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조직신학"과 "교의학"의 학문적 관계성에 대한 연구 -바르트, 벌코프, 틸리케, 판넨베르크를 중심으로

        안계정 ( Kye Jung An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4 No.-

        한국의 신학교육에 있어서 ``교의학``이라는 용어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신 ``조직신학``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렇다면 조직신학과 교의학은 사실상 같은 개념인가? 현대 조직신학에 큰 영향을 끼친 바르트, 벌코프, 판넨베르크, 틸리케가 교의학과 조직신학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연구함으로써 이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바르트에게 교의학이 곧 조직신학이다. 교의학은 한 신학적 분과로서 "교회에 고유한 하나님에 대한 말함의 내용에 관한 기독교 교회의 학문적인 자기시험"이다. 바로 이 ``교회의 하나님에 대해 말함``이 ``도그마``인데, 바르트는 단수 ``교의``와 복수 ``교의들``을 구별한다. 교의는 교회적 선포와 성서 안에서 증언된 계시와의 일치이다. 또한 바르트는 윤리적인 문제를 교의학 안에서 통합적으로 취급한다. 벌코프는 조직신학과 교의학을 사실상 동의어로 취급한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과 ``교의``를 구분하는데, 교의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온 진리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진리가 엄밀한 의미에서의 교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교회가 이 교리적 가르침들을 공식화하고 공적으로 채택할 때만이 그것들은 교의가 된다. 교의학은 이 교의를 연구하고 해석한다. 판넨베르크는 교의학이 곧 조직신학이라고 주장한다. 판넨베르크는 "계시진리의 보편성"이 조직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고 천명한다. 조직신학은 근본적으로 기독교의 교리를 전체적으로 다루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의 요구를 거절하는 것은 아닌데, 판넨베르크는 이 문제를 종말론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조직신학이 다루는 기독교 교리의 진리문제는 근본적으로 종말과 그 예견에 달려있다. 틸리케에게 조직신학은 교의학과 윤리학의 통합적 개념이다. 기독교 신앙을 통해 교의학과 윤리학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고유한 독자성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의학과 윤리학은 각각 다루는 주제영역에서 구별된다. 교의학의 임무는 전통적인 기독교회의 교의를 해석하는 것이고, 윤리학은 그리스도인의 이 세계 안에서의 실존을 해석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신학교육에서 조직신학과 교의학은 학제적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조직신학은 성경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과 함께 신학이라는 전체 학문을 구성한다. 둘째, 교의학의 임무는 교회의 교의를 역사적으로, 조직적으로 기술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셋째, 윤리학은 조직신학의 한 분과로 인정되어야 한다. 특히 윤리적 문제가 첨예화되는 지금의 시대에 개혁주의 윤리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A Study on the scientific relation between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Centered on Barth, Berkopf, Pannenberg and Thielicke Kye-Jung An (Baekseok University, Systematic Theology) In the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 the term ``Dogmatics`` has been rarely used; instead the name ``Systematic Theology`` is in common. Are they actually same concept? This article will find a solution studying how some great theologians like Barth, Berkopf, Pannenberg and Thielicke understood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For Barth Dogmatics is Systematic Theology. Dogmatics as a theological discipline is the scientific self test of Christian church concerning its own saying about God. This saying of church is dogma, and Barth concerns strictly the singular ``Dogam`` from the plural ``Dogmata``. The Dogma is the coincidence between church preaching and revelation testified in the Scripture. And Barth deals with ethical problems within the Church Dogmatics. Berkopf actually understand Systematic Theology as Dogmatics. He distinguishes ``the Word of God`` and ``dogma``. Though the dogma is truth that comes from the Word, this truth does not become the dogma in strict meaning. They can be dogma only when the Church formalize officially these doctrinal teachings. Pannenberg insists that Dogmatics should be Systematic Theology. He makes it evident that the universality of revelation truth is the core problem of Systematic Theology. So it deals with Christian doctrines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but it does not refuse the demand on universality and generality of truth; Pannenberg tries to solve this theme from the point of eschatology. Therefore the truth problem of Christian doctrines which are the task of Systematic Theology is dependent fundamentally on the End and its anticipation. For Thielicke Systematic Theology is a integrated concept between Dogmatics and Ethics. They are connected each other through the faith, but their identity never goes in annulment. The Task of Dogmatics is to interpret the traditional dogma of Church; that of Ethics is also to expose the existence of Christian in the world. Finally this article suggest these themes: First,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should be distinguished interdisciplinary; the former consists the ``Wissenschaft`` theology with Biblical Theology, Historic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Second, the task of Dogmatics is to describe as well as to interpret the dogma of Church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Third, Ethics should be acknowledged a discipline of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because of this age in which ethical problems are sharpening the importance of a reformed Ethics becomes more and more greater.

