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정치와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일고찰: 시진핑의 '종교의 중국화' 정책을 중심으로

        정태식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1

        본 연구는 시진핑 집권 이후 펼쳐진 '종교의 중국화' 정책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의 중국화'는 개혁 개방 이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룬 중국 사회에서 시진핑 총서기와 중국공산당이 지닌 위기의식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인민의 신장된 인권 의식과 민주화와 자유화 요구, 고위 관료와 당직자의 부정부패 등으로 중국공산당의 위상은 실추되기도 하였다. 이어진 이념적 공백과 새로운 의미체계로서의 신종교와 외래 종교의 급성장은 시진핑과 중국공산당으로 하여금 이념적 우위 확보의 필요를 절감하게 하였다. 이러한 위기 극복의 일환으로 시진핑은 모든 종교의 신앙체계와 실천이 중국적 성격을 반영해야 한다는 '종교의 중국화' 정책을 펼치면서 종교가 사회주의 핵심 가치를 수용하고 중국공산당의 지배에 순응할 것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진핑의 '종교의 중국화' 정책의 특성과 실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시진핑 집권 이전까지 중국에서 펼쳐진 종교 정책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그다음 '종교의 중국화' 의미와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시진핑의 '종교의 중국화' 정책 지시에 따른 당정의 정책 시행 과정을 추적한다. 주로 시진핑의 연설, 국무원 산하 국가종교사무국이 공표한 법령이나 규제안 등의 문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본 연구는 '종교의 중국화' 정책 실행 실태와 정책 실행에 대한 종교인과 종교 단체의 대응 등에 관한 연구의 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시진핑정권의 종교중국화공정이 중국종교정책에서 가지는 역사적 함의

        박만준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2 No.4

        The religious policies of PRC fifth-generation are summarized in 2015 the State Council vol 686 document “religious clerical work ordinance revised plan” and “changing religion into sino-enculturation”. moreover, “changing religion into sino-enculturation”, Xijinping regime first mentioned in state, not a few have historical implication in modern PRC religious policies. to use a common saying, from 2001 the United States has labeled China as a Religious Persecution Countries. if I tell the reason for that, the religious policies of PRC not only drives all Mainland china’s religious activities out of a religious missionary prohivitive provision, but the Mainland China’s characteristics of religion state and society relationships drive some chinese religion activities out of the complicated situations. Especially from the end of PRC 18th conference, the charactalistics of PRC fifth-generation religious policy, in a focus of the State Council vol 686 document, concentrates in “changing religion into sino-enculturation” catchphrase. this paper is aimed at considering the real reason and historical implication carefully. 중국 제5세대 종교정책은 2015년 686호 “종교사무조례개정안”의 발표와 2016년 “종교중국화”공정으로 집약되고 있다. 더욱이 역대 정권에서는 최초로 언급한 “종교중국화”라는 단어의 공식화는 당대 중국의 중국종교정책의 수행과정에서 적지 않은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흔히들 2001년부터 미국이 종교탄압국가의 반열에 중국대륙을 집어넣고 있는 이유가 종교의 전교권한을 금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국가 특유의 규정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국대륙의 사회주의 사회 안에서 각종 종교영역들에게 가해지는 특유의 상황들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중국공산당 18대 말부터 686호 문건을 중심으로 각종 종교 영역들에게 종교․국가․사회의 관계 속에서 가해지고 있는 제5세대 종교정책의 특징은 최근 들어 “종교중국화”라는 문구로 더욱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진핑 정부가 최근 들어 종교정책 전반에서 “종교중국화”라는 구호를 정권에서는 최초로 표면화하고 있는 이유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함의를 고찰해 보고자 했다.

