 해석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신의 자기묘사의 관점에서 교회공동체가 지닌 종교적 실정성의 표현으로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을 살펴본다. 신의 자기묘사는 인간과 세계와 관계하는 신이 그의 종교사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경륜적 행위를 의미하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은 신의 경륜적 행위가 드러나는 종교적 장소이다. 그 감정은 역사적 예수의 직관에서 근원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예수가 선포한 구원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확장된다. 그 때 슐라이어마허는 우리존재의 현실성을 성서적 텍스트와 역사적이고 교의학적인 텍스트의 상호관계에서 형성된 ‘경건성’으로 이해한다. 경건성이란 우리의 현존재의식에 드러난 공동체적 종교성의 실증적 표현이 된다. 한편으로, 절대의존의 감정은 우리가 나사렛 예수의 직관을 역사적 사건으로 설명하고, 그의 우주에 대한 직관을 우리의 실존적 삶에서 재현하고, 교의학적 진술과의 관계에서 기독교적 삶의 실정성을 표현하는 우리존재의 사건이다. 그 종교의 실정성은 상호인정과 소통을 통해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종교적 신앙은 더 이상 개인적인 종교경험에 배타적으로 스스로를 가두는 신비체험이나 종교적 배타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이 묘사하는 현실성과 관계하면서 이해의 지평을 넓혀가고, 다른 종교적 개인과의 상호관계에서 종교적 실정성을 확보하는 해석학적 공동체의 형성에 있다. 또한 슐라이어마허가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말하는 교회를 우리는 더 이상 제도권적 교회의 제한적 의미에서 이해할 수 없고, 다양한 교제공동체의 도래가능성을 함축한다. 슐라이어마허의 의미 공동체로서 공동체성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이 지향해야하는 의미가능성이다. 더 나아가 그의 공동체성은 다양한 종교적 전통에서 다차원적인 종교적 정체성과 공동체성으로서 우리존재에 대한 인식의 근본토대가 된다. 이제 종교간 해석학적 만남은 신의 자기묘사가 드러나는 지평확장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모든 종교인이 그 만남을 종교적 교제의 장으로 인지할 수 있는 대화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신의 자기묘사는 다양한 문화구조에서 그의 종교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이해는 신의 부재적 상황에서 인간실존의 근원으로서 신의 현존사건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있다. 또한 그 이해는 전통형이상학이 은폐해왔던 관계 안의 존재로서 신이 세계 안에서 자신의 현실성을 드러냄을 강조하는 데에 있다. Dieser Aufsatz beschreibt das Problem der Selbstdarstellung Gottes bei Schleiermacher, wobei sich unser Sein als das fromme Selbstbewusstsein und die Kirche als die Gemeinschaft der Frommigkeit zum Ausdruck bringt. Als sich Gott als Sein-in-Beziehung darstellt, erweitert Schleiermacher das Selbstbewusstsein des Unendlichen bis zum gemeinschaftlichen Selbstbewusstsein. Dabei versteht er die Wirklichkeit unseres Seins im Verhaltnis zwischen den biblischen Texten und den historischen und dogmatischen Texten als die Frommigkeit. Unser Sein versteht sich als die soziale und religiose Kraft, wobei sich Gott in Religionsgeschichte und in Gegenwart als "Sein in Beziehung" darstellt. Schleiermacher erkennt in der Anschauung Jesu von Nazareth die unsprugliche Selbstdarstellung Gottes als die Positivitat des Christentums und verwirklicht diese Positivitat als die Frommigkeit im Bewusstsein unseres Daseins. Das schlechthinige Abhangigkeitsgefuhl bedeutet ein Ort der Selbstdarstellung Gottes und der Kommunikation mit dem Menschen in Gegenwart. Auf der einen Seite ist das Abhangigkeitsgefuhl ein Ereignis unseres Seins, das wir die Anschauung Jesu von Nazareth als geschichtliches Ereignis erklart und reprasentiert und im Zusammenhang mit den dogmatischen Aussagen die Positivitat des christlichen Lebens bildet. Die Positivitat der Religion last sich durch die mutuale Anerkennung und Kommunikation verwirklichen. Aus diesem Grund besteht der religiose Glaube nicht mehr in der mystischen Erlebnis, womit sich ein Individuum exklusiv bedeckt, sondern auch in der Bildung der offenen hemeneutischen Gemeinschaft, wobei man sich auf die Selbststdarstellung Gottes bezieht und den Horizont des Verstandnis erweitert. Denn ein religioser Mensch druckt im Zusammenhang mit einem anderen Individuum die Positivitat der Religion aus. Auf der anderen Seite ist das Abhangigkeitsgefuhl ein Ereignis der Sein-in-Kommunikation, wobei man an der Abwesenheit der Positivitat der Religion kritisiert und sich auf die Erneuerung der Kirche richtet. Dabei handelt es sich um die Erkenntnis der Positivitat der Religion, wobei ein Mensch nicht mehr Uberlegenheit der eigenen Religion an den anderen Religionen in Anspruch nimmt, sondern die konkrete Gemeinschaft mit den anderen Religionen bildet. Zum Schluss ergibt es sich, dass Schleiermacher durch das Abhangigkeitsgefuhl die Anwesenheit Gottes als seine Selbstdarstellung zeigt und Sein-in Beziehung als die Wirklichkeit Gottes in der Welt betont. Sein Abhangigkeitsgefuhl ist ein historischer und religioser Grund, weshalb wir uns mit der hermeneutischen Begegnung zwischen den Religionen beschaftigen und die Selbstdarstellung Gottes in einer Kultur als ein Ereignis des Seins-in Kommunikation, d. h. unser Sein versteht.

