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자관계에서 조절초점부합과 과제요구가 공동수행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덕웅,양모현,표승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fits among dyad and task demands upon partner choice in collective task.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igher the regulatory focus among self, partner, and task demands, the higher the choice as the participant's partn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2 self-regulatory focus(promotion vs. prevention) × ⑵ regulatory focus-fits between self and partner(fit vs. nonfit) × 3 task demands(promotion vs. prevention vs. mixed strategy) randomized mixed factorial design. Self-regulatory focus was measured by two self-regulation scales and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or high-prevention focus were selected. Regulatory focus of two potential partners were manipulated by two questionnaires. The task demands were framed in terms of the task performance strategies. Ninety eigh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in hypothesis of regulatory-fits were confirmed: ⑴Participants chose good-fit partners more than poor-fit partners. ⑵Higher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consistently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focu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ask demands. But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differently appeared according to the task demands. ⑶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self-partner regulatory fits and task demands were also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gulatory focus-fit hypothes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ed. 본 연구에서는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공동으로 집합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자기와 상대의 만성적 동기지향성인 조절초점과 아울러 과제에서 요구하는 전략이 서로 부합하는 수준에 따라서 상대의 선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하여 알아내었다. 조절초점부합가설을 대인관계로 확장하여 양자관계에서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에 부합하는 상대일수록 많이 선택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먼저 자기의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향상조절초점과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제시한 다음에 자신과 공동수행을 함께 할 상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⑴자기와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이 부합하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사람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이 현상은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에서 모두 일관되게 나타났다. ⑵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상대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⑶과제수행의 전략으로 향상과제, 예방과제 및 복합과제의 세 과제요구에 따라서 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선택한 반응이 달라져서 3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향상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과제요구와 상관없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많이 선택한 바와 달리 자기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예방과제에서만 이 현상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들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절초점 동기가 의사결정의 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최진명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논집 Vol.21 No.2

        본 연구는 조절초점의 동기(성취초점과 안녕초점)가 의사결정의 수단을 선택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비자 의사결정의 맥락으로 활용된 것은 구매를 앞 둔 소비자의 사용자후기 소비 상황이었다. 두 차례의 연구(조절초점을 측정하거나 조작)를 통해 참가자들이 어떤 식으로 사용자후기를 선택하는지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인도네시아 발리 여행을 상상한 뒤, 제시된 12개의 야외활동들 중 체험하고 싶은 활동을 선택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처음 6개를 선택한 뒤 그 중에서 다시 3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그 후 가장 먼저 읽고 싶은 후기의 대상 및 그 내용은 무엇인지를 세 차례에 걸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초점지향은 선호 대안(최종 선택된 3가지 활동에 관한 후기)에 관한 후기를 보다 많이 선택하였으나 안녕초점지향은 차선호 대안(6개에는 선택되었으나 최종 3개에는 포함되지 않은 활동에 관한 후기)의 후기를 보다 많이 선택하였다(가설 1). 선택된 후기의 내용에 관해서는, 성취초점지향은 열망후기(긍정적 결과의 존재나 부재에 관한 후기)를 선택한 반면, 안녕초점지향은 경계후기(부정적 결과의 존재나 부재에 관한 후기)를 보다 많이 선택하였다(가설 2). 이 결과는 참가자들이 처음 선택한 사용자후기와 세 번에 걸쳐 선택한 사용자후기를 대상으로 분석을 따로 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의 의의를 조절초점이론의 이론적 측면과 마케팅 전략의 실무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at how regulatory focus influences consumers to adopt means for goal achievement in the context of consumers’ consumption of online review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e by assessing the participants’ regulatory focus and the other by manipulating it. In the experime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imagine planning a Bali (a famous island in Indonesia) tour. Then they were involved in the task of selecting some fun outdoor activities for their stays in Bali. Among 12 activities, they first chose 6 ones and among which three final ones were chosen. Nex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which review they want to consume in terms of both the target activity (H1) and the content (H2)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promotion focused (prevention focused) were more likely to select the review of preferred (less preferred) activities. In addition, Promotion focused (prevention focused)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eagerness (vigilance) review. The implications for regulatory focus theory and marketing strateg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이론적 고찰을 통한 전제(proposition)도출

