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ingua Franca or Language of Domination? : Implications of the Two Faces of English 영어의 두 얼굴이 갖는 함의

        Plumlee, Marilyn 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영어의 위상 문제나 영어구사능력을 취득하려는 열기는 단순한 사회교육차원의 토론거리를 넘어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것은 영어 구사력을 갖춘 인력을 우선시하는 경제발전 목표 때문인다. 본 논문은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Tsuda 1997, Skuttnabb-Kangas 2000, Skuttnabb-Kangas and Phillipson 2001)과 세계 영어[World Englishes] (Kachru 1985, 1986, 1988, 1992 [1982])의 준거틀을 토대로 한다.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모든 화자(話者)들의 평등과 함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한다. 세계 영어 이론은 현지화된 다양한 변종 영어를 인정하는 한편 사용 규범의 유일한 결정권자로서의 영어원어민의 역할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선 영어 사용을 ‘현지화’함으로써 대다수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치?심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영어구사력 향상을 이루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표준적으로 통용되는 이해가능성을 희생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한국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주인의식’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교습 모델과 내용 모두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몇 가지 대안 샘플을 제공할 것이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은 일본이나 유럽처럼 영어를 도구로 한 피식민경험을 갖지 않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정책을 제시한다. 현대 한국은 영어를 공식언어로 공표하는 문제에 대한 공론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언어학자, 정책결정권자 및 언론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의 언어정책 및 언어사용발전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한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L2 Proficiency Effects on the Use of Verb Bias Information

        김지현(Ji Hy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제2 언어 학습자가 영어 작문 과정에서 동사 편향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이 영어 능숙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은 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화자를 영어 능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직접목적어 편향, 등위 편향, 보문절 편향 동사를 이용한 문장 완성도 과제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두 그룹의 영어 학습자는 동사에 따른 직접 목적어 구조와 보문절 구조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가 낮은 제2 언어 학습자 그룹은 영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접목적어 구조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반대로 보문절 구조는 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에 따른 선호 구조와는 별개로 두 그룹 모두 각 영어 동사의 동사 편향 지수와 문장 구조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비록 영어 능숙도가 낮은 영어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문장 구조인 직접목적어 구조를 선호하지만, 이 선호도는 각 영어 동사의 문장 편향 정보를 영어 글쓰기 과정에서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2 proficiency affected how L2 learners used verb bias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production. Two groups of high proficiency and low proficiency L2 learners participated in a sentence completion task with direct object (DO) bias verbs, equi (EQ) bias verbs and sentential complement (SC) bias verb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L2 learner groups in the percentage of DO and SC sentence completions preferred for each verb type. The low proficiency group used more DO structures and fewer SC structures for all three types of verbs compared to the high proficiency group. However, despite the low proficiency group’s preference for the DO sentence structu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erb bias strength index of each verb and number of DO/SC sentence completions were found for both the low and high proficienc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low proficiency L2 learners generally prefer to use the structurally more minimal DO structure as opposed to the SC structure, they are sensitive to verb bias properties and are able to use this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production.

      • KCI등재

        공용어인가, 아니면 지배도구로서의 언어인가? -여어의 두 얼굴이 갖는 함의-

        ( Marilyn K Plum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영어의 위상 문제나 영어구사능력을 취득하려는 열기는 단순한 사회교육차원의 토론거리를 넘어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것은 영어 구사력을 갖춘 인력을 우선시하는 경제발전 목표 때문이다 본 논문은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Tsuda 1997. Skuttnabb-Kangas 2000. Skuttnabb-Kangas and Phillipson 2001)과 세계 영어 (World Englishes) (Kachru 1985. 1986. 1988. 1992 (1982))의 준거틀을 토대로 한다.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모든 화자(話者)들의 평등과 함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한다. 세계 영어 이론은 현지화된 다양한 변종 영어를 인정하는 한편 영어 사용 규범의 유일한 결정권 자로서의 영어원어민의 역할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선 영어 사용을 .현지화’함으로써 대다수 한국인 영어학습 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치·심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영어구사력 향상을 이루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표준적으로 통용되는 이해가능성을 희생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한국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주인의식’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교습 모텔과 내용 모두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몇 가지 대안 샘플을 제공할 것이다. 두번째로 본 논문은 일본이나 유럽처럼 영어를 도구로 한 피식민경험을 갖지 않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정책을 제시한다. 현재 한국은 영어를 공식언어로 공표하는 문제에 대한 공론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언어학자, 정책결정권자 및 언론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의 언어 정책 및 언어사용발전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한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모음 인지

