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계윤(Kye-Youn Lee),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어떻게 영어모음을 인지하는지를 알아보고, 언어학습모델(SLM)의 예측처럼 한국어에 없는 새로운 영어모음이 한국어와 비슷한 영어모음보다 습득에 용이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20명의 한국인 실험참여자들은 6개의 영어모음 /i, ?, u, ?, ?, æ/을 사료로 한 영어-한국어 대응 테스트와 영어 모음 판별 테스트에 참여하였다. 영어-한국어 대응 테스트의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음향적으로 구분되어있는 영어모음 /i/-/?/, /u/-/?/를 각각 하나의 한국어모음인 /이/와 /우/로 대응하여 인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영어모음 /?/를 한국어모음 /에/와 /애/로 대응하여 인지하였고, 영어모음 /æ/도 마찬가지로 한국어모음 /에/와 /애/로 혼용하여 대응하는 패턴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영어 모음쌍 /i-?/, /u-?/, /?-æ/을 인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어모음 판별테스트에서는 새로운 음소로 분류된 영어모음 /?, ?, æ/의 판별 정확도(?: 81.3%, ?: 62.5%, æ: 60.0%)가 비슷한 음소로 분류된 영어모음 /i, u, ?/의 판별 정확도(i: 28,8%, u: 28.8%, ?: 32.4%)보다 유의하게 높아서 SLM의 예측대로 새로운 음소가 습득하기 쉽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슷한 음소로 분류된 영어모음들의 판별 정확도가 새로운 음소에서의 판별 정확도보다도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여준 것을 과일반화로 설명하였는데, L2 학습자가 새로운 모음 범주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L2 소리를 새로운 L2 소리로 과도하게 대치한 현상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함의점도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English vowels and further to test SLM which claims that new L2 vowel categories are more easily acquired than similar L2 vowel categories. Twenty Korean learners participated in English-to-Korean mapping test and English vowel identification test with target vowels /i, ?, u, ?, ?, æ/. The result revealed that Korean participants mapped the English pairs /i/-/?/ and /u/-/?/ onto single Korean vowel /i/ and /u/,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of English /?/ and /æ/ were simultaneously mapped onto Korean /e/ and /?/. This indicated that the Korean participants seemed to have perceptual difficulty for the pairs /i-?/, /u-?/, and /?-æ/. The result of the forced-choice identification test showed that the accuracy of /?, ?, æ/(?: 81.3%, ?: 62.5%, æ: 6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 u, ?/(i: 28,8%, u: 28.8%, ?: 32.4%). Thus, the claim of SLM is confirmed given that /?, ?, æ/ are new vowel categories whereas /i, u, ?/ are similar vowel categories. Further, the conspicuously low accuracy of the similar L2 vowel categories /i, u, ?/ was accounted for by over-generalization whereby the Korean participants excessively replaced L2 similar /i, u, ?/ with L2 new /?, ?, æ/ as the participants were learning the L2 new vowel categories in the process of acquisi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edagogical suggestions are provided.
