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형성 연구

        류진옥(Ryu Jinok)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본고는 제주도 무속 신앙 중 조상신의 내력을 풀어낸 ‘조상신본풀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제주도 조상신을 ‘혈연 조상과 비혈연 조상을 모두 포괄하는 한 집안의 수호신’이라는 개념으로 전제하고 논의를 시작하였다. 현재 전승되는 ‘조상신본풀이’ 중 95편을 선정하여 조상신본풀이의 전승 분포 양상과 특성을 종합하는 일을 일차적인 과제로 삼았으며, 이 분석을 바탕으로 조상신 본풀이의 형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조상신의 특성을 기준으로 비인격신과 인격신으로, 조상신 좌정 동인을 기준으로 실패 유형과 성취 유형으로구분하였다. 이러한 조상신본풀이의 유형화를 근거로 조상신본풀이가 형성된 신앙 관념을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제주도 조상신본풀이는 자연 신앙적 관념, 무속 신앙적 관념, 제주도의 역사적인 사실을 반영한 관념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왔다고 정리하였는데, 즉 제주도 토착적인 신앙이 단절되지 않고 이어지면서 한반도와의 교류를 통하여 유입된 무속 신앙 관념과 설화적 요소가 혼합되는 과정을 겪고, 이러한 양상에 제주도의 사실적(史實的) 요소가 더해져 현재와 같은 조상신본풀이 각편들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각각의 관념은 시기적인 기준으로 선후를 특정짓기는 어렵지만 개별 요소를 대표하는 본풀이 서사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화소를 통하여 현재 전승되는 조상신본풀이 대부분이 근세적 시기에 완성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다. The focus of the research is solely on understanding Josangsin Bonpuri which refers to myths about individual ancestral gods were recited in Jeju Island Shamanism. Josangsin in Jeju Island is regarded as a guardian of a family that includes both blood relative and non-blood relative ancestor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Josangsin in Jeju Island and universal religion of the mankind that is ‘Josang (ancestor god) worship’ have in common and to investigate how unique faith such as Josangsin Bonpuri in Jeju Island have evolve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95 Josangsin Bonpuris and analyzed contents with two dimensions such as Josangsin’s characteristics and motives for the deification of Josangsin. First, Josangsin’s characteristics is categorized into nature deities and human gods. Second, the deification of Josangsin is categorized into failure-originated type and success-originated type according to motives for the deification of Josangsin. Drawing upo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Josangsin Bonpuri was formed by encompassing three perspectives including nature-centered religious idea, Korean shamanism-centered religious idea, religious idea reflecting the history of Jeju Island. However, it is hard to clarify the order of development of these concepts. Josangsin Bonpuri in Jeju Island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indigenous faith of Jeju Island with faith imported from main land of Korea. And then contemporary Josangsin Bonpuri has been completed by encompassing the realistic factors of Jeju Island.