      • KCI등재후보

        성서 신학, 더 이상 조직 신학의 토대가 아닌가?

        김동수(Dongsoo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1

        본 논문은 신학 분과에 있어서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에 있는 불통의 문제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지 않는데서 출발한다. 이것은 기독교 역사를 통해서 볼 때 최근 200여 년에 일어난 일이다. 그 이전에는 신학자는 곧 성서 해석자였고, 성서 주석자는 곧 신학자였다. 그런데 18세기 말 가블러가 성서 신학과 교의 신학을 나눈 다음, 급기야 나중에는 성서와 상관없는 조직 신학, 신학이 없는 성서학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철의 장막”을 문제로 본 성서학자들은 성서 신학을 제창했고, 조직 신학자들은 성서적 조직 신학을 외쳤다. 본 논문은 이 중에서 조직 신학자인 미로슬라브 볼프(M. Volf)의 성서를 신학적으로 해석한 것을 분석, 평가한 것이다. 분석 결과 그의 성서적 신학은 성서 여기저기에 있는 진리를 조직 신학자의 입맛에 맞게 요리해 내는 것도 아니요, 또 ‘성서 본문 주석-성서 신학-조직 신학’에 이르는 단계를 거치는 단절된 것을 연결하는 신학도 아니라는 것을 보았다. 그의 신학은 성서의 진리를 오늘의 되살리는 것으로 여기에는 주석과 해석과 실천이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신학하기는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과 단절은 물론 신학(이론)과 윤리(실천)의 단절도 좁혀준다. 이러한 볼프의 성서의 신학적 해석은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을 연결하거나 이것을 하나의 해석 체계로 만드는 하나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성서의 진리를 신학화를 통해 오늘의 상황과 삶까지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신학 내에서의 간학문적 연구의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학하기가 성서 신학과 조직 신학 사이에 그동안 있어왔던 “철의 장막”을 제거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볼 때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understanding that it is not normal for biblical scholars to have little conversation with (systematic) theologians and vice versa. This is a comparatively recent phenomenon for last 200 years in entire Christian history. Until that time, theologians were the interpreters of the Scripture; exegetes were theologians. Then W. Gabler distinguished biblical theology from dogmatic theology in late 18th century. This resulted in both systematic theology with having nothing to do with biblical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y of having no interest in theology. As a result there was “iron curtain” between them. It was a problem. That led to bear both biblical theologians with advocating biblical theology and theologians based on the Scripture. M. Volf is prominent among such systematic theologians, in that he has done his theology based on his principle of theological reading of the Bible more thoroughly than any other scholar of our time. His method is neither simply to collect data from the Bible nor to follow the model of ‘exegesis-biblical theology-systematic theology.’ Instead, he proposed a hermeneutics including all of them. He wants to make biblical truths for the practices for our time. This makes the gap shorten both between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an and between theology and ethics. This kind of biblical/theological hermeneutics is a model for one hermeneutics which include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Further, it connects theory into practice. In short, Volf was, I believe, successful in the interdisciplinary work between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his can make the “iron curtain” posed between them be discarded.

