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화된 도시 공간 탐색 : 도시 건물의 용도별 공간 분포를 중심으로

        이건학,신정엽,홍유진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3

        최근 도시 공간에 대한 사회적 안전성에 대한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젠더에 따라 특성화된 공간 점유와 사용이 나타나는 젠더화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젠더화된 공간에 대한 연구는 대개 담론을 중심으로 한 이론 측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제 도시 공간에서의 실증적 분석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조직 관점에서 이러한 젠더화된 공간 유형들이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의 토지이용과 경제활동이 구체적으로 재현되고 있는 도시 건물의 용도별 공간 분포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공간 젠더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 점유 측면에서 남성적 공간으로 유형화되는 지역들이 여성적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젠더화된 공간들은 주로 도시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혼재되어 분포하고 있어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젠더별 공간 점유는 연속적 공간에서 국지적인 공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s the demand for social security has increased recently, a gendered space representing the characterized space possession and use by gender has been of particular interest. Most studies related to a gendered space have been conducted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by focusing on the discourse.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empirical analysis in an urban a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gendered spaces are represented in an urban space from the spatial organizational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spatial gendering of Seoul by focusing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urban building use reflecting urban land use and economic activities in practice. As a result of analysis, we found that the male space which men occupy and utilize dominates the female space and gendered spaces appear a mixed pattern largely concentrated in the urban centers, and thus the gendered space is not precise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owever, each gendered space presents a locally clustered spatial patterns on continuous urban space.

      • KCI등재후보

        젠더와 공간의 만남을 위한 시론 -젠더평등의 관점에서-

        안숙영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2

        This article aims to bring out the inequal social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space by looking at it through the lens of gender. Space is often treated as objective and a neutral entity. But space is never objective and neutral, because its character is social. Various social relations like gender, class, and race are condensed in it. Therefore, space has to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subject. In order to make visible the gendered structure of space,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space. Secondly, it examines chances and limits of Women-Friendly City projects which try to reconstruct city spaces on the basis of gender equality. Assuming that the division between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plays a key role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relation, this study lastly examines the problems which result from this division, namely the problem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enderization of space. When we see the space of Korea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an overestimation of the importance of public space and a underestimation of the importance of private space can be observed. For women this results in a double burden. This means that gender equality and the balance between productive and reproductive work not only have to be conceived as issues concerning women but also as problems of men. Now, it’s time to include new ideas for the birth of new men in a reconstruction of space. 이 글의 목적은 젠더의 렌즈로 공간에 담긴 여성과 남성 간의 불균등한 사회적 관계를 드러내는 데 있다. 공간은 종종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실재로 간주된다. 그러나 공간은 결코 객관적이거나 중립적이지 않다. 공간은 젠더, 계급 및 인종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간의 젠더화된 구조를 가시화하기 위해, 이 글은 먼저 젠더와 공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의 대표적 스케일로 도시를 설정하고 도시공간을 젠더평등의 차원에서 재구성하고자 하는 여성친화도시 프로젝트들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나아가 젠더관계의 사회적 구성에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의 구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 구분이 갖는 문제점을 공간의 1차적 젠더화와 2차적 젠더화의 문제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처럼 젠더평등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공간을 바라봤을 때, 공적 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과대평가와 사적 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과소평가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여성에게 이중노동의 부담을 가져다주었다. 이런 가운데 젠더평등의 문제는 더 이상 여성문제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균형은 남성의 과제로도 인식되어야 한다. 이제 새로운 남자의 탄생을 위한 아이디어들을 공간의 재배치에 담아내야 할 시점이다.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젠더의 렌즈로 본 복지공간