      • KCI등재후보

        심방 관련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

        강소전 ( So Jeon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6

        이 글의 목적은 심방과 관련한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의 주요 논점은 크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상신본풀이에 나타난 심방에 대한 인식이다. 둘째, 심방이 조상신으로서 좌정하는 양상과 무업의 전승이다. 셋째, 심방과 관련한 조상신본풀이의 형성과 전승이다. 이를 위해 심방의 특성과 조상신본풀이의 특성이라는 기준을 세워 심방과 관련한 조상신본풀이를 가려내었다. 심방의 특성은 심방이 되는 계기, 심방으로서 정체성, 심방으로서 자질과 능력 등 3가지 측면이다. 조상신본풀이의 특성으로 삼은 것은 신앙대상인 조상신, 신앙주체인 단골, 신앙과정과 전승의 측면이다. 이를 바탕으로 6편의 조상신본풀이를 선정하였다. 고대장본풀이, 예촌 양씨아미본풀이, 원당할망본풀이, 안카름 현씨일월당본풀이, 눈미 양씨아미본풀이, 우렝이 김씨조상본풀이다. 이렇게 선별된 본풀이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고 살펴 각각의 본풀이가 가지는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조상신본풀이를 주로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구분해서 다루었다. 남성형과 여성형은 심방의 특성과 조상신본풀이의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차이점을 드러냈다. 남성형에서는 심방의 특성을 `능력`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해당 조상의 생업이 심방이었을 뿐 심방이라는 것 자체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그의 능력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걸출한 조상의 능력을 조상신본풀이를 통하여 대대로 기억하고 전승시키면 되는 것이지, 그 외에 조상으로 인하여 집안에 어떤 특별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든가 또는 다른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여긴 것이다. 결핍이 없는 완벽한 조상은 후손에게 현시하여 특별한 요구를 하지 않았다. 이런 점 때문에 조상신본풀이의 특성에서 거의 내용을 남기지 않았다. 조상신 신앙의 범위도 확대되지 않았다. 남성형은 조상신으로 모시는 해당 집안에서 `현재를 유지하려는 인식`의 결과였다. 반면에 여성형에서는 심방의 특성을 `문제`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해당조상의 생업이 심방이거나 또는 심방이 될 자질을 보였던 것이 집안의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심방 자질은 능력으로 상승되기도 전에 끝내 이루지 못하거나 부정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하였다. 해당 조상의 능력보다는 그의 심방 팔자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그러니 문제의 당사자는 원혼이 되었고, 자신을 기억하고 받드는 존재를 만들기 위해 현실의 세상에 개입하게 되는 것이다. 결핍이 있는 조상은 후손과의 적극적인 관계 맺기를 통하여 정상으로 환원하고자 하였다. 이런 점 때문에 조상신본풀이의 특성에서 관련 내용을 남겨 둔 것이다. 예기치 않은 조상의 요구에 후손은 적극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응답에 조상이 큰 복을 내리는 것으로 여겨지자 후손들은 이것이 현실의 삶을 좌지우지하는 데까지 나아간다고 받아들였다. 이런 점은 조상신 신앙이 널리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여성형은 조상신으로 모시는 해당 집안과 단골에서 `현재를 전환하려는 인식`의 결과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Josangsinbonpuri(조상신본풀이) and its transmission with reference to Simbang(심방). The main points of argument can be summarized in threefold: 1) the understanding of Simbang expressed on Josangsinbonpuri; 2) the aspects of Josangsin(조상신)`s taking over the villag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shamanic work; and 3) the background of forming the Josangsinbonpuri and rationale of its transmission. For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Simbang as well as Josangsinbonpuri were set up as a standard and six Josangsinbonpuris in connection with Simbang were selected.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Simbang considered three important aspects-ways of becoming Simbang, the identity as a Simbang, and the qualification and ability as a Simbang-, the characteristics of Josangsinbonpuri concerned Josangsin as a religious object, Dangol(단골) as a religious subject and the aspects of believing process and its transmission. Based on this, six Josangsinbonpuris- Godaejangbonpuri(고대장본풀이), Yechon Yangssiamibonpuri(예촌 양씨아미본풀이), Weondanghalmangbonpuri(원당 할망본풀이), Ankarum Hyeonssiilweoldangbonpuri(안카름 현씨일월당본풀이), Nunmi Yangssiamibonpuri(눈미 양씨아미본풀이) and Woorengi Kimssijosangbonpuri(우렝이 김씨조상본풀이)- were selected and summarized in both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Josangsinbonpuri was viewed as both male-type and female-type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depends on how characteristics of Simbang and Josangsinbonpuri were perceived. As for male-type, the characteristic of Simbang was viewed from `the ability`. Put it differently, what is perceived as significant in Josangsinbonpuri categorized in male type is not the fact that he or she is a Simbang but his or her ability of which its ancestor was also a Simbang. It was through Josangsinbonpuri that excellent ancestral ability was constructed and transmitted, it was not necessarily to have other instruments for resolving certain problems of family caused by ancestors. Perfect ancestor never be in special need through revelation so that nothing was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Josangsinbonpuri nor the scope of believing Josangsin was expended. Therefore, male-type (Josangsinbonpuri) is interpreted as an outcome of `intending to maintain the present` by the family that worships ancestral god. On the other hand, characteristics of Simbang can be seen from the aspect of `the trouble` in female-type (Josangsinbonpuri). Not only the fact that the ancestor was a Simbang but also a person`s potential to be a Simbang become a big trouble within a family. Therefore, the qualification for the Simbang was degraded to an object of rejection by families before it is accomplished. The destiny of the Simbang was more valued than the ability of Simbang`s ancestor and thus, the person concerned became a spirit who is interfere in this world in order to make himself (or herself) worshipped. The contents derived from that imperfect ancestor intends to be perfect through establishing relations with descendants remain in the nature of Josangsinbonpuri. The descendent actively respond to unexpected ancestors` request. Besides, having thought that those responses were compensated by ancestors, the descendent believe that the ancestor would control the life in this world. This view contributed to the diffusion of believing Josangsin. Female-type (Josangsinbonpuri) is interpreted as an outcome of `intending to change the present`.

