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극소 미숙아(재태 연령 25주 이하)에서 발생한 조기 패혈증의 임상적 특징

        윤신애 ( Shin Ae Yoon ),전지영 ( Ji Young Chun ),호요한 ( Yo Han Ho ),김지숙 ( Ji Sook Kim ),유혜수 ( Hye Soo Yoo ),성세인 ( Se In Sung ),안소윤 ( So Yoon Ahn ),장윤실 ( Yun Sil Chang ),박원순 ( Won So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6 Perinatology Vol.27 No.1

        목적: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패혈증의 발생률 및 원인균,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들 중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미숙아 10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기 패혈증 군과 대조군 간의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주요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비교 하였으며, 주산기 인자와 생후 1주일 이내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총 107명의 환자들 중 11명이 조기 패혈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주 원인균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 (45.5%)이었다. 조기 패혈증 군과 대조군 간의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아프가 점수, 질식 분만 빈도, 조직학적 융모 양막염 빈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조기 패혈증 군의 11명 중 9명에서 태아 빈맥을 보였으며(P=0.001), 조기 패혈증 군에서 생후 3일째와 생후 7일째에 낮은 혈소판 수치를 보였다(P=0.033, P=0.045). 주요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기 패혈증 군의 사망 환아 4명중 3명의 직접 사인이 조기 패혈증 이었다. 결론: 조기 패혈증의 초기 적절한 치료는 초극소 미숙아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태아 빈맥과 낮은 혈소판 수치는 조기 패혈증과 연관성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onset sepsis (EOS) in micropreemi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07 extremely preterm infants born at 25 or less than 25 weeks of gestatio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13 to August 2015. Inf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f culture-proven EOS in the first 7 days of life. Retrospective analysis of perinatal factors and laboratory findings within the first week of life was done between two groups. We compared the neonatal outcomes among two groups. Results: Culture-proven EOS was diagnosed in 11 of 107 infants (10.3%). Main pathogen of EOS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45.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OS group 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pgar score, delivery type and pathologic chorioamnionitis. Among 11 infants with EOS, 9 showed fetal tachycardia (P=0.001). And EOS group presented lower platelet count at 3rd day and 7th day of life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33, P=0.045). Neonatal outcomes in EOS group were compatible with control group. Main cause of death was sepsis in EOS group. Conclusion: In micropreemie, EOS is important factor of mortality. Our data suggest that fetal tachycardia and low platelet count during the first 7 days of life were associated with EOS.

      • KCI등재

        조기 양막파수 산모로부터 태어난 신생아의 관리

        조영국 ( Young Kuk Cho ),임호경 ( Ho Kyoung Lim ),김선희 ( Sun Hee Kim ),박천학 ( Chun Hak Park ),최영륜 ( Young You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05 Perinatology Vol.16 No.2

        목적: 신생아 패혈증은 조기진단이 어렵고 중증으로 진행하는 속도가 빨라서 조기 양막파수(PROM)와 같은 신생아 패혈증의 고위험 인자가 있을 때는 패혈증 여부를 조기 진단하여 적절하고 충분한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이에 저자들은 PROM 산모로부터 태어난 재태주령 35주 이상의 신생아의 파수시간에 따른 임상 증상 및 검사실 소견을 살펴보고 패혈증의 조기 진단 및 항생제 투여에 관한 기준을 정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만 5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3,850예 중 PROM 산모로부터 태어난 591예의 환아 중 재태연령 35주 이상인 신생아 125예를 대상으로 파수시간과 신생아에서의 CRP와 발열, 혈액 배양, 말초혈액 총백혈구수와 중성구(%), 모체의 발열 및 모체의 총백혈구수 간의 상관관계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1) 신생아 3,850예 중 PROM이 591예(15.4%)이었으며 그 중 재태주령 35주 이상인 PROM은 125예로 총 신생아의 3.5%를 차지하였고 연도별 발생 추이는 차이가 없었다. 2) 파수시간에 따라 CRP 양성률과 신생아 발열 빈도 및 신생아 패혈증 발생과는 상관이 없었으나 신생아에서 항생제 사용률이 높았다. 3) 신생아 패혈증 군에서 CRP 양성률과 신생아 발열 및 산모의 발열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산모의 항생제 사용률이 낮았다. 결론: PROM 산모로 태어난 신생아 중 재태주령 35주 이상인 경우는 파수시간에 관계없이 산모의 발열, 산모의 항생제 사용 유무와 신생아의 혈액배양과 CRP 등의 전반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패혈증의 증상 유무에 따라 항생제를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PROM) on neonatal sepsis in infants who were delivered more than 35 weeks of gestational age (GA). Methods: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125 newborns of mothers with PROM who were delivered more than 35 weeks of GA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five-year period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Results: The incidence of PROM was 15.4% with little yearly variations and PROM in which GA more than 35 weeks was 3.5%. The incidence of positive C-reactive protein (CRP), neonatal fever and neonatal sepsis were not increased but the neonatal use of antibiotics was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duration of the PROM. In the patients with neonatal sepsis, positive CRP rate and incidence of neonatal and maternal fever were significantly high, and use of maternal antibiotics was significantly low. Conclusion: When the newborns of mothers with PROM were delivered more than 35 weeks of GA, maternal history of fever or antibiotic treatment and neonatal history of fever, blood culture and CRP should be checked regardless of duration of PROM, and then begin to start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baby`s clinical signs and symptoms.

