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84년 존 웨슬리의 주일 예배와 수용 과정, 그리고 재조명에 대한 연구

        김형락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감리교회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1784년 미국 감리교도들을 위해 예배서를 전수 하였다. 이 예배서는 웨슬리의 신학적 배경들, 영국 성공회와 개혁주의적 청교도의 예 배관들이 융합되어 형성된 예배였다. 웨슬리는 형식적으로는 영국 성공회의 예전을 중심으로 예배를 구성하였고, 내용적으로는 경건하고 소박한 청교도들의 분위기를 많 은 부분 도입하였다. 또한 웨슬리의 초기 기독교 예배에 대한 관심은 그가 이 예배에 초대교회의 자료들을 사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만 이 예배는 미국 상황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미국은 개척지로 고정된 기도문을 읽는 예배를 드릴만한 준 비가 되지 않았고 목회자들 역시 이 예배 형식을 선호하지 않았다. 특히, 18세기 말부 터 감리교 전통 내에서 천막집회가 급속도로 유행하였고, 이는 미국 감리교회가 존 웨슬리의 예배를 멀리하게 된 주요한 원인들 중 하나가 되었다. 1792년 미국 감리교 회의 장정에 나타난 예배는 웨슬리의 예배가 많은 부분 제외되거나 축소된 형태로 나 타난다. 이후로 웨슬리의 예배는 19세기 동안 감리교 전통에서 점점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웨슬리의 예배는 미국 감리교 전통에서 다시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이는 20세기에 들어 예전부흥운동과 같은 초대교회 예전으로 돌아가려는 움 직임이 유럽과 영국 그리고 북미까지 유행했으며 감리교 전통에서는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인 웨슬리의 예전에 다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제 2차 바티 칸 공의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이로 인해 미국 감리교 전통은 1932년 최초로 다시 웨슬리의 예배를 자신들의 예배에 복원하였고 1945년에 발간된 최초의 예배서에 수록하였다. 이후에도 웨슬리의 예배는 꾸준하게 감리교 예배신학의 근간이 되어 1992년 연합감리교회의 예배서의 예배를 형성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 로 사용되었다. 현대 예배에서 웨슬리의 예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웨슬리가 추구했던 예배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고려들을 수용하여 21세기의 상황에 맞게 융합화하는 것이 오늘날 웨슬리 예배를 다시 회복하는 일이다. John Wesley, the founder of the Methodist Church, handed down the Book of Worship for American Methodists in 1784. Wesley formed this worship book based on his theological backgrounds, the perspective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 Reformed Puritan on Christian worship. Wesley organized his structural form of liturgy based on that of Anglican liturgy, while in terms of content, he included many parts of the atmosphere of pious and simpleness influenced from Puritan tradition. In addition, Wesley's interest in early Christian worship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him to use materials from the early church for this worship. Wesley’s Sunday service, however, was not welcomed in American context. The churches, mostly located in the frontiers, were not ready for performing the liturgy consisted of the fixed prayers, and moreover, the pastors did not prefer this form of worship. Particularly,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camp meeting rapidly became popular within the Methodist tradition, which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distanced itself from John Wesley's worship.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792 excludes many parts of Wesley's worship or appears in a reduced form. Wesley's worship subsequently moved away from the Methodist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however, Wesley's worship was re-examined in the American Methodist tradition. In the 20th century, the movement to return to the liturgy of the early church, such as the liturgical movement, was popular in Europe, England, and North America. Methodist traditions, then, turned their eyes to Wesley's liturgy, which was their theological root. The Second Vatican Council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urther accelerated this movement. Due to these movements, the Methodist traditions in the United states restored Wesley's worship for the first time in 1932, and included it in the first worship book published in 1945. Even after that, Wesley's worship continued to be the foundation of Methodist liturgical theology and was used a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shaping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in 1992. It is not easy to use Wesley's worship in 1784 itself into today’s worship, but accepting