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제품의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향후 혁신제품의 판로 예측

        김이연(Kim, Yi Yeon),부인규(Boo, in gu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5 No.-

        다원화되는 사회에서 추구하는 혁신제품의 의미자체가 변모하고 있다. 예전에는 개발의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개발전략을 통해 제품출시 이후 판로를 개척해나가는 방법을 펼쳐나갔다. 허나 최근에는 혁신제품의 출시과정부터 다르게 운영되고 있고, 예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에 예전과 현재의 혁신제품 성공전략 사례들을 분석하여 향후 펼쳐질 혁신제품의 성공판로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예전 성공한 혁신제품의 출시 이후 어떠한 전략들을 펼쳤는지 사례조사 및 분석을 한다. - 최근 성공한 혁신제품의 판로 및 출시동향들은 어떠한지 사례조사 및 분석을 한다. 시대흐름에 따른 혁신제품의 운영체계를 살펴본 결과, 향후 혁신제품을 출시하는 스타트업기업들을 해외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선인정 후양산 시스템을 통해 제품양산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우리나라도 머지않아 스타트업과 대기업의 제휴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될 것으로 예측해본다.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탄생하는 혁신제품의 출시관련 운영흐름을 정확히 인지한다면 향후 이를 준비하는 스타트업기업들에게 성공으로 진입할 수 있는 빠른 경로를 알려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meaning of innovative products pursued by pluralized societies is transforming. In the past, the markets were opened up after the products were released through various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 needs of development. Recently, however, even the launching process of innovative products is differently operated and strategies with direction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ast are used. In this regard, the paper aims to predict successful markets of innovative product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successful strategic cases of innovative products from both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following are the methodology and results of this study. - Conduct a case study and an analysis on which strategies were implemented after the release of successful innovative products in the past. - Conduct a case study and an analysis on the markets and launching trends of innovative products that were successful fairly recently. By reviewing the operation system of innovative products for each time period, it is assumed that startup companies releasing innovative products in the future will engage in the mass production of products through a pre-approval and post-production system, via overseas crowd funding. Moreover, we can expect that systems for partnerships between startups and conglomerates will be prepared in Korea within the near future. If we accurately perceive the operation trends related to the release of innovative products that come into existence by experiencing extreme changes, shortcuts to success will be available for startup companies preparing for such future.

