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조기분만과 만삭분만 산모의 모발에서 측정한 중금속 농도의 비교

        김석영 ( Suk Young Kim ),이글라라 ( Clara Lee ),이호형 ( Ho Hyoung Lee ),황병철 ( Byung Chul Hwang ),이순표 ( Soon Pyo Lee ),박종민 ( Jong Mi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산모의 영양상태는 태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모의 영양상태뿐만이 아니라 산모 체내의 유해한 중금속도 태아의 발육에 영향을 미친다. 이전의 연구에서 산모의 중금속이 높을수록 태아의 발육지연이나 조기분만의 비 율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에서 산모의 중금속의 농도와 태아의 발육지연이나 조기분만 과의 관계에 대해 일치할 만한 결과를 내놓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조기분만과 정상분만 산모간에 중금속 농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5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임신주수 37주를 기준으로 조기분만군과 정상분만으로 나누어 두군을 비교 평가하였다. 조기분만군은 23명, 정상분만군은 29명 이었다. 중금속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모발 미네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머리카락을 이용한 모발미네랄 검사의 항목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구리, 아연 등 15가지 영양 미네랄을 검사하였으며 중금속으로는 안티몬, 우라늄, 비소, 베릴륨, 수은 카드뮴, 납, 알루미늄의 7가지 중금속이 검사항목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에 백금, 니켈등 14가지 기타 미네랄을 검사하였다. 결과: 모발 미네랄 검사를 통해 산모의 모발에서 얻은 검체의 중금속 농도를 비교했을 때, 수은, 알루미늄, 납 성분이 조기분만군과 정상분만군 모두에서 검출되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중금속은 없었다. 결론: 모발 미네랄 검사를 통해 산모의 몸속에 중금속이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비록 조기분만군과 정상분만 군 간의 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중금속의 노출이 태아의 발달 이상이나 분만 시 여러 합병증을 야기시킨다는 여러 논문들의 연구결과를 볼때 중금속의 악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었다. Objectives: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heavy metal exposure on adverse birth outcomes are still inconsistent. Heavy metal exposure would be related to decreased birth weight and a shortened gestational age. The aim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maternal hair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gestational age at delivery. Methods: A total of 52 maternal h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il hospital, Korea. Delivery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was defined as preterm and delivery after 37 weeks of gestation was defined as full-term delivery. We gathered the specimens from maternal hair approaching delivery. 23 samples were taken from preterm delivered mothers and 29 samples from full term delivered mothers. We evaluated maternal specimen by hair tissue mineral analysis to measur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ccumulated for more than several month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W test. Results: Heavy metal was revealed in pregnant women`s hair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heavy metal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Compared numbers of preterm delivery and fullterm delivery by stratified by heavy metal concentrations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does not show an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elivery outcome and heavy metal measured by hair tissue mineral analysis. Further prospective studies with serial measures of cord blood heavy metal level and hair its levels may be required.

      • KCI등재

        조기진통 융모막에서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분석

        고현선 ( Hyun Sun Ko ),김연희 ( Yeun Hee Kim ),길기철 ( Ki Cheal Kil ),양동은 ( Dong Eun Yang ),박인양 ( In Yang Park ),김사진 ( Sa Jin Kim ),박태철 ( Tai Churl Park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2

