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욕시 상업지역 조닝의 특성과 시사점

        김지엽(Kim, Jee-Yeop),커즈 포터(Potter, Cuz),정희윤(Jung, Hee-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논문은 뉴욕시 조닝 중 상업지역을 위한 조닝의 기법과 제도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용도지역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조닝의 발전과정을 통해 1916년 조닝 도입 이후 현재까지 조닝의 핵심 쟁점들과 도입된 주요 기법들을 개괄하고 뉴욕시 조닝의 개요를 살펴 본 후, 3장에서는 현재 뉴욕시 상업지역 조닝과 관련된 제도와 기법들을 분석하고, 4장에서 뉴욕시 조닝의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뉴욕시 상업지역의 조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다양한 상업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영하기 위해 상업지역이 73개로 세분화 되어 있다. 둘째, 도입 초기 주거지역에서 활용되던 맥락조닝을 상업지역에도 적용하여 맥락상업지역에서 주변 건축물과 유형적 맥락을 고려하고 가로변 연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셋째, 용도와 밀도규제를 분리하여 운영함으로서, 용적률과 건폐율 등은 용도지역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맥락에 따라 차등 적용되고 있다. 넷째, 일반적인 용도지역제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보다 세밀한 제어와 규제, 디자인 지침 등을 위해 도시설계 기법을 바탕으로 한 특별목적지구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상업지역에서 보행 친화적인 상업가로를 조성하기 위해서 특별강화상업지구를 도입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eans of improving Korea’s zoning system through an examination and evaluation of the techniques and system for zoning commercial districts in New York City(NYC). After providing a detailed summary of the core issues and main techniques introduced during the development of NYC’s zoning from 1916 to the present in Section 2, Section 3 analyzes the techniques and system currently implemented by the city for commercial district zoning, and Section 4 identifies NYC zoning’s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and issues.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ly diverse commercial districts, they have been divided into 83 detailed types. Second, by expanding contextual zoning,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residential districts, to commercial districts as well, NYC is able to consider the built form surrounding the commercial contextual districts and to guarantee continuity with the street. Third, as use and density regulations are separated, FAR and lot coverage are not applied uniformly throughout the use district but automatically follow that of the surrounding district. Fourth, as a complement to the general use zoning system, the city has implemented special districts grounded on urban design techniques like design guidelines and more detailed controls and regulations. In particular, it has introduced Special Enhanced Commercial Districts in order to create pedestrian-friendly streets in commercial areas.

      • KCI등재

        자율적 오피스의 업무환경별 조닝(Zoning) 방안 연구

        임도형,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For In contemporary society, office life is an significant factor decreasing the quality of life. This results in a reduction in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onsequently, many companies provide a variety of welfare services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their employees; however, these are relatively ineffective. Recentl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welfare measures, foreign companies have been introducing a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their employees with autonomy in selecting their physical work environment. In this study, I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increased work efficiency by establishing a definition of autonomous office and examining basic zon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fundamental problem of office life improvement—which most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unable to solve despite their various efforts—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a solution. (Method) Firstly, the cor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work efficiency is examined. Secondly, five floor plans of autonomous offices are analyzed to establish a basic zoning classification model of autonomous offices. Based on the case analysis, the two axes of the classification model are centered on: the axis of open-concentration, which is the contrast of environment; and the axis of individual-many, which refers to the subject of space usage. Based on this, I propose four types of zoning, namely: open-individual, open-many, concentration-individual, concentration-many. I then suggest a practical method for each type of zoning compared with those commonly used in existing office planning. (Results) While it was possible to classify entire plans of each case into four zoning type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was difficult to classify these perfectly due to the inability to search the real environments of companies. Among the four types of zoning, the type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ffice planning is open-individual space because the guarantee of personal space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individual space—which can be easily overlooked in the office—is organized as an essential zoning model within an autonomous office where zon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environment chosen by individual preference. (Conclusions) The zoning result of the autonomous office was not much different to what we are currently working with. Ultimatel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n office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s the company's efforts in giving employees autonomy. I hope that autonomous offices in Korea will be easily accessible in the future, an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에게 오피스 라이프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업무효율 저하로 이어져 생산성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낳는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직원들의 업무효율 증대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복지를 제공하고 있으나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최근 해외의 신규 기업들은 기존의 복지 체제에서 나아가 직원들에게 물리적 업무환경 선택에 자율성을 주는 경영체제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자율성과 업무효율 증대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자율적 오피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후,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본적 조닝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이는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다수 기업들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오피스 라이프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자율성과 업무효율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자율적 오피스가 행해지고 있는 5개의 오피스 평면을 분석하여 자율적 오피스의 조닝 분류모델 정립을 위한 기초로 삼는다.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분류모델의 두 가지 축은 환경의 대비적 변화인 개방-집중의 축과 공간 사용의 주체인 개인-다수의 축을 중심으로 세운다. 이를 기준으로 개방-개인, 개방-다수, 집중-개인, 집중-다수의 4가지 조닝 유형을 제시하고 기존 오피스 계획 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닝의 방법과 비교하여 각 유형의 실질적인 조닝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결과) 평면 사례 연구 결과 각 사례의 전체 평면을 4가지 조닝 유형으로 분류하여 적용 가능하였으나, 실제 공간의 환경 조사가 불가능하여 완전한 분류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4가지 조닝 유형 중 오피스 계획 시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유형은 개방-개인 공간으로 개인 공간에 대한 보장성은 업무환경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므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유형이었다. 또한 집중-개인 공간은 오피스 공간 구획 시 쉽게 간과될 수 있는 유형이나 개인이 선호하는 업무환경에 따라 조닝이 이루어지는 자율적 오피스 내에서는 필수적인 조닝 모델로 정리되었다. (결론) 자율적 오피스의 조닝 결과는 기존 우리가 일하고 있는 오피스의 조닝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업무효율과 생산성을 높이는 오피스를 위해서는 직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보장해주기 위한 기업의 노력이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국내에도 이러한 자율적 오피스에 쉽게 접할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조닝 활용 방안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보행활동 증진을 위한 준공공공간 규제내용의 개정 특성 고찰