      • 산업경쟁력 구조변화와 기술혁신정책의 방향

        신태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정책자료 Vol.- No.-

        □ 우리나라의 수출경쟁력 문제가 다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경제전망이 불투명하고 경제불안이 가중되는 시점에서 수출경쟁력과 경제체질의 취약성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세계 무역구조의 중심축이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 짚어보고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 세계 수출시장의 중심을 이루는 상품은 세계총수출액에서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상위 30대 상품(SITC 3-digit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을 제품과 공정을 기술적 복잡도(complexity)에 따라 단순과 복잡으로 구분하여 제품과 공정에서 모두 복잡도가 높은 상품군(복잡제품/복잡공정), 제품의 복잡도가 높으면서 공정은 단순한 상품군(복잡제품/단순공정), 제품과 공정 모두 단순한 상품군(단순제품/단순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공정은 복잡하면서 제품은 단순한 상품군은 없다. □ 제품/공정에 있어서 모두 복잡도가 높은 복잡기술상품으로 자동차, 반도체 등 전자부품, 통신장비, 특수산업용 기계, 사무기기, 항공기 등을 꼽을 수가 있고, 복잡제품/단순공정에 속하는 상품에는 의약품, 정제석유제품, 플라스틱의 모노필라멘트, 철/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단순제품/단순공정에는 원유, 가구, 의류, 신발 장난감 등이 있다. 기술적 복잡도가 높은 상품들은 선진국들의 주요 수출상품들이다. □ 이러한 분류에 따라 이들 30대 수출상품군들의 구조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세계무역에 있어서 복잡제품/복잡공정의 상품 수는 75년 12개에서 95년 13개로 늘어나고 복잡제품/단순공정 상품 수는 6개에서 8개로, 단순제품/단순공정의 상품 수는 12개에서 9개로 줄어들었다. 뿐만아니라 75년 30대 상품의 수출액중 복잡제품/복잡공정의 상품군이 33.8%에서 95년에 63.1%, 복잡제품/단순공의 상품군이 14.9%에서 23.3%, 단순제품/단순공정의 상품군이 51.3%에서 13.5%로 복잡도가 높은 제품들의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 상품군 내에서도 기술혁신을 통하여 단순제품 혹은 단순공정에서 복잡도가 높아진 것들도 있다. 이처럼 세계 무역구조는 복잡도가 높아지는 상품군으로 옮아가고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다른 한편 우리나라의 산업/무역구조를 보면, 70년대 중반 단순제품/단순공정 상품군을 중심에서 90년 중반 이후 복잡성 높은 상품군을 중심으로 재편되어 왔다. 세계 30대 수출상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전체 수출액에서 제품/공정에서 복잡도가 높은 상품의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75년에 31%정도에 머물렀으나 95년에 93%에 이르러 세계 수출시장 변화에 대한 우리의 적응력이 높았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복잡제품/복잡공정 상품군에 우리 상품이 7개가 속해 있다. 이들 상품군은 우리의 주력 수출품이 되고 있으며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다. □ 반면에 복잡제품/단순공정이나 단순제품/단순공정에 속하는 상품군에 있어서는 무역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1975년 우리나라의 30대 수출상품 중에서 세계 30대 수출상품에 속하는 것이 15개였던 반면 20년 후에는 10개로 감소하였다. 세계 30대 수출제품에 대한 수출의존도를 보면, 1995년에 일본 63.5%이고 반면 우리나라는 40.1% 정도이다. 그만큼 세계시장의 중심무대에서 우리의 입지가 약화된 것을 의미한다. □ 이는 기술집약적인 복잡제품/복잡공정 상품군에서 약진을 보인 대신 복잡제품/단순공정과 단순제품/단순공정 상품군에서 급격히 경쟁력을 상실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복잡화에 성공한 상품은 소수인데 반하여 단순범주에 속하는 상품군의 빠른 퇴조는 무역수지의 불안과 국가경제의 체질을 취약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 문제는 이런 과정에서 복잡제품/복잡공정 상품군에 대한 우리의 선택의 여지가 크지 않다는 데 있다. 이 그룹에 속하는 상품군은 고도의 원천기술이 확보되어야 하고 분야간의 기업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학습과 누적적 기술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적하고 싶은 것은 우리나라 산업이 기술집약적인 형태로 바뀌었다고 할 수 있으나 대부분 주력산업의 경우 원천기술 능력이 떨어지고 기업방식에 있어서 과거 노동집약적인 형태와 크게 바뀐 것이 없다는 점이다. 즉, 요소가격에 크게 의존하고,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등한시하는 기업방식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세계무역 구조가 지난 70년대 중반이후 기술적 복잡도가 높은 제품/공정을 중심으로 개편되어 오면서 더 이상 표준화된 대량생산 방식의 상품은 경쟁력 확보의 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후발개도국의 현재 우리의 주력산업에 대한 추격이 가시권에 들어올 경우 손쉽게 경쟁력을 잃어버릴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복잡기술상품의 경제적 성공은 점증적인 기술혁신의 결과이다. 다시 말하면 성능과 품질 그리고 비용면에서 지속적인 수많은 작은 개선의 결과이다. 지난 20-30년간 각 부문에서 일어나 기술혁신은 언젠가부터 서로 상호연관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으며 타부문의 기술혁신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것들이 누적되면서 90년대에 수많은 복잡기술제품/공정이 “소리 없이” 등장한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 복잡기술은 부품들과 이들 간에 상호작용이 너무 많아 개인이 그 기술을 자세히 이해·설계하거나 통제하기 어렵다.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점증적인 기술혁신의 기회는 증가한다. □ 오늘날 복잡기술에 있어서 혁신은 구조화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기업 조직의 유연한 자기조직화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일어나고, 형성된 네트워크 속에서 일어나는 학습효과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과거 기술혁신 경험의 축적에 의해 혁신이 결정되는 경로의존성이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 제품이든 공정이든 복잡도가 높은 경우 기술혁신은 구조화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후발국들이 추격하기에 매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도 중국과 같은 후발국의 추격을 뿌리치기 위해서도 우리의 산업은 제품과 공정에서 복잡기술혁신에 주목하여야 한다. □ 기술혁신 패턴의 변화에 대응하여 경제주체들의 혁신지향적 활동이 촉구되고 상호간의 네트웍 형성을 통한 지식의 학습, 창출, 확산이] 요구되고 있다. 조직내에서도 타조직, 하위조직 간의 정보흐름을 원활히 하고 자기조직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연구개발정책과 혁신정책의 융합을 통해 크고 작은 기술혁신을 활발하게 이끌어낼 수 있는 잠재력 확대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탄탄한 국가혁신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해나가는 작업은 과거 산업화 과정보다 훨씬 어렵고 장기적이며 복선적이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다. 잘 다듬어진 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 선진산업기반을 가꾸는 것이야말로 향후 10여년동안 선진국 도약을 위한 우리의 도전이 되고 있다.