      • KCI등재

        마을신앙에서 조상 숭배 양상

        김도현(Kim, Do-Hye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0

        혈연적 관계를 바탕으로 가족 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모셔지는 유교에서의 조상 숭배와는 달리, 마을신앙에서 모시는 조상은 특정 가문 조상으로서의 위상을 넘어서서 마을 전체를 위한 종교적 기능, 또는 主神를 보좌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마을공동체신앙의 숭배 또는 좌정한 대상으로 모셔진다. 이 과정에서 모셔지는 조상신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마을을 개창하거나, 크게 번성시켜 마을의 안정과 풍요를 주관하는 主神으로 좌정한 사례이다. 경상도 지역의 골맥이를 비롯하여 인물신으로 모셔진 다양한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정한 조상신은 여러 마을이 연결되어 운영되는 마을공동체 신앙에서는 그 사례를 찾기 힘들다. 둘째, 마을에서 모시는 主神인 산신이나 성황신 등을 挾侍하는 신령으로 좌정한 사례이다. 셋째, 마을을 수호하는 主神을 보좌하는 수부신으로 좌정한 사례이다. 이 때 마을의 主神으로 모셔진 신령은 천신이나 산신 계열로 볼 수 있으며, 수부신으로 좌정한 존재는 마을을 개창하였거나, 마을에서 이장 등 대표성을 띤 역할을 하여 생전에 마을 수호 신령을 잘 모셨던 분들이 수부신으로 좌정한다. 넷째, 後孫 없이 돌아가셨거나, 마을 내에서 각종 분란 야기, 또는 어려운 삶을 살다가 돌아가신 후 위해지는 사례이다. 마을 주민들은 이들을 마을 제당에 잘 모셔서 마을의 안정을 기하려는 목적이다. 이 사례에는 사회 질서를 잘 유지하기 위해 조상신을 모시는 유교식 조상 관념이 내재되어 있는데, 이 또한 넓은 의미에서 조상신을 모신 사례로 여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을 제당에서 모셔지는 조상신에 대한 폭넓은 사례 조사를 통한 조상 숭배 양상 연구는 해당 마을의 역사성과 성격 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Unlike Confucian ancestral worshipping, which is based on blood relationship and held to keep orders in a family, ancestors worshipped in Village-Community Belief are something that are beyond specific families. They are the objects worshipped or hosted in a Village-Community Belief, and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supporting main god or functioning religiously for the whole village. The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four cases. First, they are worshipped as main gods controlling villages’ stability and abundance because they founded or prospered the villages. We can confirm that they are worshipped as Personal-god, from various examples such as Golmaegi in Gyeongsang-do regions. But this kind of ancestral gods is difficult to find in Village-Community Belief where several villages hold joint ritual services. Second, they are hosted to serve Village’s main god-Sansin or Seonghwangsinat very close range. Third, they are worshipped as Subusin supporting the main god that guards the village. In this case, the main gods of villages can be regarded as Chunsin or Sansin, and the beings who prospered the village or served the guarding spirit faithfully as the village foreman are hosted as Subusin. Last, they are hosted in case of dying without descendant, causing many troubles in villages or dying after tough life. Villagers host them in village shrine to wish their village’s stability. This involves the Confucian ancestral concept that people worship ancestors to keep public order,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serving ancestral gods in a broad sense. Thus, we can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pecific village’s historicity and characteristic through extensive case research on ancestral gods worshipped in village shrine.

      • KCI등재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유형별 특징과 의미

        김혜정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In this paper, two types of Jeju Island Josangsin Bonpuri <Yangssiami Bonpuri> were compared and examined. <Yangssi Bonpuri> has so far reported a total of eight episodes, whi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f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First, <Yechon Yangssiami Bonpuri> is an example that explains how ‘Yangssiami’, born in Simbang(shaman)’s fate, was enshrined as ‘Ancestral God’. It’s God’s Origin Story, and the function is to relieve his grudges by appeasing an unjustly dead soul and honoring him as an ancestral god. In comparison, <Nunmi Yangssiami Bonpuri> shows people who treat ‘Yangssiami’ completely differently, and shows how ‘Yangssiami’ affects them.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Miracle Story’, which is designed to show that ‘Yangssiami’ has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its offspring and to consolidate its function as ‘Ancestral God’. In order for <Yangssi Bonpuri> to continue to function as Josangsin Bonpuri, we can summarize the significant points that caused epic variation. First, to reaffirm his ability, his spirituality, he is punishing those who distrust him. In other words, by creating a new, remarkable punishment, it reduces the opposition to having him as Ancestral God and shows that it can still exert its influence on the offspring. Second, by speaking of having the most powerful function of Ancestral God, ‘prosperity of a family’ or ‘extermination of a family’, we can see that the ‘universal trait’ is strengthened. This, in turn, is a good source of evidence for identifying the key elements of Josangsin Bonpuri’s tradition. In other words,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raised about ancestral gods, myths are about to secure legitimacy by highlighting the most basic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that ancestral gods should have, rather than adding special abiliti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also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ors in Confucian rituals.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두 유형을 비교 고찰하여, 유형별 특징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씨아미본풀이>는 지금까지 총 8편이 채록 보고되었는데, 이를 서사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예촌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조상신으로 모시게 된 경위를 설명하는 본풀이이다. 이는 좌정 유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억울하게 죽은 영혼을 달래주고 그를 조상신으로 모심으로써, 그를 해원 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비해 <눈미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대하는 대조적 사람들을 보여주고, 양씨아미가 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는 영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양씨아미가 후손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조상신으로의 기능을 공고히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양씨아미본풀이>가 조상신본풀이로 계속해서 기능하기 위해, 서사적 변이를 일으킨 유의미한 지점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능력, 영험함을 재확인시키기 위해, 그를 불신하는 세력에게 응징을 가하고 있다. 즉 뚜렷한 징치 대상을 새롭게 만듦으로써, 그를 조상신으로 모시는 것에 대한 반발심을 줄이고, 자손에게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조상신의 가장 강력한 직능인 후손을 번영시키거나 혹은 대(代)를 끊을 수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보편적 특성’을 강화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조상신본풀이의 전승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근거 자료가 된다. 즉 조상신에 대한 근원적 물음이 제기될 때, 신화는 시대․환경 변화에 따른 특수한 능력을 추가하기보다, 조상신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 특성을 부각함으로써, 정통성을 확보하려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유교식 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의 특성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 KCI등재

