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품안전품질경영과 자가진단모델

        이황주,현완순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제품안전 사고예방을 위한 사업자의 품질경영과 제품안전경영의 체계적인 통합방안으로 제품안전품질경영 통합경영모델을 PSQM(Product Safety Quality Management: 제품안전품질경영)으로 개발하여 기업의 제품안전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토록 지원하며 이를 위하여 자가진단모델을 개발하였다. 세부사항으로 첫째, 제품안전 피라미드의 사업자의 책임범위와 관련 법령의 요구사항과 둘째 Global Best Practices로 제시되고 있는 ISO 10377과 ISO 10393을 기반으로 한 품질경영과 제품안전경영의 통합 진단모델을 구상하였다. 실제 기업체가 활용할 수 있는 제품안전과 품질경영의 통합경영모델을 PSQM(Product Safety Quality Management: 제품안전품질경영)으로 개발하였으며, 제품안전품질경영활동을 기반으로 한 기업체 컨설팅 수행, 국가 과제연구(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과제연구) 및 저서집필(제품안전경영)을 통하여 실효성 검증 및 보급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매상의 스토어브랜드 품질결정에 관한 연구

        정환(Hwan Chung) 한국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소매상의 수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스토어 브랜드 제품의 품질결정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직적 차별화 모형(vertical differentiation model)에 기초하고 내셔널 브랜드 제품(고급 브랜드 제품과 비고급 브랜드 제품)을 한 개씩 생산하는 두 생산자와 카테고리 전체수익의 극대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스토어 브랜드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하나의 소매상으로 구성된 게임이론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모형의 분석 결과, 스토어 브랜드 제품의 품질결정에 대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의해 논의되어진 생산자의 제품품질결정이나 스토어 브랜드 제품의 수평적 포지셔닝(horizontal positioning)과는 다른 최적 안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소매상은 스토어 브랜드 제품의 품질을 결정할 때 그 품질수준을 기존의 두 내셔널 브랜드 제품들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카테고리 전체의 수익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이는 소매상은 소비자들에 의해 가장 선호되어지는 내셔널 브랜드 제품을 겨냥해 그 제품과 유사한 제품을 출시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여야 한다는 스토어 브랜드 제품의 수평적 포지셔닝에 관해 논의한 기존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상반되는 것이다. 둘째, 시장상황에 관계없이 (특히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시장상황의 경우라 할지라도) 스토어 브랜드 제품이 카테고리 내 가장 낮은 품질의 제품으로 소개되는 것은 최선의 선택이 아니며 비고급 내셔널 브랜드 제품보다 높은 품질의 제품으로 출시되어야 한다. 셋째, 제품의 품질향상이 판매이익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스토어 브랜드의 경우 심지어 품질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시장상황의 경우라 할지라도 그 제품의 품질이 고급 내셔널 브랜드 제품의 품질보다 낮게 책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매상의 스토어 브랜드 제품품질결정이 생산자의 제품품질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원동력(driving force)과는 전혀 다른 원동력에 의해 정해지는 의사결정임을 밝혔다. 생산자의 품질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원동력은 경쟁제품과의 차별화(differentiation)인 반면, 소매상의 경우에는 내셔널 브랜드 제품의 판매로부터 얻어지는 소매상의 판매이익(retail margin)의 증가와 기존의 내셔널 브랜드 제품의 고객들을 수익성이 보다 높은 스토어 브랜드 제품으로 유인함으로 기대되어지는 수익의 증가가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연구자들과 경영자들에게 제시하는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importance of store brands has been growing in retailing. The Private Label Manufacturers Association (PLMA) reports that store brands, or private labels, continue to grow in sales and volume in the U.S. market and account for one of every four items sold every day in U.S. supermarkets these days. Nowadays 90 percent of consumers define store brands as good "brands" as or even better "brands" than national brands in most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many retailers develop and introduce innovative premium store brand products to increase their category profit. This trend has prompted marketing scholars to address various issues related to store