      • KCI등재

        혁신제품의 가치적합성이 관계품질과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성(Kim, Mee Sung),김형길(Kim, Hyoung Gil),김정희(Kim, Jung 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소비자와 혁신제품과의 가치적합성이 소비자와 혁신제품과의 관계품질과 소비자의 혁신제품에 대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소비자의 얼리어답터 성향에 따라, 이들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부터 경로모형을 개발하고 가설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및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소비자와 혁신제품과의 가치 적합성은 소비자와 혁신제품과의 관계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소비자의 혁신제품에 대한 신뢰는 소비자의 혁신제품에 대한 몰입과 만족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소비자와 혁신제품과의 관계품질은 소비자의 혁신제품에 대한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소비자와 혁신제품과의 가치적합성이 소비자의 혁신제품에 대한 수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소비자의 얼리어답터 성향에 의해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비자는 얼리어답터 성향에 따라 혁신제품과의 가치적합성의 정도를 다르게 인식하며, 수용의도에 상이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혁신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혁신제품이 추구하는 가치의 일치점을 찾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value congruence between consumers and innovative products on consumers’ intention to accept innovative products and search for ways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accept innovative product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path model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t hypothese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lue congruence between consumers and innovative products had positive(+) impacts on consumers' satisfaction with innovative products and relationship quality. Second, consumers' trust in innovative product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m. Third,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consumers and innovative produc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accept them and the biggest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m, which was followed by commitment and trust in the order. Finally, the positive(+) influences that value congruence between consumers and innovative products had on their intention accept them turned out to have parti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y their tendency as early adopters. Tho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anies need to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innovative products and con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tention to accept innovative products.

      • KCI등재

        혁신적 신제품(Innovative new product)의 혁신유형이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은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how the attitudes towards innovative new products are affected by consumers' self-construal. In the study, we devided the innovative new products into two types: market based innovation and technology based innovation. For the market based innovation, technologies from different product catagories are applied to create a new product. For technology based innovation, a new product is created by making improvements to the existing product. The results for independent self participants show higher attitudes for the market based innovation type. However, for the interdependent self participants it was difficult to differenciate the attitudes when comparing the market and technology based innovations. The interdependent self participants mostly prefered existing products rather than the new products. The study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planning innovation strategies depending on the consumers' character. 본 연구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신제품이 갖는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을 추구하는 혁신유형을 시장기반혁신과 기술기반혁신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제품태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 과정에서 소비자의 자기해석 수준에 따른 제품태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기술 기반 혁신은 기존의 제품에서 소비자들의 불만 및 개선 요구사항들을 개선시키는 기술을 도입한 혁신이며, 시장기반 혁신은 기존 제품군에는 없는 기술을 제품군에서 도입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 내는 혁신이다. 연구 결과, 독립적 자기해석자들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에 비해 시장기반 혁신제품에 대한 제품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는 기술기반 혁신제품과 시장기반 혁신제품 간의 제품태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들은 독립적 자기해석자에 비해 기존제품을 고수하는 경향의 혁신저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혁신적 신제품에 대한 혁신 저항을 예방하는 관점에서,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혁신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신제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혁신 소비자와 모방 소비자의 지각 차이: 제품혁신유형별 검토

        김자영,이성호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6 마케팅관리연구 Vol.21 No.2