      • KCI등재

        양자의 교리: 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접근

        강웅산 ( Woong San K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4 No.-

        양자 교리는 개혁주의 구원론 논의 가운데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21세기에 이르러서도 양자 교리는 구원론 논의에서 종종 생략되거나 아니면 칭의 논의에 포함되기도 한다. 양자 개념은 사실상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오신 의미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약성경은 우리의 구원이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아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강조한다. 그런 정황에서 볼 때, 양자 교리의 활발한 논의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 논문은 양자 교리의 논의를 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방법론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제까지 독자들에게 익숙했던 논의와 차별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방법이란 계시의 역사성을 반영하는 논리적 논의 방식을 말한다. 구속사적(historia salutis) 성취에 기반을 둔 구원서정(ordo salutis)의 논의이다. 이 방법론의 특징은 형식(방법론)이 포함될 논의의 내용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직신학이 보다 더 성경의 소리를 담는 논의가 가능해진다. 우선 성경신학적 측면에서 양자 개념이 어떻게 점진적 진행을 하는지 살펴볼 것이고, 다음 그리스도가 아들 되심에 성도의 양자 권리의 기독론적 근거가 됨을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좀 더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양자 교리의 신학적 특징을 논하며 특별히 중생과의 연관성을 다룰 것이고, 신학과 삶의 유기적 일체를 강조하는 의미로, 실천적 의미(implications)를 언급하며 논문을 마칠 것이다. The doctrine of adoption is one of the least discussed areas within the tradition of Reformed Soteriology. Even in the 21st century it is often omitted from the discussion or at best treated together within the scope of justification. However, the adoption concept is indeed one of the central themes in the Bible and deeply connected with Christ`s earthly manifestation: the New Testament puts emphasis on knowing that Christ is the Son of the living God with regard to our salvation. From such point of view the discussion on the doctrine of adoption needs to be revitalized if not vitalized at all. It may be stressed here that this paper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with which the readers have been familiar in the sense that this paper treats the doctrine through the biblical-theological and systematic-theological method. What is meant by that method is a logical approach (systematic-theological) incorporat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biblical-theological) of the biblical revelation. It is ordo salutis based on historia salutis. A characteristic of this approach is that the form (methodology) determines what is to be covered for the content. As result, Systematic Theology may sound more like the Bible. This paper, first of all, will cover how the adoption theme progressively runs through the Bible from the biblical-theological perspective and, secondly, how Christ`s sonship may be the christological ground for our sonship. For the systematic-theological urge this paper will unpack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p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regeneration, in particular. Last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octrine will be suggested under the spirit that theology and life should be organically one.

      • KCI등재

        신천지에 대처하는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송지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2 복음과 실천신학 Vol.65 No.-

        그동안 신천지에 대한 교회의 대처는 신천지의 피해사례와 미혹 방 법 등만 배우는 미봉책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가장 중 요한 것은 성도들이 이단들의 거짓된 가르침에 대한 영적 저항력을 기 르는 것이다. 신천지의 성경 공부는 철저히 성경이 제시하는 구원관을 왜곡하여‘이만희가 이 시대의 구원자’라는 결론에 도달하도록 만드는 교리를 믿게 하는 성경관을 갖게 한다. 이러한 신천지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두 분과는‘성경신학’과‘조직신학’이다. 성경신학은 성경 전 체 이야기를 이해하게 하는 성경관을 위해 필요하며, 조직신학은 기독 교의 핵심 교리를 세우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 한 바른 이해는 하나님의 특별계시를 온전히 이해하게 하며, 건강한 기 독교 교리를 세우는 데 결정적이다. 따라서 목회자는 성도들이 그리스도가 중심이 되는 올바른 성경관에 기초한 구원관을 정립하도록 성경 신학과 조직신학을 가르쳐야 한다. 또한 설교자로서 언제나 본문에 충 실하되 그리스도 중심의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에 기초한 신학적인 설교 를 통해 이단에 대한 성도들의 영적 저항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한다. 본 연구는 신천지에 대처하는‘그리스도 중심’의 신학교육을 위한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핵심적인 논제를 제시한다. In the meantime, the church’s response to Shincheonji is only a stopgap measure that only knows the damage cases by Shincheonji and how they deceive, which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Christians develop spiritual resistance to the false teachings of heresies. Shincheonji’s Bible study thoroughly distorts the view of salvation presented in the Bible,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Lee Man-hee is the savior of this era’. The two divisions needed to cope with such Shincheonji’s beliefs are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his is because biblical theology is necessary for a biblical view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the entire story of the Bible, and systematic theology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re doctrine of Christianity. A correct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enables us to fully understand God’s special revelation, and it is crucial to establishing a healthy Christian doctrine. Therefore, pastors should teach their church members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so that the members can establish a view of salvation based on the correct view of the Bible centered on Christ. Also, as a preacher, who should be always faithful to the tex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spiritual resistance of the members against heresies through theological sermons based on Christ-centered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This study presents the core thesis of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for ‘Christ-centered’ theological education to cope with Shincheonji.