brands, such as the factors for store brand success (Dhar and Hoch 1997), the factors for variations in purchasing preferences for national brands versus store brands (Batra and Sinha 2000), and the effect of store brand introduction (Raju et al. 1995, Chintagunta et al. 2003). Nevertheless, no previous study has investigated directly the retailers` store brand quality decision. When a retailer introduces a store brand, making an optimal quality decision for the store brand must be an important strategic issue for the retailer,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is issue. Recently, some prior studies analyzed the issue of store brand positioning in the context of category profit maximization. However, the existing theoretical analyses of store brand positioning focus on horizontal differentiation, while empirical studies and anecdotal evidence generally point to vertical differentiation as a more important brand-positioning dimension. On the other hand, many prior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ssue of quality decision problem from a manufacturer`s perspective, but it is not known to what extent the findings of the existing product quality decision literature, with its manufacturer focus, provide applicable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retailers. In this study, we directly address this deficiency in the literature and explo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What is the optimal quality for a store brand, when it is introduced to a category characterized by a nonzero cost of quality? 2) What are the main driving forces shaping this decision? We analyze the problem with a game theoretic model composed of two national brand manufacturers and a retailer, who strategically chooses the quality level of its store brand relative to the established national brand positions to maximize its category profit. Two existing national brands are vertically differentiated. The retailer has three possible options for its store brand quality decision. First, the retailer can introduce the store brand as the lowest quality product within the given category. Second, the retailer can position the store brand in between two existing national brands in terms of quality. Lastly, the retailer can introduce the store brand as the highest quality product within the given category. Considering the three possible options for the retailer`s store brand quality decision, we analyze four different market conditions in terms of diverse distributions of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quality. This helps us demonstrate the impact of a category-specific environment on optimal store brand quality decisions and identify major driving forces shaping the retailer`s optimal decis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tailer and the manufacturer in terms of major driving forces shaping their optimal product quality decisions, we also analyzed the case where one of the two national brand manufacturers introduces another national bran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national brand, but there is no store brand introduction. The model analysis reveals that the second option, i.e., the retailer positions the store brand in between two existing national brands in terms of quality, is the retailer`s optimal strategy for its store brand quality decision. Our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optimal decision i