        임종훈 ( Jong-hun Lim ),이홍 ( Hong Lee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1 혁신기업연구 Vol.6 No.3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 연구에 있어서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는 핵심 변수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따라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나 이는 현실과 동떨어진 결과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조직내부에서의 창의적 과업을 개인의 재미나 흥미라는 내재적 동기로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기 위해 본 연구는 조절초점 이론에 집중하였다. 해당 이론은 기존의 내재적이나 외재적 동기와 달리 개인의 목표지향성에 따라 창의성 활동과 같은 조직 내 행동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목표 지향성은 내재적 또는 외재적 동기 모두로부터 영향 받을 수 있음이 특징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조절초점의 두 지향변수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이 서로 다른 독립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즉, 향상초점은 창의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예방초점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두 조절초점 모두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이들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도 주목하였다. 이는 조직에서의 창의적 활동은 개인의 선택의 문제가 아닌 의무적 활동이 되어가고 있음에 기반 한다. 모든 조직에서의 구성원들은 최소한의 예방초점은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조직이 향상초점에 대한 자극기재를 작동시킨다면 예방초점과 향상초점은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향상 및 예방초점에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탐색도 본 연구에 포함된다. 이들에 대한 이론적 전제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Recently organizations place its primary importance of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order to survive in increasingly turbulent business environment. In this vein,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their interests i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explaining organizational creativity. However, this approach has revealed limitations that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on creativity is overly emphasized and extrinsic motivation is considered as less important compared with intrinsic motivation. In order to correct this limitation,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taken an interest in regulatory focus,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background that explains creativity without the concep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Regulatory focus is defined as having two sub dimensions of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Contrary to the existing motivational theories, the regulatory focus theory can explain individuals’ creativity according to their goal orientation. Studies using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predicts that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independently impact creativity: promotion focus positively influence creativity and prevention focus negatively influence creativity. This study defies this prediction. Rather, this study posits that promotion and prevention not only independently but also interactively impact creativity positively. In addition, antecedents of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a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propositions on this arguments theoreticall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조절초점 프로파일별 학습자 특성 분석

        허윤석(Yun Seok Heo),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조절초점 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프로파일 분포의 차이를 살펴보며, 각 프로파일별 학습자 특성 즉, 성취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군집분석을 활용하여서 향상(promotion)및 예방(prevention)초점으로 구성된 조절초점의 프로파일이 몇 가지로 유형화 되는지 파악하고, 도출된 프로파일별로 성취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D광역시 소재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70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조절초점 프로 파일은 ``높은 이중초점형``(31.9%), ``향상초점형``(27.0%), ``예방초점형``(27.8%) 및 ``낮은 이중초점형`` (13.3%) 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프로파일 분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조절초점 프로파일에 따른 성취정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즐거움은 ``높은 이중초점형``과 ``향상초점형``에서, 지루함은 ``예방초점형``과 ``낮은 이중초점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은 ``예방초점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정적정서와 정적효능 및 대인관계는 ``높은 이중초점형``과 ``향상초점형``에서, 부적정서와 부적효능은 ``예방초점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장면에서 학습자의 조절초점 유형 분석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조절초점 구인을 다루기 위한 연구 방법론 및 조절초점 프로파일별 맞춤형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student profiles emerged from Regulatory Focus in Korean samples of the 5-6th graders. Additionally, profile differences in terms of achievement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examined, as well as differences in student profiles by gender and grade. The subjects were 270 5-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Four groups of students with unique regulatory focus profiles were identified by a cluster analysis: (a) high-dual focus group(31.7%), (b) promotion focus group(27.0%), (c) prevention focus group(27.8%), (d) low-dual focus group(13.3%). The profile differences by gender and grad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bserved differences in achievement emotions indicated that high-dual focus and promotion focus group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njoy. But, prevention focus and low-dual focus groups were related to boredom. And prevention focus group was more related to anxiety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o observed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indicated that high-dual focus and promotion focus group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affect, positive efficacy and inter-relatedness. But, prevention focus group was more related to negative affect, negative efficacy than promotion focus group.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regulatory focus theory in educational sett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K-MOOC 수강 의향과 유용성 지각에 수강 독려 지도 문구와 개인의 조절 초점이 미치는 영향

        김현정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ypes of regulatory focus of students and advocacy messages to lead students to engage in K-MOOC learning influence students' intention to learn from K-MOOC and perceived usefulness. Results show that promotion-focused students are more likely to show a higher intention to learn from K-MOOC when they are exposed to promotion-oriented messages than when they are exposed to prevention-oriented messages. On the other hand, prevention-focused students are more likely to show a higher intention to learn from a K-MOOC when they are exposed to prevention-oriented messages than when they are exposed to promotion-oriented messages. Also, the perceived usefulness of K-MOOC decreased after students had taken a K-MOOC class only when the types of regulatory focus of students and advocacy messages did not match.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교육 방법인 K-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수강 독려를 위한 지도 문구의 조절 초점과 개인의 조절 초점 성향이 K-MOOC 수강 의향 및 유용성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 결과, 지도 문구의 조절 초점과 개인의 조절 초점 간 상호작용이 K-MOOC 수강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향상초점 성향의 학생들은 향상초점 지도 문구를 접했을 때 예방초점 지도 문구를 접했을 때 대비 더 높은 K-MOOC 수강 의향을 나타냈고, 예방초점 성향의 학생들은 예방초점 지도 문구를 접했을 때 향상초점 지도 문구를 접했을 때 대비 K-MOOC 수강 의향이 더 높았다. 또한 지도 문구의 조절 초점과 개인의 조절 초점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K-MOOC 수강 후 유용성 평가가 감소하지 않는 반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K-MOOC 수강 후 유용성 평가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생 개인의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지도 전략이 학생들의 자발적 학습 동기 부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학생 개인의 조절 초점과 일치하는 지도 방법이 학생들이 새로운 학습 방식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 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가격할인의 추가 정보 유형(언어 vs. 비언어)이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정민(Jang, Jung-Min),이진화(Rhee, Jin-Hwa)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5

