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귀분석을 이용한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정선호,서동기 한국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5 No.1

        The goals of this article are to (1) describ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2) provide conceptual overview of how to examine each type of integration between mediation and moderation, including analytical strategy and interpretation of numerical results; (3) demonstrate how to analyze each using real data sets. The authors focus on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because it remain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assessing mediation and moderation in behavioral research. We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mitigate confusion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d thus can enhance the frequency of tests of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in the literature. 행동과학 연구자들은 흔히 회귀모형을 토대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를 통해 질적으로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최근에는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역할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위해 이들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시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자들이 이 통합모형의 개념적 구분과 분석절차의 적용에 있어 적지 않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연구모형과 통계모형 측면에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이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 회귀분석 접근법은 이 통합모형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단계적 분석방법을 따르므로 이론개발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본문에서 먼저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개념적 구분과 방법론적 배경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Baron과 Kenny(1986)가 처음으로 소개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James와 Brett(1984)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다회귀모형에 바탕을 두어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둘을 단일분석모형으로 통합한 Muller, Judd와 Yzerbyt(2005)의 회귀분석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이 접근법에 의해 각각의 분석전략과 검증방법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논의된 연구방법에 따라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PROCESS(Hayes, 2012)를 통해 보여준다. 저자들은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들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통합모형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도를 높이고 이론개발 단계에서 회귀분석 접근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경험연구를 수행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더 나아가, 그들이 이 논문을 기초로 경로분석 접근법(조건화 과정 모형)으로 연구방법의 폭을 넓혀나가기를 희망해 본다.

      • KCI우수등재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에 관한 종합적 고찰

        정선호,양태석,박중규 한국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8 No.3

        Baron and Kenny (1986) first proposed the term mediated moderation, to explore how and why the moderation effect occurs. Most researchers believe that Baron and Kenny (1986)’s model is the only mediated moderation method for analysis. In fact, there are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s (Type I, II and III) that have each been adopted as most appropriate in various research areas of behavioral science. However, few are aware of existence of these three types and their distinctive conceptual and statistical definitions. Additionally, to date there has been no source that provides an integrated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ical, statistical analyses to three types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It is our intention in this manuscri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accessible framework by which researchers examining mediated moderation models can effectively choose a valid conceptual model and statistical testing procedures. We first, define each of three types of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conceptual and statistical models and provide examples of each. Second, we discuss how the three types were derived from a single concept of mediated moderation model via the approach of Baron and Kenny (1986). Third, we describe the analytic procedure by examining each mediated moderation model based on a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approach with a real example, accompanied by a regression-based software, PROCESS (version 3.1). 행동과학 이론의 질적 성장에 따라 연구자들은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에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방법이 매개된 조절과 조절된 매개이다. 매개된 조절은 조절효과가 “왜” 또는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제 3의 변수인 매개변수를 통해 밝히고자하며 통계적으로 매개효과 검정에 해당된다. 그리고 조절된 매개는 매개과정(mediation process)이 조절변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통계적으로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정한다. Hayes의 PROCESS는 경로분석 접근법에 따른 조건부 과정분석(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위해 개발된 SPSS 매크로 프로그램이다. PROCESS는 다양한 통합 모형에서 조건부 간접효과를 용이하게 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성장과 맞물려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은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은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다. 매개된 조절의 활용이 저조한 대표적인 이유는 많은 연구자들이 매개된 조절은 조절된 매개와 통계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PROCESS를 활용한 자료 분석 절차도 동일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조절회귀분석(moderated multiple regression)에 기반을 둔 세 가지 유형(TypeⅠ, Ⅱ, Ⅲ)의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소개한다. 매개된 조절을 최초로 제안한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접근법(causal steps approach)을 활용하여 이들 유형에 대해 각각의 통계적 정의 및 자료 분석 절차를 논의한다. 먼저, 이들의 탄생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조절회귀모형에서 조절효과의 개념적 모형(conceptual model)과 통계적 모형(statistical model)의 차이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각 유형 별로 단계적 접근법에 따른 매개와 조절 모형의 통합과정, 통계적 모형,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PROCESS(Version 3.1)를 활용한 Type III 매개된 조절효과 검정 절차를 예시한다. 연구자들이 연구 배경과 연구 문제에 따라 적합한 조절효과 모형과 매개된 조절효과 유형을 선택하고 타당한 절차에 따라 검정을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한 연구