      • KCI등재

        ‘경건(敬虔, pietas)’에 관한 장신 조직신학자들의 이해에 대한 분석

        백충현(Chung-Hyun Bai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5 No.-

        장로회신학대학교(이하 장신대)의 학훈은 ‘경건(敬虔, pietas)과 학문(學問, scientia)’이다. 이종성 교수가 1971년 5월 19일 장신대 개교 70주년 기념예배에서 제10대 학장으로 행한 취임강연에서 이 학훈을 제창하였는데, 이것은 본래 장 칼뱅(John Calvin, 1509-1564)이 1559년에 설립한 제네바 아카데미(Geneva Academy)의 학훈이었다. 본 논문은 장신대의 개교 12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그동안 장신대에서 경건이 조직신학적으로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장신대 조직신학에서 주로 다루는 개혁신학자들, 즉 장 칼뱅,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칼 바르트의 경건 이해를 살펴본다. 그런 다음에 장신 조직신학자들 중 경건에 대해 다루었던 이들을 중심으로 어떻게 논의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김이태는 경건과 학문/지식이 서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에게 침투하여 혼연일체가 되어 하나의 신학을 이룸을 강조하였다. 둘째, 이수영은 칼뱅의 경건의 개념이 일차적 의미로서 수직적 관계와 부수적 의미로서 수평적 관계가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면서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와 순종을 부각시키고 그러한 경건의 꽃과 열매로서 예배와 기도를 강조하였다. 셋째, 김명용은 진정한 경건으로서의 사랑의 실천의 삶을 강조하여 곤경 속에 있는 자에 대한 사회적 및 경제적 책임을 감당할 것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기독교 사회봉사 신학을 제안하고 이 세상을 사랑과 평화의 공동체로 만들 것을 역설하였다. 넷째, 현요한은 경건과 학문이라는 표현 자체가 양자를 분리할 수 있음에 우려하여 경건과 학문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신학과 영성과 실천의 재연합으로서 하나님 배우기(테오마테시스)의 신학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최윤배는 칼뱅의 경건뿐만 아니라 부처의 경건을 연구하면서 부처를 따라 경건이 기독교인들이 함께 걸어 가야 할 전 과정임을 강조하고, 이 과정에서 신앙과 사랑이, 또는 교의학과 윤리학이 구별되지만 상호밀접한 관계 안에서 일치될 것을, 그리고 경건이 개인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공동체적 차원과 하나님 나라의 지평의 차원에로까지 확장될 것을 강조하였다. 그동안 장신대가 추구하였던 ‘경건’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본 논문은 경건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장신대가 앞으로 어떤 내용을 더 강조하고 보완해야 하는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장신대 안에서 ‘경건’에 대한 이해가 신학적으로 더욱 더 풍성해지리라 기대한다 The school motto of the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hereafter PUTS) is “Pietas and Scientia,” which Professor Jong-Sung Rhee advocated through his inaugural lecture as the 10th dean in the 70th anniversary worship service on May 19, 1971. It was originally the school motto of the Geneva Academy which was founded by John Calvin (1509-1564) in 1559. On the occasion of the 120th anniversary of PUTS, this paper attempts to summarize how pietas has been understood by systematic theologians.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minent Reformed theologians’ understanding of pietas such as John Calvin, Friedrich Schleiermacher, and Karl Barth. And then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systematic theologians of PUTS has discussed about pietas. First, Rhee-Tae Kim emphasized that pietas and scientia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become united to form a theology. Second, Sou-Young Lee stated that Calvin’s concept of pietas involves both a vertical relation and a horizontal relation, emphasizing the fear, reverence, and obedience of God, and also highlighting worship and prayer as a flower and fruit of such piety. Third, Myung-Yong Kim stressed the practice of love as the true piety, suggesting a theology of Christian social service to make the world a community of love and peace. Fourth, Yo-Han Hyun, being concerned about the possible separation between pietas and scientia, proposed a theology of learning God (theomathesis) as a reunion of theology, spirituality, and practice. Fifth, Yoon-Bae Choi, based on Calvin and Bucer, stressed that pietas is a whole process of Christian life. And he also emphasized that pietas should be extended to a community level and a horizon of the kingdom of God. This paper, after critically reviewing the contents of pietas within PUTS, tries to suggest what contents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supplemented in the future regarding pietas. In so doing, this paper would enrich PUTS’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ietas more fruitfully.