        안숙영(Ahn, Sook-Young)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복지국가 혹은 복지공간이라는 개념은 20세기의 유럽이 남긴 가장 중요한 유산의 하나이다. 그러나 복지국가가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고 복지공간에서 활동하는 대표적 행위자도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침묵이 이루어져왔다. 1990년대 초반 이후 복지공간의 남성중심성에 대한 비판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가운데, 이 글의 목적은 복지와 젠더의 관계를 둘러싼 1990년대 초반 이후의 논쟁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젠더중립적 복지공간이라는 이미지 뒤에 숨겨져 있는 복지공간의 젠더성을 가시화하는 한편으로, 이를 바탕으로 젠더평등에 기초한 복지공간을 새로이 구성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국가와 시장이라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복지공간 분석이 갖는 젠더적 한계로 시선을 돌리며 복지의 생산에서 가족이 갖는 의미를 조명한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여성의 복지 수급자격을 둘러싼 논쟁, 즉 어머니인가 아니면 노동자인가라는 쟁점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쟁의 흐름을 짚어보고 노동자로서의 여성의 지위를 강화해 나갈 필요성 및 돌봄노동의 탈여성화의 필요성에 주목한다. 나아가 Ⅳ장에서는 지구화 속에서 국민국가의 경계가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국적 복지공간으로부터 초국적 복지공간으로 복지의 공간을 확장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 해당하는 Ⅴ장에서는 21세기의 보다 풍부한 젠더복지를 향한 디딤돌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새로운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Welfare state or welfare sp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gacies of 20th century Europe. But for a long time the fact has been suppressed that it has a male face and that representative actors who are active in welfare space also have male faces. It was no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at feminist critique of male-dominance of the welfare space has been voiced. By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eb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he welfare space, this paper aims to visualize the specific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pace which are hidden behind it’s gender-neutral image, and to explore, resting on this review,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new welfare spaces which are based on gender equality. In chapter Ⅱ, this study analyses the limits of debates on the welfare state which have focused on the two categories of state and market. It emphasizes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production of welfare. Chapter Ⅲ concentrates on the position of women in relation to the welfare state, and examines which women receive benefits from the state as mothers or as workers. The analysis concludes that we need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women as workers and to defeminize care work. Chapter Ⅳ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welfare space from national to transnational, because the welfare state as a national project is weakening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Lastly, I suggest that we need to dream a new utopia towards the construction of more fruitful welfare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the 21<sup>th</sup> century.

      • KCI등재

        해방공간, 장덕조 소설의 젠더화된 인식 고찰 -장편소설 『十字路』를 중심으로-

        김윤서(Kim, Yun-seo)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본고는 해방공간인 1940년대 후반의 새로운 체제와 정비의 역동적이고 거시적인 흐름을 포착할 수 있는 장덕조의 장편소설 『十字路』를 대상으로 여성 이미지의 적확한 고찰과 변혁에 내재된 젠더 탐색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편소설 『十字路』를 발굴하여 장덕조 작가의 작품세계에서 상대적으로 논의가 미진하였던 해방공간의 젠더인식에 주목하였다. 연구 대상인 『十字路』를 통하여 해방공간 장덕조 문학에 내재된 젠더의식의 민감성, 감각성, 모성성의 발견으로 은폐되거나 변용된 부분을 포착, 유동적인 여성 젠더의 서사화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해방공간 문학의 지형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十字路』에서는 주체성의 영역이 봉합되었던 지형을 벗어나 젠더화된 주체의 ‘선택’과 ‘자기 결정권’ 등 적극적인 사고의 이행과정에서 ‘민감성’이 발현된다. 둘째, 오은희․강명자․황금주 등 해방공간 소외된 계층의 성의식(性意識)에서 타자의 욕망을 기표로 하는 ‘감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十字路』에서 표출된 ‘모성성’은 은유로서의 모성과 실천행위 규범으로서 근대적 모성이 여성의 새로운 자리매김으로 확대된다. 『十字路』에서 발견된 젠더적 관점의 지속성과 변이의 추출 및 제도 내부에서의 역학관계, 권력화된 제도 간의 배제와 포섭 등 다양한 스펙트럼은 해방공간 장덕조 문학의 젠더적 특성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는 해방공간에서 젠더 인식의 변화를 초래하는 복잡다단한 젠더 정치의 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당대 문화적·사회적·정치적 특수성의 젠더 관점을 구명(究明)하는 객관적 조망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덕조 문학은 자료확보의 어려움으로 작가의 문학적 특성을 관통하는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Jang Deok-jo’s feature-length novel Crossroads offers a dynamic and macroscopic view of the new social system and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during the late 1940s post-liberation era.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image of women in Crossroads, focusing on gender explorations inherently found during the time of turbulence. When it comes to the works of Jang, attempts to perform an in-depth analysis on her literary characteristics have been limited due to lack of research materials. Thus, we sought the author’s feature-length novel Crossroads and focused on exploring perceptions of gender in the post-liberation era, a topic that was heretofore relatively undiscussed in relation to her works. In addition, we aimed to examine the sensitivity and sensibility of gender perceptions, as well as motherhood in Jang’s post-liberation literature, and identify their hidden or transformed aspects. Thus, we attempted to illustrate the narrativization of fluidity in the female gender and ultimately expand the topography of Korea’s post-liberation literature. First, “sensitivity” wa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raversing beyond a space where subjectivity was denied to actively implement one’s thoughts, including “choice” and “self-determination.” Second, “sensibility” based on the other’s desire was observed in the sexual consciousness of the alienated class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such as Oh Eun-hee, Kang Myung-ja, and Hwang Geum-ju. Third, the “motherhood” expressed in Crossroads consists of motherhood as metaphor and motherhood as a principle of behavior, which converges into a new positioning for women. The wide spectrum encompassing the persistence of gender perspectives and their variations, the dynamics within the system, and the exclusion and inclusion between power systems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Jang’s post-liberation literature. This can be viewed as the implicating process of the complex gender politics that led to changes in gender perception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Additionally, it offers an objective look at the gender perspectives of the time in terms of its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particularities.