        이계윤(Kye-Youn Lee),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어떻게 영어모음을 인지하는지를 알아보고, 언어학습모델(SLM)의 예측처럼 한국어에 없는 새로운 영어모음이 한국어와 비슷한 영어모음보다 습득에 용이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20명의 한국인 실험참여자들은 6개의 영어모음 /i, ?, u, ?, ?, æ/을 사료로 한 영어-한국어 대응 테스트와 영어 모음 판별 테스트에 참여하였다. 영어-한국어 대응 테스트의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음향적으로 구분되어있는 영어모음 /i/-/?/, /u/-/?/를 각각 하나의 한국어모음인 /이/와 /우/로 대응하여 인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영어모음 /?/를 한국어모음 /에/와 /애/로 대응하여 인지하였고, 영어모음 /æ/도 마찬가지로 한국어모음 /에/와 /애/로 혼용하여 대응하는 패턴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영어 모음쌍 /i-?/, /u-?/, /?-æ/을 인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어모음 판별테스트에서는 새로운 음소로 분류된 영어모음 /?, ?, æ/의 판별 정확도(?: 81.3%, ?: 62.5%, æ: 60.0%)가 비슷한 음소로 분류된 영어모음 /i, u, ?/의 판별 정확도(i: 28,8%, u: 28.8%, ?: 32.4%)보다 유의하게 높아서 SLM의 예측대로 새로운 음소가 습득하기 쉽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슷한 음소로 분류된 영어모음들의 판별 정확도가 새로운 음소에서의 판별 정확도보다도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여준 것을 과일반화로 설명하였는데, L2 학습자가 새로운 모음 범주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L2 소리를 새로운 L2 소리로 과도하게 대치한 현상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함의점도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English vowels and further to test SLM which claims that new L2 vowel categories are more easily acquired than similar L2 vowel categories. Twenty Korean learners participated in English-to-Korean mapping test and English vowel identification test with target vowels /i, ?, u, ?, ?, æ/. The result revealed that Korean participants mapped the English pairs /i/-/?/ and /u/-/?/ onto single Korean vowel /i/ and /u/,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of English /?/ and /æ/ were simultaneously mapped onto Korean /e/ and /?/. This indicated that the Korean participants seemed to have perceptual difficulty for the pairs /i-?/, /u-?/, and /?-æ/. The result of the forced-choice identification test showed that the accuracy of /?, ?, æ/(?: 81.3%, ?: 62.5%, æ: 6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 u, ?/(i: 28,8%, u: 28.8%, ?: 32.4%). Thus, the claim of SLM is confirmed given that /?, ?, æ/ are new vowel categories whereas /i, u, ?/ are similar vowel categories. Further, the conspicuously low accuracy of the similar L2 vowel categories /i, u, ?/ was accounted for by over-generalization whereby the Korean participants excessively replaced L2 similar /i, u, ?/ with L2 new /?, ?, æ/ as the participants were learning the L2 new vowel categories in the process of acquisi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edagogical sugges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as L1 Produced by L2 Learners of the English Language