        한광야(Han, GwangYa),김선경(Kim, Sun-Ky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뉴욕시의 2007년 준공공공간 관련 조닝규제의 개정특성을 기존 인센티브 조닝하에 조성된 상업구역내 대표적인 준공공공간의 사례평가와 도시설계적 성격을 가진 개정된 주요 규제요소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정된 조닝규제와 설계표준의 특성을 사례조사와 문헌고찰로 진행하고 일련의 조닝규제의 도입배경과 개정과정도 함께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개정된 조닝규제가 (1) 건축선후퇴로 조성된 저이용되는 건물전면부, (2) 선큰 플라자의 비효율적 입체공간, (3) 가로와 인접해 중복 조성된 블록관통연결부의 문제해결에 주목함을 이해하였다. 또한 준공공공간의 공공기능 회복과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개정된 대안적 조닝 규제의 주요 특성은 (1) 가로경관과 보행?상업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가로전면공간의 정의, (2) 보너스 인센티브의 차등 적용을 위한 보행순환공간의 유형화, (3) 퍼블릭플라자의 가시성과 인지성 개선을 위한 물리적 위계구조 및 형태규제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상업구역내 준공공공간의 조닝규제는 보너스 인센티브라는 개발도구의 개념을 넘어 도시적인 기능수용이 우선되는 공간구조와 보행환경의 연계를 위한 제도개선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urban design guidances for Privately-owned Public Space, featured in the 2007 Special Urban Design Regulation in Commercial District of the City of New York, in order to draw their intentions. It identifies a set of problems, derived from in-depth code analyses of related Incentive Zoning revisions and qualitative field observations of exemplary public plazas, provided under the Incentive Zoning. The results include excessive set-back of build-to line; inefficient below-grade sunken plaza; and unnecessary through-block plaza next to sidewalk. Three prescriptive restrictions with the introduction of detailed design standards indicat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as follows: (1) Street Walls for continuous pedestrian streetscape and retail activity; (2) Pedestrian Circulation Spaces not as bonus floor incentives but as site plan requirements; (3) Major and Minor Portions of public plaza?s structural hierarchy for enhanced use, access/circulation and maintenance. The findings suggest the quality of Public Space be critically enhanced by zoning revisions for its extended pedestrian activities on the stree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용도프로필에 따른 단순 조닝과 상세 조닝의 냉난방 에너지요구량 비교를 통한 조닝 단순화 연구

        임수현,윤현정,박혜영,박성중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21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5 No.6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of minimizing the input variables by simplifying zoning when calculating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This method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with the detailed calculation method requiring many input variables for each zone. The errors of the single or simple model to the detailed model in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is analyzed for commercial facilities, business facilities, education & research facilities. As a result, simple model calculation method applying major and sub-usage profile can reduce the number of envelope inputs while providing appropriate results. It could be considered to be a time-efficient method.