        제주도 무속신화 조상신본풀이 속 이타성 담론 연구

        강지연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2

        This study analyzes the way humans relate to their ancestors, focusing on 〈kwangcheng-aki-pon〉, 〈naju-giminchang-josang-bon〉, and 〈yangi- moksa-pon〉 among the ‘Josang-sin-bon-pulli’. In doing so, it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altruism embodied in Bonpulil. The narrative of ‘Josang-sin-bon-pulli’ focuses on a special ‘relation ship’ with humans. It tells the story of how an ancestor becomes a deity who protects a family. The discourse of altruism is associated with the central event that dominates Josang-sin-bon-pulli, explaining the context of the ancestor’s ongoing relationship with humans. The attitudes of the character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agreement’ and ‘rejection’, an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human relationships with ancestors was identified. The attitudes of consent and rejection serve as the basis for judging a character’s altruism. Without a consenting attitude, altruism cannot be realized, and acts that follow from altruism, such as caring and cooperation, cannot emerge. In 〈kwangcheng-aki-pon〉 and 〈yangi-moksa-pon〉, the altruism of il-wol-jo-sang is highlighted, and in 〈naju-giminchang-josang-bon〉, the altruism of the an-ssi-seon-ju. The manifestation of altruism in their relationship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ent, which is sympathy for the actions and will of others. In the process of ancestors becoming gods who are served by humans, and humans becoming special descendants of ancestors, we can see one aspect of the thought behind recognizing and serving the other. From this perspective, the background of becoming a god is discussed in terms of selflessness, and by identifying the essence of selfless thinking,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problems caused by selfishness today is proposed. “Josang-sin-bon-pulli” goes beyond our relationship with our ancestors to teach us about the way we relate to others.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on how we communicate with others and how we resolve conflict with others. 본 연구는 조상신본풀이 중에서 〈광청아기본〉, 〈나주기민창조상본〉, 〈양이목사본〉을 중심으로 인간과 조상의 관계 맺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풀이에서 구현하는 이타성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상신본풀이의 서사는 인간과의 특수한 ‘관계 맺음’에 주목하여, 조상이 어떻게 한 가문에서 제향(祭享) 받는 신이 되는가를 전한다. 이타성의 담론은 조상신본풀이를 지배하는 중심 사건과 연관되어, 조상과 인간이 지속적으로 관계를 잇는 배경을 제시하고, 이 둘의 특별한 관계를 해명하는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인물의 태도를 ‘동의’와 ‘거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조상과 인간의 관계 형성의 배경을 확인하였다. 동의와 거부의 태도는 인물의 이타성을 판단하는 준거로 작용한다. 동의하는 태도가 전제되지 않고는, 이타성을 실현할 수 없으며, 배려와 협력 등 이타성으로부터 후속되는 행위가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광청아기본〉과 〈양이목사본〉에서는 일월조상이 되는 아기씨와 양이 목사의 이타성을, 〈나주기민창본〉에서는 안씨 선주의 이타성이 주목된다. 광청아기씨와 송영감, 뱀신과 안씨 선조, 양이목사와 금부도사의 관계에서 이타성의 발현은 타인의 행위와 뜻에 공감하는 동의의 원리에 입각하여 나타난다. 이때 일월조상은 자신보다 후손의 안위(安危)를 생각하고, 인간은 조상의 마지막 당부를 기억해서 그의 뜻을 기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조상이 인간으로부터 섬기는 신이 되고, 인간은 조상의 특별한 후손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타자에 대한 인식과 섬김에 담긴 사유의 한 단면을 읽어낼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신의 좌정 동인(動因)을 이타성의 측면에서 논의하고, 신화의 세계에서 그려지는 이타적 사유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오늘날 이기심이 야기하는 문제에 대한 실천적인 대안을 고구하였다. 조상신본풀이는 조상신과 인간의 관계 맺음을 넘어 나와 타인이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가르침을 전한다. 그리하여 나와 타자가 소통하는 방식,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겪어야 할 갈등 해결의 방식에서 성찰의 기회를 마련한다.