        Integrating the previous literature on product innovation typology, this research proposed the product innovation types (i.e., radical, market breakthrough, and incremental innovation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eneric characteristics of new innovative products between innovative consumers and imitative consumers for the respective innovation type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tudies of smart phones and toothpaste products, innovative consumers perceived the higher levels of pleasure, quality, and convenience and the lower level of risks for the radical innovations as compared to imitative consumers.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e reverse (sometimes directional) patterns for the market breakthrough and the incremental innovations. As per perceived risks, we found similar results for both radical and market breakthrough innovations. While the prior studies focused on the influences of innovative consumers on imitative consumers, this research highlighted the new perspective of consumers’ adoption processes of innovations such that innovative consumers and imitative consumers are different in their perceptions of generic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s per se. We provided conceptu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제품혁신에 관한 기존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기업 관점과 소비자 관점을 반영한 제품혁신유형(급진적 혁신, 시+장돌파구적 혁신, 점진적 혁신)으로 개념화하고, 각 유형별로 혁신제품의 내재적·일반적 특성(generic characteristics)에 대한 지각이 혁신 소비자층과 모방 소비자층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지 개념화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스마트폰과 치약을 대상으로 실시한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급진적 혁신제품에 대해 혁신 소비자군은 모방 소비자군에 비해 혁신제품 관련 특성들인 즐거움, 품질, 편리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위험은 덜 지각하였다. 반면 시장돌파구적 혁신제품과 점진적 혁신제품에 대해서는 모방 소비자군이 혁신 소비자군에 비해 즐거움, 품질, 편리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급진적 혁신제품과 시장돌파구적 혁신제품의 경우 혁신 소비자의 위험지각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는 혁신 소비자와 모방 소비자의 경우 혁신제품에 대한 특성 지각이 서로 다르다는 이론화를 시도함으로써 소비자의 혁신제품수용과정의 새로운 측면을 부각시켰다. 즉 소비자의 혁신제품수용과정에 관련된 기존 마케팅 연구는 주로 모방소비자에 대한 혁신소비자의 구전 효과에 초점을 맞췄다면, 본 연구는 혁신제품의 내재적·일반적 특성에 대한 지각 자체에 있어 혁신 소비자와 모방 소비자가 다르다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이론적, 마케팅관리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혁신속도, 기술역량 그리고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장진입순서의 조절효과

        정덕화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3

        오랫동안 기술지향성과 제품개발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제품혁신을 매개변수로써 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거나 혹은 기술지향성과 성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주로 국한되어 있어서 제조업체에 성장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품질, 기술역량과 혁신속도에 대한 연구결과가 해외나 국내에서도 아직 부분적이고 충분하지 않아서 국내기업의 실무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시장진입순서(선발진입, 후발진입)가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업의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기술역량과 혁신속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기업의 신제품성과에 기여한다는 가설들을 검증하고 둘째, 시장진입순서는 매개변수인 제품품질, 기술역량, 혁신속도와 신제품성과 간의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국내 식품․제약업체를 대상으로 159개 기업을 설문조사하여 SPSS 18.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기술지향성 강화를 통하여 성장성, 수익성, 고객만족 등의 신제품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기술역량과 혁신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지만, 제품품질은 신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품질이 중요하지만 반드시 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기술지향성 향상이 제조기업의 기술역량과 혁신속도를 증대시키고 이러한 기술역량 및 혁신속도 증대가 신제품성과를 증대시킨다는 의미이다. 둘째, 신제품의 시장진입순서의 조절효과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장의 선발진입의 경우 혁신속도를 강화하면 신제품성과가 확대될 수 있고, 후발진입의 경우에는 제품품질과 혁신속도를 제고시키면 신제품성과가 확대될 수 있으며, 기술역량은 신제품성과의 관계에서 진입순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조기업들은 기술지향성과 더불어 신제품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상황에 맞는 시장진입전략에 따라 제품품질과 혁신속도 강화에 투자를 집중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Many researches regarding technology orientation have been published so far. Particularly,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marketing capability have been studied much. However, few studies on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impact on product quality,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thereby, NP(new product) performanc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echnology orientation enhances product quality,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thus increases firm's NP performance.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order of market entry(early entrant, late entr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NP performance. Hence, order of market entr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which would affect firm's NP performance in the market.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oduct quality, but product qual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o the NP performance. Second,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Third, both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have positive impacts on NP performance. Fourth, order of market entry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quality and NP performance, also innovation speed does. But it is found that the order of market entry has not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NP performance.

      • KCI등재

        규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대기업·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의 비교