the theological meanings and considerations that Wesley pursued and integrating it to adjust the contexts of the 21st century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존 웨슬리의 다문화 사역과 신약성서의 관련성 분석-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윤철원 한국대학선교학회 2022 대학과 선교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ulticultural work carried out by John Wesley and to find a connection with the New Testament. John Wesley, the founder of the Methodist Church,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reforming the 18th-century British society, but also an outstanding leader in the church’s social responsibility and service. In particular, the peculiarity of his multicultural ministry is demonstrated by his zealous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which began when he attended Oxford. John Wesley could speak nine languages. This is like a barometer that shows how strong his enthusiasm for multicultural ministry. It is remarkable that he was involved in multicultural ministry after returning to his home land from his American missional work. In addition to his ministry for immigrants, he worked hard to visit prisoners from other countries in prison worshipping in their native tongue. John Wesley’s work is very consistent with the missionary context of the book of Acts, which emphasizes communication with various cultures and races. Particularly, each city of the Mediterranean society that Paul visited shows a diverse culture. The hospitality of the marginalized people and Gentiles as well as the opening of the table fellowship to the respective people were revived in Wesley’s multicultural mission. The hospitality of foreigners, the inclusive attitude toward them, and the emphasis on sharing and giving up the possession were practical virtue that could be important for flexible communication with people living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This may be a very important clue to finding the relevance of the New Testament Writings.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will emerge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efforts to newly implement the content of faith. Just as John Wesley’s multicultural ministry received spiritual energy from the Bible, a Korean church that is eager for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as a whole should be willing to reflect and practice its lessons. John Wesley’s work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example of South Korea, which forms a multicultural society today. 본 논문의 목적은 존 웨슬리가 수행한 다문화 사역에 관한 연구로 신약성서와의 관련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존 웨슬리는 감리교회의 창설자로서 18세기 영국 사회를 개혁하는데 탁월한 역량을 감당했을 뿐 아니라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봉사에 매진한 지도자였다. 특히 그의 다문화 사역의 특이성은 옥스퍼드에 재학하던 때부터 시작된 외국어에 대한 열성적인 학습에서 증명된다. 존 웨슬리는 9개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이것은 그의 다문화 사역을 향한 열의가 얼마나 뜨거웠는지를 보여주는 표식과 같다. 그가 미국 선교에서와 마찬가지로 영국으로 귀국한 이후에도 다문화 사역에 몰두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그는 이민자들을 위한 사역뿐아니라 교도소에 수용된 다른 나라의 죄수들을 방문하여 그들의 모국어로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협력했다. 이러한 존 웨슬리의 사역은 다양한 문화와 인종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사도행전의 선교적 맥락과 일치한다. 특히 바울이 방문한 지중해 사회의 각 도시는 다양한 문화를 보여주었다. 소외당하는 사람들과 이방인들에 대한 환대와 만민(萬民)에게 식탁교제를 개방한 예수의 모습은 웨슬리가 펼친 다문화 선교에서 재현되었다. 이처럼 외국인을 환대하는 것과 그들에 대한 포용적 태도 그리고 나눔과 포기에 대한 강조는 다문화의 환경에서 사는 사람들과의 유연한 소통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실천 덕목이었으며, 이 세 가지 사례는 웨슬리와 신약성서의 관련성을 찾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한국 교회의 미래는 신앙의 내용을 새롭게 구현하는 노력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다. 존 웨슬리의 다문화 사역이 성서로부터 영적 에너지를 받은 것처럼, 사회와의 긴밀한 소통을 갈망하는 한국 교회가 성서의 교훈을 기꺼이 성찰하고 실천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존 웨슬리의 사역은 다문화사회를 형성하는 한국의 토양에서 가장 본받을 만한 사례로써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회갱신의 관점에서 전망한 존 웨슬리의 성결론 —선교적 교회론으로 『존 웨슬리의 일기』 읽기