        목적 : 조기진통으로 인한 조기분만과 진통을 겪은 만삭분만의 융모막에서 발현되는 gene expression profile을 구별하고자 하였다. 방법 : DNA chip을 이용 조기진통으로 조기분만 5예와 진통을 겪은 만삭분만 5예의 융모막에서 분만직후 각각 RNA를 추출하여 cDNA microarray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 조기 분만시 융모막에서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인 유전자는 총 104개 였으며, 이중 1.5배 이상 증가된 것은 총 18개로 cell adhesion, cell cycle regulation, development, transport, morphogenesis, muscle contraction, signal transduction, 및 transcription 등에 관련된 유전자였다. 조기 분만시 융모막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발현 양상을 보인 총 102개였고, 이중 1.5배 이상 감소발현을 나타낸 유전자는 총 15개로 cell differentiation, development, metabolism, morphogenesis, RNA processing, signal transduction, transcription과 transport 등에 관련된 유전자였다. 결론 : 본 연구는 cDNA microarray를 이용하면 조기진통에 의한 조기분만의 원인이나 기전을 분자 유전학적 측면에서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Objective : We used a genome-wide approach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patients with preterm delivery caused by preterm labo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Methods : RNA was isolated from the chorions of patients with preterm delivery caused by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and term vaginal delivery. cDNA microarray experiments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in follow-up experiment. Results : cDNA microarray experiments identified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104 genes and decreased expression of 102 genes in the preterm cases. 18 genes showed more than 1.5-fold increased expressions in the chorions of patients with preterm delivery by preterm labor than those with term vaginal delivery. In preterm delivery, up-regulated genes were associated with cell adhesion, cell cycle regulation, development, transport, morphogenesis, muscle contraction, signal transduction, and transcription. 15 genes showed more than 1.5-fold decreased expressions in chorions of patients delivered preterm by preterm labor than delivered term by labor. In preterm delivery, down-regulated genes were associated with cell differentiation, development, metabolism, morphogenesis, RNA processing, signal transduction, transcription, and transport.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cDNA micro array technique might provide insights into the molecular basis of preterm delivery caused by preterm labor.

      • KCI등재

        조기진통 임신부에서 7일 이내의 조기분만의 예측에 있어 질식 초음파를 통한 자궁경부길이 측정의 유용성

        정희라 ( Hee Ra Jung ),이경 ( Kyung Lee ),김명환 ( Myoung Hwan Kim ),고지경 ( Ji Kyung Ko ),이철민 ( Chul Min Lee ),조용균 ( Yong Kyoo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Rin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3

        목적: 조기진통이 있는 임신부에서 7일 이내의 조기분만의 예측에 있어 질식 초음파를 이용한 자궁경부 길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임신 24주에서부터 33주 6일까지 조기진통으로 인제대학교상계백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입원 당시 질식 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경부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연구의 일차적 성과의 판단기준(primary outcome measure)은 7일 이내의 분만으로 정하였다.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 140명 중 7일 이내의 분만은 11/140 (7.9%)에서 발생하였다. ROC curve 분석 결과 7일 이내의 조기 분만을 예측하는 가장 적절한 자궁경부 길이의 기준치는 25 mm였으며 이는 민감도 94%, 특이도 75%를 나타내었다. 자궁경부 길이가 25 mm 이하인 경우 전체 46명 중 10명(21.7%), 자궁경부 길이가 25 mm 초과인 경우 전체 94명중 1명(1.1%)에서 7일 이내에 조기분만이 발생하였다. 또한 자궁경부 길이 25 mm를 기준으로 입원 후 분만까지 걸린 시간을 생존 곡선으로 분석하였을 때 자궁경부 길이가 25 mm 이하인 경우 입원 후 분만까지 시간이 의미 있게 짧게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회귀 분석에서는 자궁경부 길이(≤25 mm) (OR: 24.64, 95% Cl: 2.97~204.20, P=0.003)만이 조기진통 산모에서 7일 이내의 분만을 예측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결론: 조기진통이 있는 임신부에서 질식 초음파를 이용한 자궁경부 길이의 측정이 7일 이내의 조기분만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cervical length in patients with preterm labor for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within 7 days. Methods: Cervical length was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und in 140 women with singleton pregnancies presenting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from 24(+0) to 33(+6) weeks of gestation. Other potential predictive factors, such as Bishop score, previous history of preterm delivery, and parity were assessed.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age at presentation was 30.5±14.7 (range, 24.0 to 33.6) weeks and the mean cervical length was 29.0±0.9 (range, 31.0 to 52.1) mm. Delivery within 7 days occurred in 7.9% (11/140).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s established a cervical length of 25 mm as the most relevant cut off level for prediction of delivery within 7 days. Interval between admission and delivery was significantly short when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was less than or equal to 25 m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cervical length ≤25 mm (OR: 24.64, 95% C1: 2.97~204.20, P=0.003). Conclusion: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measurement is a useful tool for prediction of progression to preterm delivery within 7 days with patients with preterm labor.