      • KCI등재

        동림마을 웃줄 신앙의 실제와 그 사회 문화적 의미

        천혜숙(Chun, Hye-sook)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경북 군위군 부계면 동림마을(가호 2리)에서 전승된 `웃돌` 신앙에 관한 민속지적 접근이다. 이 글에서 기술하는 웃줄 신앙의 민속지적 현재는 제보자들의 경험과 기억이 시조모 대까지 걸쳐있으므로 적어도 19세기 말경까지 소급될 수 있다. 이 신앙은 `웃줄`이라는 오래된 신명을 유지한 점, 가신 가운데 최상위의 조상신으로 인식된 점, 햇곡의 수지[初穗]를 바치는 점 등에서, 흔히 조상단지나 시준/세존단지 등으로 불려온 여성 조상 가신신앙의 고형으로 추정된다. 다른 지역의 여성 조상신에게 보이는 `함원(含怨)`이나 `탈`과 같은 부정적인 속성이 일절 드러나지 않고, 집안에 우환이 있어 무당의 권유로 앉힌 조상도 아니란 사실이 이러한 추론에 신빙성을 더해준다. `위로 이어지는 줄`을 뜻하는 웃줄은 `조상`을 의미하는 고유어로 생각된다. 동림마을에서 웃줄의 신격은 윗대로 이어지는 시어머니 조상의 계보이자 신군(神群)을 의미한다. 신체는 햇곡으로 만든 찐쌀을 담은 작은 단지이다. 마을에서는 `웃줄할매`, `웃줄사만시준님네`, `웃줄시조할매`등으로 불리며, 때로는 `장씨 할매, 도씨 할매`처럼 성씨가 붙어 열거되기도 한다. 웃줄단지는 마루의 성주단지 위쪽에 앉히는 것이 기본이나, 가옥의 사정에 따라 안방, 상방, 작은방 등에 모셔지기도 했다. 정월 보름과 가을 수확기에 정기적으로 제의가 행해진다. 수확기의 제의는 재미(齋米) 고사의 형태로, 이때 햇곡의 수지쌀로 찐쌀을 만들어 단지의 묵은쌀을 갈아준다. 명절 차례와 조상 기제사 때도 제사를 받는 조상보다 웃줄-성주 순으로 상을 먼저 올리는 것이 원칙이다. 그 밖에 집안의 혼사, 손자녀의 돌날 등, 집안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도 일일이 웃줄할매에게 고한 것을 보면, 웃줄 조상은 생업을 비롯하여 집안이 잘 유지되고 번창하게 해주는 총체적 직능을 지닌 조상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웃줄 신앙의 주체는 집안의 고부이다. 시모는 며느리와 함께 의례는 수행하다가 장차 며느리에게 그 주재권을 물려주었다. 웃줄 제의의 주재권도 주부권의 이양에 속한 항목이다. 이것은 다른 가신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나, 웃줄 신앙의 경우는 모시던 혼입여성들이 사후 몇 대가 지나 다시 웃줄 조상으로 앉게 되는 순환구조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동림마을에서 웃줄은 시준/세존과 같고 삼신과는 다른 신격으로 인식된다. 일반적으로 시준/세존 또는 제석 단지는 오랜 전승과의 과정에서 조상신과 삼신을 넘나들다가 결국 삼신으로 위축되는 변화를 보이는 데 비해, 동림마을의 웃줄단지는 단절될 때까지도 최상위 조상신의 위계를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가정신앙이 약화되는 변화 속에서도, `웃줄`이란 신명, 최상위 조상신의 지위, 곡령단지의 신앙형태가 온존되어 온 것은 대단히 이례적이다. 이 마을이 산간 오지 농촌인 데다 벼농사 환경이 아주 열악했던 조건에서, 곡령 조상신에 대한 믿음이 강하게 요구되었던 사정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동림마을의 웃줄은 고대 시조모(始祖母) 신앙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주로 장손의 집에서 모시는 데다, 그 신격이 먼 윗대로 이어지는 시어머니 조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 마을의 웃줄 조상은 유교적 조상들과 제상을 공유하거나 오히려 선점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양자가 상보적으로 공존했음을 말해주는 양상이다. 유교의 조상숭배가 부계 조상에 대한 효의 실천과 부계친족 가문의 사회적 존속을 위한 것이라면, 웃줄 조상의 숭배는 풍농과 가정의 번영, 그리고 가족의 평안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공존이 가능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웃줄은 유교적 조상들이 근접할 수 없는 `곡령`과 `자손`의 부분을 담당하고 있어서, 비상시의 처방보다 항시적 예방의 기능을 하는 신앙적 구심이 되었을 것이다. 웃줄 소상신에 대한 여성들의 의례 실천에서 한 가지 더 흥미로운 점은, 가모(家母)인 여성이 의례를 주재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후 스스로 웃줄 조상으로 좌정한다는 사실이다. 가신신앙의 주재가 성무(成巫)에 비유될 수 있다면, 웃줄 조상으로의 좌정은 신격화에 해당된다. 더구나 시가의 조상신으로 좌정하는 것은 평생 가모의 책무로 골몰했던 것에 대한 응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기제사를 받는 부계 조상의 반열과는 다른 맥락에서 최고 조상신의 지위에 오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웃줄을 모시던 여성이 사후 언젠가 웃줄 조상으로 되돌아오는 이러한 순환의 사이클이 주부들의 의례 실천을 추동하는 문화적 원리로 작용했을 것이라 짐작된다.