        오성욱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6 No.-

        John Wesley's theological studies tended to revolve around his sermons. For his own reasons, Wesley did not write sophisticated and detail-organized theology books. This has made theologians who study Wesley's theology to assume that the most specific and obvious points of his theories were presented through his preaching. Through the reconstruction, re-examin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Wesley’s sermons, his theology has spread. However, processing and reordering the language and reasoning of sermons with theology, a metaphysical language and logic is profoundly thought to have a side of insufficiency for being a channel that shows a preacher’s theological purposes and faith-related passion. Reconstructing Wesley's theology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Wesley's diaries, journals, and the various Christian metaphors that Wesley has experienced should be used as extremely important elements. Of course, this is not to say that Wesley's sermons are meaningless when reconstructing his theology; they are important. However, the framework and direction of order in the reconstruction of Wesley’s theology must focus on the diaries and journals of Wesley and the diverse church and missionary aspirations he has experienced. These elements will be an exterior for Wesley’s theology. If the contents of this exterior classify and arrange Wesley’s sermons with the right topics, the distinctive theology of the evangelist Wesley is profoundly thought to be filled with his passion for faith. By focusing on Wesley’s diverse Christian experiences that are written within the heart of Wesley’s journal, the author tries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Wesley’s theology of sanctification. The act of creating coherency to Wesley’s proclamation of the theology of sanctification in his sermons will momentarily be put aside, as the framework for the theology of sanctification will be created with Wesley's journal. The clues are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intense spreading of the Gospel, outlining, and pursuing the missional church. The author's theological work does not aim to complete Wesley's theology of sanctification. Rather, it merely tries to become a strong bowl that can withhold the precious messages of Wesley which are from his sermons that discuss the theology of sanctification. 존 웨슬리의 신학연구는 주로 그의 설교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경향성이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웨슬리는 정교하고 세밀한 조직신학 저서를 집필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웨슬리 신학을 연구하는 신학자들은 웨슬리의 신학적 사유가 가장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난 지점을 설교라고 상정하고 그의 설교를 재구성하고 재진술하고 재해석함을 통해서 웨슬리의 신학을 펼쳐 보여주었다. 그러나 설교의 언어와 논리를 신학이라는 형이상학적 언어와 논리로 가공하여 재구성하는 것이 과연 설교를 통해 드러내려는 설교자의 신학적 의도와 신앙의 열정을 온전하게 담아내기에는 무엇인가 미흡한 면이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설교는 교회론적 컨텍스트와 설교자 자신의 신앙적 컨텍스트를 반영하여 본문을 선택하고, 말씀이 해석되는 흐름이 존재하는데, 논리적이고 형이상학적 이론신학은 이러한 컨텍스트에 대한 특이성을 중화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웨슬리의 성결론을 전망함에 있어서, 웨슬리의 일기와 저널, 그리고 웨슬리가 체험했던 다양한 교회론적 전이해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웨슬리의 설교가 그의 성결론을 재구성하는 데 의미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 웨슬리의 설교는 웨슬리의 성결론을 구성하는 중요한 내용이다. 그러나 웨슬리의 성결론 탐구에 있어서 골격과 구조와 방향성에는 웨슬리의 일기와 저널과 그가 체험한 다채로운 교회와 선교적 열망이 응축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웨슬리 성결론의 외피가 되고 그 외피의 내용으로서 웨슬리의 설교를 주제에 맞게 분류하여 정돈한다면, 복음전도자 웨슬리의 신앙의 열정이 담겨진 웨슬리의 독특한 성결신학이 탄생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양심과 법 사이에서 - 존 웨슬리와 메소디스트 운동의 딜레마