      • KCI등재

        조기분만 저체중아 및 임신합병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박상화,한정호,김응익 대한보건협회 1997 대한보건연구 Vol.23 No.1

        출생체중은 재태기간과 자궁내 성장 정도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재태기간은 출생체중과 주산기 생존력을 예견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1995년 1년간 서울 소재 S병원에서 단태아 1,676명을 대상으로 재태기간이 37주 미만이고 동시에 출생체중이 2,500g 미만인 신생아를 고위험군(group Ⅰ)으로 선정하고, 고위험 신생아를 제외한 나머지 신생아는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조기분만 저체중아 위험요인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multiple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분만아중 조기분만 저체중아는 113명(6.74%)이었고 고위험군 및 대조군의 Apgar 평균점수 및 분포에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조기분만 저체중아 발생빈도는 24세 미만군 및 35세 이상군에서는 10%를 상회하였다. 산모의 각 위험인자별 조기분만 저체중아 발생 위험도(교차비)에서 조기분만 및 자연유산 기왕력이 있는 부인, 월경주기가 불규칙한 군, 산과적 합병증이 있을 때 위험도는 증가하였고, 반면 출생순위, 출산연령, 인공유산 경험은 조기분만 저체중아 발생 위험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합병증에 발생 위험도에서는 조기분만 및 자연유산 기왕력이 있는 부인, 월경주기가 불규칙한 군, 출산연령이 35세 이상군에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ie PB/LBW). Total singleton births were 1,676 cases obtain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5. The logistic regression ana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B/LBW and risk factors. 1. The distribution of PB/LBW in total cases was 6.74 percent. The Apgar score at 1 and 5 minut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B/LBW and non-PB/LBW) in mean Apgar score and in distribution of low Apgar score(≤6). The incidence rate of PB/LBW was higher in maternal aged under 25 and above 35 years than that of 25-34 years.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B/LBW and previous preterm-birth and spontaneous abortion history. 2.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the PB/LBW outcome in risk group: previous preterm-birth history(odds ratio(OR): 4.535, 95% confidence interval(CI): 2,562-8.026, P<0.001), spontaneous abortion history(OR:2.143, CI:l.400-3.279, P<0.001), Pregnancy complication(OR:6.609, CI:4.349-10.044, P<0.001), irregular menstrual cycle (OR:2.253, CI:1.477-3.506,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the PB/LBW outcome in induced abortion history(OR:1.017), birth order (OR:0.892). The women aged under 25 and over 35 were at slight higer risk of PB/LBW than that of reference group aged 25-34, but maternal age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B/LBW(aged under 25: OR:1.630. P>0.05; aged over 35: OR:1.473, P>0.05). There was more risk of pregnancy complications in previous preterm-birth history(OR:3.986, P<0.001), spontaneous abortion history(OR:2.065, P<0.001), irregular menstrual cycle(OR:2.504, P<0.001) and women aged 35 and over(OR:1.75, P<0.05).

      • KCI등재

        조기분만진통 임부와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의 정맥혈장내 산화 스트레스 지표

        김윤하 ( Yoon Ha Kim ),노은지 ( Eun Ji Noh ),백주아 ( Ju A Back ),김종운 ( Jong Woon Kim ),송태복 ( Tae Bok Song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4

        목적: 조기분만진통 및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의 정맥혈장내 산화능과 항산화능의 차이를 비교하고 산화 스트레스가 조기양막파열의 병태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방법: 75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정맥혈을 채취하고 원심분리 후 혈장을 얻었다. (1) A군, 정상 임부 24명, (2) B군, 조기분만진통 임부 25명, (3) C군,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 26명. thiobarbituric acid 반응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 농도를 측정하였고, 2,4-dinitrophenylhydrazine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carbonyl 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ORAC)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Mann-Whitney U test, Kruskal 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B군과 C군의 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 치는 A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며(B군: 4.59±0.30, C군: 5.40±0.22 vs. A군: 3.90±0.26 nmol/mg protein, P<0.05), C군의 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 치는 B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C군의 정맥혈장내 carbonyl기 함량은 A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며(C군: 5.68±0.42 vs. A군: 5.43±0.41 nmol/mg protein, P<0.05), A군과 B군간의 carbonyl기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능에 있어서는 B군과 C군이 A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며(B군: 117.91±0.48, C군: 111.68±1.23 vs. A군: 119.14±1.12 mM/mL, P<0.05), C군이 B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5). 결론: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시 조기분만진통에 비해 정맥혈장에서 산화적 변화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항산화능은 감소되어 있었다. 이는 조기양막파열시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xidation and antioxidation capacity in the maternalvenous plasma of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andalso to evaluate their roles in the pathophysiology of PPROM. Methods: Seventy five women in the following categories had venous blood retrieved: (1) Group A, normal pregnancy (n=24). (2) Group B,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n=25). (3) Group C,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n=26). Malondialdehyde (MDA) levels as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protein carbonyl content by 2,4-dinitrophenylhydrazine reaction,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ORAC) were measured.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B and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group B: 4.59±0.30, group C: 5.40±0.22 vs. group A: 3.90±0.26 nmol/mg protein, P<0.05).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B (P<0.05). Protein carbonyl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group C: 5.68±0.42 vs. group A: 5.43±0.41 nmol/mg protein,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rotein carbonyl levels in the venous plasma between group A and B. ORAC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B and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A (group B: 117.90±0.48, group C: 111.68±1.23 vs. group A: 119.14±1.12 mM/mL, P<0.05). ORAC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B (P<0.05). Conclusion: In the blood of the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the lipid peroxidation was increased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was decreased compared to women with normal pregnancy and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ve stress was increased in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KCI등재