      • KCI등재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Dexamethasone 다회 투여가 임신부 및 신생아의 주산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태중(Tae Joong Kim),김우영(Woo Youg Kim),유진경(Jin Kyung You),황종대(Jong Dae Whang),양순하(Soon Ha Yang),이제호(Je Ho Lee),노정래(Cheong Rae R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산전 dexamethasone 투여가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과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 및 융모양막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 대상 및 방법 : 임신 24주에서34주 사이의 조기양막파수로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임신부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산모를 dexamethasone 투여횟수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 (1) 산전 dexamethasone 을 투여받지 않은 군 (대조군) (2) 5mg dexamethasone 4회를 12시간 간격으로 근주 또는 정주 투여받은 군 (1회 요법) (3) 초기 1회 요법이 끝난 후 1주 간격으로 dexamethasone 추가 투여받은 군 (다회 요법). 모든 산모들은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받았다. 불연속 변량은 Chi-squre test, 연속 변량은 analysis of variance를 통해 세 군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교란변수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는데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 및 융모양막염의 위험인자로 여겨지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와 융모양막염을 각각 종속변수로 삼아 통계분석을 하였다. P<0.05 이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결과 : 129명의 조기양막파수 임신부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는데, 대조군 37명, 일회 요법군 68명, 다회 요법군 24명이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과 융모양막염 및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산전 dexamethasone 투여횟수와 상관성이 없었다.결론 : 조기양막파수에서 산전 dexamethasone 투여횟수에 따라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이 감소되거나 신생아 및 모체 감염이 증가되지 않는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tenatal dexamethasone exposure on the incidence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early-onset neonatal sepsis and maternal chorioamnionitis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others admitted between 24 and 34 weeks' gestation afte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dexamethasone exposures: (1) none (control subjects), (2) four 5-mg doses in a 12-hour interval on admission (single course), and (3) weekly administration after the initial single course (multiple courses). All included patients received prophylactic antibiotics. Discrete data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with the x2 test. Continuous data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with an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founding effect of the multiple variables that we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for early-onset neonatal sepsis and maternal chorioamnionitis. All P value of <.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 One hundred twenty nine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ere included, 37 of whom were evaluated in the control group, 68 in the single-course group, and 24 in the group receiving multiple courses of dexamethasone. The incidence of neonatal RDS, chorioamnionitis and early-onset neonatal sepsi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antenatal dexamethasone exposures.Conclusions : Multiple courses of antenatal dexamethasone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is not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neonatal RDS and an increased risk of early-onset neonatal sepsis and maternal chorioamnionitis.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의 치료로서 환상투열요법 시행 후 잔류병변의 예측인자

        임태건(Tai Gun Im),황호명(Ho Myong Hwang),정영주(Young Ju Jeong),오병찬(Byung Chan 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8

        N/A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unexplained elevation of second- trimester maternal serum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 is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Method :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1999, we evaluated 2112 pregnant women undergoing second trimester triple marker screening test who delivered at our hospital. Inclusion criteria were singleton pregnancy, confirmed gestational age, and hCG level greater than 2.0 MoM. The exclusion criteria were fetal anomaly, abnormal karyotype, MSAFP level greater than 2.0 MoM, uE3 level less than 0.4 MoM, and referred patients wit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IH). A group of randomly selected women with normal maternal serum hCG and AFP levels served as control. Results : Women with unexplained elevation of hCG level showed increased risks for PIH (p<0.001) and preterm delivery (p<0.00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rences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with respect to placental abruption, fetal distress, PROM,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apgar score. Conclusion ; Pregnancies with unexplained elevation of hCG levels should be regarded as high-risk pregnancies and managed accordingly. The combination with these biomarkers such as VEGF, plasminogen activating factor I and AT-III as a screening test for PIH may be use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