        윤석연(Sook Yo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한국인 아동과 성인이 한국어 폐쇄음을 산출했을 때 음성개시시간 (voice onset time, VOT)과 기본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 F0)에 있어서 한국어만 사용하는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영어노출시기가 제1언어인 한국어 산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18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 18명의 한국어 단일어 아동은 한국어 폐쇄음이 포함된 9개의 음절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을 두 번씩 반복하여 산출하였다. Praat를 이용하여 산출 된 총 1,890개 음절의 VOT와 F0의 정격값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개의 3-way ANOVAs 결과에 따르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격음과 평음의 VOT와 평음의 F0는 단일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은 유사하나 노출시기가 다른 아동집단과 성인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평음의 VOT와 F0가 통제집단의 격음과 닮아갔고 또한 이로 인해 격음의 VOT도 증가했다는 점에서, 제2언어습득이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이 비슷한 아동집단과 성인집단의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미루어, 노출시기만으로는 제1언어에 대한 제2언어의 간섭효과를 예측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whether Korean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learne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2) produce Korean stops differently from Korean monolingual (KM) children with respect to voice onset time (VOT)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and whether the age of L2 exposure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2-to-L1 influence. Methods: Eighteen Korean-English bilingual (KEB) children and adults and eighteen KM children produced nine monosyllables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 twice in a row. A total of 1,890 tokens were acoustically analyzed with Praat to obtain VOT and F0 values an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for group comparison. Results: Two three-way ANOVAs and follow-up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VOT values of aspirated and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KEB children and adults than in KM children and that nor-malized F0 values of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lingual than in monolingual individuals. Nonetheles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KEB children and adults. Conclusion: The acquisition of L2 English appears to disturb a tertiary contrast of Korean stops in terms of VOT and F0, in a way that bilingual individuals produc ed lenis stops more aspirated-like, with increased VOT and F0 values, and aspirated stops with in-creased VOT values. The L2-to-L1 influence may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rly and late L2 learners, if their length of residence in a L2 speaking community is similar.

      • KCI등재

        체육계열 재학생이 지각하는 영어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영어학습 만족도 연구: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의 매개효과

        최미순(Choi, Mee-Soon),박동수(Park, Dong-Soo),최공집(Choi, Gong-Jib),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체육계열 재학생이 지각하는 영어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영어학습 만족 도와 이 과정에서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및 자신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체육계열(생활체육학과, 태권도학과) 재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영어학습 동기 유형(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2언어자 아, 필연적 제2언어자아)과 영어학습 만족도,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어학습 동기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내재적 동기와 이상적 제2언어자아가 영어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와 필연적 제2언어자 아가 영어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학습의 효율성을 증명한 것으로 영어학습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Englisg of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satisfaction in English Learning. In this process, the author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hi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54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and Sports and Leisure in Sehan University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with SPSS 18.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English(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ideal L2 self and ought-to L2 self) and mediation variables;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English, the process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ideal L2 self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English lean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he process that the extrinsic motivation and ought-to L2 self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English learning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lated to the efficiency of English learning and has significance for the finding a way of learning English.

      • KCI등재

        색상은 영어 브랜드명 회상을 촉진하는가? 제2언어로서의 영어 능력의 조절효과

        김소현 ( So Hyun Kim ),이은주 ( Eun Ju Lee ),이혜문 ( Hae Moo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1