      • KCI등재

        기성시가지 특성을 고려한 용도지역제에 관한 연구

        안내영(Ahn, Nae-Young),정희윤(Jung, Hee-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4

        서울시는 상업지역 중 89.4%가 일반상업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지역특성이나 위계를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규제로 인하여 지역중심보다 지구중심이 더 고밀개발되는 등의 역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건물의 용도에 따라 건폐율과 층수, 획지면적과 용적률의 상관관계가 각각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용도지역제는 용적률, 건폐율, 높이가 일률적으로 연동하여 적용하는 체계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울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복잡한 기성시가지에서 지역특성을 살리는 유연한 용도지역제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서울시 상업지역을 중심지 위계를 고려하여 96개 지구로 나누고 군집분석을 통하여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형분류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용도지역에서 주요 관리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밀도와 건폐율, 용도를 유연성 있게 운용할 수 있는 모듈러 조닝 형태를 사례지역에 적용하여, 실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지역특성을 살려 기성시가지를 활성화하는 도시재생이 요구되는 지금, 다양한 형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용도지역제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zoning system in Seoul designates 89.4% of the Commercial Districts as General Commercial Districts and applies the almost same regul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hierarchy of the areas. All control elements(FAR, the coverage ratio and the number of stories) are regulated with the only one set in one use district, although the relations among FAR(floor area ratio), the number of stories, lot size, and coverage ratio are varied depending on the main use of each building. Therefore the current zoning system has many limitations when it is applied to the built-up areas where diversified local characteristics exist and mixed land-uses are preval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lternative zoning system which can reinforce the various urban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hierarchy of commercial areas of Seoul, this study categorizes the areas into 96 groups and classify them by types through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i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flexible zoning modular form that can be operated by density, building coverage ratio, and building use and it examined the feasibility of the form by applying it to the case study areas. It is necessary to use a flexible zon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forms to revitalize the built-up area by taking advantage of its lo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美國 土地利用計劃 및 規制 體系와 主要 法的 爭點

        김지엽(Kim, Jee-Yeop)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0 No.-

        본 연구는 미국 토지이용계획과 규제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19세기부터 시작된 본격적인 공공개입을 통한 근대적 토지이용계획과 규제들의 발전과정과 현재까지의 주요 흐름을 살펴보고, 미국 토지이용규제의 구성 및 계획체계와 이와 관련된 주요 법적 쟁점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나타난 미국 토지이용계획 및 규제 관련 법제의 체계와 주 요 법적 쟁점들의 특성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토지이용규제는 산업혁명 이후에 나타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생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로서 시작되어, 도시 미화운동으로 대표되는 근대 도시계획 분야의 탄생과 1916년 뉴욕시가 처음으로 채택한 조닝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되었다. 이 후 다양한 조닝기법들이 도입되고 70년대부터 본 격적으로 추진된 스마트성장정책과 최근의 뉴어버니즘에 의한 기법.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토지이용규제 기법 등이 꾸준히 시도되면서 다양한 토지이용규제의 수법과 제도들이 발전되어 왔다. 둘째, 미국 토지이용계획과 규제는 수권법에 의해 위임된 권한에 따라 각 지방정부중심으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셋째, 미국 토지이용규제의 핵심은 용도지역제를 중심으로 한 조닝이며 분할규제가 조닝을 보완하며 활용되고 있다. 또한, 근대 토지이용규제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토지이용을 제한하던 보통법상의 토지사법들, 즉 생활방해와 토지예속권 등이 현재에도 토지공법의 빈틈을 보완하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토지이용계획과 규제에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법적 쟁점으로는 해당 토지 이용규제를 제정하고 시행하는 정부의 권한문제(ultra vires), 미국 연방수정헌법 제5조에 의한 ‘적법절차(due process)’와 ‘규제적수용(regulatory taking)’ 문제, 수정헌법 제1조에 의한 표현 및 종교의 자유문제, 수정헌법 제14조에 의한 평등권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legal system for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in the United States. To do so, it begins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U.S.'s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And then, it examines the legal structure and system for land use planning and control, and analyzes the major legal issues regarding land use law.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gal system for land use planning in U.S. began to cope with the serious sanitary problems for housing due to the rapid ndustrialization in the late 19C and has been evolved through developing the various zoning techniques and deal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Second, local governments are delegated to adopt and implement land use system by enabling laws. Third, zoning is the core tool to regulate land use, which is supplemented with subdivision law. In addition, private land use laws, such as nuisance and servitude including easement and covenant,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land use matters. Fourth, the major legal issues center around ultra vires, due process and regulatory taking under the Fifth Amendment, the Free Speech clause under the First Amendment, and the Equal Protection clause under the Fourteenth Amendment.