      • KCI등재

        한국 장로교의 "조직신학" 교육과 연구역사(1901-1980)에 대한 고찰: 평양신학교와 장로교 주요교단 신학대학원(고신/장신/총신/한신)을 중심으로

        김은수 ( Eun Soo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4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장로교 최초의 신학교인 평양신학교의 설립(1901)부터 이후 1980년까지의 제 1, 2세대 걸친 한국장로교 조직신학의 교육과 연구의 발전 역사를 통하여, 그 착근과 계승 발전의 과정 및 각 시대마다 주요신학적 특징적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우리 스스로의 지나온 역사를 면밀하게 살펴봄으로써 오늘 우리가 서 있는 자리를 보다 명확히 알 수가 있다는 것이며, 또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해 보기 위해서라도 너무나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짧은 논고에서 그 복잡다난한 한국장로교 조직신학의 발전 역사를 전체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분석하여 모두 담아 정리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연구의 한계와 어려움을 충분히 감안하면서, 본 논문에서는 일종의 ``매트릭스 방법``(Matrix methodology)을 사용하여 한국장로교 조직신학의 발전과 전개과정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연구의 범위를 제한함에 있어, 먼저 일차적으로 한국장로교 신학의 근간이 된 ``평양신학교``와 그것을 직접 계승하였거나 분리되어 설립된 ``4개의 주요 장로교단의 신학대학원``(고신/장신/총신/한신[가나다순])을 중심하여 연대기적으로 그 신학적 특색에 따라 발전/전개과정을 정리하며, 동시에 각 시대별로 주요 조직신학자들과 저작들, 그리고 중요한 신학적 주제/이슈들과 이와 연관된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통시적(계통적)인 발전과정을 밝히고, 또한 공시적으로 세계교회의 신학적 발전 및 전체적인 한국교회의 신학의 주요 주제/이슈들과의 상호 연관관계를 살피며 추적 정리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기대하는 바는, 한국장로교를 대표하는 각 교단신학의 계통적인 발전과정과 더불어 신학적 정체성과 특징들을 살피며, 또한 그것을 가능하게 한 주요 신학자들의 신학적 공헌과 특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본 논문을 통하여 우리는 "한국장로교 조직신학"이라는 전체적인 숲이 형성되어온 과정과 경관을 조망하면서, 동시에 그 숲을 이루는 각각의 지형적 특징과 그 속의 각종 나무들의 특색 있는 모습까지 가능한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ersue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department of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in the Korea Presbyterian Church, from 1901 to 1980. In doing so, I particularly focused on not only its primal found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its successions but also its major theological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clearly and precisely our own past history, in order to find out where we stand on now and where we have to go in the future. In this short study, however, we cannot search all over its very complicated history throughly as a whole, thus we cannot but deal with only its kernel points and the major theologians in the department of systematic theology. In addition to do this, I restricted my research scope to Pyengyang Theological Seminary, which was the first theological seminary in Korea, and its four major successive seminaries(Koshin, Chongshin, Jangshin, and Hanshin theological seminary). Futhermore, in its research methodology, I used a kind of ``matrix method``. In that case, first of all, I diachronically persue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systematic theology and its the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period. At the same time, I also try to analyze synchronically its major theologians and their works, the key theological issues, and its relations with the world theological situations. In doing so, we can more clearly found out their distinctive theological features, the important contributions as well as its limitations.

