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안회남의 징용소설 연구

        김흥식(Kim, Heung Sik)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신변소설 작가 안회남이 해방을 맞아 문맹의 소설부 위원장으로 부상한 것은 횡단징용의 피해문인으로 주목받던 그를 포섭함으로써 문맹의 조직과 노선에 대해 사람들의 폭넓은 심정적 동조를 불러오기 위해 임화, 김남천, 이원조 등 지도부가 주도한 연출의 결과로 여겨진다. 그는 실상 문인징용의 희생자로서 첫 사례도 유일한 경우도 아니었고, 여러 자료들의 분석을 통해 추론해 볼 때 차라리 일제강점 말기 총동원체제 아래서 송출된 소위 징용작가였다고 할 수 있다. 징용 직전까지 발표한 국책문학 계열의 작품들은 그의 신변소설이 기조로 하는 온정주의와 파시즘의 내면화가 유착된 양상을 보여주는데, 그 연장선상에 그와 같은 징용작가에 대한 당국의 기대지평이 놓였던 것이라 생각된다. 일제의 패망과 함께 국책문학이 자동 소멸되면서 그 자신의 징용 경험담을 제재로 왕성하게 집필한 이른바 징용소설 연작들은 온정주의를 기조로 하는 그 특유의 신변소설을 답습한 것으로서 소박한 심정적 민족주의에 영합하는 수준이었다. 문맹의 활동이 본격화됨에 따라 그는 신변소설을 탈각한 작가로의 변신을 시도했으나, 문맹노선의 이론과 사상에 일방적으로 편승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그 진정성에 대한 평가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Ahn, Hoi-nam, well known for the writer of personal novel, emerged as the novel department chairman of the Korea Writers Federation(KWF). It is reckoned to be the outcome of the project led by the leaders of KWF, Yim Hwa, Kim Nam Cheon, Yi Won Jo etc, to gain the mental sympathy of the people with the organization and line of KWF broadly. In fact he was not the first instance and the only case of the victim of compulsory draft as the writer, according to the inferences from various data could be rather so-called the draft-writer sent to the place of duty by the total mobiliz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His works, belonged to the lineage of the national project literature, shows the appearance of the back-scratching alliance of paternalism as basis of his personal novel and internalization of fascism. We can think that in the extension of the appearance the horizon of expectation for the draft-writer like him given by the authorities of that time was laid. Together with the collaps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national project literature went out of existence, and then he wrote what is called the series of compulsory draft novel that handled with the subject matters of his own experiences related to the compulsory draft. But those were as ever sticked to his unique personal novel, and stopped to the level swimming with naive mental nationalism. At the full-scale phase of KWF he tried to transform the style of writing from the personal novel writer, nevertheless the judgement of his authenticity cannot but be limited severely because he jumped on the theory and idea of KWF ex parte.

      • KCI등재

        해방기의 해방 전 시사 인식과 담론화 양상 연구

        박민규(Park Min-kyu)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해방기는 일제강점기의 한국 근대시에 대한 현실주의와 문예주의 양쪽의 시각이 최초이자 체계적으로 정립된 시기이다. 해방기의 여러 시사적(詩史的) 논의들은 당대의 순수시 논쟁 못지않게 좌와 우의 시적 정체성을 형성, 보존, 확대재생산하기 위한 일종의 수행발화적 성격을 띠었다. 이 연구는 좌와 우의 다양했던 시사적 논의들을 구도화하고 나아가 그 시사론들의 담론화 양상과 의도를 분석하였다. 즉 좌우의 문학 단체들 각각이 ‘정치’와 ‘순수’의 시적 이념들을 어떻게 한국 근대시사라는 통시적 맥락에 안착시켰으며 이를 통해 자신들의 시적 신념을 어떻게 보다 강화해갈 수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1920년대 『백조』의 낭만주의와 신경향파 및 카프의 시들을 논한 한효와 서정주의 시각 차이를 살핌으로써 좌와 우에 의해 시도된 시사적 계보화의 작업들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해방기에 처음 발견된 소월 시의 가치를 오장환과 서정주가 어떠한 이유에서 전유하고자 했는지 분석하였다. 4장은 1930년대 정지용의 시에 대한 좌와 우의 평가를 다루었다. ‘실천’과 ‘정신’을 앞세우며 대립하던 문학가동맹과 청년문학가협회의 문인들이 1930년대 지용의 시를 비판하게 된 이유와 아울러 그 비판을 해방기의 지용에까지 연장하게 된 경위를 조명하였다. It i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that Korean modern poetry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was first discussed and structured systematically. This study purposed to organize various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poetry by the left and right wings in those days and to analyze the discourse patterns of the discussions. Many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poetry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aimed at the formation, preservation, and expanded reproduction of the poetic identity of the left and right wings. Both the left and right wings reinforced their poetic beliefs through proving their respective poetic values ‘politics’ and ‘purity’ in the diachronic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In order to examine this process, Chapter Ⅱ examined the difference in view between Han Hyo and Seo Jeong?joo who discussed the Romanticism of “Baekjo (白潮)” and the poems of the New Tendency Group and KAPF in the 1920s. Chapter Ⅲ compared how Oh Jang?hwan in the left wing and Seo Jeong?joo in the right wing looked at Kim So?wol’s poems. Chapter Ⅳ analyzed why the literati of the left and right wings, who confronted each other with advocating ‘practice’ and ‘spirit,’ respectively, criticized Jeong Jiyong’s poems in the 1930s, and how the criticism was extended to Jeong Ji?yong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 KCI등재