        이성덕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0 No.-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와 마찬가지로 존 웨슬리의 생각과 말과 행동의 기준이 된 것은 양심과 하나님의 말씀이었다. 그 양심은 자연적인 양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으로서의 양심이다. 존 웨슬리는 이 모든 양심의 기능에 ‘성령의 기름부음’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것이 없다면 우리 자신의 삶과 기질을 분간할 수 없고, 우리가 행할 기준도 알 수 없으며, 양심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수도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인간이 궁극적으로 자신의 정당함을 인정받는 것은 인간의 법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최후 심판임을 잊지 않았다. 영국 국교회의 아들이며, 완고한 고교회주의자였던 존 웨슬리는 올더스게잇(Aldersgate)과 송구영신 철야예배에서의 성령의 집단적인 체험을 한 이후 영국 국교회의 무기력과 타락에 대한 각성과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자신이 속한 국교회에 대해서 이론적으론 이상적인 교회로 생각했지만, 현실적으론 다른 교회와 마찬가지로 콘스탄티누스 대제 이후로 관영한 ‘불의의 신비’의 지배하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중적인 상황이 존웨슬리가 자신의 신앙 양심과 현실적인 교회의 법 사이에서 갈등하며 딜레마를 겪게 한 주 요인이었다. 그는 자신의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불법적인 비밀집회로 간주되어 공격을 받는 것에 개의치 않고 계속적으로 신도회를 확대해 나갔지만, 결국은 신도회 회원들을 보호하고 더 많은 회심자들을 얻기 위해 자신의 채플을 마치 비국교도의 모임처럼 법적으로 등록하여 허가를 받음으로, 양심의 자유가 침해되는 고통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목사(사제) 안수 문제에서는 다른 결단을 내렸다. 미국 독립이라는 외적인 상황의 변화로 그는 목자 없이 유리하는 아메리카의 양들을 위해 미국 선교를 위한 목사(사제) 안수를 감행한 것이다. 존 웨슬리로 하여금 이러한 경계선을 넘게 한 원동력은 그의 신앙 양심과 하나님의 말씀이었으며, 무엇보다 자신의 진실을 드러내는곳은 세상의 법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최후 심판대라는 그의 확고한 믿음이었다. It was conscience and the Words of God that set the standard for John Wesley's thoughts, words and actions. The conscience is not a natural conscience but a conscience as Preventing Grace of God. He was convinced that for the proper functioning of conscience, the unction of the Holy Spirit was necessary. Without this, we could not discern our own life and character, know our standards, or obey our conscience and the Word of God. And he has not forgotten that it is not the human court but God's final judgment that humans ultimately receive their justice. John Wesley, the son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a stubborn High Church Man, experienced Aldersgate-Conversion personally and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with the oxford methodists in New Year’s Overnight Service. Since then, He felt keenly reform of the lethargy and corrup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He thought of his church as the ideal church, but he saw that in reality, the ‘mystery of injustice’ that had been preserved after Constantine the Great was working, as it was with any other church. This double situation was a major factor that led to John Wesley's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his faith conscience and realistic church law. He continued to expand his methodist religious societies, regardless of how it was treated as an illegal secret assembly and was attacked. In the end, his faith conscience was damaged by registering his chapel legally as a nonconformist assembly to protect new members and gain more believers. However, he made a different decision on the issue of the ordination of lay preacher. As a result of the external situation of American independence, he ordained a few lay preachers as American missionaries for serving the sheep thrown away without a shepherd.

      • KCI등재

        존 웨슬리의 교회 이해

        권오훈 한국선교신학회 2019 선교신학 Vol.5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존 웨슬리의 일차자료, 특히 그의 설교를 중심으로 그의 교회 이해를 밝히는 것이다. 웨슬리는 그의 신학적 관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수단으로 대부분의 설교를 출판했다. 웨슬리가 그의 사역 초기부터 교회의 본질과 형태와 기능이라는 세 가지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깊이 숙고했다는 하워드 스나이더의 분석을 기반으로 본문을 구성하고 교회의 역사에 관한 웨슬리의 견해를 더한다. 2장에서는 교회의 본질에 관한 웨슬리의 견해를 다룬다. 3장에서는 교회의 형태에 관한 웨슬리의 견해를 다룬다. 4장에서는 교회의 기능에 관한 웨슬리의 견해를 다룬다, 5장에서는 교회의 역사에 관한 웨슬리의 견해를 다룬다. 6장에서는 각 사람이 자신의 영혼을 구원하는 일과, 자신들의 구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돕는 일과, 모든 사람을 구원하여 그리스도의 왕국을 세우는 일이 교회의 목적이라는 웨슬리의 소견을 소개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cover John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by investigating primary sources, especially focusing on his sermons. Wesley published most of his sermons as an effective means of expressing his theological points of view. Chapter 2 deals with Wesley’s views on the nature of the church. Chapter 3 handles Wesley’s views on the form of the church. The author illustrates Howard A. Snyder’s diagram of the Methodist system under Wesley. Chapter 4 examines Wesley’s views on the function of the church. Chapter 5 ranges over Wesley’s views on church history. Chapter 6 concludes this article by introducing Wesley’s remarks about the original design of the church, which is to save one’s own soul, to assist each other in working out their salvation, and to set up the kingdom of Christ by saving all men.