      • KCI등재

        젠더지리학을 통해 본 소설의 공간과 장소 -최은미의 「근린」, 「백 일 동안」을 중심으로-

        김수지,김미영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3 No.-

        이 글은 젠더지리학의 시각으로 최은미의 단편 「근린」과 「백 일 동안」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젠더지리학은 인본주의 지리학에 젠더의 개념을 추가하여 삶의 양식, 의미부여 등의 차이에 따라 사람이나 장소마다 독특한 속성을 가지게 되는 이유와 과정을 설명한다. 개인의 장소 경험과 공간의 의미화 과정에 있어 젠더와 공간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문학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물의 삶을 살펴보는 것은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감상은 물론 작품에 투영된 문화와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최은미의 「근린」은 도시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상호 침투 현상과 현대 사회에서 젠더와 공간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관계를 맺는 방식을 보여준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 보여주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상호 침투는 사회 체제에 의해 구성된 공간의 해체를 의미한다. 주요 배경인 근린공원의 인물들은 대다수가 여성으로서 익명성 속에서 모순적인 이웃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데올로기는 사회적 공간의 경계를 공고히 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순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공간 체제로부터 소외당하게 된다. 기존 사회 체제의 부적응자, 이탈자가 늘어날수록 사회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공간의 균열은 결국 경계의 와해, 공간의 해체로 이어진다. 「백 일 동안」은 모성 지향의 공간, 달리 표현하면 신화적 공간을 추구하는 한 남성의 욕망이 좌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 강상기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가족 간의 유대감 상실, 애인의 실종 등과 같은 아픔을 간직한 인물이다. 그의 욕망은 어머니와 유일하게 지냈던 시간 ‘백 일’을 전유하기 위해 고향 제이골에 한옥 ‘자미재’를 건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이골이 지닌 여성성과 목재 한옥의 관계, 어머니를 상징하는 자미화 나무의 정결을 훼손한 목수의 배설 행위 등은 주인공이 추구하는 신화적 공간의 완성에 방해가 되고 있다. 제이골이라는 사적 공간의 젠더적 이미지와 남성성을 대표하는 목수의 배설 행위가 주인공의 욕망을 좌절시킨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space and place in Choi Eun-mi’s short stories “Geunrin” and “BaekIldongan”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Gender geography adds the concept of gender to the humanistic geography, explaining the reason and process of having unique attributes in each person or place according to differences in lifestyle, meaning, etc. In the process of personal place experience and space semantics,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space, analyzing the meaning of space in literature and the life of the characters living in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the world projected into the work as well as the in-depth appreciation of the work. “Geunrin” is a work that shows the mutual penetration of the city’s public and private areas and the way people relate to gender and space in modern society. The mutual penetration of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shown in this short story means the dissolution of the space organized by the social system. The figures in the neighborhood park, the main background, are mostly women, maintaining contradictory neighbors in anonymity. Ideology serves to consolidate the boundaries of social space, and those who fail to comply with it become alienated from the social spatial system.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ociety as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maladjusted to the existing social system increases. The cracks in the space eventually lead to the collapse of the boundary, the disintegration of the space. “BaekIldongan” is a short story that shows the process of discouraging a man’s desire to pursue a mother-oriented space, otherwise a mythical space. The main character Kang Sang-ki has pain such as longing for his mother, loss of family ties, and disappearance of his lover. His desire is to build a Jamijae in his hometown of Jaeigol to own the 100 days he spent with his moth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Jaeigol’s femininity and wooden house, and the poop of a carpenter who damaged the chastity of the Jamihwa tree symbolizing his mother, are hindering the completion of the mythical space sought by the main character. A carpenter’s excretory behavior, which represents gender image and masculinity in a private space called Jaeigol, frustrated the main character’s desire.