      • KCI등재

        조상제사와 상황화, 세계관, 그리고 성육신 선교

        목만수(Man Soo Mok)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한국 개신교에서는 교단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제사가 큰 어려움 없이 추도예배로 정착된 것 같다. 그러나 제사문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 모 교회 주일예배를 참석하는 중 대표기도 하는 분이 추석을 맞이하여 고향을 찾는 성도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예식을 참여함으로’ 믿음을 흐리게 하는 일이 없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바람직하지 못한 예식’이라 함은 물론 제사를 칭하는 듯하다. 조상제사는 신자의 가정에서 추도예배로 대치하기 때문에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결혼하여 불신자 가정에서 생활하든지 혹은 불신자 가정에서 예수를 믿게 되어 그 집안에 첫 신자가 되었을 때 제사 문제로 인한 갈등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복음이 전파된 후 한국 천주교는 정부의 극한 박해를 거쳐 조상제사를 신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제사문제를 우상숭배가 아닌, 조상에 대한 공경인 제5계명으로 이해하여 더 이상 교인들이 조상제사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 결과는 나름대로 조상제사에 대한 비판적 상황화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는 복음이 전파된지 약 1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조상제사에 대한 일치된 해석이 없어 신자들은 불신자 가정에서 행해지는 조상제사 의식 앞에서 어떻게 처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절을 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세계관(worldview)이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이다. 어떤 세계관을 가지고 조상제사를 이해하느냐에 따라 조상제사에 대한 태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조상제사의 의미는 신학적인 조명과 함께 그 문화 안에서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식, 가치, 의식구조, 평가 등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결정된다. 그 결정된 조상제사의 의미는 내부자 스스로의 상황화 과정을 통하여 현지문화에 정착이 되고, 마지막으로 그 상황화가 삶의 현장으로 이어질 때 가장 바람직한 성육신적인 선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소고는 신학적 접근으로는 조상제사와 상황화를, 문화적인 접근으로는 조상제사와 세계관을, 그리고 끝으로 삶의 현장으로 조상제사와 성육신에 대해 기술하려고 한다. 이들이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닌, 상호간에 연관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본 소고로 불신자 가정에서 갈등하는 신자들이 조상제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넓어지고 타문화 사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조그마한 선교적인 교훈이 되기를 희망한다. Although there are little variance among denominations in Korean evangelical churches, the memorial rite to ancestor has been changed into Ecclesial service without a gross hardship. However, the problem of ancestor worship has not been solved yet. During a Sunday worship service, one member prayed for those who are heading back to their hometown for the holiday. That member prayed that the people would not lose their faith by ‘practicing undesirable ritual.’ In other words, one prayed that the people of faith will not be part of ancestral worship. Ancestor worship has no longer been much of a problem for evangelical Christians, because it has been replaced by church memorial service. In contrast, Christians who have been married with non-Christians or those who could become the first believer among unbelievers’ household, conflict caused by the ancestor worship seem to be unavoidable. After the gospel had been preached, the Korean Catholic Church faced severe intimidation by the government and reinterpreted the ancestral sacrifices theologically. For the Catholic Church, ancestor sacrifices becomes understood as the fifth commandment as reverence of the ancestors, her followers no longer to worry about ancestor sacrifices. Korean Catholic Church seems to have achieved a critical contextualization with her own effort. However, Korean evangelical churches after 130 years, do not have the agreement on ancestral sacrifices even until present day. Believers who live at unbelievers’ family house are worried how to conduct themselves in front of ancestral rituals performed, specially whether they should bow or not. Worldview is a viewpoint overlooking the world. Depending how one perceives worldview, their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ancestral sacrifices differs. The most desirable incarnational mission is formed when the evaluation of a religious rite of the culture and contextualization happen based on theological illumination as well as on the worldview. Therefore, this article is going to describe ancestor worship and contextualization by theological approach, ancestor worship and worldview by cultural approach. Last of all, ancestor worship and incarnation by the approach of actual life. It should be come across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not separate from that of another. The understanding of ancestor worship could give believers at unbelievers’ home a broader perspective about its issue and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ross-cultural ministry may be able to have more insight about its matter.

      • KCI등재

        조선 전‧중기 조상신담론을 통해 본 사대부 주체 형성

        박성지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5

        본고는 조선 전&#8231;중기 조상신담론을 사대부 문화의 무속수용이라는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사대부 주체를 성리학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양자 간의 담론역학의 결과로 구 체화 할 수 있었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부인은 사대부의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는 성리학조차 굴절시키는 지점이다. 이를 거점으로 성리학과 부합하지 않으면서도 충돌하지도 않는 담론 계열이 형 성된다. 조상신담론은 바로 여기에 자리한다. 둘째, 조상신과 묘지는 죽음에 대한 부인을 실제화 시키는 담론적 장치다. 이는 가문공 동체의 구심점이자 죽은 이의 현존과 권력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셋째, 이들 장치에 이론적 타당성을 입히기 위한 해석작업도 개진된다. 이 과정에서 사 대부에서부터 노비까지 신분을 막론하고 전 民을 가로지르는 정서적 보편성을 추출할 수 있다. 넷째, 사대부 종법 문화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조상신은 이 보편적 정서를 기저로 하고 귀신이라는 무속의 표상을 흡수하여 형상화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조상신 담론은 성리 학과 민간의 무속적 전통이 꾸준히 교섭해온 문화적 역량 안에서 산출된다. 다섯째, 이 교섭의 역량 속에서 성리학의 이념적 주체와는 다른 사대부 주체가 형성된 다. 민간 음사를 일정 정도 묵인하는 가운데 이데올로기를 통해 피통치자들에 대한 통치력 을 확립하는 정치적 주체다. 정리하자면 조상신담론을 통해 본 사대부 주체는 성리학 이념을 순수하게 반영하기보 다는 피통치자들의 표상체계와 정념을 관통하고 교섭하면서 성립된다. 이 주체는 대민 통 치력의 강화라는 정치적 차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고전적본풀이>의 형성과 전승의 문제