        해방기 윤복진의 동요론 연구

        김종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2 No.-

        After liberation, Yoon Bok-jin(윤복진) worked by listing his name on the left and right paragraphs together. Although he published a review to reflect on the previous view of children and create an ideology for a new era, he still maintained the theory of rhyme and play-oriented Children’s Poetry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In other words, his theory of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with rhyme as an response to illiterate ideology. However, the situation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Daegu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does not stably support Yun Bok-jin’s literary actions. In particular, he was arrested and released by the US military police because following the ideology of either side in the liberation space wher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ideologies. This would have acted as a psychological burden and conflict. For this reason, his literary thinking showed an attitude of reservation while accepting the ideology of the tim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theory of rhyme even in the confusion of division and ideology. Despite the burden of ideology, he created a children’s song that utilized the rhyme by repeating the words of poetry and using concentric words. In other words, it is a characteristic of Yun Bok-jin’s nursery rhym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o break away from the children’s ideological perspective by gaining the fun of the nursery rhyme and reflecting the nursery rhyme play. 이 글은 해방 직후 윤복진 동요 문학의 특징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해방 이후 그는 문학가동맹(문맹)의 이데올로기에 단선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자신의 동요론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그가 여러 일간지와 잡지에 발표한 동요와 선평(選評), 비평 그리고 동요곡집 『초등용가요곡집』, 동요선집 『꽃초롱 별초롱』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의 동요론은 ‘부르는 노래’를 전제로 시어의 반복과 동심어를 활용하여 리듬을 살렸으며, 어린이 놀이의 반영으로 관념적 아동관을 탈피했다는 특징을 꼽을 수 있다. 그렇지만 그는 문맹의 담론에 따라서 ‘유치한 과정으로써의 아동문학관’을 청산하고 ‘진보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면서 ‘정확한 과학적 교양과 고상한 정서적 훈도(薰陶)’를 강조하였다. 이것은 그의 동요문학이 서정적 동일성으로만 구체화할 수 없는 또 다른 타자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윤복진은 1948년 미군 경찰에 구속되었다 풀려났다. 이런 경험은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극심했던 해방공간에서 그의 문학을 어느 한쪽 이념만을 추종할 수 없는 부담과 갈등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특히 전쟁 중 이응수와 김홍섭의 행불은 그의 정치적 결정을 강요한 셈이 되었다. 이러한 불안은 자기 작품을 스스로 비판한 평론에서 확인된다. 해방 이후 그는 두 권의 동요집을 편찬하였는데 모두 이데올로기 색채가 없는 작품만으로 묶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그는 문맹의 담론을 거부할 수 없는 문단 행보와 평론을 하였고 특히 자기 작품의 경향을 스스로 반성하였는데, 이것이 해방을 맞은 윤복진의 현실이었다. 전쟁기에 결국 월북을 선택했지만 해방 이후 한동안 그는 문맹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면서 한편으로 유보하는 문학적 대응으로 리듬 중심의 동요론을 유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