        전세계적으로 볼 때 비영어권 소비자들의 영어능력은 제한적일 뿐 아니라 그들이 영어를 학교제도 교육으로 배운 경우에도 영어를 사용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의 유창성과 수월성은 모국어를 사용한 그것과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므로, 영어권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언어관련 소비자 연구 및 영어 사용 브랜드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이 한국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우리는 의문을 제기한다. 브랜드명에 사용된 언어에 대한 제한적 능력을 보완할 보조정보수단으로 브랜드명이 가지는 고유색상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국내 소비자들이 영어브랜드명을 회상하고 사용하는데 있어, 영어능력에 따라 브랜드의 색상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가설에서는 국내소배자들이 어려워하는 영어브랜드명을 회상할 때에는 색상의 병기가 회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 국내 소비자들이 익숙하게 사용하는 한글브랜드명을 회상할 때에는 색상의 병기가 브랜드명 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두 번째 가설이 도출되었다. 실험 1A에서 첫 번째 가설이 검증한 결과, 영어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국내 소비자들의 경우 고유 색상과 병기된 영어브랜드명에 대한 즉시 회상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1B에서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국내 소비자들에게 있어 한글브랜드가 고유색상과 병기될 때에는 브랜드명의 즉시 회상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없었다. 이처럼 영어능력이 낮은 국내소비자가 색상병기된 영어브랜드를 더 잘 회상할 수 있는 작용 기제는 단순히 색상이라고 하는 추가정보보다는 브랜드명과 이미 친숙한 고유색상이 해당 브랜드명의 의미 연상을 돕기 때문으로 추정되어, 실험 2에서 이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브랜드명이 연상될 수 있는 고유색상으로 제시된 경우에는 영어능력이 낮은 소비자들의 영어브랜드명 회상이 의미있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간과된 연수인 영어능력을 주요 조절 변수로 규명하였다. 즉, 제한적인 영어능력을 가진 대부분의 국내 소비자들에게 고유 색상을 병용하는 시각적 브랜딩의 효용성을 밝혀, 국내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브랜드들의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방향성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st Korean consumers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nd thus have relatively limited English literacy.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using unique brand colors on immediate recall of English and Korean brand names for Korean consumers with limited English literacy. Revised hierarchical model(Durgunoglu and Roediger 1987) was initially proposed to account for observed asymmetries in performance between L2(second language) and L1(first language) translation by late bilinguals who acquired the second language after early childhood and for whom the first language remains the dominant language. English represents the second language(L2) and Korean represents the first language(L1) for most Korean native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on consumers with limited second-language proficiency(Jae, Delvecchio, and Cowles 2008b; Wheeler and Treisman 2002; Willows 1978a), low literate consumers may rely on visual information, such as colors, to infer the meanings of unfamiliar English brand names; but without the aid of color as a visual association cue, they may not successfully encode difficult and unfamiliar English names. It is, therefore, hypothesized that L2 literacy will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color dependence in the L2 brand name recall. Specifically, it is predicted that consumers with low English literacy show better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hen second-language brand names are presented with unique color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y were presented in indistinguishable black color only. For them, meaning activation from unfamiliar English lexical word does not occur naturally; thus, color-aided presentation of L2 brands names may aid them in inferring some meaning while encoding the unfamiliar names that are scripted in a low literacy language. However, such a memory enhancing effect of unique brand coloring might disappear with L1 brand names.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meaning activation from color presentation which is separate from lexical processing, may even increase cognitive load during encoding of native brand names because conceptual meaning activation from native lexical words is automatic and effortless due to high language proficiency. The Experiment 1A demonstrates that consumers with low English literacy most likely to show better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ith unique brand colors than without. The experiment design adopts a 2(brand coloring: unique colors vs. black only) x 2(English literacy: high vs. low English literacy) between-subjects design. We measured English proficiency by asking participants whether they have residential experiences in an English-native country for a relatively lengthy period. The result show that English litera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mmediate recall performance of L2 brand names with unique colors (F(2,145)=12.86, p=0.00).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low L2 literacy show higher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hen they are exposed to English brand name with unique colors (M=4.50) than when exposed to English brand name in black color only (M=3.88).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ith high L2 literacy show an opposite pattern of higher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hen they are exposed to English brand name without unique brand colors (M=4.85) than with unique colors (M=4.06), thereby supporting our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 1B show that Korean native participants would likely show no difference in brand recall performance when Hangul (i.e., high-literacy language) brand name are presented with or without unique brand colors. This experiment used a 2(brand coloring: unique colors vs. black only) x 2(English literacy: high English literacy vs. low English literacy)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L2 literac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ith or without unique brand colors (F(2,145)=0.26, p=0.61). Participants with low L2 proficiency show no differences in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hether they were exposed to Hangul brand name with (M=4.79) or without brand unique colors (M=4.61). Therefore, the memory-enhancing effect of unique coloring seems to disappear for native brand names that are scripted in a high literacy language.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such memory-facilitating effect of unique brand colors for L2 brand names is further probed in Experiment 2, which demonstrate that consumers with low English literacy most likely to show better English brand name recall performance only under the condition where L2 brand colors match their brand-meaning associations.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we use a 2(brand color and brand-meaning association: match vs. mismatch) x 2(English literacy: high English literacy vs. low English literacy) x 2(brand language script: Hangul vs. English) mixed-subjects design. In this experiment, we measure English Literacy by having subjects complete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Hulstijn 2000).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with low English literacy show better immediate brand recall performance when English brand names are presented with meaning-matching color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L2 brand names were presented with non-matching colors (F(1.32)=4.79, p=0.01; Mmatch=4.60 vs. Mmismatch=3.79). Therefore, unique and meaning-matching brand colors which are used for low-literacy brand names appear to serve as a memory-binding feature for most Korean consumers who have acquired the English language domestically after childhood, thus having relatively limited English L2 literacy. By focusing on language literacy, which an often-ignored yet important aspect of consumer behavior, the current research identifies the benefits of using unique brand colors in global brand communication for many international consumers who have limited English literacy. Marketers may be able to enhance the memory of English brand names by properly harnessing the power of color while communicating with international consumers who have learne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KCI등재