L2 Proficiency Effects on the Use of Verb Bias Information
김지현(Ji Hy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제2 언어 학습자가 영어 작문 과정에서 동사 편향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이 영어 능숙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은 영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화자를 영어 능숙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직접목적어 편향, 등위 편향, 보문절 편향 동사를 이용한 문장 완성도 과제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두 그룹의 영어 학습자는 동사에 따른 직접 목적어 구조와 보문절 구조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가 낮은 제2 언어 학습자 그룹은 영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접목적어 구조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반대로 보문절 구조는 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에 따른 선호 구조와는 별개로 두 그룹 모두 각 영어 동사의 동사 편향 지수와 문장 구조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비록 영어 능숙도가 낮은 영어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문장 구조인 직접목적어 구조를 선호하지만, 이 선호도는 각 영어 동사의 문장 편향 정보를 영어 글쓰기 과정에서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2 proficiency affected how L2 learners used verb bias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production. Two groups of high proficiency and low proficiency L2 learners participated in a sentence completion task with direct object (DO) bias verbs, equi (EQ) bias verbs and sentential complement (SC) bias verb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L2 learner groups in the percentage of DO and SC sentence completions preferred for each verb type. The low proficiency group used more DO structures and fewer SC structures for all three types of verbs compared to the high proficiency group. However, despite the low proficiency group’s preference for the DO sentence structu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erb bias strength index of each verb and number of DO/SC sentence completions were found for both the low and high proficiency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low proficiency L2 learners generally prefer to use the structurally more minimal DO structure as opposed to the SC structure, they are sensitive to verb bias properties and are able to use this information in their written production.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as L1 Produced by L2 Learners of the English Language
윤석연(Sook Yo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한국인 아동과 성인이 한국어 폐쇄음을 산출했을 때 음성개시시간 (voice onset time, VOT)과 기본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 F0)에 있어서 한국어만 사용하는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영어노출시기가 제1언어인 한국어 산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18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 18명의 한국어 단일어 아동은 한국어 폐쇄음이 포함된 9개의 음절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을 두 번씩 반복하여 산출하였다. Praat를 이용하여 산출 된 총 1,890개 음절의 VOT와 F0의 정격값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개의 3-way ANOVAs 결과에 따르면, 이중언어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격음과 평음의 VOT와 평음의 F0는 단일어 아동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가졌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은 유사하나 노출시기가 다른 아동집단과 성인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한 아동과 성인이 산출한 평음의 VOT와 F0가 통제집단의 격음과 닮아갔고 또한 이로 인해 격음의 VOT도 증가했다는 점에서, 제2언어습득이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어에 노출된 기간이 비슷한 아동집단과 성인집단의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미루어, 노출시기만으로는 제1언어에 대한 제2언어의 간섭효과를 예측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whether Korean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learned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2) produce Korean stops differently from Korean monolingual (KM) children with respect to voice onset time (VOT)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and whether the age of L2 exposure i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2-to-L1 influence. Methods: Eighteen Korean-English bilingual (KEB) children and adults and eighteen KM children produced nine monosyllables /phε, pε, p*ε, thε, tε, t*ε, khε, kε, k*ε/ twice in a row. A total of 1,890 tokens were acoustically analyzed with Praat to obtain VOT and F0 values an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for group comparison. Results: Two three-way ANOVAs and follow-up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VOT values of aspirated and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KEB children and adults than in KM children and that nor-malized F0 values of lenis stop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lingual than in monolingual individuals. Nonetheles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KEB children and adults. Conclusion: The acquisition of L2 English appears to disturb a tertiary contrast of Korean stops in terms of VOT and F0, in a way that bilingual individuals produc ed lenis stops more aspirated-like, with increased VOT and F0 values, and aspirated stops with in-creased VOT values. The L2-to-L1 influence may not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rly and late L2 learners, if their length of residence in a L2 speaking community is similar.
체육계열 재학생이 지각하는 영어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영어학습 만족도 연구: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의 매개효과
최미순(Choi, Mee-Soon),박동수(Park, Dong-Soo),최공집(Choi, Gong-Jib),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체육계열 재학생이 지각하는 영어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영어학습 만족 도와 이 과정에서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및 자신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체육계열(생활체육학과, 태권도학과) 재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영어학습 동기 유형(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2언어자 아, 필연적 제2언어자아)과 영어학습 만족도,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어학습 동기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내재적 동기와 이상적 제2언어자아가 영어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와 필연적 제2언어자 아가 영어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영어학습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어학습의 효율성을 증명한 것으로 영어학습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Englisg of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nd satisfaction in English Learning. In this process, the author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hi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54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and Sports and Leisure in Sehan University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with SPSS 18.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English(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ideal L2 self and ought-to L2 self) and mediation variables;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English, the process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ideal L2 self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in English lean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The process that the extrinsic motivation and ought-to L2 self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English learning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lated to the efficiency of English learning and has significance for the finding a way of learning English.