      • 도시 공간과 젠더의 관계성 : 도심 성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주류화와 창원 상남동 사례를 중심으로

        문경희 한국시민윤리학회 2013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6 No.1

        본 연구는 창원시 상남동을 중심으로 최근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서구 국가의 도시 중심부에서 변형·재생산되고 있는 성인 엔터테인먼트 공간 형성의 배경과 특징을 파악하고, 그러한 공간의 ‘예외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공적인 도시 공간에서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성이 거래된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오늘날 글로벌 도시 간 공적 공간의 공공성과 생태성, 더욱이 ‘여성 친화성’이 경쟁적으로 강조되는 시점에 도심 성인 엔터테인먼트 공간의 주류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역설적이다. 도시 공간이 곧 ‘사회적 공간’이라는 맥락에서 볼 때, 도심 성인 엔터테인먼트 공간의 변형과 확산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도심 공간 형성을 지배하는 가치나 논리체계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도심 성인 엔터테인먼트 공간이 여성의 (유사) 성 상품이나 서비스를 남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매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그 공간은 우리사회의 지배적인 자본축적의 논리와 성적 가치에 의해 생산·재생산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자본주의 도시의 젠더와 공간 간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성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공간 지형을 통해 우리나라의 성·젠더 질서가 생산되는 지리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인 조건들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글로벌, 로컬 그리고 젠더 - 지구화 시대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안숙영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a topic which recently has gained importance in the study of spac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ditional spatial division in the form of public=male space and private=female space has newly been reproduced in the modified form of public=global=male space and private=local=female space, this paper criticizes the tendency of gendering which identifies certain spatial areas with a certain gender. Thus, it also criticizes today’s situation in which women are mainly described as victims of globalization, even though they are appearing as active agents at respective places. In chapter 2, this study scrutinizes the view which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as dichotomic,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is perspective. Chapter 3 engages from the gender perspective with the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of the view that perceives global as male and local as female. Chapter 4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local and of locality from the gender perspective, because our lives are happening mostly at local areas despite of the globalization. Lastly, I emphasize that we need to imagine alternative spaces that allow the highest possible degree of gender equality. 이 글의 목적은 지구화 시대의 공간 연구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글로벌과 로컬 스케일의 관계를 젠더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는 데 있다. 공적 공간=남성의 공간, 사적 공간=여성의 공간이라는 젠더에 따른 전통적 공간 분리가 지구화 시대를 맞아 공적 공간=글로벌 공간=남성의 공간, 사적 공간=로컬 공간=여성의 공간이라는 방식으로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특정한 공간에 특정한 성별을 부여하려는 젠더화 경향이 산출하는 문제점으로 시선을 돌려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각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여성들이 지구화의 주요한 행위자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지구화의 희생자로 묘사되는 상황에 비판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글로벌과 로컬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어떤 문제점을 안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어지는 3장에서는 글로벌=남성, 로컬=여성이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지구화에 대한 해석이 젠더의 관점에서 어떤 한계를 안고 있는가로 시선을 돌린다. 그리고 4장에서는 지구화에도 불구하고 로컬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의미를 젠더의 관점에서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 해당하는 5장에서는 젠더의 관점에서 다른 공간 상상하기, 즉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지구라는 공간을 다른 삶을 열등하게 만들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세상으로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젠더와 공간의 생산 - 여성청소노동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안숙영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he production of space, focusing on the struggles of female cleaning worker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Female workers who account for 82.5% of the total cleaning workers are situated in inhuman conditions in which there are, for example, no rooms where they could eat or take a rest. In this situation, they have begun to organize a union at their workplace and taken their protest to the streets in order to produce spaces for themselves. On their rallies, they have emphasized that absence of space means absence of rights and have demanded spaces and rights as workers and thus pursued the change of the city as product into the city as oeuvre in the sense Lefebvre makes use of that term. In order to analyze these processes of the production of space, this study in chapter 2 engage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gender focused on the workplace as gendered place. Chapter 3 focuses on the struggles of female cleaning workers who have pursued the change of the city into oeuvre through the production of space for themselves. Chapter 4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se struggles for our everyday lives, space and politics. Lastly, chapter 5 emphasizes the meaning of their strategy of ‘doing worker’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ity into a space of hope. 이 글의 목적은 젠더의 관점에서 공간의 생산을 살펴보기 위해 여성청소노동자의사례를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청소노동자 가운데 82.5%를 차지하는 여성청소노동자는식사 공간과 휴게 공간조차 없는 비인권적인 공간의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런 현실에서여성청소노동자는 “더 이상 화장실에서 밥을 먹을 수는 없다!”고 외치며 스스로를 위한 공간을 생산하기 위해서 노동조합을 조직하는 한편으로 거리를 비롯한 공적 공간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여성청소노동자는 공간의 부재는 곧 권리의 부재라는 점을 강조하고 노동자로서의 공간과 권리를 요구하는 가운데, 제품으로서의 도시를 작품으로서의 도시로 바꾸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생산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 글은먼저 2장에서는 공간과 젠더의 관계를 젠더화된 장소로서의 일터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이어 3장에서는 공간의 부재라는 상황에서 노동자로서의 권리의 쟁취를 통해자신의 공간을 생산하며 도시를 작품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는 여성청소노동자의 투쟁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나아가 4장에서는 이러한 투쟁이 일상, 공간 그리고 정치에던지는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도시를 희망의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 ‘노동자 되기’ 전략이 갖는 의미를 지적한다.