        김소영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influence and relationship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social capital building,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core of social network service learning as collaboration and self-directed tendency. A total of 91 students taking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Facebook class activities, composed of team discussion projects and information sharing sessions, along with a 13 week offline course. A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tivational regul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outward looking and individual benefit in social capital building. In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regulation in metacognitive strategies had significant canonical relationship with broader group, and the achievement value in motivational 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utward looking. The study time management and behavioral control in behavioral regulation impli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broader group and meeting new people. These results suggest social capital building could be facilitated by motivational regulation, with the caution of the negative influence of behavioral control over social capital building. In details, the regulation in metacognition and the achievement value in motivational regulation have relationships with the tendency of making group broader as well as learners’ perspective further outward.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 학습의 핵심이 협력적 관계와 자기주도적 성향에 있다고 보고, 사회적 자본 형성에 대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갖는 영향과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에서 동일한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총 91명의 대학생들이 13주간 오프라인 강좌와 함께 팀 토론과 정보 공유 활동 등으로 구성된 페이스북 활동에 참여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이 사회적 자본 형성의 외부적 시각과 개인적 이득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어 정준상관분석 결과, 메타인지전략의 조절이 사회적 자본 형성의 그룹 확장과 정준관계를 보였으며, 동기조절의 성취가치는 외부적 시각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행동조절의 학업시간관리 및 행동통제력은 그룹 확장 및 새로운 인맥 형성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네트워크 활용 학습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동기조절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세부적으로 자기조절학습에서 메타인지 조절 능력과 동기조절의 성취가치가 사회적 자본형성에서 그룹을 확장하고 자신의 외부로 시각을 확장하는 경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수준의 행동조절 능력이 오히려 사회적 자본 형성과 상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관광․호텔 분야의 조절회귀분석: 3단계 위계적 절차 사용이 필요한가?

        김진후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6

        Moderation analysis is conducted frequently because it helps to better understand human behavior and social phenomena. Korean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investigating moderation effects often uses a three-step hierarchical variable entry procedure, which incorporates an independent variable first, moderator variable next, and the interaction term last in a regression model. Reviewi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for 2016-2018, this study examined how often this procedure was used, what problems it had, and how it should be changed to test moderation properly. Results include: (1) the three-step hierarchical procedure was widely used; (2) the procedur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derator variable mus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for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o exist; and (3) the three-step procedure has no theoretical basis and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missing moderation when in fact it exis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urges researchers to discard the idea that the three-step procedure is necessary in testing moderation. Using the procedure itself may not be wrong, but whether the independent or moderator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first- and the second-step models should not affect determining moderation effects between them. 조절효과 분석은 인간 행동이나 사회 현상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자주 수행하는 분석이다. 그런데 관광․호텔 분야 국내 연구가 회귀모형을 사용해 조절효과 분석을 할 때 독립변수, 조절변수, 상호작용항을 하나씩 차례로 투입하는 3단계 위계적 절차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3년간 관광학연구에 실린 조절효과 분석 논문을 검토해 그러한 절차가 얼마나 자주,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며, 거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논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절차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관광․호텔 분야 국내 연구에서 하나의 규범처럼 널리 쓰인다. 둘째, 이 절차는 독립변수, 조절변수의 주효과가 존재할 때에만 조절효과가 존재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독립변수, 조절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면서 각각의 주효과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이 방법은 그 이론적 근거가 없고, 실제로 존재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조절효과를 검증할 때 3단계 위계적 변수 투입 절차가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주장한다. 즉, 3단계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조절효과 검증을 잘못했다고 비판해서는 안 된다. 연구 목적상, 또는 논리 전개상 필요해 3단계 위계적 방법을 사용해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그때도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가 각각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절효과 존재의 필요조건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한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분석 : 2014-2015 정규리그