공용어인가, 아니면 지배도구로서의 언어인가? -여어의 두 얼굴이 갖는 함의-
( Marilyn K Plum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영어의 위상 문제나 영어구사능력을 취득하려는 열기는 단순한 사회교육차원의 토론거리를 넘어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것은 영어 구사력을 갖춘 인력을 우선시하는 경제발전 목표 때문이다 본 논문은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Tsuda 1997. Skuttnabb-Kangas 2000. Skuttnabb-Kangas and Phillipson 2001)과 세계 영어 (World Englishes) (Kachru 1985. 1986. 1988. 1992 (1982))의 준거틀을 토대로 한다.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모든 화자(話者)들의 평등과 함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한다. 세계 영어 이론은 현지화된 다양한 변종 영어를 인정하는 한편 영어 사용 규범의 유일한 결정권 자로서의 영어원어민의 역할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선 영어 사용을 .현지화’함으로써 대다수 한국인 영어학습 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치·심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영어구사력 향상을 이루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표준적으로 통용되는 이해가능성을 희생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한국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주인의식’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교습 모텔과 내용 모두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몇 가지 대안 샘플을 제공할 것이다. 두번째로 본 논문은 일본이나 유럽처럼 영어를 도구로 한 피식민경험을 갖지 않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정책을 제시한다. 현재 한국은 영어를 공식언어로 공표하는 문제에 대한 공론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언어학자, 정책결정권자 및 언론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의 언어 정책 및 언어사용발전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한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Meaning-making in Interactional Language Learning
양시호 미래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 Vol.17 No.1
본 연구는 한 한국인 어린이가 상호 작용하는 학습 환경에서 제2언어(영어 말하기)를 학습하며 발전시켜 가는 과정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영어 사용 환경에서 학습 초기 6개월 간의 이 어린이의 영어 발달 과정을 기술하고, 그 언어 발달을 사회의미론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정성적 연구 방법을 채용한 이 연구는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한다. 자료는 관찰과 면담, 당 어린이의 제2언어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텍스트 분석에는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의 분석 도구가 사용되었고, 분석 결과는 Vygotsky의 사회문화 학습 이론과 Halliday의 기능 언어 이론으로써 설명되었다. 결과로서 본 연구는 이 어린이가 사회적 언어학습 환경에서 제2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은 언어를 통해 그 문화와 상황에 적절한 의미(meaning)를 만드는 것을 배우고 확장해 가는 과정이라고 제시하고, 그런 의미 구성(meaning making)은 어린이가 타자들과의 대화의 상호작용(interaction) 속에서 공유하는 이해(shared understanding)를 통해 성취한다고 주장한다.
The Ineffectiveness of Korea’s English-Only Classroom Policy
Kang-hee Park(박강희)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41
캐나다, 일본의 영어몰입교육에 비해 한국의 영어전용교실, 영어몰입교육은 비효율성 문제를 지닌다. 모든 과목 습득에 L2가 노출되어지나 한국의 몰입교육은 그렇지 않다. 단순한 의사소통만을 요구하는 한계를 지닌다. 물론 목표어를 가르치기 위해서 L1 사용이 금지되거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한국에서처럼 제한된 시간 속에서 의사소통만을 강조하면서 이루어지는 EFL 교실에서는 사용을 재검토 할 필요는 있다. L2로부터 L1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과학적 이성적 근거에 기초를 두고 있지 않고, 뇌의 언어습득 이해 이전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지배 과정 속에서 인종주의 , 편견 등에 의해 강화되어온 측면도 있기는 하다. L1 사용시간도 L2 입력시간을 잃어버리는 시간이 아니고 언어습득 목표와 양립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중언어교육 효과에 대한 증거도 많고 L2 교실에서 L1 사용 허용이 나쁘다는 주장도 많지만, 한국 영어몰입교육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한계 극복이 필요하다. Korea`s immersion language instruct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countries like Canada or Japan. Full Immersion, as it is implemented in the Canadian system, has shown remarkable succes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immersion is that a majority (50%-100%)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is taught through the medium of a second language. But in South Korea, in order to bolster the English-language instruction time, many public schools offered intensive English immersion programs after normal teaching hours. These are often controversial programs with parents and teachers coming down on both sides of the issue. In 2000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mplemented its 7th Curriculum and, among the many details covering all areas of Korea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t also included an extensive plan for English education. At this stage English is the primary language used for business and trade between nations. But Critics pointed out that there was no evidence that immersion language instruction at a young age caused any problems with native language acquisition, Included in this set of guidelines is an emphasis that classes should be carried out in English only and that is the focus of this Abstract and of my research paper. The following are some of the questions I will attempt to answer over the course of my paper. ⦁ What underpins the drive for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 What are the origins and the rationale for excluding the L1 from the L2 ⦁ Do learners acquire language more efficiently in this manner or does it induce more stress and slow down the learning process? ⦁ Was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decision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for English proficiency or is it a mistake and a mis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Does an English-only classroom environment help South Korea achieve its stated educational goals? In my search for answers to these questions I will rely heavily on published works by experts in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모국어 쓰기 불안, 제2언어로서의 영어 쓰기 불안, 영어능숙도 및 영어 쓰기 수행 간의 관련성