      • KCI등재

        가격-품질 관계에 대한 심리적 거리와 제품지식의 조절적 영향

        이학식(Hak Sik Lee),윤나라(Na Ra Youn),박지은(Ji Eun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1

        많은 연구자들이 가격과 소비자의 품질 지각 간에 가격이 높으면 품질이 좋은 것으로 지각하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어왔다. 가격-품질 관계에 대한 초기 연구자들은 품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 가격 이외의 다른 정보단서들은 고려하지 않고 가격의 영향력만을 연구하였다. 그 후의 연구자들은 소비자에게 제품속성정보를 제공하였을 때에도 여전히 가격이 품질 지각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어떤 연구에서는 제품속성정보가 주어지면 품질 평가에 대한 가격의 영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연구에서는 제품속성정보가 주어져도 가격에 의존하여 품질을 추론하는 것으로 나타나 혼재된 연구결과를 얻었다. 최근 한 연구에서는 가격-품질 관계에 대한 지금까지의 혼재된 연구결과를 해석수준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흐름에 따라, 제품속성정보가 주어졌을 때 가격과 소비자의 품질 지각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거리(시간적 거리, 공간적 거리)의 조절효과와 가격과 품질 지각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거리의 조절효과를 제품지식이 2차 조절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제품속성정보가 주어졌을 때 가격과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 간의 관계에서 시간적 거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제품지식의 2차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시간적 거리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제품지식의 강한 2차 조절효과 때문이었다. 둘째, 제품속성정보가 주어졌을 때 가격과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 간의 관계에서 공간적 거리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다시 제품지식에 의해 2차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품질추론 시 심리적 거리가 멀수록 가격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소비자가 제품지식을 적게 가진 경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제품지식을 많이 가진 소비자는 속성(vs. 가격)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Recent research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rice on quality inference has been paying much attention on the issue of whether quality judgment is affected by price even when information on product attributes is available. The reported findings failed to provide converging evidence. Some research found that participants consistently relied on price for quality judgments, even when information on specific product attributes was assessable. Studies of other researchers, on the other hand, have found that when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was given, influence of price on quality judgments became insignificant. Yan and Sengupta (2011) tried to resolve this discrepancy by introducing construal level as a moderator. In light of this stream of research, we document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knowledge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temporal distance and spatial distance) on the price-quality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vacation package (Study 1) and electronic dictionary (Study 2) purchases, we tested four research hypotheses. H1: Consumers` relative reliance on price (product attributes) over product attributes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ill be heightened when the judgment is temporally distant (close). H2: If consumers possess high product knowledge, their relative reliance on product attributes over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ill be increased regardless of temporal distance. On the other hand, consumers` relative reliance on price (product attributes) over product attributes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ill be heightened when the judgment is temporally distant (close). H3: Consumers` relative reliance on price (product attributes) over product attributes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ill be heightened when the judgment is spatially distant (close). H4: If consumers possess high product knowledge, their relative reliance on product attributes over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ill be increased regardless of spatial distance. On the other hand, consumers` relative reliance on price (product attributes) over product attributes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ill be heightened when the judgment is spatially distant (close). In Study one, four hundred undergradu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ight conditions, according to a 2 (price: high vs. low) × 2 (product attribute: favorable vs. unfavorable) × 2 (temporal distance: near vs. distant) between-subjects design. Participants` product knowledge was measured using a continuous scale item. A three-way ANCOVA on perceived quality controlling for a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knowledge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price × attributes × temporal distance’ was insignificant (F(1, 391) = 1.84, p = .175, partial η2 = .005). This result was not supportive of H1. H1 was not supported becaus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knowledge was so strong. To test H2, we conducted a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on perceived quality with price, product attributes, temporal distance, product knowledge, and their possible interactions as predictors. As hypothesized, a significant four-way interaction emerged between price, attributes, temporal distance, and product knowledge (β = -.73, t = -2.64, p = .009). To explore the four-way interaction, high vs. low product knowledge participants (split by mean=3.48) were analyzed further. The ‘price × attributes × temporal distance’ interaction was insignificant for the high product knowledge participants (F(1,176) = 2.83, p = .094, partial η2 = .016), whereas it was significant for the low product knowledge participants (F(1,208) = 10.27, p = .002, partial η2 = .047). One-way ANOVA showed that for the high product knowledge participants, relative reliance on product attributes over price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as high regardless of temporal distance (near temporal distance condition: Mfavorable = 5.37 vs. Munfavorable = 2.31; F(1,89) = 171.23, p=.000