        조기 분만 태반조직 및 태반 막에서 GeneFishing(TM) DEG PCR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검색

        고현선 ( Hyun Sun Ko ),김연희 ( Yeun Hee Kim ),길기철 ( Ki Cheol Kil ),정주희 ( Ju Hee Jeong ),양동은 ( Dong Eun Yang ),정대영 ( Dae Young Chung ),박태철 ( Tai Churl Park ),김수평 ( Soo Pyung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5 Perinatology Vol.16 No.4

        목적: 조기 진통으로 인한 조기분만시 태반 조직 및 태반막에서 GeneFishing(TM) DEG kit의 PCR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방법: 39주 이상의 만삭 분만과 32주 미만의 조기 분만시 태반 조직, 양막, 융모막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여 GeneFishing(TM) DEG kit를 이용한 PCR을 시행하였다. 발현차이를 보이는 DNA를 정제하여, cloning하 후 ABI HITACHI 3100 genetic analyzer (Perkin-Elmer ABI, Foster City, Calif. USA)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은 NCBI (<http://www.ncbi.nlm.nih.gov/blast/>)의 blast search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20개의 annealing control primers (ACPs)를 이용하여 발현차이를 보이는 13개의 band를 확인하였고, 그중 조기 분만에서 발현이 증가된 것은 7개, 발현이 감소된 것은 6개였다. BLAST search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이들 중 각각의 유전자를 대표하는 DNA 절편인 unigene 정보가 있는 유전자는 11개였다. 정보가 있는 유전자 중 조기분만시 발현 증가를 보인 것은 insulin-like growth factor II associated protein, vigil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ribosomal protein S26 (RPS26), follistatin-like 1 (FSTL1) 이었고, 발현 감소를 보인 것은 두개의 mitochondrial DNAs, ribosomal protein S28 (RPS28), transglutaminase 2 (TGM2), heparin sulfate proteoglycan (HSPG, perlecan) 이었다. 결론: Annealing control primer를 이용한 GeneFishing(TM) DEG kit로 조기분만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확인하여 조산의 발생기전을 분자유전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였으며, 이들 유전자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using GeneFishing(TM) kit in human placentae and their membranes delivered at preterm caused by preterm labor. Methods :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placenta, chorion, and amnion delivered at preterm and term, respectively. Total RNAs were isolated from each specimen. Thereafter, the profiles of expression genes between preterm and term specimens were compared using a new and accurat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at involves annealing control primers (ACPs) to identify the genes expressed differentially and screened by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search. Results : Using 20 ACPs, 13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identified and sequenced. 7 of them were expressed up-regulation, while 6 were expressed down-regulation in preterm deliveries. A BLAST searches revealed that 11 were known genes and 2 were unknown genes. Among known genes, up-regulated genes were insulin-like growth factor II associated protein, vigilin, acyl-Coenzyme A dehydrogenas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ribosomal protein S26 (RPS26), follistatin-like 1 (FSTL1) and down-regulated genes were two mitochondrial DNAs, ribosomal protein S28 (RPS28), transglutaminase 2 (TGM2), heparin sulfate proteoglycan (HSPG, perlecan).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 ACP system is a good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reterm-related gen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analysis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preterm we have identified should provide insights into the molecular basis of preterm delivery caused by preterm labor.