        정지은,안준모 한국규제학회 2022 규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규제가 우리나라 제조업의 급진적 혁신과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기술집약도에 따라 규제가 제품혁신에 상이한 영향이 미치는지 분석했다. 규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기존의 연구는 주로 중소기업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본연구는 대기업·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을 분류해 규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았다. 또한, 기술집약도에 따라 규제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집약도를 상호작용항으로 설정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저 급진적 혁신의 경우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사회적규제가 급진적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기술분야의 급진적 혁신에서는 사회적규제가 급진적 제품혁신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의 급진적 혁신에서는 경제적규제 및 행정적규제가 급진적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고기술분야의 급진적 혁신에서는 경제적 규제 및 행정적규제가 급진적 제품혁신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점진적 혁신의 경우에는 대기업과 중견기엄은 사회적 규제가 점진적 제품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기술분야의 점진적 혁신에서는 경제적 규제가 점진적 제품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경제적규제와 행정적규제가 점진적 제품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기술분야 에서는 경제적규제와 행정적규제가 점진적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브랜드의 혁신성 예열 효과가 신제품 평가 및 지각된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박하연,장정민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5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brand priming on the new product's evaluation and its perceived innovativeness. It posits that this effect occurs only when innovativeness is regarded as desirable. Also perceived innovativeness is suggested as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the process occur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as priming task,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high or a low innovative brand condition then they responded to a survey. During the second stage, subjects watched printed ads and evaluated a new product unrelated to the initial surve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that were manipulated by product incongruity level and product category. Findings show that brand priming is mod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new product's incongruity level and product category. For the product category wit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roduct incongruity level, brand priming effect occurs only in a moderately incongruent product condition. On the other hand, for the product category with constant perceived risk regardless of its incongruity level, the priming effect occurs only in an extremely incongruent condition. We also used bootstrapping analysis to show that previous brand priming is mediated by perceived innovativeness. The current research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theory showing that brand priming can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a cognitive construct. It also offers managerial implication by explaining the effect of brand as a contextual stimulus. It would be worthwhile for future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ther dimensions of brand such as honesty or safety and to consider additional dependent variables such as choice or purchase intention.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상황 하에서만 예열 효과가 발생하리라고 가정하고, 이 과정에서 브랜드에 의한 혁신성 예열 효과가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이 불일치 수준에 따른 지각된 위험이 상이한 제품군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이러한 상호작용이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의 심리적 기제로 목표 예열이 아닌 개념 예열(e.g., 지각된 혁신성)을 제안하며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67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기반의 실험을 두 단계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예열 과제로써 참가자들을 혁신성이 높은 vs. 낮은 브랜드 중 하나에 무작위로 배정하고 관련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신제품 평가 과제로써 앞서 본 브랜드와 무관한 신제품의 인쇄 광고를 보면서 제품에 대한 평가 및 지각된 혁신성에 대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이 때 참가자들은 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제품군을 조작한 네 조건 중 하나에 배정되었다. 실험 결과 브랜드의 혁신성 정도,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 제품군 간의 삼원 상호 작용이 신제품에 대한 혁신성 지각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가설 1과 2가 지지되었다. 즉,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지각된 위험이 정의 관계를 갖는 제품군에서는, 중간 불일치 수준의 신제품에서 혁신성이 높은 브랜드에 노출된 경우 참가자의 신제품 평가와 혁신성 지각이 혁신성이 낮은 브랜드에 노출된 참가자보다 높았다. 반면, 신제품의 불일치 수준과 지각된 위험이 일정한 제품군에서는, 극단적 불일치 수준의 신제품에서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ANOVA 및 Bootstrapping 분석을 통해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혁신성이 이러한 결과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가설 3 또한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가 특정 개념을 예열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의사 결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주변적 자극으로써 브랜드의 영향력을 설명하며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브랜드의 차원들을 활용하고, 다양한 제품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하는 한편, 소비자의 직접적인 행동(e.g., 구매의도, 사용의도)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속변수를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략적 범위와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문창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1

        대다수의 기존 연구 문헌에서 제품혁신은 기업의 경쟁우위와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다는 것을 제시해오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실증적인 연구 결과들을 보면 그러한 제품혁신과 기업성과의 관계는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제한점을 인지하여, 본 연구의 주목적은 제품혁신을 창의적 제품혁신과 모방적 제품혁신의 두 유형으로 나누고 상황 이론적 관점에 기반하여 전략적 범위와 기업가정신이 이 두 제품혁신 유형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는 데에 있다. 한국기업혁신조사(KIS)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업의 제품라인과 목표 고객 시장의 범위를 나타내는 전략적 범위의 증가가 창의적 제품혁신과 비교하여 모방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적 제품혁신의 경우 전략적 범위의 증가가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두 변수인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이 각각 모방적 제품혁신과 비교하여 창의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검증 결과, 진취성은 모방적 제품혁신보다 창의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의적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진취성과 두 유형의 제품혁신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제시한 가설은 제한적인 지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두 유형의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에서는, 가설에서 예상한 것과는 반대로 위험감수성이 창의적 제품혁신보다 모방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더 높은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특히 전통적인 경영전략 이론에서 제시하는 일반통념과는 달리 위험감수성이 창의적 제품혁신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하는 이론적 및 실무적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