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손가정 실태에 대한 공법적 검토-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박선희(Park, Seon-Hui),조계표(Cho, Kye-Pyo)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5 No.-

        조손가정의 형성원인은 가족기능약화, 가족해체 등 복합적이고 다양하다. 특히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이혼율의 증가추세는 조손가정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조손가정만을 위한 지원체계가 없어 조부모와 손자녀의 다양한 욕구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조부모에 대한 지원이 최소한에 그치고 있어 경제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양육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정신건강상태와 양육태도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조손가정만을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노인과 아동기관과의 연계와 함께 체계적인 통합성을 지향하는 지원홍보, 가족기능강화 및 가족재결합 등 포괄적인 복지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구조로 인해 새롭게 등장한 가족형태의 조손가정 실태와 지원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제공되는 지원정책서비스의 한계점과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re complex and diverse, including family weakening and family dismantling. Especially 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situation, the increasing trend of the divorce rate is the biggest cause to increase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In Korea, there is no support system for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t present, so various need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are not reflected. In addition, support for grandparents is at a minimum, not only economic difficulties but also negative mental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s due to parenting stress. Therefore,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s such as support promotion, family function reinforcement, and family reunification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legal grounds only for grandparents and to link the elderly with child institutions and systematically integrat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newly emerged family – type grandparents and support policies due to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suggest the limitations and support measures of the support policy services provided.

      • KCI등재

        조손가정 지원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아동・청소년 지원을 중심으로 —

        유혜경 한국사회법학회 2024 社會法硏究 Vol.- No.52

        조손가정은 장기적으로 부모의 역할을 맡는 조부모가 양육비에 대한 부담으로 경제적 고통을 겪거나 고령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손자녀를 돌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가정의 아동・청소년은 가족구성원의 결핍, 빈곤한 양육환경 등으로 인하여 성장에 어려움을 겪거나 경험하지 않아야 하는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 조손가정 아동・청소년의 지원과 관련한 구체적인 법적 근거를 보면 저소득 조손가정에 대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지원, 위기가구 지원 등이 실시되고 있지만 일관적이지 않은 조손가정에 대한 기준으로 실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한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으며, 실태조사도 규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각지대 파악을 통한 조속한 발굴・지원에도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조손가정의 아동・청소년을 지원하고 있는 사회보장 관련 근거 법령 및 지방자치단체 조례의 내용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in scale due to various social changes such as the rise in divorce rates.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experience economic distress due to the long-term assumption of parental roles by grandparents, often facing difficulties in caregiving as they age and experience declining health. Currently, laws such as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the Child Welfare Act,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are in place to protect and support children in Grandparents families. These laws aim to supplement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by providing necessary support for the stability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However, despite the existence of various legislation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many children in Grandparents families may still receive insufficient support or remain in blind spots due to the lack of effectiveness in the support system.

