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氈城과 摩利山塹城의 제천단

        김성환(Kim Sung Hwan)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전성과 참성의 초례는 산 정상의 野壇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시기적으로 전성의 제천단은 고려 전ㆍ중기, 참성의 제천단은 고려 후기에 국가제사에 편재되어 운영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선종 5년(1088) 鹽州의 동쪽에 있던 氈城 제천단에서의 초례는 성종 1년(982) 최승로의 건의로 중단된 조치에 대한 修復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고종 19년(1232) 강도로 천도할 때까지 이후 지속되었다. 『대동지지』에서 현종 20년(1029) 국왕이 염주에 행차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성 제천단에서 친초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전성의 제천단은 연안의 天拜山으로 비정된다. 『대동지지』에서는 연안의 옛날 제천단을 南神堂이라고 부르고 있었음을 전하고 있다. 『연안부지』에서는 제천단의 모습이 원형이고, 흙으로 쌓았음을 전하고, 이곳에 오르면 사방이 트여있다고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위치를 마리산 참성단과 비교할 수 있다. 마리산 참성단이 석축인 것에 비해 전성의 제천단은 토축하였다는 점이 다르다. 또 『연안부지』에서는 천배산에 大王堂과 남신당의 사당이 존재했음도 전한다. 대왕당은 전성의 제천단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남신당은 제천의 의례를 준비하고 향사ㆍ헌관 등이 재숙하던 공간으로 추측된다. 이런 점에서 대왕당은 마리산 참성단과, 남신당은 齋宮과 비교될 수 있다. 하지만 그 기능은 점차 상실되어 남신당은 이후 불교의 암자로서 존재하여 南神堂菴으로 불리다가 이후 폐치된 것으로 보인다. 역시 마리산 참성단의 재궁이 天齋宮ㆍ天齋菴으로 불렸던 것과 비교할 수 있다. 선종 5년(1088) 3월의 초례에 정2품과 정3품의 관리가 파견되고 있음은 고려 후기 마리산참성에서의 향사가 3품직이었던 대언이었던 것과 비교된다. 또 마리산참성의 예와 비교할 때, 摩尼山塹城祭田과 같이 제수 마련을 위한 별도의 氈城祭田도 운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성과 참성의 제천단을 비교할 때, 주목되는 것은 역사인식과 관련된 문제이다. 전성에 대해서는 '제천단'이라는 성격만 밝히고 있는데 비해 참성단의 경우는 '단군제천단'이라 하여 성격은 물론 역사성까지 이해의 폭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두 자료에서의 차이는 고려시대의 역사계승인식과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마리산참성에서 국왕의 친초 배경이 "삼한을 진단으로 변화시키려는데三韓變爲震旦" 있었다. 이것은 삼한에 머물러 있던 고려의 역사인식이 고조선[또는 전조선]으로의 변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불과 20여년 후 국조를 단군으로 설정하여 이후 국가들을 일정한 체계 속에서 정리한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편찬되었다는 사실은 상당한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The sacrifice rituals of Jeonseong(氈城) and Chamseong(塹城) were special in that they were held at an outdoor altar at the peak of a mountain. The Jeonseong and Chamseong's sacrificial altars can be differentiated in that the former was used during Goryeo's early and mid periods while the latter was used during the later period for the performance of national sacrificial ceremony. The heavenly ceremony conducted at the Jeonseong altar in the eastern part of Yeomju(鹽州)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jong(1088) after having been suspended at the suggestion of Choi Sueng-ro in the first year of King Seongjong(982) carried the spirit of a revival. It was thus continued until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Gangdo(江都) in the nineteenth year of King Gojong(1232). In Korea historical geography, Daedong-giji, the king's visit to Yeomju during the twentieth year of King Hyeonjong(1029) can be confirmed, but it also brings up the possibility of hi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ceremony itself. The location of Jeonseong's sacrificial altar has been settled as being on Mount Cheonbae(天拜山) in Yeonan. Daedong-giji shows Yeonan's ancient sacrificial altar was called Shrine in the southern region, Namshindang(南神堂), and Yeonan historical geography, Yeonan-buji, records the altar as being round in shape and made of piled earth. From the point recorded in the same source that upon ascending the location of the altar one had an open view in all four direction, the location could be linked with Mount Mari's Chamseong altar. In contrast to this altar located on Mount Mari, which was of stone, Jeonseong's altar was earthen. Yeonan-buji also records the existence of Great for the shrine, Daewangdang(大王堂), and Namshindang on Mount Cheonbae, the significance being that Daewangdang referred to the sacrificial altar itself while Namshindang referred to the location of the preparation of the ceremony as well as the area where rural scholars and temporary officials associated with the ceremony would spend the night. On this point, Daewangdang is comparable with the Chamseong altar and Namshindang with the place to prepare for sacrifice, Jaegung(齋宮). Gradually, however, the functionality of the shrine deteriorated, and Namshindang subsequently became a hermitage designated the place of Namshindang(南神堂菴) before apparently falling into disuse. In the same way, Jaegung at Mount Mari's Chamseongdan can be compared with Cheonjae-gung(天齋宮)ㆍCheonjae-am(天齋菴). The dispatch of second and third level officials to the March ceremony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jong(1088) can be compared to a third level scholar acting as the king's representative at Chamseong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Moreover, when comparing the example of Mount Mari's Chamseong, one notic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anagement of its ceremonial area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the sacrificial resources and those carried out at Jeonseong's ceremonies. The issue surrounding the comparison of the sacrificial altars of Jeonseong and Chamseong's sacrificial altars is on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Jeonseong's character as merely a sacrificial altar evokes a serious contrast with that of Chamseong which is known as "Tangun's sacrificial altar." This can only provoke a severe gap in historical perception between the two locations, a gap which is recognized a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historical succession. This is especially eviden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king'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sacrificial ceremony as he decreed "Samhan shall become Jindan(三韓變爲震旦)." By this, the king mean the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nation to include not only the remaining concept of Goryeo in the Samhan period, but also ancient Joseon and even pre-Joseon. It is thu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aning behind this statement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t fact that the compilation of Samgug-yusa and Jewang-ungi within the framework of