      • KCI등재

        중국의 종교정책이 한국교회의 중국선교에 미친 영향: 기독교 중국화에 대한 선교실천적 대응

        김광성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8 No.-

        Recently, the Chines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religious administrative law enforcement and strongly applied the religion law in the field where the religious administration is enforced, and the foreign missionaries working in China cancels the permission to stay in China due to violation of immigration control law, So called 'involuntary withdraw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mission crises in terms of missiological theology and to find alternative ways to overcome them. The background of the recent Chinese mission crisis in China is not related to the recent government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to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I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that the Chinese government, academia, and Christianity are strongly promoting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in religious policy stations. The discussion of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seems to have begun on the surface, but there is a religious policy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pursued since its founding. The process of change of religion poli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the threeparty patriotic movement based on the unified frontline strategy, the religion of extinction in the period of the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the theory of Religion to Adapt to the Socialist Society in the Reform and Opening period, <Regulation on Religious Affairs (2017 Revision)> and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and that the process of change is linked to the Christianization of China.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is on the extension of the Christianization of Chinese church leaders who wanted to become Christianity suitable for Chinese people before the socialist regime emerged in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government did not stop efforts to change the Chinese church, which was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the world church, to the Chinese church. Although Three Self Patriotic Movement, which is a modified principles of self-administration, self-support and self-propagation, is suspected of using the Chinese government as a strategy to control the religious system by isolating the Chinese church from the world church, with the pretext of liberating the Chinese church from the control of the Western church, It is part of an effort to create a Christian church that can accept China as its governing ideology. In the period of the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the religion of the Chinese church, as well as the religion policy itself, has been extinguished by the theory of forced religion extinction.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revised Religious Affairs Ordinance acted as a powerful anti-mission law, making it a decisive opportunity for the Chinese government to legally restrict Korean missionaries' stay in China. 최근 중국정부가 종교행정 법제화를 강화하고, 종교행정을 집행하는현장에서 종교법을 강력하게 적용하면서 중국에서 활동하는 외국 선교사들을 출입국관리법 위반, 종교법 위반 등의 이유로 중국 내 체류허가를 취소하거나 재입국을 거부하여 소위 '비자발적 철수'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선교사 비자발적 철수와 입국 거절을 중국선교의위기로 보고, 선교위기 상황의 발생 배경을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이를 극복할 대안을 찾는데 있다. 중국에서 근자에 발생한 대한민국 중국선교위기의 배경은 사회주의체제 유지를 위한 중국정부의 최근 국가운영 방침과 무관하지 않다. 현재 중국정부와 학계, 교계에서 기독교 중국화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도동일한 맥락으로 이해해야 한다. 기독교 중국화 논의가 표면적으로는 학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그 배후에는 중국정부가 건국 시기부터 시행해온 종교정책이 있다. 중국정부의 종교정책의 변화 과정을 중화인민공화국 건립시기 통일전선전략에 입각한 삼자애국운동, 문화혁명 시기의 종교강제소멸론, 개혁개방시기 사회주의적응론, 시진핑 정권 시기의 수정 <종교사무조례>와 기독교 중국화로 구분하여 변화 과정이 작금의 기독교 중국화와 연계되어 있음을 밝혔다. 기독교 중국화는 중국에 사회주의 정권이 출현하기 이전부터 중국민중이 수용하기에 적합한 기독교가 되기를 원했던 중국 교회 지도자들의 기독교 본색화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사회주의체제 수호와 완성을 위해 중국공산당과 정부는 통일전선전략에 입각하여 종교자유정책을 시행하면서 세계 교회의 절대적 영향 하에 있던 중국 교회를 중국인의 교회로 바꾸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비록 변용된 삼자정책인 삼자애국운동이 서구교회의 통제로부터 중국 교회를 해방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중국정부가 중국 교회를 세계 교회로부터 고립시킴으로써 종교계를 통제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한 혐의가 있지만, 표면적 목적은 사회주의를 통치이념으로 하는 중국이 수용할 수 있는 기독교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었음을 인정할 수 있다. 문화혁명 시기 좌편향적 사회주의 종교관에 입각한 강제종교소멸론으로 중국 교회는 물론 종교정책 자체가 소멸되어 버렸다. 개혁개방 이후의 종교정책은 수정된 <종교사무조례> 가 강력한 선교방지법으로 작용함으로써 종교정책 법제화를 앞세운 중국정부가 대한민국 선교사들의 중국 체류를 법적으로 제한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모순론의 관점에서 종교중국화정책이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