        김세형,Kim, Sae Hyu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4

        이 연구는 일반선형모형에 이원변량분석과 위계적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2014-2015 정규리그 270경기)을 분석하였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3점슛시도에서 승패와 홈원정 집단간에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변인들 (2점슛시도, 어시스트, 속공, 선수교체)은 모두 승패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홈원정경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어시스트는 3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으며, 속공은 어시스트가 2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반면 어시스트는 2점슛시도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그리고 속공은 어시스트가 3점슛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수교체는 2점슛시도, 3점슛시도 그리고 어시스트가 총득점에 미치는 영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ords of Korean pro-basketball using general linear model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 Basketball League (KBL) informed the records (2014-2015 season) of this study. The eight variables (TA, 2PA, 3PA, 2P, 3P, Ast, TFB, CH) were selected in content validity.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general linear model. All alpha level was set at 0.05.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3PA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victory & defeat variable and home & away variable. Victory teams showed that 3PA was higher in home games than away games, and defeat teams was the other. 2PA, AS, TFB, and CH were selected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victory and defeat. In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st ha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between 3PA and TS. TFB also ha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between AS between 2P. The other construct (Ast between 2PA and TS; TFB between AS between 3P) had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In the effect of 2PA, 3PA and Ast to TS, CH also had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 KCI등재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한 경찰조직 효과성에 관한 연구 : 포터와 롤러의 통합모형을 활용한 조직공정성을 중심으로

        이정훈(Lee, Jung Hu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1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특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조직공 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찰공무원들의 행위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체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동기부여 과정이론인 포터와 롤러의 통합모형을 활용하여 개인특성과 직무특성으로 먼저 구분하고 조직공정성을 매개변수가 아닌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해 봄으로써 경찰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방안들을 제시 하였다. 경찰조직 특성으로 경찰공무원의 개인특성(인구사회, 인적자본)과 직무특성(경찰역할, 업무환경)으로, 조절효과로써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을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이라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영향관계를 조절회귀분석 방법으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개인특성(연령, 계급, 근무부서)과 직무특성(경찰역할, 업무환경)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조절변수인 조직공정성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직몰입의 경우 개인특성(성별, 재직기간, 입직경호, 근무부서)과 직무특성(업무환경)만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조절효과로서는 역할공정성이 부적관계를 환경공정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Police Organiation. To attain this purpose, two variables - two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two Job Organizational culture as an exogenous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n endogenous variable and three Organizational Justices based on the Greenberg's theory as a moderator variable - were used for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696 Police Officials for empirical analysis. Techniques used in alalyaing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PSS 19.0 for windows programs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While the existing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show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n find its meaning in examining not onl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oderator variable to verif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in term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showed a relatively high modulating effect. Also,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strong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this study was not able to go beyond the level of analysis of the eqisting studies with some limitations.