      • KCI등재

        조손가정 가족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박윤미,전수경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conducted a family art therapy targeting family members who live with grandparents sinceparents’ divorce and runawa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the family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of the self-esteem, the family cohesion and the adaptability of family members from the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Family members from an impoverished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who has requested consultation with a J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Y-gu, Seoul, was selected as aresearch subject. The subject with her grandmother (age 60) and younger sister (age 13) joined a total of 11sessions of the art therapy once a week for 9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9. In order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tudy evaluated problems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researchsubject, and conducted the ex-ante and the ex-post tests using Self-Esteem Scale (SES) and The Family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s Ⅲ (FACES-Ⅲ). The study also carried out a qualitative analysison activities related to the self-esteem, th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family cohesion as well as a processof how behaviors change through each s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the family art therapy was observ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for it has improved the self-esteem offamily members from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Second, the family art therapy was understoodto have an effect for it has enhanced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family members from the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Third, in terms of the patterns of the self-esteem, the family cohesion andthe adaptability throughout the sessions, the study confirmed positive changes in those patterns. In the lightof that, the study understands how efficient the family art therapy is at enhancing the self-esteem and thefamily function of family members from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과 가출로 부모 없이 조모와 함께 살고 있는 조손가정 가족원에게 가족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조손가정 가족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 향상에 있어 가족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Y구에 소재한 J 가족지원센터에 상담의뢰를 한 빈곤조손가정의 가족원이며, 2009년 9월부터 12월에 걸쳐 J 가족지원센터 내 상담실에서 주 1회(총 11회), 회기당 90분씩 총 11회기의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면담을 통한 문제의 평가를 하였고,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 SES)와 가족적응력 및 응집력 척도(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Scales Ⅲ: FACES-Ⅲ)를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회기별 자아존중감과 가족적응력 및 응집력 관련 활동및 행동변화과정 등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미술치료는 조손가정 가족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미술치료는 조손가정 가족원의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을 향상시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별 진행과정에 따른 자아존중감과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양상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가족미술치료가 조손가정가족원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충선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nd the raising experiences of grandchildren, which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grandmothe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face-to-face interview method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350 grandmothers who we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ged under 7 in Daegu City and Kyongsangbuk-do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Windows for frequency analysis, ANOVA. Most of the grandmothers were still working in some form and they were relatively healthy. The two main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were the existence of a dual-earners family situation and the divorce of the parents. These two big groups showed sever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grandmother's age, economic stat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parents. Also,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grandmothers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reasons for the family formation, raising willingness, and raising burden. The grandmothers showed a variety of feelings from negative to positive feelings, such as feelings of burden, confusion, frustration, to hope, joy, and thankfulness. Even though they had some difficulties in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y showed a strong intention to raise their grandchildren if such a need should arise again. The welfare needs of the grandmothers were very high in medical fee support for themselves and their grandchildren, and in education fees. However, the need for a parent education program, elderly life education program, or housekeeping support were shown to be relatively low, which indicated that most of the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experienced sufficient economic support from outside the home as well as from the children's parents. It wa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n integral system to systematically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grandmothers. 본 연구는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손자녀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양육자의 관심, 시간, 그리고 에너지를 가장 필요로 하는 영․유아기의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조모들의 양육경험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사대상은 대구와 경북지역의 7세 미만의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약 350명의 조모이며, 빈도분석, ANOVA,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손가정을 형성하는 2가지 주요 원인으로 아동부모의 맞벌이와 가족해체이며, 조손가정 형성동기에 따라 조모들의 양육경험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인자녀의 맞벌이로 인하여 손자녀 양육을 맡게 된 경우에는 이혼의 경우보다 조모들의 양육부담감이 낮게 나타났다. 조모의 일상생활은 양육동기가 자발적이고 양육의지가 높을 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생활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형성동기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조모의 전반적 생활만족도를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조손가정은 일시적이고 잠정적이 아닌 새로운 가족형태로 정착할 것이다. 그러므로 조손가정의 기능적 측면을 인정하고 사회적 편견을 불식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사회적 지원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정민,이영옥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성 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A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학년 여아 이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연구목적에 맞게 3단계로 나누어 주 1회, 50분 씩 총 33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Coopersmith(1987)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양윤 란(2004)의 아동·청소년 또래관계 기술 척도(PRS-AC)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것 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정서표현 변화 정도를 단계 및 회기별로 기술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미술치료가 조손가정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술치료가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사례연구로써 연구대상의 자아존중감 과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정서표현 변화정도를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살펴볼 수 있 었다.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가 가족구조 내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조손가정 아동들 의 심리적 어려움 완화를 위해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것이라 기대하며, 앞으로도 조 손가정 아동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girl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living in A city. This study divided the art therapy program into three stages for research purposes and conducted a total of 33 sessions once a week, 50 minutes each. The research tools used the self-esteem scale of Coopermith (1987) and the PRS-AC sca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of Yang Yoon-ran (2004)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researcher. In addition, the degree of change in emotional expression related to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the subjects was described in stages and session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Second,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Taken together,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in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nd as a case study, the degree of change in self-esteem and emotional expression related to social skills could be seen in detail and reality. It is expected that art therapy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grandchildren who experience various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It is hoped that various case studies related to grandchildren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손가정 손자녀의 적응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으로 -

        안은영,김춘경,여인숙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s life using a grounded theory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6 teenaged grandchildren, who live with their grandparen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otal 149 concepts, 32 subcategories, 13 categories were derived in open coding. As a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adjustment procedures of the experience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grandchild family’s life was 'formation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aused the core phenomenon were named 'conflicts with grandparents', 'social prejudice', and 'a lack of emotional exchange among family members'. The core phenomenon was 'different life from peopl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hich facilitat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to be 'a help of surroundings', 'characters of grandparents', 'trauma'. The action/reaction strategies turned out to be 'resent', 'want to conceal' and 'acceptance of reality',In selective coding, we found a core category, 'acceptance of reality', or ' confusingness'. 본 연구는 ‘조손가정 청소년기 손자녀의 삶의 경험은 어떠한가’를 연구해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안했던 근거이론방법을 선택했다. 자료는 조손가정 청소년 손자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 단계에서는 총 150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단계에서는 인과적 조건으로 ‘조손가정의 형성’, 맥락적 조건으로 ‘조부모와의 갈등’, ‘사회적 편견’, ‘가족 내의 정서교류 빈약’, 중심현상으로 ‘남들과 다른 삶’을, 중재적 조건으로 ‘주위의 도움’, ‘조부모의 특성’, ‘trauma’가, 작용/상호작용전략으로 ‘원망’, ‘숨기고 싶음’, ‘현실을 수용함’이, 결과로 ‘혼란스러움’과 ‘미래를 꿈 꿈’이 상정되었다. 선택 코딩에서는 「현실의 수용 혹은 혼란스러움」이 핵심범주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조손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원방안 모색