      • KCI등재후보

        종교교사의 양성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김철주,고병철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원적 종교 상황이라는 점과 종립학교에서 종교교사들이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각 대학교의 종교교사 양성과정을 검토하고, 현직 종교교사의 자격연수 및 개별 종단의 종교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선, 종교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검토는 교육부 지침과 비교하면서 양성과정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현직 종교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은 종교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새로운 진행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 종교교사 양성과정과 연계된 작업이다.이를 위해 본고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종교교사의 양성과정(Ⅱ장)과 종교교사의 연수 프로그램(Ⅲ장)을 검토하면서, 종교교육론의 대두에 따라 종교교사론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Ⅳ장). 본 연구는 미개척 분야를 개발한다는 의미 이외에도 현행 종교교사의 양성과정과 연수 프로그램을 진단한다는 의미, 그리고 종교교사 지망생 및 현직 종교교사에 대한 새로운 교육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교원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종교교사의 기독교적 종교수업설계를 위한 연구 - Harro Van Brummelen을 중심으로

        유선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5 No.-

        본 논문은 학교 종교교사의 수업설계 및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기독 교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Harro Van Brummelen의 교 육과정개발 및 수업설계 이론과 실제를 고찰하여 종교교사의 종교수업 설계를 위한 원리와 실제를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 러한 연구목적으로 본 연구는 Brummelen의 수업설계 이론과 실제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그의 이론과 실제를 평가하였다. 즉 본 연구는 Brummelen의 교사관, 세계관 및 가치관, 지식관 및 인간관 등‘교육과 정의 기초가 되는 영역들’을 고찰하고, 그 다음‘수업단원 기획의 절차 와 수업구조’를 살펴본 후, 그의 이론과 실제를 종교수업에 적용가능 한지‘평가’하였다. Brummelen의 통찰과 비평적 평가를 통해 종교교 사의 기독교적 종교수업을 위한 제언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 종교교사의 수업역량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진 다 음의 다섯 가지 질문을 토대로 탐구하였다. 한국의 공교육의 상황 속에 서 종교과목 교사가 수업 기획 및 진행할 때, 첫째, 교사자신의 기독교 적 신앙과 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가? 둘째, 어떤 교육주제나 교육내용을 선택해야 하는가? 셋째, 수업에서 기독교성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나? 넷째, 수업계획서(혹은 학습지도안)를 작성할 때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 는가? 다섯째, 수업구조 및 수업단계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theory and practice of a lesson design by Haro Van Brummelen, and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the design of religious lessons for religious teachers.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areas underlying the curriculum, such as the teacher views, world views, values, knowledge views, and human views by Harro Van Brummelen. After looking at his theories on the lesson design procedures and lesson structures, this study assess whether his theories and practices are applicable to religious lessons. Through Harro Van Brummelen’s insights and critical assessment, I suggested a religious teacher’s Christian religious lesson. Based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a lesson by Harro Van Brummelen, this study explore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religious education situation of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first, can religious teachers reflect their Christian faith and value? Second, what kind of educational theme or content should they choose? Third, how can they realize Christian trait in classroom? Fourth, what procedures should be taken when preparing a lesson plan? Fifth, How do they organize their classes and learning stages?