      • 존 웨슬리와 오순절 성령신학

        이후정(Lee, Hoo-Ju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8

        이 글은 존 웨슬리와 오순절 성령신학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부정적인 해석과 긍정적 해석을 논의한 후 종합적인 해결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웨슬리 후기 설교들과의 마카리우스 연관 등에 더 조명하면서 웨슬리의 성령론적 강조점을 중시하는 한편, 오순절주의 성령론과의 구별되는 점들, 또한 오늘에 있어서의 의의를 해명하려 하였다. 먼저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볼 때, 웨슬리가 성령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은사와 외적 능력 등의 표현들보다는 성령의 열매들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주목을 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웨슬리가 성령의 체험적인 강조와 함께 생명력 넘치는 부흥운동의 역사들을 일으켜 나갔지만 오늘날의 오순절주의나 은사주의적인 강조들과는 차별되는 점들이 존재하다고 본다. 돌이켜 긍정적인 해석에 따르면, 웨슬리에게서 우리는 오순절적인 강조점들을 그의 후기 설교들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드와 같은 학자에 의해서 깊이 있고 상세하게 연구된 바에 의하면, 웨슬리의 주된 관심은 성령강림 후인 오순절 사건을 계기로 해서 성령 충만, 성령의 변형시키는 성화의 완전한 성취로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언급들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종말론적 도래를 바라보면서 감리교 부흥운동이 마지막 시대의 오순절적 인 회복이라는 시각이다. 특히 웨슬리의 공식적 인 후계자로 여겨졌던 존 플례처의 성령세례와 시대(세대)론에 입각하여 성화와완전론이 오순절적인 성령론적으로 더 조명되었다고 본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웨슬리의 신학과 영성에 대한 초대교부특히 동방교부와의 연관에서 성령론이 가지는 총괄적이고 통섭적인 차원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아우틀러와 같은 교부학자, 역사 신학자에 의해 통찰과 주목을 받았으며, 매닥스나 필자는 그것을 이어받아 웨슬리 신학의 종합적 성격에 대해 연구해 왔다. 따라서 카리스마적이고 오순절적인 성령신학은 웨슬리의 신학에서도 그 종합적 인 차원에서 경시되거나 지나치게 강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그것이 가진 중요성을 적절히 인정하면서도, 웨슬리의 성령신학의 전체적인 스펙트럼에서 잘 위치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동방교부 마카리우스와의 관련에서 우드나 터너와 같은 신학자들에 의해서도 논의된 성령론적 집중과 관련은 이와 같은 오순절적 성령신학을 더 폭 넓은 컨텍스트에서 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대 동방교회 구원론이 가지는 창조/재창조(혹은 새 창조)의 구조를 통해 웨슬리의 성령론을 좀 더 원숙한 그의 후기 신학적 관점 에 따라 평가하는 것도 중요한 시도가 될 수 있다. This essay is going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Wesley and the Pentecostal theology of the Holy Spirit. In doing this, it seeks to find a synthesis after dealing with the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interpretation. In the negative, critical perspective, there are some reserva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esley’s theology of the Spirit and its Pentecostal, charismatic interpretation. For Wesley’s main concern was to emphasize the fruits of the Spirit rather than the outward expressions. But Wesley regarded his revival movement as the restitution of the purest age of the primitive church in its apostolic form. So he longed to restore that kind of faith/practice of the early church in his theology and spirituality. In the positive viewpoint, Wesley’s theology of the Holy Spirit has been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Pentecostal dimensions which were strongly advocated by John Fletcher, who was to become the official successor of the Methodist movement. In Fletcher’s theology and also in Wesley’s later sermon corpus, we can trace the theme of the Pentecost most clearly. Besides, Wesley’s idea of Christian perfection and the entire sanctification was viewed from this advantageous point. In synthesis, I followed the important direction made by Albert C. Outler in his mature view of Wesley’s pneumatology from the Eastern patristic background. Especially, Macarius’s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its charismatic orientation is very much in line with this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In fact, the interpretation of Ted Runyon to see the wider context of Wesley’s later vision of the new creation fits with the eschatological motifs of pneumatological, pentecostal readings. It can posit the soteriological center of Wesley’s theology with a view to incorporating the early Eastern Fathers’ wholistic vision of re-creation and teleology. The concept of theosis deification) distinctive to eastern theology should be related to the pneumatological stresses restored in Wesley’s mature theology. When we consider the present upsurge of the charismatic, pentecostal Christianity around the world, it is very timely to probe into the contribution made by John Wesley to the discussions of the Holy Spirit in a fresh way. Without the living experience and powerful transformation of the Spiritual life, Christianity can become a merely formalistic, rationalistic, and legalistic deformation. And in our Korean context, we long for the real reformation and renewal of the church. So the interest in the person and work of the Holy Spirit has to be without question in the theological studies as well as in the existential life of the church. But I believe that the fruits of the Spirit and resulting true transformation of persons and lives are to be considered properly in our discussion of the Holy Spirit.