        이현정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2

        This study aims to examin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formation of <Ko-jeonjeok Bonpuri>(Ko family’s shaman song), one of the Josangsin Bonpuri(ancestor god shaman song) passed down as part of shamanism in Jeju Island, and the cause of its variation to have the current context that has been passed down today. <Ko-jeonjeok Bonpuri> is a type of Josangsin Bonpuri which emphasizes awareness about one’s status and kindred. The broad framework of its narrative seems to take the form of typical Josangsin Bonpuri, bu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Ko-jeonjeok Bonpuri highlighted a story related to the status and reputation of male ancestor gods in the beginning and had been passed down focusing on the divinity of kindred relations. Given these narrative features and historical facts related to how it had been passed down, the fact was found that the original narrative of <Ko-jeonjeok Bonpuri> included the history of Ko I-ji who was the founder of the Myeongdoam village, not Ko Hong-jin who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amily. <Ko-jeonjeok Bonpuri> served as the basis of <Kim-jeonjeok Bonpuri>(Kim family’s shaman song). In its own right different from <Ko-jeonjeok Bonpuri>, <Kim-jeonjeok Bonpuri> is an ancestor religious belief, where the Myeongdoam Kim family touted the achievements of the historical figure Kim Jin-yong and his descendants. The background behind <Kim-jeonjeok Bonpuri> is related to a marit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milies. The way the Myeongdoam Kim family established its ancestor religious belief demonstrates an example of how a family’s ancestor religious belief or Josangsin Bonpuri is created in shamanism in Jeju Island. The Myeongdoam Kim family’s awareness as a family caused change―belief in Dang, ritual(<Dong-i Puri>), etc.―in the transmission context related to <Ko-jeonjeok Bonpuri>. The question of how <Ko-jeonjeok Bonpuri> was formed and passed down is intertwined with the way an ancestor religious belief or Josangsin Bonpuri was constantly created, changed, derived as intended by the aims or needs of the transmission community. 이 글은 제주도 무속에서 전승되는 조상신본풀이 중 하나인 <고전적본풀이>를 다룬다. 무엇보다 해당 본풀이의 형성과 전승에 영향을 끼친 변이 원인들을 다각도로 살피는 데 중점을 두었다. <고전적본풀이>는 신분과 혈연 의식이 강조된 조상신본풀이이다. 서사의 큰 틀은 보편적인 조상신본풀이의 작법을 취하는 듯 보이나, 남성 조상신의 지위와 명망에 연관된 내용을 전반부에 부각시키고 혈연 관계의 신격에 비중을 두어 전승을 이어온 정황이 포착된다. 이 서사특성과 함께 본풀이의 전승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을 따진 결과, 본래 가계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고홍진이 아닌 명도암 마을의 설촌자 고이지의 내력을 신격화 하였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고전적본풀이>와 관련 조상신앙은 <김전적본풀이>와 관련 조상신앙을 형성하는 전범이었다. <김전적본풀이>가 형성된 배경은 두 집안의 혼인 관계와 관련되어 있다. <김전적본풀이>는 명도암 김씨 집안이 명도암 고씨 집안과는 별도로 자신들의 직계혈족인 김진용과 자식들의 업적을 내세우기 위하여 마련된 조상신앙이다. 명도암 김씨 집안이 자신들의 조상신앙을 마련해 가는 과정은 제주도 무속에서 한 집안의 조상신앙이나 조상신본풀이가 생성되는 일례를 보여준다. 더하여 명도암 김씨 집안의 가문의식은 제주도 무속 내에서 <고전적본풀이>와 관련된 전승맥락―당신앙, 의례 등―의 변이를 야기하여 왔다. 이처럼 <고전적본풀이>의 형성과 전승의 문제는 전승공동체의 지향점과 필요에 따라, 조상신앙 또는 조상신본풀이가 끊임없이 생성, 변이, 파생의 길을 걸어 온 과정과 맞물려 있다.