      • KCI등재

        중국 제품의 지각된 품질이 국가 및 제품 이미지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정원식(Jung, Won-Sik),윤성준(Yoon, Sung-J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국 제품의 지각된 품질이 중국의 국가 및 제품 이미지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중국의 대표적 브랜드 의 품질 지각은 중국의 국가 이미지 뿐만 아니라 전반적 제품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만들고 이는 다시 구매의향을 증가시키는지를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중국 제품의 지각된 품질이 국가 및 제품 이미지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국의 국가 이미지와 제품 이미지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문화적 호감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지각된 품질이 국가 및 제품 이미지에 소비자들이 평소 지각된 제품 인지도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나 제품을 심리적으로 신뢰하게 됨을 뒷받침해 주고 이는 유명제품의 품질 보증서처럼 생각하기 때문에 지각된 품질을 통하여 고객 가치와 고객 만족을 높일 수 있는 경쟁력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게 이미지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nese representative brands’ perceived quality on country and product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 using data collected gromKorean consumers. The study sought to verify whether consumers’ perceived product quality of Chinese brands affects country as well as product image of China, andwhether these images impact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showthat Chinese selected brands’ perceived qual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untry and product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we found that the effects of country and product images on purchase intention aremediated by preference for Chinese culture. The perceived quality supports the perception of a country and its product image, enabling consumers to have the same degree of recognition of a product or a particular country based on perceived product and the same positive perception of a product, whichmakes it as awell-known product quality. The state and enterprises of modern society are urged not only to pursue profit but also to give consumers a role as corporate partner with the authenticity of product and to make a positive image. For this purpose, the state or enterprise should endeavor to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the quality that can accommodate the value proposition of the consumer aswell as the changes in the era for the long-termdevelopment and positive quality recognition. In particular, the perceived quality of products is mor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national and corporate consumers. Therefore, the higher the involvement of products than other products, the more important is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as an important el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do.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marketing, if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is increased, the export price can be rai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xport expansion.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국 제품의 지각된 품질이 중국의 국가 및 제품 이미지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중국의 대표적 브랜드 의 품질 지각은 중국의 국가 이미지 뿐만 아니라 전반적 제품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만들고 이는 다시 구매의향을 증가시키는지를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중국 제품의 지각된 품질이 국가 및 제품 이미지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국의 국가 이미지와 제품 이미지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문화적 호감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지각된 품질이 국가 및 제품 이미지에 소비자들이 평소 지각된 제품 인지도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나 제품을 심리적으로 신뢰하게 됨을 뒷받침해 주고 이는 유명제품의 품질 보증서처럼 생각하기 때문에 지각된 품질을 통하여 고객 가치와 고객 만족을 높일 수 있는 경쟁력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게 이미지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nese representative brands’ perceived quality on country and product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 using data collected gromKorean consumers. The study sought to verify whether consumers’ perceived product quality of Chinese brands affects country as well as product image of China, andwhether these images impact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showthat Chinese selected brands’ perceived qualit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untry and product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we found that the effects of country and product images on purchase intention aremediated by preference for Chinese culture. The perceived quality supports the perception of a country and its product image, enabling consumers to have the same degree of recognition of a product or a particular country based on perceived product and the same positive perception of a product, whichmakes it as awell-known product quality. The state and enterprises of modern society are urged not only to pursue profit but also to give consumers a role as corporate partner with the authenticity of product and to make a positive image. For this purpose, the state or enterprise should endeavor to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the quality that can accommodate the value proposition of the consumer aswell as the changes in the era for the long-termdevelopment and positive quality recognition. In particular, the perceived quality of products is mor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national and corporate consumers. Therefore, the higher the involvement of products than other products, the more important is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as an important el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do.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marketing, if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is increased, the export price can be rai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image of the country of origi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xport expansion.

      • KCI등재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가 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박종철(Jong Chul Park),박명진(Myung Jin Park),홍성준(Sung Jun Hong) 한국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연구 Vol.23 No.4