        마민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8 No.-

        The drastic shift of religious policy under President Xi Jinping’s administration is an aftermath of a major contradiction of socialistic development. The main contradiction under Xi Jinping’s administration is drawn between the people’s demand for higher quality of life and the nation’s unbalanced and inadequate development.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religion has become a threat against social stability and the Chinese regime, weakening the form of socialist consciousness. Religion, once perceived as a minor contradiction, has now turned into a major socialcontradiction of China. Aimed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Sinicization of Religion is a new political strategy of Xi Jinping in response to the growing threat of religion. Therefore, Sinicization of Religion has to address the root of the contradiction between socialist ideology and religion. The primary intention of Sinicization of Religion is to identify religion within the mold of socialist ideology. Under Sinicization of Religion, Protestant Christianity, one of the fastest-growing religions in size, has particularly become the main target for control. Sinicization of Religion on Protestant Christianity will entail increased pressure on Protestant theology and doctrines for change toward socialistic ideas, stricter control over Chinese house churches and Chinese mission organization, and lastly, restraint on interaction between Chinese churches and overseas churches. This study explains the impacts of Sinicization of Religion on Protestant Christianity and the increased level of control in China. 시진핑 시기의 급격한 종교정책의 변화는 사회주의 발전단계에서 주요모순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시진핑 시기의 주요모순은인민들의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요구와 불균형하고 불충분한 발전 간의 모순으로 변화했다. 경제성장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한 종교는 중국사회의 의식형태의 불균형을 가져와, 사회안정과 정권안전을 위협하는 수준의 문제로 부상하였다. 부차모순에서 주요모순의 차원으로 부상한 종교문제를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맞게 처리하려는 정책이 시진핑의 종교중국화이다. 그래서 종교중국화는 사회주의와 종교 간의 모순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정책이다. 종교중국화의 핵심은 종교를 사회주의에 적극 적용시켜서 사회주의핵심가치를 실천하는 사회주의 종교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정책은 일교독대(一敎獨大)의 위험으로 성장한 기독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종교중국화는 기독교에 대해, 우선, 기독교의신학과 교리에 대한 정부의 통제강화와, 둘째, 건강한 중국교회의발전에 대한 어려움의 심화와, 셋째, 해외선교단체의 활동과 해외교회와의 교류에 대한 통제강화 등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교중국화가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과 종교에 대한 강화된 통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로잔운동의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기독교 중국화

        김광성 ( Kim Kwang Seong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9 ACTS 신학저널 Vol.40 No.-