      • 마을제 제천시설의 유형 연구

        최수민(Choi, Soo-Min)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4 No.-

        한국 제천문화의 원형기인 서기전 4000년∼600년경 백두산 서편 지역에서 시작한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은 한반도 남부로 계승되어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다양한 유형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선돌·고인돌·나무솟대·제천사류)’로 이어졌다. 현존하는 마을제에 나타난 제천시설 유형은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부터 이어지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원형을 그대로 계승한 형태와 제천의 뜻이 희석되고 편의성이 부각되면서 여러 가지 현실적 이유로 민인들의 생활터전인 마을로 내려와 자리 잡은 제천시설 즉 구릉성 제천시설의 변형적 형태 두 가지 계통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들 계통은 각각 단종(제단·신목·선돌·제천사·산) 유형과 서로 중첩되어 나타난 2종 복합 유형, 3종 이상 복합 유형으로 구분해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구릉성 제천시설’ 계통의 경우 야트막한 산등성이에 위치한 구릉성이라는 입지 조건하에 제단(적석탑), 신목, 선돌, 제천사, 산 등이 각각 또는 복합되어 나타나며 솟대와 장승은 희박한 편이다. 반면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변형적 형태인 ‘마을로 내려온 제천시설’ 계통의 경우 ‘구릉성 제천시설’ 계통과 비슷한 양상을 띄지만, 상대적으로 제천사의 숫자가 줄어들고 솟대와 장승이 더해져 형태상으로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 ‘마을로 내려온 제천시설’ 계통이 ‘구릉성 제천시설’ 계통보다 형태상으로 다변화되는 이유는 산등성이 신성하고 정갈한 터에 자리 잡은 신목과 제천사에서 제천 하던 전통이 후대로 갈수록 민인들의 삶의 터전 가까이로 내려와 제천의 신성성은 희석되지만 민인들의 다양한 기원과 바램을 담아 다양한 형태의 제천시설을 만들었기 때문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The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with a moat) which had been started in the west of Mt. BaekDu around B.C. 4000 and kept to A.D. 600, the archetypal era of heaven rituals, was succeeded to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s various types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the stone-mound altarㆍthe menhirㆍthe dolmenㆍthe tree Sotdae(heavenly pole)ㆍthe shrine for heaven ritual) with a moat i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The existent heaven ritual facilities for the village rit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e type that inherited the original form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 i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The other is the modified types of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 that came down to the villages, people’s site of living for several realistic reasons such as the dilution of heaven ritual’s meaning and the emphasis on the convenience. The latter als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the simple type (including only one among the altar, the holy tree, the menhir, the shrine and the mountain). The second one is the double compound type. The third is the type of more than triple compound. In case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under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hills located in low ridges, the altars and the like(the stone mound, the holy tree, the menhir, the shrine, and the mountain) appear either respectively or in compound. SotDaes(heavenly poles) and JangSeungs (Korean traditional totem poles at the village entrance) are sort of rare. On the other hand, the modified types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with a moat)’ that came down to the village have similar aspects with hilly ritual facilities. But instead of the number of the shrines being decreased relatively, SotDaes and JangSeungs have been added to make more variety in the appearance of facilities. Why do ritual facilities which came down to the villages have more diversified forms than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As time went by, the heaven ritual tradition which had been held in the shrine or in front of the holy tree of the sacred clean ground on the ridge came down near to the people’s living foundation. In the meanwhile the divineness of the heaven ritual has been thinned, they have built various forms of heaven ritual facilities including their diverse wishes and desires. These are the reckonable reasons.