      • KCI등재

        마이어 펄만(Myer Pearlman)의 오순절 조직신학: 신학 방법과 태도에 관하여

        이진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2 영산신학저널 Vol.- No.59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logy of Myer Pearlman (1898-1943), which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heology of early Pentecostalism. In particular, Pearlman’s theology focuses on his Knowing the Doctrines of the Bible(1937), the first Pentecostal systematic theology book, and “At the Dividing Point of Two Age”(1934), which was published in The Pentecostal Evangel, an early Assemblies of God’s journal.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Pearlman’s theological methodology. And how this perspective contributed to the systematization of Pentecostal theology. Pearlman is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early years of the Assembley of God as a Pentecostal theologian and educator. Over the years, he was so influential within the denomination that his Knowing the Doctrines of the Bible was used as a standard textbook at many Pentecostal Bible institutes and universities. Nevertheless, he is an unfamiliar figure in the domestic Pentecostal theology community. Fortunately, however, his representative book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to Korea by a Reformed scholar as Understanding Christian Doctrine(1991). However, the translator does not introduce him as a Pentecostal theologian, only introducing Pearlman’s book, “This book systematically systematizes the fundamental truths of the Bible from an evangelical point of view and clearly and clearly states it”. And if you compare this translation with the primary source, it is unknown what the intention was, but the quotation and part of the text he used are missing and translated. As a result, I could not ignore this situation, and I had a research motive for it. And so far, most of the studies on Pentecostal theology have only summarized the development history or the approximate flow of characteristic theological themes. Therefore,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Pearlman’s theological methodology as a Pentecostal theologian and his theological attitude, who tried to overcome and systematize the theological conflict situation at the time. And it will be revealed that he is a person with the same value as the signal that officially declared the academic departure and development of Pentecostal theology. 본 연구는 초기 오순절주의 조직신학 발전의 초석이 된 마이어 펄만(Myer Pearlman: 1898-1943)의 신학을 다룬다. 특히 최초의 오순절주의 조직신학서인 그의 성경적 교리의 이해(Knowing the Doctrines of the Bible: 1937)와초기 하나님의 성회 교단 저널 오순절 복음(The Pentecostal Evangel)에 기고된 “두 시대의 갈림길에서”(At the Dividing Point of Two Age: 1934)를 중심으로 하여, 펄만의 신학 방법론이 가진 특징과 태도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관점이 오순절주의 신학의 체계화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다룬다. 펄만은 오순절주의 신학자로서, 그리고 교육자로서 하나님의 성회(Assembley of God) 에서 초창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수년 동안 많은 오순절 성경학교(Pentecostal Bible institute)와 대학에서 그의 성경적 교리의 이해가 표준 교과서로 사용될 정도로 그는 당시 교단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오순절 신학계에 안에서 그는 생소한 인물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그의 대표 저서인 성경적 교리의 이해가 한 개혁주의 학자에 의해 기독교 교리의 이해(1991)로 번역되어 국내에 소개되었다. 그런데 역자는 펄만의저서를 “이 책은 복음주의적 입장에서 성경의 근본적인 진리들을 조직적으로 체계화하여 평이하고도 일목요연하게 진술하고 있다”라고 소개할 뿐, 그를 오순절주의 신학자로 소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 번역서를 1차 자료와 비교해보면 어떤 의도에서 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사용한 인용구와 글의 일부분이누락되어 번역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상황을 좌시할 수 없었고, 그에대한 연구적 동기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오순절 신학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그것에 관한 발전사나 혹은 특징적 신학 주제들의 대략적인 흐름만을 요약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 오순절 신학의 주요한 신학자들을 개별적으로 심도 있게 다루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오순절주의 신학자로서 펄만의 신학적 방법론과 당시의 신학적 갈등 상황을 극복하고 체계화하려 노력했던 그의 신학적 태도에 대해 재조명한다. 그리고 그가 오순절주의 신학의 학문적 출발과 발전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던 신호탄과 같은 가치를 가진 인물임을 드러낼것이다.

      • KCI등재

        이승구 박사의 개혁파 조직신학 방법 연구

        안명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4 성경과신학 Vol.109 No.-

        이 논문은 개혁신학자 이승구 박사의 조직신학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그는 1990년 이후 한국교회와 한국 신학계에서 많은 활동을 하는 학자 중에 한 명이다. 그는 많은 학술서적을 번역했으며, 자신의 저서와 세계 신학계의 중요한 논문을 출판했다. 본 연구는 박윤선 박사, G. Vos, C. Van Til, 그리고 D. Wells의 영향을 받은 그의 개혁신학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그의 개혁신학의 전제, 원리, 방법,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그의 개혁신학이란 성경에 기초하고 있으며, C. Van Til이 사용한 그의 조직신학 방법론은 G. Vos와 함께 성경신학에 기초하고 있다. 그의 개혁신학의 특징은 하나님 주권을 강조하는 것, 성경에 충실한 조직신학을 추구하는 것, 공교회의 신조들에 매우 충실한 신학과 교회를 위한 신학을 추구하는 것, 언약 신학(covenant theology)을 중시하는 것, 그리고 하나님 나라 신학을 강조하는 것이다. 올바른 성경적 신학의 온전함을 이루기 위한 그의 개혁신학적 성경신학적 접근의 유익을 살펴본다.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thod on the Reformed Theology of Seung-Goo Lee. H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s in Korea who has influenced upon the Korea Church and the field of theology of Korea since 1990. He translated many academic book of theology, and published many books and the important articles in the global world of theology. This research is to show how to form his Reformed Theology influenced by Yune-Sun Park, G. Vos, C. Van Til, and D. Wells, to investigate the presupposition, principle,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his Reformed Theology. He insists that Reformed theology is based on the Scriptures, and his method of systematic theology used by C. Van Til is founded on the biblical theology with G. Vos. The characteristics of his Reformed theology are to show God’s sovereignty, to pursue systematic theology faithful to the Bible, to pursue theology very faithful to the creeds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ology for the church, to emphasize on covenant theology, and to emphasize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His Reformed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ical approach to achieve the integrity of correct biblical theology is a valuable legacy that passes on valuable values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 신학서론의 구조에 대한 고찰