        본 연구는 기독교 중국화를 중국 기독교 상황화의 한 형태로 보고, 로잔신학의 상황화 관점에서 분석하여 최근 중국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선교사 비자발적 철수와 입국 거절사태를 극복할 대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기독교 선교의 역사가 선교사의 복음전파 사명과 선교현장의 복음 수용자 사이의 간극을 극복해온 과정이다. 사회주의 체제의 중국에서의 선교는 종교와 이데올로기 또는 기독교 복음과 사회주의 체제의 상관관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사회주의 이념을 다원화사회 개념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면 다원화 상황에서 복음을 전하기 위한 상황화 선교신학을 중국 정부가 사회주의 체제에서 시도하고 있는 기독교 중국화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이후 사회주의 종교관에 근거한 중국 정부는 통일전선전략에 입각한 삼자애국운동을 통해 중국 기독교계를 장악하거나 지하로 몰아내고, 종교강제소멸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고, 사회주의 종교관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대외적으로는 종교자유정책을 시행한다고 선전하지만 실제로는 강력한 <종교사무조례>를 수정한 강력한 종교법을 '선교방지법'으로 시행함으로써 선교사들의 활동을 엄격하게 규제하면서 동시에 학계와 종교계를 총 동원하여 기독교 중국화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기독교 중국화를 중국 기독교의 본색화, 상황화와 동일 선상에 놓인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자는 로잔운동이 추구하는 상황화를 그 분석 근거로 삼고자 했다. 로잔운동이 논의하고 있는 상황화는 “모든 민족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하고자 하는 로잔운동의 처음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절한 선교신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독교 중국화를 기독교를 복음과 문화의 최적화된 만남을 추구하는 상황화이며, 중국 특색을 지닌 상황화로 인정한다면 로잔운동의 상황화 신학은 기독교 중국화의 선교신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 중국화는 여전히 중국 정부가 기독교를 사회주의 체제 유지에 활용하기 위한 통일전선전략의 변화된 형태라는 혐의를 부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기독교 중국화가 로잔운동의 상황화 선교신학을 수용함으로써 정치적 의도에서 벗어나 진정한 기독교 ‘중국화’의 길을 걸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as a form of Chinese Christian contextualization and analyze it from the viewpoint of contextualization of Lausanne theology and to fin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frequent incidents of involuntary withdrawal and immigration from missionaries in China.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i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gap between mission of missionary and gospel receiver of mission field. The mission of the socialist system in China can not but take into account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ideology or the Christian gospel and socialist system. If the socialist ideology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pluralistic social concept, the Contextual Missiology for communicating the gospel in the pluralistic situation can b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attempting in the socialist system.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based on the socialist religious view, tried to take control of the Chinese Christians through the Three-self-patriotic movement based on the Unification front strategy, But it has strictly regulated the activities of missionaries by enforcing the powerful religion law that amended the “Regulation on Religious Affairs(2017 Revision)” which is strong in reality, as the “Mission Prevention Act”, and at the same time, It is strongly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ualization pursued by the Lausanne movement with the aim of analyzing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from the viewpoint of missionary theology on the same line with the transformation and contextualization of Chinese Christianity. The contextualization discussed by the Lausanne movement provides a proper theological and theological basis for achieving the Lausanne movement's original purpose of “mobilizing all possible means to bring the gospel to all nations”. Therefore, if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is a contextualization that seeks Christianity to be an optimal meeting of gospel and culture, and accepts it as a contextualization with Chinese characteristic, the contextualization of Lausanne movement can be a mission theological basis of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However,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is still difficult to deny that the Chinese government is a changed form of the Unification front strategy to utilize Christianity in maintaining the socialist system. Therefore, we hope that the Chinese church will be able to walk the path of true Sinolization of Christianity by accepting the Contextual Missiology of Lausanne Movement.

      • KCI등재

        중국의 종교정책과 법치화수준의 제고 ― 수정「종교사무조례」를 중심으로

        김경아,강경구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1 No.-

        On 26th of August in 2017,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has been proclaimed through the Cabinet order. In this article, the reinforced parts of the rule by law have been examined focusing on the new provisio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reflects the religious policy of the government of the president Xi Jinping. Further,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analyzed. If we have a look at the new provision, there are three main features. The first feature is the assurance through the rule by law.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specifies the legal person registration of religious service facility, religious college and social security of the religious personnel.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observed, studied the problems of the religious world and has accepted the recommendations from this field in an active manner. Secondly, the control through rule by law has been reinforced.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controls commercial activities of religion through the new provisions, blocks the extremism of the religion and emphasizes the ‘Sinicization’ of religion. This can be seen as a countermeasure, which reflects the problems and features of each religion of China. The provisions for prohibi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of religion aims Buddhism and Daoism while the provisions for prohibition of the extremism of religion aims Islam and Tibetan Buddhism. Further, the Sinicization of religion is relevant to all religions but would be executed focusing more on the rapid growth of Christianity. The third one is expansion of the area of rule by law.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has established new provisions for the religious personnel and what they upload as well as has reinforced the level of restriction. This is not in the online area or extraterritoriality but to give the message that the government is monitoring their activities.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rule by law of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is mainly related to ‘legal protection’ and ‘illegal blocking’. The Chinese government is willing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follow their guidelines but to control the personnel, who are out of the legal lines set by the government, very strictly. In specific,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consists more of regulation than benefits for the religious world. However, the reason why we must pay attention to this ordinance is that it implies the switch of the paradigm of religious policy for management of the policies to comply with the religious theory of religious theory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but not for the passive management any longer. 본 논문은 수정 「종교사무조례」가 시진핑정부의 종교정책을 반영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신설된 조항을 중심으로 법치화가 강화된 부분을 살펴보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분석하였다. 수정조례에 신설된 조항을 보면, 수정조례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이 두드러진다. 첫째, 법치를 통한 보장이고, 둘째는 법치를 통한 통제이며, 셋째는 법치영역의 확대이다. 중국정부는 종교조례에 신설된 조항을 통해 자신들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는 종교단체의 권익은 보호해주지만, 그들이 설정한 합법의 선 바깥에 위치한 자들은 엄격히 통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수정조례는 종교계에 혜택보다는 통제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중국의 종교정책이 더 이상 소극적 관리가 아닌,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부합하도록 적극 관리하겠다는, 종교정책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시진핑시대, 이슬람교중국화정책 연구 : 「堅持我國伊斯蘭教中國化方向五年工作規劃綱要(2018-2022)」을 중심으로