      • 조지 휫필드와 존 웨슬리의 신학체계 비교연구

        고명석,남호연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지평 Vol.32 No.-

        본 연구는 조지 휫필드의 개혁 신학체계와 존 웨슬리의 신학체계를 비교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알아보고, 이들의 신학을통해 우리가 지향해야할 신학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첫째, 기본적인 신학체계로 휫 필드는 칼빈의 '제한적 속죄론' 을 주장했고, 웨슬리는 아르미니우스적인 '보편구원론' 을 주장하였다. 둘째, 휫필드는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고백한다. 반면, 웨슬리는 하나님의 예정보다는 본 인의 신앙적인 노력과 성화가 구원을 결정 짓는 요인으로 보았다. 셋째, 우리는 이들의 신학 체계를 신앙생활 의 현실에서는 잘 조화시컥야할 필요성이 있다. 즉 우리는 휫필드처럼 전적으로 하나님의 선택과 예정으로 구 원이 이루어진다고 믿어야 한다. 다만 웨슬리의 주장처럼 구하지 않는 자에게 주어지는 것도 아니다. 예수님 도 우리에게 말씀하시길 '구하라' 고 분명히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This study compares George Whitefield' s reformed theological system with John Wesley' s theological system examines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studies what theology we should pursue through their theology. First, as a basic theological system, Whitefield insisted on Calvin' s "limited atonement," and Wesley insisted on the Arminisian "universal salvation." Second, Whitefield confesses that he had to accept God' s unconditional election and predestination. Wesley, on the other hand, sees his religious effort and sanctification as the deciding factor of salvation rather than God' s predestination. Third, we must believe that salvation is accomplished entirely by God' s unconditional election and predestination, as in Whitefield. Jesus also told us clearly, 'Ask!'.

      • KCI등재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저널(Journal)에 나타난 신학사상과 부흥운동

        박창훈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2 No.-

        이 글에서는 웨슬리의 저널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저널의 자료, 즉 일 기(Diary)의 특징과 그 연관성, 저널의 문학특징, 저널의 출판 시기와 주요 내용과 사건, 그리고 저널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는 웨슬리의 생각과 사상 더 나아가 18세기 영국의 부흥운동에서 그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 해, 단순히 신학적인 주제를 따라 추적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간 흐름과 경 과를 의식하는 역사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학적·사회적 정황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대중문화사의 시각에서 그의 저널을 읽을 것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제까지 한국 신학계에서 웨슬리 저널의 출판 동기와 기록 방법에 대 한 질문이 없을 만큼 웨슬리 연구가 신학주제 중심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그 만큼 지성적이고 합리적인 웨슬리 찾기에 기울어져 있었다. 이 글은 웨 슬리의 보다 인간적이고 자연적인 모습을 추적하여, 더 입체적인 웨슬리 복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글 결론적으로 웨슬리의 저널에서 다음의 사항이 발견됨을 지적한다. 첫째, 그의 신학이 평생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완전,” 즉 성결을 목표로 하는 신학이었다. 둘째, 저널을 통 해 메소디스트 부흥의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셋째, 웨슬리는 저널을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넷째, 웨슬리 저널을 통해 18 세기 영국의 대중사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널을 통하여 결국 웨슬리 는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타락한 세상에 대한 대안공동체라는 것을 보이려 고 하였다. This Paper brings up the importance of John Wesley’s Journal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Diaries, which were the primary materials of his Journ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includes the journals’ literary features, their periods of publications, their main contents and events. And finally, it infers Wesley’s thoughts and theology with his activities during the 18th-century British Revival Movement from his Journals. For its methodology, not through searching for theological themes simply, but through acknowledging the passage of time, it fulfills historical approach, compares the cultural-social contexts, and suggests the reading of his Journals through the lens of popular cultural history. Up to now, Wesley studies in Korea have so strongly focused on his theological themes that nobody has raised the questions over Wesley’s intentions in his Journal publications and his recording methods within Korean theological studies. This treatise, therefore, tries to trace a more humane and more natural Wesley and to contribute toward restoring a holistic figure of Wesley. In conclusion, this paper points out the following from Wesley’s Journals. First, his theology developed in his lifetime and, as a matter of course, wasgathered under the title of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the theology of aiming at the goal of holiness. Second, his Journals describe and report lively the places of revival movement and what was happening there. Third, in his Journals, Wesley us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accept as truth what happened among people. Fourth, his Journals pretty well show the 18th-century British popular history. After all, Wesley tried to prove his Methodist Society as an alternative community for the corrupted world through his journal publications