        이명용,김승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ide the nurturing types of grandparents in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to seek plans for social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types. The participants were 10 grandparents of seve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on Jeju Isl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conditional/consequentialmatrix of grounded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randparents in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have different experiences of nurturing difficulties and resolutionstrateg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network, formal care,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As aresult, the nurturing types of grandparents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re divided intothree types: dependence, exploration, and diffidence. The dependence type needs emotional support,the exploration type needs job opportunities, and the diffidence type needs public service. Therefore,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dividual situation of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and providethem with social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 KCI등재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여가활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Lee, Yoon-Jung)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2

        최근 맞벌이 부부 증가 및 이혼 등 가족해체로 인해 조손가정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어 학계와 정부에서는 이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조명하고, 긴급지원과 통합 서비스 개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의 발달적 지원을 위한 서비스 개입과 컨텐츠 개발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은 일반 노인들과 비교해 노년기에 증가하는 여가시간과 그 활동에 있어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약으로 인한 조부모들의 적응문제와 정신건강 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정 내 조부모들의 정신건강 영역으로 우울수준을 택하여 여가활동이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로 미혼 손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조손가정 172명을 추출하여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조손가정 조부모들은 운동과 종교활동 참여비율이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다양한 여가유형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으며, 중간 수준의 우울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조부모의 우울감에는 여가활동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 수준, 운동활동의 참여, 여행 경험, 기타의 여가활동 참여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실천적 개입으로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삶의 질, 역할과 기능 강화, 발달적 지원을 위한 여가서비스를 제안하였다. Recently, an interest 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s rising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orking couple and divorce. Discussing around developmental task of elderly, one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crease of grandparent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s leisure restriction. However, this factor has received far less rigorous analysis. Thu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ffer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72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2011 national survey results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Their analyses were composed of descriptive stat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generated several findings. First, grandparents participated in activities for exercise and religion at a high rate and their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7.1 of 15 what suggests middle level of depress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of exercise, travel experience,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and other special leisure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o have positive self-awareness and attitude about life in their position and living condition for help prevent depress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오선영,장혜진,조윤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손가정의 아동의 생활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사례연구 접근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조부모와 손자녀가 함께 살아가는 가정이었으며, 연구참여자들을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과 관찰, 각종 기록물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정의 아동들은 가족의 경계 안에는 머물러 있으나 정서적 지지나 환경으로부터의 상호작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손자녀인 아동들은 교육적 감독이나 통제가 부재한 상황 때문에 컴퓨터 과다사용 등의 문제행동을 보였다. 셋째, 부모와의 정서적 단절로 인해 감정 이 불안정하고 욕구가 억압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조부모와 아동의 생활수준 저하와 교육 질의 부족 현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조손가정의 아동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많은 생활의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조손가정이 살아가는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사회적, 국가적 개입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 "How was the experience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en, we used case study approach to answer for the research question. We collected data from observation, 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d analysed these data through case study approach.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stayed within the boundary of family, but they showed an absence of emotional support and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Second, because of the absence of academic supervision or control by care-providers, children had various problem behaviors such as excessive use of computer. Third, we found the repression of desire and the instability of feeling coming from emotional cutting. Finally, we found the degradation of standard of living and the shortage of educational quality.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 KCI등재

        조손가정의 가족기능과 의사소통이 조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 Ji Young Lee ),이혜원 ( Hye Won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and communic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grandmothers. In the analysis,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survey of 100 grandmothers who care solely their grandchildren without par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family function has the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such grandmothers have. Out of other control variables, health condition, presence of a spouse, and presence of mutual communicators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such grandmothers ha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amily welfare programs such as parent edu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family group work, home helper service, and social support system networking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