        김경아(Kim, Kyung-A)(金敬娥)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0 No.-

        본 논문은 시진핑정부가 이슬람교정책에서 기존의 온건노선을 버리고 강경노선으로 전환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이슬람교중국화 5개년규획문건을 중심으로 중국의 이슬람교중국화정책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중국정부는 아랍과는 차별화된 ‘중국식 이슬람교’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내고, 이슬람교중국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은 정부의 정책에 따라 이슬람교협회가 작성한 「堅持我國伊斯蘭教中國化方向五年工作規劃綱要(2018-2022)」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슬람교중국화정책의 주요 범위와 내용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슬람교중국화 정책의 시행에 따른 무슬림사회의 현실과 그 정책적 한계도 함께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slamic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Chapter 2 analyzes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in the Islamic policy of the Chinese government from a moderate to a hard line. Chapter 3 analyzes the main contents of ‘Islamic Sinicization’. According to the 「Five-Year Work Plan for Upholding the Sinicization of Islam in China (2018-2022)」, ‘Islamic Siniciza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aspects. first is to deepen Education on Patriotism an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Second is to deepen Efforts on Scriptural Interpretation, Building Isla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ird is to separate Religion from Life. Fourth is to improve Rules Systems and Regulate Self-Management. Chapter 4 i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inicization of Islam policy’, It analyzed the religious reality of Muslim society and the limitations of religious policy. Chapter 5 is the conclusion.

      • KCI등재

        도교중국화의 역사적 함의와 실제 : 「中国道教协会章程」과 「道教五年工作规划纲要(2019-2023)」를 중심으로

        박노종(Park, Lo-Jong)(朴魯宗)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0 No.-

        본고에서는 「中国道教协会章程」과 「道教五年工作规划纲要(2019-2023)」를 통해 도교중국화의 구체적인 양상을 조명하기로 한다. 도교의 중국화에 대한 주요한 정책 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이러한 정책이 실제 도교 교단을 중심으로 궁관 등에서 어느 정도로 관철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도교는 중국의 토착종교로서 중국정부가 인정하는 5대종교 중에서 다른 종교들과는 현격한 입장의 차이가 있다. 중화인민공화민국 건립 이후 정부의 종교정책에 따라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도교는 실상 교단의 조직적 체계와 종교적 위상이 다른 종교 단체에 비하여 취약하다. 그럼으로 도교 중국화 과정에서 궁관의 복구와 교단의 활성화, 교리의 개발과 인재 양성, 문화사업과 해외교류를 통한 도교의 위상을 끌어 올리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그럼 점에서 도교중국화 과정을 통한 도교 교단의 자율성 회복은 도교가 대중적 신앙으로 부활하는 갈림길에 서 있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the specific aspects of Taoist Sinicization will be highlighted through 「Taoist association of China Charter」 and 「The Five-year Plan of Sinicization of Taoism(2019-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ain policy plans for Chinese Taoism and to see how these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palace. In particular, Taoism is indigenous to China, and among the five major religions recogniz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 religions. Taoism, the worst hit by China s religious policy, is actually more vulnerable than other religious groups that differ in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eligious statu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hinese Taoism, it is urgent to raise the status of Taoism through restoration of palaces, revitalization of denominations, development of doctrines and development of talents, cultural projects and overseas exchanges. In that sense, Taoist Chinese painting is at a crossroads where Taoism is revived by popular faith.