      • KCI등재

        존 웨슬리의 신비주의와 그리스도인의 완전

        김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감리교의 창시자 존 웨슬리의 회심체험은 어거스틴의 회심체험이나 마틴 루터의 회심체험처럼 극적인 측면이 있다. 웨슬리는 35세라는 나이에 런던에서는 물론 미국 조지아 주에서의 목회가 실패로 돌아간 다음, 극심한 우울증 속에서 고통 받다가 바울이 쓴 로마서 주석을 읽는 것을 듣고 갑자기 분열되었던 그의 내면을 통합하고, 그 전과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어거스틴이나 루터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어거스틴이나 루터 역시 인간의 삶에서 있을 수 있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하는 갈림길에서 어느 것도 선택하지 못하다가 하나님을 만나서 그들의 삶을 통합하고 역동적인 삶을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회심체험 전과 회심체험 후의 극적인 변환은 그렇게 굉장한 변화라고 할 수 없다. 어거스틴이나 루터, 웨슬리는 회심체험을 하기 전에도 회심체험을 하기 전에 추구했던 것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어거스틴은 회심체험을 하기 전에도 악을 버리고 선을 추구하는 삶을 살았고, 루터도 회심체험을 하기 전이나 나중에 그의 삶의 충성을 어디에 바칠 것인지 고뇌하였으며, 웨슬리 역시 회심체험을 하기 전이나 후에 “어떻게 하면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도달할 수 있는지 고뇌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그 세 사람은 방법적인 면에서 기독교적이거나 개신교적인 것이 아니라, 비기독교적이거나 가톨릭적인 것으로 나아가다가 회심체험을 전기로 해서 새로운 태도를 취하였던 것이다. 목표는 같은 것이었지만 방법이 달라서 고통을 당하다가 새로운 방법을 찾아서 내면을 통합하였던 것이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신비체험은 정신적 발달을 위한 인간의 추구 가운데 하나이다. 사람들은 내면에서 갈등관계에 있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성향 또는 삶의 태도 때문에 고통을 당할 때, 그 둘을 통합해주는 전체성의 상징을 체험하면서 인격을 통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때 체험자들은 그들이 구원 받았다고 느끼고, 그 상징을 하나님으로 고백하게 된다. 그러면서 그 사랑 때문에 그들의 인격과 삶이 변환되는데, 그들의 변환은 다른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주게 된다. 그런데 웨슬리의 회심체험은 어거스틴이나 루터의 체험과 조금 다르게 나타난다. 웨슬리에게는 깊은 엑스타시 체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잠시 가슴이 뜨거워지는 정감체험은 있었지만, 그 전 시대 사람들 같은 트랜스 체험은 없었던 것이다. 그 이유는 아마 웨슬리가 그 전 시대 사람들보다 더 의식이 많이 각성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하여 웨슬리는 그 다음에 오는 현대인들이 나아가야 하는 길을 보여주는 듯하다.