      • KCI우수등재

        미국 중소도시의 형태기반코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박성용(Park, Sung-Yong),안동준(Ahn, Dong-Joo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4

        Rapid urbanization has fostered development of modern cities. Although Conventional zoning played its role to control urban development, it also segregated land uses and created homogeneous development pattern. Mega cities with satellite bed towns has not shown their unique identity and characters. In order to develop comprehensive approach which may bring social and physical enhancemen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by considering city as a two dimensions. On contrary, extensive analysis and proposals require an approach which can perceive city with three dimensions. Form-Based Codes (FBCs) are appear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zoning with different design process and principles. FBCs approach urban place with three dimension and giving priority to form rather than land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cessity of FBCs and its concept, components and how this would change urban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analysis on 4 case studies for zoning codes of US cities. Through comparison of components in Form-Based Codes of 4 different cases, this study can show the reasons for differences in application of Form-Based Codes and how detailed components would play a role to establish better urban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국내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구조시스템 유형과 콘크리트 강도 조닝 분석

        김상연,Kim, Sang-Yeo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3

        In this study, cases of domestic tall residential buildings were investigated for the structural types, numbers of stories, total heights, type of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s, and zoning of concrete strength. Based on these investigation data, the structural planning pattern of tall residential building was analyzed. SRC structure is main structural types of tall residential building at the initial stage of domestic tall residential building, but RC structure is substituted for main structural types since 2005. Retaining wall system is positioned at the core part of structural plan as a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 Concrete strength zoning of vertical members like columns are divided by vertical heights of lower parts, middle parts, and upper parts. Basic data of structural planning of 40stories and 60 stories residential buildings was proposed based on case investigation.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들에 대하여 층수와 높이 등의 규모 및 구조형식과 횡력저항 시스템의 유형 및 사용 재료의 강도와 층별 콘크리트 강도의 조닝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구조 계획 유형을 분석하였다. 조사한 결과, 국내 초창기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의 구조시스템은 도곡동 타워팰리스와 같이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로 건설된 사례가 많았으나, 2005년 이후에는 대부분이 철근콘크리트(RC)구조로 건설되었다. 구조체에서 코어부분을 전단벽으로 배치하여 횡력저항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있고, 콘크리트의 강도는 층수에 따라 고층부, 중간부, 저층부로 나누어 강도를 조닝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사례조사를 토대로 국내에 주상복합건축물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건설되고 있는 40층 및 60층 규모의 건축물에 대한 구조계획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횡류식 제 ‧ 배연 시스템의 개선 및 적용성 분석을 위한 모형실험 연구

        김효규,백두산,김재현,이성원,유지오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0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2 No.5

        현재 도로터널과 철도터널에서는 화재시 발생한 유독가스 및 연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제 ‧ 배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다양한 제 ‧ 배연 시스템 중 횡류식 제 ‧ 배연시스템은 풍도의 중간을 구획하여 급기 또는 배기를 수행함에 따라 터널 본선 전단면에 급기 또는 배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터널 본선의 절반 부분만 급기 또는 배기가 수행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횡류식 제 ‧ 배연시스템의 한계점을 개선한 조닝방식에 대하여 수치해석과 모형시험을 통해 제 ‧ 배연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형시험의 결과 제 ‧ 배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횡류식 제 ‧ 배연시스템은 25.6%의 배연율을 나타내었고, 조닝을 통한 제 ‧ 배연시스템은 40.8%의 배연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치해석결과 횡류식 제 ‧배연시스템은 본선터널에서 확산되는 화재연기를 차단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확산 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닝방법을 통한 제 ‧ 배연시스템은 에어커튼 효과 및 배연 효과로 인하여 화재연기가 일정구간 내에 제연 되는것으로 나타났다. Currently, road tunnels and railroad tunnels are building smoke control systems to emit toxic gases and smoke from fires. Among the various smoke control systems, the transverse smoke control system has the disadvantage that air supply or exhaust is performed on only half of the cross-section, rather than air supply or exhaust on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tunnel as air is supplied or exhausted by partitioning the wind pat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xhaustion through numerical analysis and scaled model tests on the zoning smoke control system, which improved the limitations of the transverse smoke control system. As a result of the scaled model test, the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exhibited a 25.6% smoke control rate based on the state where no smoke was controled, and zoning smoke control system showed asmoke control rate of 40.8%. In addition,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did not control fire smoke spreading from the tunnel and continued to spread. On the other hand, zoning smoke control system was found to be smoke controled within a certain section due to the air curtain effect and the flue gas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