      • KCI등재

        중국의 종교정책과 법치화수준의 제고

        김경아(Kim Kyung A)(金敬娥),강경구(Kang Kyong Koo)(姜鯨求)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1 No.-

        본 논문은 수정 『종교사무조례』가 시진핑정부의 종교정책을 반영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신설된 조항을 중심으로 법치화가 강화된 부분을 살펴보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를 분석하였다. 수정조례에 신설된 조항을 보면, 수정조례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이 두드러진다. 첫째, 법치를 통한 보장이고, 둘째는 법치를 통한 통제이며, 셋째는 법치영역의 확대이다. 중국정부는 종교조례에 신설된 조항을 통해 자신들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는 종교단체의 권익은 보호해주지만, 그들이 설정한 합법의 선 바깥에 위치한 자들은 엄격히 통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수정조례는 종교계에 혜택보다는 통제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중국의 종교정책이 더 이상 소극적 관리가 아닌, 중국특색사회주의 종교이론에 부합하도록 적극 관리하겠다는, 종교정책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On 26th of August in 2017,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has been proclaimed through the Cabinet order. In this article, the reinforced parts of the rule by law have been examined focusing on the new provisio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reflects the religious policy of the government of the president Xi Jinping. Further,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analyzed. If we have a look at the new provision, there are three main features. The first feature is the assurance through the rule by law.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specifies the legal person registration of religious service facility, religious college and social security of the religious personnel.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from the fact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observed, studied the problems of the religious world and has accepted the recommendations from this field in an active manner. Secondly, the control through rule by law has been reinforced.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controls commercial activities of religion through the new provisions, blocks the extremism of the religion and emphasizes the ‘Sinicization’ of religion. This can be seen as a countermeasure, which reflects the problems and features of each religion of China. The provisions for prohibition of the commercialization of religion aims Buddhism and Daoism while the provisions for prohibition of the extremism of religion aims Islam and Tibetan Buddhism. Further, the Sinicization of religion is relevant to all religions but would be executed focusing more on the rapid growth of Christianity. The third one is expansion of the area of rule by law.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has established new provisions for the religious personnel and what they upload as well as has reinforced the level of restriction. This is not in the online area or extraterritoriality but to give the message that the government is monitoring their activities.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rule by law of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is mainly related to ‘legal protection’ and ‘illegal blocking’. The Chinese government is willing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religious organizations, which follow their guidelines but to control the personnel, who are out of the legal lines set by the government, very strictly. In specific, the Religious affairs Ordinance(2017) consists more of regulation than benefits for the religious world. However, the reason why we must pay attention to this ordinance is that it implies the switch of the paradigm of religious policy for management of the policies to comply with the religious theory of religious theory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but not for the passive management any longer.