      • KCI등재

        동림마을 웃줄 신앙의 실제와 그 사회 문화적 의미

        천혜숙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경북 군위군 부계면 동림마을(가호 2리)에서 전승된 ‘웃줄’ 신앙에 관한 민속지적 접근이다. 이 글에서 기술하는 웃줄 신앙의 민속지적 현재는 제보자들의 경험과 기억이 시조모 대까지 걸쳐있으므로 적어도 19세기 말경까지 소급될 수 있다. 이 신앙은 ‘웃줄’이라는 오래된 신명을 유지한 점, 가신 가운데 최상위의 조상신으로 인식된 점, 햇곡의 수지[初穗]를 바치는 점 등에서, 흔히 조상단지나 시준/세존단지 등으로 불려온 여성 조상 가신신앙의 고형으로 추정된다. 다른 지역의 여성 조상신에게 보이는 ‘함원(含怨)’이나 ‘탈’과 같은 부정적인 속성이 일절 드러나지 않고, 집안에 우환이 있어 무당의 권유로 앉힌 조상도 아니란 사실이 이러한 추론에 신빙성을 더해준다. ‘위로 이어지는 줄’을 뜻하는 웃줄은 ‘조상’을 의미하는 고유어로 생각된다. 동림마을에서 웃줄의 신격은 윗대로 이어지는 시어머니 조상의 계보이자 신군(神群)을 의미한다. 신체는 햇곡으로 만든 찐쌀을 담은 작은 단지이다. 마을에서는 ‘웃줄할매’, ‘웃줄사만시준님네’, ‘웃줄시조할매’ 등으로 불리며, 때로는 ‘장씨 할매, 도씨 할매’처럼 성씨가 붙어 열거되기도 한다. 웃줄단지는 마루의 성주단지 위쪽에 앉히는 것이 기본이나, 가옥의 사정에 따라 안방, 상방, 작은방 등에 모셔지기도 했다. 정월 보름과 가을 수확기에 정기적으로 제의가 행해진다. 수확기의 제의는 재미(齋米) 고사의 형태로, 이때 햇곡의 수지쌀로 찐쌀을 만들어 단지의 묵은쌀을 갈아준다. 명절 차례와 조상 기제사 때도 제사를 받는 조상보다 웃줄- 성주 순으로 상을 먼저 올리는 것이 원칙이다. 그 밖에 집안의 혼사, 손자녀의 돌날 등, 집안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도 일일이 웃줄할매에게 고한 것을 보면, 웃줄 조상은 생업을 비롯하여 집안이 잘 유지되고 번창하게 해주는 총체적 직능을 지닌 조상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웃줄 신앙의 주체는 집안의 고부이다. 시모는 며느리와 함께 의례를 수행하다가 장차 며느리에게 그 주재권을 물려주었다. 웃줄 제의의 주재권도 주부권의 이양에 속한 항목이다. 이것은 다른 가신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나, 웃줄 신앙의 경우는 모시던 혼입여성들이 사후 몇 대가 지나 다시 웃줄 조상으로 앉게 되는 순환구조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동림마을에서 웃줄은 시준/세존과 같고 삼신과는 다른 신격으로 인식된다. 일반적으로 시준/세존 또는 제석 단지는 오랜 전승의 과정에서 조상신과 삼신을 넘나들다가 결국 삼신으로 위축되는 변화를 보이는 데 비해, 동림마을의 웃줄단지는 단절될 때까지도 최상위 조상신의 위계를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가정신앙이 약화되는 변화 속에서도, ‘웃줄’이란 신명, 최상위 조상신의 지위, 곡령단지의 신앙형태가 온존되어 온 것은 대단히 이례적이다. 이 마을이 산간 오지 농촌인 데다 벼농사 환경이 아주 열악했던 조건에서, 곡령 조상신에 대한 믿음이 강하게 요구되었던 사정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 동림마을의 웃줄은 고대 시조모(始祖母) 신앙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주로 장손의 집에서 모시는 데다, 그 신격이 먼 윗대로 이어지는 시어머니 조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 마을의 웃줄 조상은 유교적 조상들과 제상을 공유하거나 오히려 선점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양자가 상보적으로 공존했음을 말해주는 양상이다. 유교의 조상숭배... This study is a ethnographic approach to the faith of ‘Utjul’ which has been handed down in Dongrim village. The ethnographic present can be traced back to at leas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ince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informants will include the generations of the grandmothers. In terms of an interesting name, Utjul, which means a line leading to the former ancestor. it is assumed to be a relatively old form of ancestral goddess to protect house and family. The goddess also has the highest hierarchy among the family guardian gods, and the first harvests is consecrated. The fact that no negative attributes such as grudge or trouble appear to other female ancestors in shamanism and that they are not the ancestors brought to the house by the invitation of the shamans due to the illness and anxieties, add credibility to the preceding reasoning. ‘Utjul’ is the spirit of female ancesters, and the body of the goddess is a small jar containing the steamed rice made from the first harvested rice. The villagers are often called ‘Utjul’ grandmothers. A married woman lives as daughter-in-law, as a mother-in-law for a lifetime and dies, and then a few generations later become ‘Utjul’, returning home and protecting her family. The villagers are often called ‘Utjul’ grandmothers. A married woman lives as daughter-in-law, as a mother-in-law for a lifetime and dies, and then a few generations later she become ‘Utjul’, returning her husband’s house and protecting her family and dscendents. The ‘Utjul’ jar is on top of the ‘Sungju’ jar in the living room. People who believe in ‘Utjul’ regularly make offerings on the 15th of January (정월 보름) and fall harvest season, while the sacrifices are based on herbs and do not use meat. In addition to this, even in holidays and Confucian paternal ancestor rituals, we pray to ‘Utju’l first, and even when there are important things related to the prosperity of the house, such as the children’s marriage, one year old birthday (돌날), moving, trading, etc.. The offer is conducted by a mother-in-law and a daughter-in-law. Mother-in-laws who live in this village usually teach her daughter-in-laws in an apprenticeship, and when her daughter-in-laws is good enough, they hand it to them. In this village the ‘Utjul’ jar is identified with the ‘Sijun/Sejon’ jar and distinguished from the ‘Samsin jar’. It is a very unusual that the name of the old deity called ‘Utjul’, the status of the ancestor of the top, and the shape of the jar containing the grain have been maintained in this village, even in the changes that weaken the family faith overall. I think it is because Donglim Village is a remote village in the mountainous region, and the religion of ancestral gods and ancestors was absolutely necessar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ice farming environment was very poor. On the other hand, ‘Utjul’ of this village can be linked to the tradition of diefi- cation of ancient ‘mother of founder’. Because it means the line leading to the mother-in-law’s ancestor. In addition, ‘Utjul’ has shared its role in complementary coexistence with the goal of survival and prosperity of the family, sharing or preoccupying Confucian paternal ancestral priests and defamation. One more interesting thing about the role of women in the house in ceremonies for ancestral ancestors is that housewives do not stop at the ritual presidency but return as ‘Utjul’ ancestors after death. This cycle of circulation seems to have served as a cultural principle that motivates housewives to practice their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