        제2언어 자아와 영어 학습 동기: 면담법을 통한 사례 연구

        김태영(Kim, Tae-Young)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5 영어교육연구 Vol.27 No.3

        In this paper, the author highlights Korean EFL learners’ L2 self and its relationship with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o date, most research on L2 learning motivation has adopted a large scale survey method, which resulted in the lack of in-depth qualitative analysis of it. By analyzing six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wo English teach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ir perception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ts origin, maintenance, and potential challenges of maintaining it. Particularly, Dörnyei’s (2009) concepts of the ideal L2 self and the ought-to L2 self are closely compared with the participants’ comments on their motivation. The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students created the ought-to L2 self and amotivation more than the ideal L2 self, and this reflects the parental and societal pressure on the English learners in Korea. This means that students have not internalized the necessity to learn English at a personal level yet, and their comments on motivation are in fact a motive or a less-internalized psychological construct dissociated from concrete learning goals and from their sense of participation in L2 communities. Teacher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English teachers in Korea acquiesce to the determining power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they are not active in supporting students’ creating long-term, future L2 self.

      • KCI등재

        모국어 쓰기 불안, 제2언어로서의 영어 쓰기 불안, 영어능숙도 및 영어 쓰기 수행 간의 관련성

        정다은(Chung Da Eun),임현우(Lim Hyun Woo)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4 영어교육연구 Vol.26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among L1 writing anxiety, L2 writing anxiety, L2 proficiency, and L2 writing performance in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1 Korean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perceived levels of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A series of correlation analyses suggested that L2 writing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1 writing anxiety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L2 proficiency and L2 writing performance. Subsequent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L1 writing anxiety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L2 writing anxiety after controlling the variance explained by L2 proficiency, suggesting an interdependence between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In addition, L2 writing anxiety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L2 writing performance after controlling the variance explained by L2 proficiency, suggesting that the pedagogical effort for alleviating Korean English learners' writing anxiety could help enhance their English writing performanc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 관한 연구:

        김태영(Kim Tae Young),김윤경(Kim Yoo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한 사립대학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영어교사의 학 습자 측면에 중점을 두고 이들의 영어 학습 동기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주요하게 작용하고 이 요인 들이 영어 학습에서 나타나는 동기화된 행동(motivated behavior)에는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초점이었다. 총 13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와 영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이들의 영어 학습에서 가장 우세한 동기와 태도 요인으로 나타났다. 동기화 된 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모든 태도 요인과 이상적 제 2언어 자아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영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영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동기화된 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영어교사의 영어 학습에서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와 영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우세한 역할을 하는 것과 관련하여 제언을 제시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at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finding out the dominant factors in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ir motivated behavior in English learning. A total of 130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deal L2 sel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were the most dominant factors in the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 and attitudes related to English learning. Also, the ideal L2 sel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motivated behavior, all of the attitudinal factors and the ideal L2 sel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tivated behavior.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motivated behavior, with the former exhibiting the most influential effect. Cri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with regard to the influential roles of the ideal L2 sel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in pre-service teachers’ English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