        소비자의 가격할인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는 제조기업의 광고나 유통기업의 판매촉진 등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루어져 오고 있다. 특히 가격할인을 소비자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관한 이슈는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와 직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쇄광고 상황에서 가격할인 정보와 함께 제시되는 추가 정보의 표시 방식을 언어적(e.g. 글)?비언어적(e.g. 그림)으로 구분하고, 이 두 표시 방식이 소비자 인식(가격할인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조절초점(regulatory focus)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연구 결과, 예방초점의 소비자들은 가격할인에 대하여 비언어적(vs. 언어적) 정보가 추가된 경우 가격할인에 대하여 더 매력적으로 지각한 반면, 향상초점의 소비자들은 언어적(vs. 비언어적) 정보가 추가된 경우 가격할인에 대하여 더 매력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연구되어 온 언어적, 비언어적 자극의 정보처리 문제를 가격 할인 정보전달과 같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용하고, 이론적으로 설명하여, 실증적으로 그 차이를 검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실제로 여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언어적?비언어적 표시 방식의 효과가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라 다름을 확인함으로서 가격할인표시 방식의 세부 활용 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formation processing of consumer’s price discoun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formulating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manufacturers’ advertising and distributors’ promotions. Especially, issues of how to communicate price discounts to consumers directly impact firm’s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We divide two modes of presentations - linguistic (e.g. number, letter) and nonlinguistic (e.g. picture) - and aim to find how the effects of these two modes of presentations on consumer perceptions of discount attractiveness differ with consumers" regulatory focus. Results from an experiment reveal that the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find discount information more attractive when non-linguistic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whereas promotion focused consumers find it more attractive when linguistic information is offered in addition. We conclude the paper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

      • KCI등재후보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

        이현숙(Hyeon Sook Lee),주소현(So-Hyun Joo)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2

        본 연구는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으로서 성향적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은퇴준비 태도 및 행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향적 조절초점은 가계의 월 평균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해석수준은 성별, 연령, 자녀유무,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보다는 여성일수록, 가계의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은퇴준비태도가 높으며, 30대 보다는 40대, 미혼자보다는 기혼자, 학력이 높을수록, 가계의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그리고 은퇴준비교육을 경험해본 사람일수록 은퇴준비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향적 조절초점은 은퇴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해석수준에 근거한 시간적 거리는 은퇴준비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은퇴준비태도에는 성별, 성향적 조절초점, 시간적 거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은퇴준비행동에는 은퇴준비태도, 연령, 최종학력, 가계의 월 평균 소득, 은퇴준비교육, 성향적 조절초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심리적 요인으로 성향적 조절초점과 해석수준이론에 근거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의 은퇴준비 태도와 행동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은퇴준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젊은 세대들의 은퇴준비 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정책과 지침 마련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tirement attitud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level theor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sample between 30s~40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the only demographic factor that influenced the respondent’s regulatory focus was his/her monthly incom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one’s construal-levels were his/her gender, age, whether with children or not, and their jobs. Second,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planning scores were higher for women and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And the older, the married,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nd those who experienced retirement planning education had higher retirement planning behavior scores. Third, one’s regulatory focuse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tirement planning behavior, while the construal-levels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Forth, one’s gender, having a promotional focus, and a low-construal-level significantly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retirement planning. Having a higher retirement planning attitude scores,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having retirement planning education, and having a promotional focus affected the retirement planning behavior.