        전반적으로 유통업체 브랜드는 가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품질이 좋아 다른 브랜드와 비교하여 높은 가격경쟁력을 지니고 있지만, 전국 브랜드와 비교하여 유통업체 브랜드의 품질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여전히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유통업체 브랜드의 품질인식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예; 제조업체와 유통업간의 제휴)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통업체 브랜드의 품질향상을 위해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PB, MPB, NPB)에 따른 품질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유통업체 브랜드의 다양한 표기형태가 유통업체 브랜드의 품질지각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제품시용 여부에 따라 체계적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선, 첫 번째 실험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가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NPB상품의 품질을 가장 높게, 그 다음으로 MPB상품, PB상품 순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해당 제품의 시용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은 `PB 제품<MPB 제품<NPB 제품`순으로 품질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지식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PB, MPB, NPB제품의 품질을 거의 유사하게 평가하였다. 또한 두 번째 실험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가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소비자의 제품시용 여부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제품을 시용하지 않은 소비자들은 `PB 제품 < MPB 제품 < NPB 제품` 순으로 품질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나, 제품을 시용한 소비자들의 경우 이러한 차이가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지지). 본 연구는 기존 유통업체 브랜드 연구들과 다르게 유통업체 브랜드의 표기형태에 따른 다양한 유형고찰과 이러한 유형이 품질지각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여러 유통업체 브랜드의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지니며, 향후 마케팅 관리자들로 하여금 PB, MPB, NPB제품 간의 품질지각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촉진전략을 수행하는데 있어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를 지닌다. Private brands have long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aspect of the retail industry. Especially, even though private brands have low cost advantages to national brands, consumers perceive the qualities of private brands inferior to that of national brand. Because private brands appeal to price-conscious consumers but generally fail to attract those who are quality-conscious, retailers are confronted with a dilemma in their efforts to increase private brand volume. Importantly, perceived quality is a key determinant of private brand success and represents consumers` judgments regarding a brand`s superior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erceived quality to private brand`s success is best appreciated when noting that brand quality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purchase rate. According to the prior research, there are various options to improve the perceived quality in private brands. For instance, one option is to increase advertising budgets, other option is to increase objective quality of products. Recently, private brands of various types(national private brand, manufacturing private brand) are appeared to improve the objective quality in the retail industry. So, we attempt to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types of private brands on perceived quality evaluation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trial in this relationship. First of all, in the study 1, which examined the effect of the type of private brands on the perceived quality and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knowledge toward private brands in this relationship, we found that consumers` response toward perceived quality becam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private brands. That is, consumers tend to evaluate national private brands more positively than manufacturing private brands and private brand, and evaluate manufacturing private brands more positively than private brands. But, this difference was disappeared when the level of consumers` knowledge toward private brands was high.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ess knowledgeable consumers are about the private brand`s category, the more likely they are to utilize extrinsic cues in judging the perceived quality. Namely, the brand name of a manufacturer and a distributor is served as a signal or proxy cue for product quality in the PBs context. Next, in the study 2, which examined the effec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rial on judging the perceived quality of the type of private brands, we found that consumers would rely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roducts more than on extrinsic cues if they believed they could judge those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indicated a perceived quality product and when they were highly involved in the judgment or decision. Because consumers who have actually tried a brand and experienced the intrinsic attributes of product rely less on the brand name cue, they evaluate national private brand similarly manufacturing private brand, and private brand when forming quality judgments compared to when judging quality without trial experience.