      • KCI등재

        젠더적 관점에서 살펴본 사용자 중심의 주거 도시공간에 관한 연구: 여성친화도시를 중심으로

        홍희정 ( Heejeong Hong ),홍성현 ( Sunghyun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간 문제를 젠더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주요국 젠더 도시 사례와 한국의 서울시와 익산시 사례를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 결과, 젠더적 관점에서 도시공간은 일상의 변화를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즉 그것은 사회의 큰 변화를 유도하기보다 기존 도시의 틀 안에서 작은 변화가 시도되고, 개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젠더적 관점을 통해 획일적인 도시공간에서 소통 부재로 나타나는 인간 소외 등의 도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존의 도시공간의 틀 안에서 도시 시설디자인을 바꾸고 공간을 재구성함으로써 공간과 생활의 동시 변화를 꾀할 수 있다. 셋째, 젠더 관점의 도시공간 설계로 사회 범죄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명확한 성과지표를 설정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도시공간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시공간에 젠더 관점의 반영은 기존의 획일적이고, 공급자 중심인 도시공간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new solutions to urban space problems by considering the problems from the gender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examining the cases of gender cities in major countries and the cases of Seoul and Iksan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from a gender perspective, urban space was focused on improving daily chang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small changes are being made and improved within the framework of existing cities rather than inducing big changes in societ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are: First, urban problems arising from lack of communication in uniform urban spaces, such as human alienation, will be solvable through the gender perspective. Second, the simultaneous change of space and life can be sought by changing urban facilities design and reconstructing spac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urban spaces. Third, the effect of social crime prevention can be expected from urban space design from the gender perspective. Fourth, by establishing clear performance indicators, new directions for eco-friendly and sustainable urban spaces can be presented. Like the above, reflecting the gender perspective in urban spaces will provide a clue to improving the existing urban spaces pursuing communication, and placing emphasis on user conven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