      • KCI등재

        종교간 교육의 초기 연구들에 대한 탐구: 케이건, 보이즈와 리, 그리고 반더벤과 지베르츠

        이정철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3 No.-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early studies on “interreligious educatio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religious education that are evident in these studies.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ree sets of research: Kagan (1952), Boys and Lee (1996; 2006), and Van der Ven (1994) and Ziebertz (1993; 2007). Kagan’s study compared the educational effects on Christian teenagers when a Jewish rabbi conducted the education himself in the 1950s. Kagan reported that significant attitude change occurred when participa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honest feelings and thoughts in dialogue. Boys and Lee conducted a long-term education program with 11 Jewish educators and 11 Catholic educators. They reported how relationship building and learning togeth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epening understanding and changing thoughts. Van der Ven and Ziebertz categorized the monoreligious model, the multireligious model, and the interreligious model and theorized that the interreligious model could bring change and be necessary in modern society. [Conclusions]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all of these early studies demonstrated that interreligious education is ‘education for transformation.’ It is also about encountering lived religion that is embodied in each participant. Transformation happens when perspective exchange and critical self-reflection take place among them.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간 교육(interreligious education)’의 초기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들 연구에서 나타난 종교간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내용]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agan(1952), Boys & Lee(1996; 2006), 그리고 Van der Ven(1994)과 Ziebertz(1993; 2007)의 연구를 살펴본다. Kagan의 연구는 1950년대 기독교 청소년에게 유대인 랍비인 본인이 직접 실시한 교육 효과를 비교한 실증연구이다. 그는 각 종교의공통점보다 차이점이 강조되고, 참여자의 솔직한 감정과 생각이 대화적으로 드러날 수 있을때 유의미한 태도의 변화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Boys와 Lee는 유대인 교육자 11명과 가톨릭교육자 11명과 함께 2년 8개월에 걸친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질적연구를 통해 ‘관계형성’과 ‘함께배움’이 서로에 대한 생각 변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고하며, 종교간교육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증폭시켰다. Ziebertz와 Van der Ven은 단일종교 모델, 다종교 모델, 종교간 모델을 구분하여 이론화하였다. 특히, ‘관점교환’과 ‘자기성찰’이 있는 다종교 모델에 근거한 종교간 교육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따라서 현대 사회에 필요한 모델임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기 연구들에서 나타난 종교간 교육의 특징은 첫째, 이것이 근본적으로 ‘변화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transformation)’이라는 점이다. 둘째, 종교간 교육은 대표자 간의 대화나 상대 종교에 대한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참여자 개인들의 삶과 이야기에서 구현되는 살아있는 종교(lived religion) 간의 만남과 상호배움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셋째, 참여자들의 변화는 그들 사이의 관점교환과 자기성찰을 통해 가능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종교 교과 교육『삶과 종교』에 대한 고찰

        김경이 한국종교교육학회 2023 宗敎敎育學硏究 Vol.73 No.-

        [Objective]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key aspects of the new ‘Religion in Human Life’ curriculum, which is a religious subject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in order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religious education researchers. [Contents] 1)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esig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ocedure of the ‘Religion in Human Life’ curriculum. 2) The key focus areas and content of ‘Religion in Human Life’. [Conclusions] ‘Religion in Human Life’ is to educate wise citizens through cultivating religious literacy as a liberal arts subject for career choice. The curriculum was designed to select and organize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learners’ lives, maximize the feasibility of implement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realize the subjectivity and autonomy of curriculum operatio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reduced to enable learning in depth.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so that more students can choose and open religious subjects, which are passively practiced in private schools and left as null courses in public schools, within the system of revised curriculu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is related to issues such as textbook accreditation and the educating for teachers who will be in charge of religious subjects in public schools. [연구 목적]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종교 교과인「삶과 종교」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개정의 주요 사항에 대해 고찰하여「삶과 종교」를 실행할 교사와 종교교육 연구자들이 삶과 종교 교과의 목표와 내용 구성 및 교육과정 실천의 방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2022 개정 교육과정 방향과 설계의 강조점과「삶과 종교」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절차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삶과 종교」역점 사항과 주요 내용을 고찰한다. [결론] 「삶과 종교」는 진로 선택 교양 교과로서 종교 문해력 함양을 통해 지혜로운 시민을 교육하는 데 목표를 두는 교과이다. 학습자의 삶과 관련한 교육 내용 선정과 조직, 학교 교육 과정에서의 실행 가능성 최대화,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교과가 설계되었으며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교육 내용과 성취 기준이 축소되었다. 그동안 종립학교조차 소극적으로 실행하고, 공립학교에서는 영교육과정으로 남겨진 종교 교과가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라는 제도 안에서 더욱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고 개설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는 궁극적으로 교과서 인정 문제와 공립학교에서 종교 교과를 담당하게 될 교사 연수와 연결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종교성과 생태인식 간의 관계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인 종교성 논의와 유형화를 중심으로