      • KCI등재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

        구천회 ( Chun Hoe Ku ),박교훈 ( Kyo Hoon Park ),우헌탁 ( Hun Tack Woo ),김문영 ( Moon Young Kim ),김유미 ( You Mi Kim ),이철민 ( Chul Min Lee ),조용균 ( Yong Kyoo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Lin Kim ),이홍균 ( Hong Kyo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2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조기양막파열로 입원한 임신 26주에서 35주의 단태임신 9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관찰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에서 입원 직후 경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양수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모든 산모와 신생아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양수과소증이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수과소증은 양수지수가 5 이하일때로 정의하였고 분만 잠복기의 정의는 양막파열부터 분만까지의 시간으로 하였다. 통계 처리는 비율의 비교는 Chi-sp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연속형 변수의 비교는 변수의 특성에 따라 Student-t test 또는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1) 총 98명의 연구 대상자 중 양수과소증이 존재하지 않은 군이 59명(60%)이었고 양수과소증 군은 39명(40%)이었다.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분만 주수, 분만시 신생아 체중은 양수과소증이 존재한 군에서 양수과소증이 존재하지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1분 아프가 점수 7점 미만의 빈도, 5분 아프가 점수 7점 미만의 빈도, 신생아 이환율 및 주산기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이 분만 잠복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모 및 태아적응증으로 유도분만이나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산모 73명을 제외한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만 잠복기는 양수과소증이 존재하지 않은 군의 중앙값이 41.5시간으로 양수과소증이 존재한 군의 중앙값 44시간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양수과소증은 불량한 주산기 예후 및 분만 잠복기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Objectives: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ligohydramnios on perinatal outcome and latency period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Methods: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98 singleto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ith delivery between 26 and 35 weeks` gestation. Amniotic fluid index was determined using transabdominal ultrasound at admission. All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neonates were reviewed. Oligohydramnios was defined as amniotic fluid index less or equal to 5.0cm and latency period was defined as time interval from membrane rupture to delivery. Chi-spuare test, Fisher`s exact test, Student-t test,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1) Of the 98 patients, 59 patients(60%) were oligohydramnios group(AFI≤5.0) and 39 patients(40%) were non-oligohydramnios group(AFI>5.0). Both group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selected dermographics, gestational age at rupture of the membranes, chorioamnionitis, 1 min Apgar score and 5 min Apgar score. Patients with oligohydramnios demonstrated a lower gestatoinal age at birth and lower birth weigh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neonatal morbidity and perinatal mortality between both groups. 2) For comparing latency period, we excluded deliveries of Cesarean section or induction. Comparing the remained group(25 patients), median of latency period in oligohydramnios group were 41.5 hours and median of latency period in non-oligohydramnios group were 44 hou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oligohydramnios and latency period. Conclusion: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oligohydramnios on poor perinatal outcome and latency period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KCI등재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에서 분만 잠복기에 따른 주산기 예후에 관한 연구

        김우선 ( Woo Sun Kim ),최철훈 ( Chel Hun Choi ),이수호 ( Su Ho Lee ),최석주 ( Suk Joo Choi ),김지운 ( Ji Un Kim ),이은실 ( Eun Sil Lee ),손영수 ( Young Soo Son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4