        이윤석 ( Yoon Seok Lee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8 조직신학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핫지, 바빙크, 반틸, 스파이크만의 신학서론을 비교 연구하여 개혁주의 신학서론이 갖고 있는 특징을 파악하고, 21세기에 맞는 새로운 신학서론(prolegomena)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종교개혁 이후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에까지 신학서론은 매우 방대해졌고 지금도 그 유산을 딛고 신학서론이 전개되고 있다. 과거 수백 년간 발전되어온 신학서론은 주제를 다루는 방식이나 논증 방식이 너무 복잡한 면이 있다. 또한 최근의 신학적 발견이 포착한 신학서론 구성의 주요 원리들이 반영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는 비교 분석을 통해 신학서론 구성에 반영해야 할 시사점으로 5가지를 도출하였다. 그 시사점들은 창조주-피조물의 이층적 실재론을 전제할 것, 신학 지식의 유비적 특성을 제시할 것, 계시 수납의 수단으로서의 신앙을 강조할 것, 신학 작업의 도구로 신자들의 이성을 사용할 것, 간결하고 명료할 것 등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신학서론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필수 구성 요소를 4가지로 정하여 제시하였다. 그 구성 요소들은 신학의 개념, 신학의 방법, 계시의 특징, 성경의 속성이다. This paper investigated prolegomena of Hodge, Bavinck, Van Til, and Spykman comparatively, so as to find important features and to propose a better prolegomena structure. From the Reformation to the Reformed orthodox tradition, prolegomena had been enriched vastly. Even today’s prolegomena also are suggested based on those historical heritages. Although prolegomena developed during several hundred years up to now are too complicated in arraying subject matters and reasoning methods. This study found five implications to construct a better prolegomena structure. Those are ‘presuppose creator-creation two layer structure,’ ‘presuppose analogical characteristic of theological knowledge,’ ‘emphasize faith as a mean of receiving revelation,’ ‘use believer’s reason as an instrument to do theology,’ and ‘be succinct and clear.’ Finally, this study proposes four essential components necessary to prolegomena. Those are ‘the concept of theology’, ‘methods or principles of theology,’ ‘revelation,’ and ‘the Scripture.’

      • KCI등재

        전염성 질환의 범국가적 사태에 대한 기독공동체의 통전신학적 고찰

        김신구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전 세계를 범유행(Pandemic) 상황에 빠뜨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2019, COVID-19, 이후 ‘코로나 19’)의 창궐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기독교의 올바른 신학과 가치관을 모색하기 위해 현 사태를 성경 적, 역사적, 신학적, 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기독공동체는 어떠했 는지 그 통전의 역사를 찾아본 다음, 기독공동체가 세상과 더불어 건강한 종말론적 사고로 공존하도록 신학적 통전성을 도출하려는 데 있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 19로 나타난 사회적 논란의 대표적인 주제 곧 전염병 사태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는 조직신학 에서, 예배에 대한 공간과 현장성은 예배신학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동선에 관하여는 공공신학에서, 창조 세계와 하나님과의 연합에 관해서는 선교신학에서, 기독교와 정부의 관계적 측면에서는 정치신학 을 통해 다루면서 이러한 여러 신학적 입장을 통전성과 연결했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에서 기인한 통전신학은 선교적 입장에서만 다루어 질 것이 아니라 다른 신학과도 연결되어 논의될 때 통전성에 대한 신학적 학문성은 더 깊고 폭넓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ational and Christological countermeasure of Korean churches, which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outbreak of COVID-19 that has recently put the world in a pandemic situation.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ct theology and values of Christianity against the crisis of infectious diseases from a biblical, historical, theological, medical, and holistic perspective. It is to allow today’s churches and Christians to live in a healthy eschatological thought. In order to draw this purpose, I tried to find systematic, liturgical, public, mission, and political theological views by linking it with ‘Holistic theology.’ Theology should be able to answer questions in all circumstances hol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