      • KCI등재

        명·청 시대 유학을 통한 이슬람교의 중국화에 대한 연구-문화변용을 중심으로-

        高宇 ( Gao Yu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본 논문에서는 문화변용을 중심으로 명·청 시대에 일어난 이슬람교의 중국화 과정을 연구하였다. 명·청 시대에 일어난 유학을 통해 이슬람교를 해석하는 풍조는 중국 내의 이슬람교의 발전 양상에 전환점이 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 시기에 유학으로 이슬람교를 해석한 것이 이슬람교의 발전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문화변용을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현재의 중국 이슬람교가 종교적 극단주의와 과격한 이슬람 원리주의를 타파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중국에 이슬람교가 최초로 전래된 것은 당송 시대 무슬림 상인에 의해서였다. 이슬람은 중국에서 느린 속도로 발전을 시작했으며, 약 7~8백 년 후에야 비로소 중국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처럼 중국 이슬람교의 신앙 체계는 오랜 기간에 걸쳐 민족적 특색과 지역적 특성을 갖추면서 형성되었고, 이는 중국과 아랍인들 간의 경제와 문화 교류, 전통적인 우정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한 연결체가 되었다. 명·청 시대에 무슬림 학자들은 유학의 관점에서 이슬람교의 경전을 상세히 해석하였다. 그들은 이슬람교의 교의를 유가 학설의 언론으로 해석하여 많은 중국식 이슬람교의 저서를 저술하였고, 이로써 과거 천여 년 동안 중국 무슬림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온 선교 방식이 개선되었다. 이때부터 중국인들은 한역 경전을 통해 직접적으로 교의와 교법을 배울 수 있었고, 유학적으로 이슬람교를 해석함으로써 이슬람교의 전파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중국의 이슬람교 학술 문화 발전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으며, 중국과 아랍 세계의 학술 문화 교류에도 기여하였다. 유학적 색채를 띤 선교 수단은 중국에서 이슬람교가 광범위한 전파력과 수용성을 갖게 함으로써 회교의 중국화에도 큰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슬람교의 중국화 역정은 사실 문화변용의 과정이기도 하다. 문화변용은 항상 수용, 적응, 반항이라는 세 가지 형식을 갖는다. 이슬람교도 중국에 들어와 이와 같은 세 단계를 거쳤으며, 오랜 세월에 걸쳐 ‘회유(回儒)’라는 중국화 된 이슬람이 형성됐다. 이슬람 신앙을 가진 소수 민족의 형성이나 회유 집단의 존재는 중국 이슬람의 안정적 발전과 문화적 정체성의 변형에도 좋은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당대의 이슬람은 유학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시기적절하게 유학과 분리해 자신의 현대화에 전념해야 한다. 중국이 현대화하는 시대에 따라서 유학도 변혁해 시대와 함께 발전했다. 유학이 시대적 가치관에 부합하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발전시키고 변혁시키는 것처럼 이슬람교도 시대적 요구에 더욱 부합해야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phenomenon of Islamic Sinif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Islam in China, which is centered on cultural change. By analyzing and studying the influence of Islam on the development of Islam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t can be found out the root answers to the many problems that exist in Islam after the cultural change, avoid religious extremism and radical Islamic fundamentalism, and explore the path to the development of Islam in China. Islam was first introduced into China by Muslim merchants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slam began to develop at a slow pace in China and settled in China about seven or eight hundred years later. After a long period of spread, development and change, the Chinese Islamic belief system with na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formed. This is the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the Arabs a long-standing bond between flow and traditional friendship. Tang, Song and Yuan dynasties were the main periods of the spread of Islam in China. Muslim scholar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described the Islamic classics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They interpreted Islam's teachings as the Confucian media and left behind a large number of Chinese-style Islamic writings, which ended the missionary work of Chinese Muslims over the past thousand years. Since then, Chinese have been able to learn the doctrines and laws directly through the Chinese translation classics, explain Islam through Confucianism, helping spread Islam, opening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Islamic teaching culture in China at that time and contribute to the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the Arab world. The Confucian-style missionary method makes Islam widely popular and acceptable in China, accelerating the pace of Islam’s Sinicization. The process of Islam's Sinicization is also a process of cultural change. Cultural transformation often takes three forms: acceptance, adaptation, and resistance. Islam has also entered China, and after these three stag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has become a Chinese-style Islam. Both the formation of ethnic minorities with Islamic faith and the existence of 回儒 Group has had a good effect on the steady development and cultural transformation of Chinese Islam. The impact of Chinese nationalism and Confucian exclusiveness on foreign religions and cultures should also be n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