      • KCI등재

        화학제품 B2B시장의 서비스품질 평가

        박병인(Park Byung In),박기성(Park Ki Sung)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화학제품의 B2B시장에서 물류차원요인을 비롯한 서비스품질 특성들이 산업구매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서비스산업이 따로 없고 서비스요소가 다른 산업들에 비해 많고 적은 산업들로만 구분될 뿐이라는 Levitt(1972)의 견해처럼 서비스업과 제조업간에는 유사한 특성도 공유하기 때문에 서비스분야에 주로 적용되던 서비스품질 평가방법이 제조업에서도 유용할 것이다. 실제로 제조업의 경우도 공장의 제조 단계만을 제외하면 서비스 요소를 많이 갖고 있어 서비스업과 상당히 유사하다. 이에 서비스업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서비스수익체인 및 서비스품질 개념을 화학제품 생산제품의 B2B시장 분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제품 산업구매자들의 조사결과에 대한 PLS구조방정식(PLS-SEM)분석을 통해 산업구매자의 서비스만족을 위한 서비스품질요소의 유용성을 평가해보았다. 화학제품 B2B시장의 서비스품질차원을 물류차원품질, 상호작용품질, 기술적 품질, 그리고 경제적 품질의 네 개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모형을 이용하여 산업구매자 및 판매자 국적(국내, 국외), 취급제품군(석유화학, 정보전자, 전지), 응답기업규모(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응답자 직급(실무자급, 관리자급, 임원급), 그리고 담당직무(사무직, 기술직, 총괄)에 대한 다중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화학제품 B2B 시장의 산업구매자들의 경우도 화학기업이 서비스품질차원요인들을 여하히 관리하느냐에 따라 거래과정에서의 만족수준이 크게 증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체로 기술적품질과 경제적품질에서 취급제품, 기업규모, 응답자 직급 및 직군간 경로계수 차이가 확인되어 별도의 서비스품질전략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가 실증연구가 부족한 제조업분야, 특히 화학기업 B2B시장의 산업구매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품질 구조를 분석하였지만, 이러한 서비스품질수준이 고객만족을 경유하여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분석까지는 발전시키지 못했다. 추후연구에서는 화학제품 공급사슬에서 원재료 조달단계부터 최종 소비자 단계까지에 달하는 서비스 공급사슬 구조모형을 구성하여 이론의 유용성과 시사점을 분석해 봐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logistics dimension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industrial buyers in the B2B market of chemical products. As Levitt s (1972) view that“There are no such things as service industries. They are only industries that are greater or lesser than those of other industries.” the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service quality, which was mainly applied to the service fields, are considered useful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ecause both of them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fact,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very similar to the service industry because it has many service components except for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factory. The concepts of service profit chain and service qualities, which are continuously used in the service industry, are applied to the B2B market analysis of chemical products. The usefulness of service quality for service satisfaction of industrial buyers is evaluated through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PLS-SEM) analysis for the survey of chemical buyers in this study.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s of the chemical B2B market are composed of four dimensions such as logistics quality, interaction quality, technical quality, and conomic quality. The multi-group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conducted on the nationalities of industrial buyers and sellers, types of product families, buyers size, positions, and job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transaction process of B2B markets can be greatly improved by the chemical companies managing the quality dimension factors. Additionally,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s of structural model to the technical product quality and the economic quality of the heterogeneous factors, such as the product size, the size of the company, the respondents position, and the job category. Even though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service quality on the industrial buyers of chemical B2B markets, we have not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 impact on profitability that is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analyze the usefulness and implications of the theory by constructing a structure model of the chemical service supply chain from the procurement stage of raw material to the final stage of consumption.

      • KCI등재

        기능적 제품군과 상징적 제품군에서제품품질-브랜드가치 불일치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성영신,정선주,강승하,민승기,정수정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1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congruence between product quality and brand value on consumers’ evaluation of two types, utilitarian product and symbolic product. The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sessions which have the time interval of two weeks. In first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product performanc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observing a total of 8 products (4 chairs and 4 pairs of clothes) without brand-related information. Then, a total of 16 brand names (8 chair brands and 8 clothing brands) were presented to evaluate the brand value.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the incongruent matches of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brand value in both 2 (best/worst) chairs and 2 (best/worst) clothes were yielded. Two weeks later, those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same items as first experiment. As a result, in low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high-value brand condition, the respondents’ second evalu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n both utilitarian and symbolic products, comparing to the first evaluation, over product performanc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respectively. In high product quality and low-value brand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evaluation on product performance. However, in the evaluations of symbolic product, it appeared significant decreased only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considering brand effects on the new context of incongru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brand-related consumer behavior.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pplications for branding strategy, since it discovers the differentiated effect of brand between two types of product. 본 연구는 제품품질과 브랜드가치 정보가 서로 불일치한 경우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기능적 제품군과 상징적 제품군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실험은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됐는데, 1단계에서는 실제 제품을 만져보고 사용해보면서 제품 품질판단, 제품태도, 구매의도 등의 제품평가를 하게 했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참가자가 평정한 제품품질과 불일치하는 브랜드가치 정보를 준 후, 제품평가를 하게 했다. 그 결과 크게 두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낮은 제품품질-높은 브랜드가치 조건의 경우 1단계에 비해 2단계에서 품질판단·제품태도·구매의도 정도가 기능적 제품군과 상징적 제품군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둘째 높은 제품품질-낮은 브랜드가치 조건의 경우 1단계와 2단계의 품질판단 점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 점수는 상징적 제품군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본 연구는 브랜드의 효과를 불일치라는 새로운 맥락에서 접근해 봄으로써 브랜드와 관련된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었으며, 제품군에 따라서 브랜드의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남을 검증함으로써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보화 시대의 디자인 경영에 있어 품질경쟁력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파급효과