      • KCI등재

        의지통제, 정서조절과 자기조절학습 관련성 탐구

        민시은,양명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스스로 학습을 시작하고 조절하며 유지해 나가는 자기조절학습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학습자 특성 중 하나이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하여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학습자의 의지통제나 정서조절이 자기조절학습과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612명, 고등학교 5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나라 중ㆍ고등학생들의 학업상황에서의 의지통제, 정서, 정서조절을 탐색해보고 자기조절학습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중ㆍ고등학생들은 장기적 만족 보다는 즉각적 만족을 더 하는 경향이 있고 학업과 관련하여 긍정정서보다 부정정서를 더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지통제와 정서, 그리고 정서조절을 하나의 모델에 포함하여 자기조절학습을 예언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세 심리적 특성은 모두 자기조절학습을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특히 의지통제와 정서조절은 자기조절학습의 세 차원에서 일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들의 의지통제, 정서, 정서조절전략 등도 함께 고려할 때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해준다. 학교교육은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이나 의지통제에 대해 주목하고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Recently, self-regulated learning has been wisely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n school contexts. Self-regulated learners understand when and how to utilize strategies that increase persistence and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olitional control, emo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The sample was 1,320 students (612 middle school, 512 high school). The result with analysis of regression reveals volitional control, emotion, emotional regula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predict students’s self-regulated learning. It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high volitional control, positive emotion, emotional regulation in academic context are highly motivated and use various learning strategies effectively, voluntarily.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provided. The current study shows that students with higher volitional control and emotional regulation have hig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se findings gi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emotion and volition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in school contexts.

      •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 및 영향인자 분석

        김현중 ( Hyunjung Kim ),안현욱 ( Hyunuk An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한국농어촌공사는 ‘95년∼’17년까지 저수지, 양·배수장, 방조제 등 안전진단사업에 국고 2,525억원을 투입하여 5,792개소에 대해 안전진단을 완료하였으며, 2015년부터 정밀안전진단 전 조사지구에 대해 저수지 추적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15년∼’17년까지 정밀안전진단한 773개소 중 공사에서 자체 진단한 221개소의 저수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 효과와 영향인자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 14, 경남 26, 경북 48, 충남 22, 전남 54개소 등 총 221개소이며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개발한 FCSR(Flood Control System for Reservoi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홍수조절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총저수량, 유역면적, 만수면적, 도달시간, 유역 평균폭, 형상계수)를 결정하고, 홍수조절 효과와 영향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 홍수조절 비율과 영향인자 사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홍수조절 효과와 영향인자 사이의 관련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수백개소에 이르는 설계 및 진단 외주용역 결과에 대한 개략적인 검증 기능으로 활용 가능하며, 농업용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지천 및 소하천의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여 하천 기본계획 수립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 영향인자 분석

        우재열 ( Jaeyeoul Woo ),최재희 ( Jaehe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농업용저수지 정밀안전진단에 적용하는 홍수량 기준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필댐편), 2002.』에 따라, 저수지의 물넘이 설계에 사용되는 홍수량은 200년 빈도 홍수량, 기왕최대홍수량, 지역최대홍수량 중에서 큰 값을 선택하며 필댐의 경우 이 값에 20%를 가산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수로의 설계기준 홍수량으로 필댐의 경우, 200년 빈도의 저수지 유입홍수량의 120%를 채택하여 저수지 추적에 의한 방류량으로 적용하고 있다. 저수지 추적에 의한 방류량은 저수지의 저류효과로 홍수조절 기능을 하여 유입량보다 방류량이 적으며, 이 방류량은 저수지 단면검토 홍수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용저수지의 홍수조절 효과는 유입홍수량에 대하여 유역면적, 만수면적, 도달시간 및 저수지 규모 등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업용저수지 홍수조절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농업용저수지는 2015년 한국농어촌공사 기술안전품질원에서 자체 시행한 73개의 농업용저수지 정밀안전진단 지구를 선정하였으며, 홍수조절 효과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홍수조절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총저수량, 유역면적, 만수면적, 도달시간, 여수토 규모 등)를 결정하고, 홍수조절 효과와 영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2. 상관관계가 높은 인자를 대상으로 홍수조절량 사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홍수조절량과 영향인자 사이의 최적의 관련식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reservoir routing factors (e.g., total storage, watershed area, area of full water, time of concentration, spillway size) for agricultural reservoir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servoir routing volume and reservoir routing factors (e.g., total storage, watershed area, area of full water, time of concentration, spillway size) were conducted. 2.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reservoir routing volume were expressed as the functions of reservoir routing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