        목적 : 조기양막파수 산모에서 양막파수에서 분만까지의 기간(잠복기)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기양막파수로 34주 이전에 분만한 223명을 대상으로 분만 잠복기에 따라 6군(I군 : 6시간 이하, II군 : 6시간~2일, III군 : 2~4일, IV군 : 4~7일, V군 : 7~12일, VI군 : 12일 이상)으로 구분한 후 각 군의 임상 양상과 주산기 예후를 관찰하였다. 결과 : 전체 산모의 입원 시 평균 임신 주수는 29.6±2.6주이었고 양막파수 당시 평균 양수지수는 7.3±5.0 이었다. 평균 분만 주수는 30.6±2.4주였고, II군과 II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7). 중앙 잠복기는 전체 산모에서 102시간(4일 6시간)이었고 67%의 산모가 1주 이내에 분만하였다. 분만 잠복기는 양막파수 당시 주수가 30주 이하일 때(175시간 vs. 76시간, p=0.001) 연장되었고, 자궁 수축 억제제를 사용했을 때(131시간 vs. 33시간, p=0.001) 분만 잠복기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양막파수 당시 양수지수는 잠복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분만 주수를 보정하였을 경우 V군에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이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고(60%), 분만 잠복기가 증가함에 따라 신생아 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증가하였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II군과 IV군에서 I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발생하였다(12%, 16% vs. 69%). 신생아 사망률은 I군이 18%로 가장 높았고, 분만 주수를 보정하였을 때에도 같은 결과를 보였으나 I군을 제외한 다른 군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 외 다른 신생아 합병증은 각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만삭 전 조기양막파수에서 즉각적인 분만보다는 적극적인 관찰요법을 통하여 분만 잠복기를 연장시키는 것이 신생아 사망이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빈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나 7일 이상 지연시키는 것은 주산기 예후의 향상과는 관계없이 감염성 합병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erinatal outcomes in relation to the latency period afte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 Methods :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223 pregnant women with PPROM who delivered before 34 weeks of gestation in Samsung Seoul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October 2003.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larency from membrane rupture and delivery (group I : shorter than 6 hours, group II : 6~48 hours, group III: 2~4 days, group IV : 4~7 days, group V : 7~12 days, group VI : beyond 12 days). Results : The mean gestational age (GA) at rupture was 29.6±2.6 weeks and the mean GA at delivery was 30.6±2.4 weeks. The median latency was 102 hours and 67% of patients delivered within 7 days. The latency was prolonged with GA at rupture before 30 weeks and used of tocolytics. After adjustment of GA at delivery, pathologic chorioamnioniti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group V than group I.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ccurred less frequently in group II and group IV than group I. Neonatal mortality rate was highest in group I, but the other neonatal morbiditie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In PPROM with delivery before 34 weeks, prolongation of the latency longer than 6 hours seems to be beneficial for reducing neonatal RDS and mortality, but infectious morbidity seems to increase when the latency was prolonged longer than 7 days without any benefits for perinatal outcomes.

      • KCI등재SCOPUS

        조기분만 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유무에 따른 혈청 C-반응성 단백질, 태반 내 interleukin-6, 지 질과산화도 및 단백산화도

        윤대석 ( Dae Seok Yoon ),김윤하 ( Yoon Ha Kim ),김철홍 ( Chul Hong Kim ),조문경 ( Moon Kyoung Cho ),김종운 ( Jong Woon Kim ),조혜연 ( Hye Yon Cho ),김석모 ( Seok Mo Kim ),강우대 ( Woo Dae Kang ),이기호 ( Ki Ho Lee ),송태복 ( Tae B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

        Objective: To evaluate predictive value of maternal serum white blood cells (WBCs),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placental interleukin-6 (IL-6), lipid peroxide, and protein carbonyl levels in preterm birth according to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A). Methods: This cohort study included 45 cases of preterm delivery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preterm labor [PTL] group; n=16)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group; n=29). Blood samples at admission and placental sample at postpartum were collected. HCA was diagnosed in the presence of neutrophils infiltration into the subamnionic space. Results: The incidence of HC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PROM group than PTL group. Maternal serum WBC and CRP levels at admission, and placental IL-6, lipid peroxide, and protein carbonyl levels in HC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without HCA. Maternal serum CRP levels at admission, and placental IL-6, lipid peroxide, and protein carbonyl levels of PPROM group with HC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PROM group without HCA. Maternal serum CRP levels at admission of 7 days and more latency period (n=14) were significantly lowered than those of less than 7 days latency period (n=15). The cut-off points of CRP determined with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was 0.875 mg/dL. Perinatal morbidity such a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neumonia in HC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without HCA. Conclusion: Maternal serum CRP on admission may be possible a predictor for duration of the latency period in PPROM.

      • KCI등재SCOPUS

        조기분만과 TNF-α 및 IL-1β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연관성

        박철훈 ( Cheol Hoon Park ),박인양 ( In Yang Park ),고현선 ( Hyun Sun Ko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수평 ( Soo Pyung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김연희 ( Youn Hee Kim ),이귀세라 ( Gui Se Ra Lee ),이희중 ( Hee Joo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Objective : To elucidate whether polymorphisms of tumor necrotic factor-α (TNF-α) and interleukin-1β (IL-1β) are associated with preterm delivery caused by preterm labor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 in korean pregnant women. Method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