정다은(Chung Da Eun),임현우(Lim Hyun Woo)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4 영어교육연구 Vol.26 No.4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among L1 writing anxiety, L2 writing anxiety, L2 proficiency, and L2 writing performance in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1 Korean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perceived levels of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A series of correlation analyses suggested that L2 writing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1 writing anxiety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L2 proficiency and L2 writing performance. Subsequent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L1 writing anxiety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L2 writing anxiety after controlling the variance explained by L2 proficiency, suggesting an interdependence between L1 writing anxiety and L2 writing anxiety. In addition, L2 writing anxiety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L2 writing performance after controlling the variance explained by L2 proficiency, suggesting that the pedagogical effort for alleviating Korean English learners' writing anxiety could help enhance their English writing performanc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제2언어 자아와 영어 학습 동기: 면담법을 통한 사례 연구
김태영(Kim, Tae-Young)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5 영어교육연구 Vol.27 No.3
In this paper, the author highlights Korean EFL learners’ L2 self and its relationship with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o date, most research on L2 learning motivation has adopted a large scale survey method, which resulted in the lack of in-depth qualitative analysis of it. By analyzing six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wo English teach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ir perception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ts origin, maintenance, and potential challenges of maintaining it. Particularly, Dörnyei’s (2009) concepts of the ideal L2 self and the ought-to L2 self are closely compared with the participants’ comments on their motivation. The interview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students created the ought-to L2 self and amotivation more than the ideal L2 self, and this reflects the parental and societal pressure on the English learners in Korea. This means that students have not internalized the necessity to learn English at a personal level yet, and their comments on motivation are in fact a motive or a less-internalized psychological construct dissociated from concrete learning goals and from their sense of participation in L2 communities. Teacher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English teachers in Korea acquiesce to the determining power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nd they are not active in supporting students’ creating long-term, future L2 self.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 관한 연구:
김태영(Kim Tae Young),김윤경(Kim Yoo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한 사립대학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영어교사의 학 습자 측면에 중점을 두고 이들의 영어 학습 동기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태도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주요하게 작용하고 이 요인 들이 영어 학습에서 나타나는 동기화된 행동(motivated behavior)에는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초점이었다. 총 13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와 영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이들의 영어 학습에서 가장 우세한 동기와 태도 요인으로 나타났다. 동기화 된 행동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모든 태도 요인과 이상적 제 2언어 자아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영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영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동기화된 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영어교사의 영어 학습에서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와 영어 사용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우세한 역할을 하는 것과 관련하여 제언을 제시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at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finding out the dominant factors in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ir motivated behavior in English learning. A total of 130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deal L2 sel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were the most dominant factors in the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 and attitudes related to English learning. Also, the ideal L2 sel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motivated behavior, all of the attitudinal factors and the ideal L2 sel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tivated behavior.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learning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motivated behavior, with the former exhibiting the most influential effect. Cri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with regard to the influential roles of the ideal L2 sel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ers in pre-service teachers’ English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