        이명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3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현상들이 전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기후위기는 일상의 위험이 되었고, 우리의 삶에 직접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후재난 경험으로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기후행동의 시급성에 대한 인식의 수준은 높아졌고, 현재의 기후위기를 야기한 생활양식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많은 사람이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생활양식을포기함에 따라 발생하는 불편함과 희생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사람들 은적다. 나 자신만 현재의 생활방식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 부족으로 아직도 대다수 사람은 기후위기와 깊이 연관된 지금의 삶의 방식을 포기하지 않는다. 삶의 양식 및 이와 연관된 세계관은 많은 부분 종교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베버의 ‘전철수의 비유’ 를 생각하면 새로운 삶의 양식을 선택하도록 우리를 추동할 수 있는 것은 종교이다. 본 연구가 한국사회의 일반 신도(및 신자)들의 종교성과 생태인식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종교성과 생태인식의 관계를 탐구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사람들을 기후행동과 생태적 전환 운동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론과 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만 19세 이상 불교, 개신교, 천주교 교인 4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한국인의 종교성, 넓게는 동아시아 종교성이 서구의 종교성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고. 한국인의 종교성을 네 가지, 경건한 종교성, 문화적 종교성, 의례적종교성, 세속적 종교성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후 종교성과 생태인식(생태 적 세계관과 생태적 실천, 생태적 책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종교성 유형에 따라 생태인식에는 일정한 격차가 발생하며, 생태인식은 경건한 종교성 > 의례적 종교성 > 세속적 종교성 > 문화적 종교성 순으로 강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 기초하여 이후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코로나19 경험도 포함한 2차 심층분석도 진행하여, 생태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관계 및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할 것이다. 2차 분석에서는 분석대상을 불교신도로 제한하여 사람들을 기후행동과 생태적 전환 운동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론과 구체적인 대안을 더욱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Extreme weather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The climate crisis has become a crisis in daily life and directly affects our lives. However, despite the direct impact on people’s lives, most individuals are still unwilling to give up their current lifestyles, which are deeply linked to the climate crisis. A way of life and its linked worldview is, a large part, deeply connected to religious teaching. This is why this paper focuses on religiosity and ecological awareness among Korean religious people.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ecological awareness, and based on the findings, we expect to able to propose methodologies and ways to engage people in climate action and the movement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line among 450 Buddhists, Protestants, and Catholics aged 19 and older. This study has attention to the differentiation between Western religiosity and Korean religiosity. We categorized Korean religiosity into four types: Ritualistic Religiosity, Devotional Religiosity, Cultural Religiosity, and Secular Religiosity. The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ecological awareness (ecological worldview, ecological practice, ecologic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is a particular gap in ecological awareness based on the type of religiosity, and we found that ecological awareness is stronger in order of Devotional Religiosity, Ritualistic Religiosity, Cultural Religiosity, and Secular Religiosity. Furthermore, based on this study, we will conduct in-depth research that includes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VID-19 experienc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effect size of factors affecting ecological awareness.