        임채숙(Chae Suk L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정보화 시대 하에서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제품디자인은 프로세스 경영의 전략적 수단으로서 상품의 개발 및 판매에 이르는 각 기능(제품개발, 제품디자인, 생산, 마케팅, 판매 등)을 통합 및 조정하는 역할, 즉 디자인 경영을 담당함으로써 기업의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품질 경쟁력에 의한 제품디자인의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제품디자인의 자리매김과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의 연구모형들을 조사·분석하였고,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분석을 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과 제품디자인이 포함된 본 연구의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인과모형을 바탕으로, 제품디자인의 자리매김(positioning)을 하기 위하여 제품디자인과 각 변수들(제품신뢰성,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제품디자인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품질경쟁력의 파급효과와 제품디자인의 파급효과에 관한 가설검정을 각각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품질경쟁력은 제품디자인과 고객만족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제품디자인은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품디자인은 품질경쟁력에, 품질경쟁력은 고객만족도에,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제품디자인이 품질경쟁력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품질경쟁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끼치고, 이것은 다시 고객충성도를 높인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다. In information age, according to a paradigm shift in the field of design, product design largely contributes to achieving corporate`s objective by playing the role of an integrator and a coordinator, as Design Management, for each function(product development, product design, production, marketing, sales, etc.) of the development and sale of products as a strategic tool of processing management. Based on these trend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se the effect of product design by quality competitiveness empirically and to analyse the positioning and functions of product design.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existing study models are analysed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nalysed statistically to extract measured variables. Based on these variables, The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established which includes quality competitiveness and product design. In this causal model, to analyse the positioning of product design,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design and variables(reliability of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market competitivenes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re analysed. Then, each of hypotheses about a effect of quality competitiveness and product design is tested to analyse the functions of product desig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that quality competitiveness much affects product design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customer loyalty. Whereas product design does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directly. Also, this study has deducted product design affects quality competitiveness, quality competitiveness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customer loyalt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esented product design does not affected by quality competitiveness but affects quality competitiveness, thereby it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indirectly and improves customer loyalty.

      • KCI등재

        신제품 지식의 유형이 제품 품질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연진(Yeon Jin Cho),박경도(Kyung Do Park),임수빈(Su Bin Im)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4

        의사결정의 효율성에 따른 기업의 사업성과는 조직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다양한 지식의 특성들을 경영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기술집약적 산업의 특성상 급진적으로 변화하는 기술적 환경에 발맞추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으로써 지식경영능력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Source-Position-Performance(SPP)구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중에 발생하는 지식의 유형들을 기업의 경쟁적 원천 변수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제품 포지션상의우위를 가져오는 요소로 신제품품질 우월성과 제품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개인차원에서 지식경영활동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에서는 하이테크 산업에서 신제품개발팀의 팀리더를 대상으로 표본선정 및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여 팀 내에서의 지식경영활동과 기업의 성과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류한 지식의 특성들로는 지식의 복잡성, 지식의 암묵성, 그리고 지식의 중복성이 있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식의 복잡성과 지식의 중복성은 제품 품질의 우월성에 긍정적인 변수로 작용하는 반면, 지식의 암묵성은 제품품질의 우월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품질의 우월성과 신제품 성과는 유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조직원들은 상호의존적인 다수의 지식과 객관적이며 언어로 상술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 및 공유함으로써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의도적으로 공통적인 인식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사업 활동들을 통해 지식의 창출활동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런 과정들은 신제품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지식의 유형에 따른 지식경영활동과 성과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학문적인 시사점과 이 분야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n organization`s decision abilities as a key driver of financial performance are supported by prior experiences and knowledge capabilities within team. Previous study has examined that knowledge management influences decision making performance.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ew product knowledge in decision making and how and why these knowledge resources affect new product performance. Drawing from research in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this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a more fine-grained notion of the interplay among NPD knowledge and superior firm`s performance by empirically testing differential effects of types of knowledge on new product advantage. The authors test using data collected from 222 new product development teams in the high- technology industries in Korea. The results first indicate that knowledge of high complexity increases new product quality. This new insights suggest that knowledge complexity in terms of the dimensions of breadth and depth is likely to enhance new product quality because of more opportunities to create innovative knowledge by combining diverse knowledge. Second, this results reveal that knowledge of high tacitness decreases new product quality. The creation and comprehension of knowledge can be achieved when knowledge is codified, articulated, and communicated easily. Third, the results reveal that knowledge of high redundancy improves new product quality. The sharing common knowledge is the key to facilitating effective communica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new creative ideas.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marketing literatures b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demonstrating how these three dimensions of NPD knowledge influence product quality superiority at the team level. The authors discus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가전제품의 주요 국가 간 제품품질 경쟁력 비교에 관한 연구