      • 존 웨슬리의 성화론이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

        최승태(Choi, Seung-Ta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7

        웨슬리는 구원의 두 축을 칭의와 성화로 보았지만, 무게중심을 성화에 두었다. 이것은 그가 칭의의 목적을 성화에 있다고 생각했다는 사실에서 분명해진다. 웨슬리가 성화를 강조한 이유는 칭의를 경험했더라도, 성화의 길로 가지 않으면 퇴보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웨슬리는 구원의 확신을 가진 신자라도 타락할 수 있다고 믿은 것이다. 그러므로 구원을 경험한 신자는 성화의 길을 반드시 가야 한다는 것이다. 웨슬리는 성화의 은혜를 받는 방편으로 회개와 함께, 일반적 방편, 제도적 방편, 상황적 방편 등 세 가지를 제시한다. 그는 제도적 방편과 상황적 방편을 경건의 행위로, 상황적 방편을 선한 행위로 불렀다. 이들 모두가 중요하지만, 웨슬리는 선한 행위를 강조했는데, 그 이유는 선한행위가 따르지 않는 경건은 실제적인 경건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웨슬리는 선한 행위가 단순히 그리스도의 정신을 실천하는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영적인 상태를 심화시키는 수단, 곧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는 방편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따라서 선한 행위는 경건행위에 부가되는 부차적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선한 행위는 경건을 신자의 삶에 적용시켜 주는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은혜의 방편이 되는 것이다. 즉 웨슬리는 선한 행위를 경건행위와 똑같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는 수단으로 보았을 뿐 아니라, 경건의 목적으로 여긴 것이다. 여기에 웨슬리의 독특성이 있다. 한국교회가 웨슬리에게서 배워야 할 점이 이것이라고 믿는다. 한국교회에는 예배와 기도, 성경공부, 제자훈련 등, 수많은 경건훈련을 위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구제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그동안 한국교회가 선한 행위보다는 주로 경건의 사역에 집중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신자들이 교회 안에서는 경건해졌는지 몰라도, 실제의 삶에서는 그렇지 못한 점들이 눈에 띄었고, 이것들이 쌓이면서, 사회적인 불신의 대상이 되어 왔다. 여기에는 목회자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그러므로 이제 한국교회는 경건이 선한 행위를 통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경건이 되기를 추구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만일 웨슬리에게서 이런 교훈을 확실하게 배울 수 있다면, 그래서 선한 행위 자체가 은혜 받는 수단이요, 경건의 목적이 됨을 이해한다면, 한국교회는 훨씬 성숙해질 것이다. John Wesley thinks that there are three ways to receive the grace of sanctification. He considers all of them to be important, but especially emphasizes the third, the act of relief because our pietic behaviour cannot become realistic without it. I believe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learn this point from Wesley. There are many kinds of programs for piety in the Korean Church, such as worship, prayer, and Bible study. Of course, the Korean Church has practiced relieving behaviors. But the Korean Church has tended to focus on pietic trainings rather than good deeds. As a result, the Church’s members have become pietic within the church, but their piety has not been manifest in society. And it has resulted in social discredit about the Church. So the Korean Church should learn from Wesley that piety must not remain in an abstract level. Furthermore, Wesley does not think that good deeds are merely a way to follow Christ’s spirit. Rather, he thinks that it is a way to deepen our spirituality, or a way of receiving the sanctifying grace of God. That is to say, pietic programs, such as worship, prayer, and Bible study, are needed, but only when good deed is added to them, can they really become the ways to sanctify us. If the Korean Church learns this point from Wesley, it will really become matured. In fact, the Korean Church has considers good deed to be important; so it has emphasized good deed and practiced it in many ways. It has provided the homeless with food, or built orphanages or old people"s homes. It has also served disabled people. But the Church has simply considered that kind of service to be a way of the Christian mission, but it has not thought that it is a way to receive the sanctifying grace. That is why it has merely regarded good deed as a secondary program in the Church. So when the Korean Church learns from Wesley why sanctification should be emphasized, and why we should make an effort to be sanctified after our experience of Justification. Moreover, when it learns from him why good deed is needed to be sanctified, the Church will become mature and gain social cred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