      • KCI등재

        세대간 종교성 전승

        한내창(Han Nae Chang)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종교성 형성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확인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즉, 가족(여기서는 어머니)의 종교성과 가정의 종교적 환경 요인들이 중고등학교 청소년 자녀들의 종교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 연구들에 기초하여 어머니의 행동과 태도 면에서 종교성이 높고, 강한 종교적 정체감을 가지고 자녀들에 대한 종교사회화 의지가 강할수록, 그리고 가족의 종교적 분위기가 강할수록 자녀들은 종교적 활동에 적극적이고 다양한 종교성 태도 척도들에서 높은 점수를 보일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의 한 중소도시에서 5개 남녀 중고등학교 학생과 그들 어머니 3,18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대체로 기존 가설들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즉, ⑴ 어머니의 종교성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들은 종교적일 확률이 높다. 다시 말해 어머니가 종교적으로 행동과 태도 모두에서 열성적이고 적극적일수록 자녀들도 그러할 확률이 높았다. ⑵ 어머니가 신앙의 정체성이 강하고 자녀의 종교 사회화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 자녀들의 종교성은 높은 편이었다. ⑶ 가족의 종교환경적 요인들도 청소년들의 종교성에 대체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종교가 일치하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녀들의 종교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⑷ 가족의 화목도는 자녀들의 종교성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⑸ 학년을 올라갈수록 청소년들의 종교성 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개신교 표본은 예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논의한 기존 이론 및 경험적 결과들과 대체로 일치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자녀들의 종교성은 가족(어머니)의 종교성과 가족의 종교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들이 간략하게 언급되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empirically test the effects of family on high school adolescents’ religiosity formation. Based on existing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igher mothers’ religiosity in attitudinal and behavioral aspects is, the stronger mothers’ religious identity and intention for children's religious socialization are, the stronger family religious atmosphere is, the more positive and higher the religiosity of their adolescents’ children is. To test the hypotheses, a data set was used which was collected for 3,188 students (boys and girls) and their mothers in five high schools located in a middle-sized city of southern part of our country. Overall, findings supported the hypothetical arguments. ⑴ Mother’s religious commitment and behavior leads to a high level of religiosity in their adolescent children. ⑵ Mothers’ strong religious identity and intention for children’s religious socialization result in a high level of children’s religiosity. ⑶ Family’s religious atmosphere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formation of adolescents religiosity. Specifically, in case that mother and father have the same religious affiliation, adolescent religiosity was higher compared with the students with religiously different beliefs between parents. ⑷ Family’s degree of happiness also has a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religiosity. ⑸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 is, the less the level of religiosity is, except for Protestant samples. These finding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arguments and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en we come to conclude that the adolescent children's religiosity was effected by family member’s religiosity and family's religious environment.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ndicated.

      • 종교개혁 시대의 신앙난민

        박상봉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3 신학정론 Vol.41 No.2

        종교개혁 시대에 바른 신앙을 추구한 것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고난의 삶을 살았다. 이 글은 로마가톨릭교회의 종교적 박해 때문에 삶의 터전을 버리고, 낯선 땅에서 이방인으로 살아냈던 신앙난민들의 삶을 조명한 것이다. 종교개혁이 공론화되면서 종교적 박해는 로마가톨릭교회의 반종교개혁에 대한 정책과 개신교를 인정하지 않은 위정자들에 의해 발생했다. 특별히,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종교적 박해가 일어났을 때 많은 사람들이 살해당하고, 감옥에 갔으며, 삶의 터전을 버리고 다른 나라에서 살아야만 했다. 종교개혁 당시 신앙난민들이 가장 선호했던 지역 중 한 곳이었던 깔뱅의 활동 당시의 ‘제네바’(Genève)였다. 종교개혁 시대에 종교적 박해를 통하여 발생한 신앙난민의 역사는 오늘을 살아가는 신자들 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 KCI등재

        종교학과 문화비평의 관계에 대한 성찰과 전망

        김윤성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9 종교문화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ouse a new concern for the role of religious studies as a culture critique project. Although the role of religious studies as culture critique once attracted great attention for a new way out, there have been few elaborate discussions on the theories and methods for the culture critique of religious studies. This thesis is an attempt for such a meta discussion. For this, first, I analyse the works of Chung Chinhong and Jang Sukman. In Korea, Chung invented the terminology of ‘Jonggyo munhwa (religious culture)’ and Jang proposed the necessity of culture critique for religious studies. I compare Chung and Jang to find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Next, I analyse the works of Jang Sukman, Park Gyutae and Shin Kwangcheol, all of whom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religious studies and culture critique in three different point of views. Lastly, I analyse how Chung Chinhong lies in the crossroads of the discussions of Jang, Park, and Shin. Through this, I suggest a new vision for the culture critique project of religious studies. 이 글의 목적은 종교학의 문화비평 기획에 대한 시들해진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키려는 데 있다. 종교학의 문화비평 기획은 한때 종교학의 새로운 활로로 많은 관심을 끌었지만, 치밀한 논의의 결여와 구체적 작업의 부족으로 역할 선언과 파편적 개별 연구를 넘어 종교학적 문화비평의 이론과 방법에 대한 메타적 성찰이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메타적 논의를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에서 ‘종교문화’라는 용어를 창안함으로써 종교학적 문화비평의 가능성을 연 정진홍의 작업과 문화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종교학적 문화비평을 본격화한 장석만의 작업이 어떻게 서로 상통하면서도 다른지를 분석한다. 이어서, 종교학과 문화비평의 관계에 대한 나름의 분석을 개진했던 장석만, 박규태, 신광철의 논의가 보여주는 승계와 분화의 양상을 분석한다. 끝으로, 이 세 사람의 교차점에 정진홍이라는 준거점이 놓여 있는 양상을 분석하고 종교학적 문화비평이 넘어서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종교학적 문화비평 기획의 새로운 전망을 위한 토대를 다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