        임병훈,엄기홍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3

        본 논문은 특정 산업 또는 제품 수준에서 품질경쟁력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국가별로 비교하려는 시도로, 한국표준협회와 산업연구원(2007)에서 개발한 품질경쟁력 모형을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간 경쟁력을 비교하는 WEF의 국가경쟁력 평가 모형, Glob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국가산업의 품질경쟁력 수준지수, 한국사용품질지수 (KS-QEI)를 포함하는 6개 경쟁력지수 모형을 비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품질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기업과 사용자 측면에서 검토하고, 경쟁력 평가의 대상을 최종 제품만이 아니라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내부적 요인과 국가의 인프라 수준 등을 반영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5개 국가(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에서 생산되는 4개의 주요 생활가전제품(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을 대상으로 일반 소비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2차 자료 조사를 통해 품질경쟁력 수준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중국을 제외한 비교 대상 국가들 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제품의 품질경쟁력은 기술선진국들로 알려진 독일, 일본, 미국 제품들에 근접한 품질경쟁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생활가전제품에 대한 사용자평가는 다른 선진국가들과 큰 차이가 없이 개선되어졌으나 가전제품 전문가들의 인식과 평가는 아직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 평가가 중심을 이루는 생산품질과 경영품질 부분에서 상대적인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 practically applicable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model based on the model by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and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2007). For this, 6 models comparing product quality or competitiveness across diverse countries including WEF, Business Competitiveness Index, Glob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KS-QEI and National Design Competition Power Index are reviewed. Based on the review, an evaluation model that measures quality competitiveness of products or particular industries among countries is developed. Here, quality competitiveness is defined, as shown in <Table 1>, to include four dimensions, design quality, production quality, usage quality, and management quality. It is also designed to incorporate various factors which constitute quality dimension in the area of both firms and consumers. Finally, variables for both end-products, internal factors of manufacturers, and the infrastructure of a country are included in the model as variables of competitiveness level. The model is applied to 4 major home appliances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among 5 countries (Korea, US, Japan, Germany, China). For this, 3 types of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consumer survey of 1,200 respondents with product usage experience is performed using online research firms. Secondly, online survey targeting experts in consumer electronics is implemented using the expert panel of research firms in each of 5 countries. Relative importance of 4 quality dimensions is measured and calculated based on the AHP method from experts survey. Thirdly, secondly data for market share and the number of patents are collected for each product and country. Based on the AHP evaluation by experts, relative weight of four quality dimensions is calculated. For all product categories, usage quality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production quality.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xcept Chin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exists among the evaluated countries. The quality competitiveness score of Korean products is 67.3 and is similar to Germany (69.0), Japan (68.5), and US (67.8), which are known to have high reputation for quality competitiveness. The score of China is found to be low at 60.9. However, in the evaluation by experts, the gap between Kore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is larger. Among 4 quality dimensions, usage quality is found to be very high for Korean products, followed by design and production quality. Out of 4 product categories surveyed, the quality of Korean TV is evaluated highest, second to Japan. For AC, the quality of Korean products is ranked as second with US and Japan. The evaluation for Korean refrigerator and washing machine is relatively low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