      • KCI등재

        조절초점 효과에 대한 주가 기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이능력,구자숙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 연구 주제: 본 논문에서는 조절초점효과와 주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향상초점과 방어초점이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주가에 대한 기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한다. · 연구 배경: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아지면서, 사람들의 투자의사 결정이 점점 더 복잡하고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여러 요인들이 각각 변함에 따라 투자 대상 및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은 계속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내하고, 이로 인한 이득 또는 손실에 대한 예측도 정확히 하지 않은 채 투자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사람들의 심리적인 요인을 펀드 투자 요인과 결합하여 연구함으로써, 재무관리 분야에 심리학적 요소를 도입한 융합연구이다. 둘째, 개인의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펀드 가입 가능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였다. 셋째, 계층적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위해, 한국투자자교육재단에서 한국리서치를 통해 실시한 2007년 펀드투자자조사 설문자료를 활용하였고, IBM SPSS version 29에 의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에 앞서, 변수의 설명력을 검증하고 모형 적합도를 테스트하였으며 조절초점과 펀드유무에 대한 빈도분석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본 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가에 대한 기대 심리는 재무 위험 감수 성향과 펀드가입 여부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주가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을수록 재무 위험 감수 성향이 펀드가입 여부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상초점을 가진 사람들은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펀드 가입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향상초점이 펀드 가입율을 높이는 관계에서 주가에 대한 기대심리가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향상초점을 가진 사람들이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펀드 가입률이 높아지는 관계는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기대할 때 더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는 조절초점과 주가심리가 펀드 가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이를 통해 두 요인이 투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둘째,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투자자에게 조절초점과 주가심리의 역할을 설명함으로써,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투자 전략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재무관리 분야 연구에 심리학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융합연구로 가치가 있으며, 후속 연구자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topics: In this paper,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effect of moderating focus and stock price sentiment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It verifies the effect of improvement and defense focus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and also verifies the effect of expected sentiment on stock prices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 Research background: In a complex modern society, people's investment decision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fficult as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investing. In addition, as various factors change, uncertainty about the investment target and situation continues to grow. Investors are making investment decisions without accurately predicting the benefits or losses resulting from these uncertainti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First, it is a convergence study that introduced psychological factors into the field of financial management by studying people's psychological factors by defects with fund investment factors. Second, it was investigated how th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joining the fund was observed according to various demographic factors of individuals. Third, more reliable research results were presented through hierarchical logistic analysis. ·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for empirical analysis, data from the 2007 Fund Investor Survey conducted through Korea Research by the Korea Investor Education Foundation were us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IBM SPSS version 29. Prior to hypothesis verifica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verified, the model fit was test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control foc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unds was also conducted. ·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Expectation sentiment for stock prices has been verifie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isk-taking propensity and whether or not to join the fun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pectation sentiment for stock prices, the more positive (+) effect the financial risk-taking propensity has on whether or not to join the fund. And. Those with an improvement focus showed a higher fund subscription rate than those with a prevention focu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ctation sentiment of stock prices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improvement focus increases the fund subscription rat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fund subscription rate increases for those with an improvement focus compared to those with a prevention focus increases when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rise. · Contributions and expected effects: First, this study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trol focus and stock price sentiment on the possibility of joining the fund. Through th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were presented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two factors on investment decisions. Secon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explain the role of control focus and stock price sentiment to investors, thereby providing better information fo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and help them build investment strategies accordingly. Third, this study is valuable as a convergence study that considers psychological factors in research in the field of financial management, and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ubsequent researchers.

      • KCI등재

        고객의 조절초점 성향과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중심으로

        박은영 한국지식경영학회 2024 지식경영연구 Vol.25 No.2

        최근 개인정보 공유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가 높아지면서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점점 어 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을 이용하여 고객의 정보 제공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요인 을 탐색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버시 계산이론과 조절초점 이론을 바탕으로 고객의 성향과 생성형 AI 챗봇 에 대한 친숙도가 고객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473명의 참가자를 이용한 실험 결과 에 따르면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경우, 예방초점 성향의 참가자가 향상초점 성향의 참가자보다 프 라이버시 위험을 높게 인식하고 유용성을 더 낮게 지각한 반면,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경우, 예방초점과 향상초점 참가자 간의 프라이버시 위험과 인지된 유용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정보 제공의도 역시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경우, 향상초점 성향의 참가자가 예방초점 성향의 참가자보다 개인정보 제공의도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챗봇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경우, 예방초점과 향상초점 참가자 간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는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는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위험에 의해 매개되었다. 본 연구는 고객의 개인정보 공개를 촉 진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내재적 성향과 함께 생성형 AI 기반 챗봇에 대한 친숙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며 더불어 생성형 AI 챗봇에 대한 관련 연구 분야에 기여한다. 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personal data privacy have complicated the acquisition of customer data through online marketing.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influencing customers' willingness to disclose information via a generative AI-based chatbot. Drawing 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regulatory focus theory, we explore how customer regulatory focus and familiarity with the generative AI-based chatbot shape disclosure intentions. Our study, involving 473 participants, reveals that low familiarity with the chatbot leads individuals with a prevention focus to perceive higher privacy risks and lower perceived usefulness compared to those with a promotion focus. However, with high familiarity, these differences diminish. Moreover, individuals with a promotion focus show a greater inclination to disclose information when familiarity with the generative AI-based chatbot is low, whereas this regulatory focus does not significantly impact disclosure intentions when familiarity is high. Perceived privacy risks mediate these relationship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familiarity with the generative AI-based chatbot in facilitating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