      • 태백산 일대의 ‘마고삼신계 제천단(당)’ 연구

        박지영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2 No.-

        본고는 배달국 제천산이었던 백두산 신시를 계승한 태백산 제천의 영향으로 태백산 일대에 남아있는 마고삼신계 제천단(당)을 여신, 천신, 칠성 유형으로 나누어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선도적 역사인식의 등장과 중국 동북 요서지역에서 발굴 된 고고학의 발전으로 태백산에 대한 연구도 민속· 무속적인 연구에서 선 도적인 시각으로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홍산문화 여신묘에서 발 견된 여신상으로 선도제천의 신격문제가 연구되었고, 상고 이래로 선도제 천의 신격은 여신, 즉 마고삼신이었음이 밝혀졌다.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인 ‘일기·삼기, 마고삼신’ 은 밝문화로 대표되는 선도문화가 추구하는 ‘밝음’의 실체이므로, 생명에너 지인 ‘일기·삼기, 밝음’과 자신 안의 ‘일기· 삼기, 밝음’이 하나되고자 하 는 천인합일의 선도수행과정이 선도제천이다. 그러므로 한국선도제천의 신 격은 언제나 마고삼신이었고, 한국선도체천의 시작인 배달국 백두산 신시 의 전통을 이어받은 태백산 제천의 신격 또한 마고삼신이다. 필자는 먼저 태백산 제천의 유래와 마고삼신을 살펴보았다. 태백산 제천 의 유래와 제천의례절차를 통해서 태백산 제천의 신격이 마고삼신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태백산 일대에 남아있는 수많은 마고삼신계 제천단(당)을 여신, 천신, 칠성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한 후, 대표적인 사례 들을 선정하여 자세히 살펴본 결과 태백산 마고제천과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written examined the MagoSamShin altars remaining in the Taebaek Mountain area by dividing it into the types of goddesses, gods and Chilseong, etc.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t. Taebaek heavenly rituals had succeeded Mt. BaekDu ShinShi, the heavenly ritual mountain of BaeDalGuk. After 2000's, the appearance of Korean SunDo's historical recognition and the archeological development excavated in Chinese northeast Liaoxi area enabled the study of Mt. TaeBaek in Korean SunDo's viewpoint away from folklore and shamanism so far. Especially with the goddess statues found in HungShan culture's goddess shrine, the divinity of SunDo heavenly rituals was researched. Thus it came to be clarified that the godhead of SunDo's heavenly rituals was the goddess MaGo from the ancient times. MaGo is the essence of existence ‘一氣 · 三氣’, the original life energy of the universe. The essence of being and fundamental life energy of the universe ‘一氣·三氣’ is the substance of 'brightness', what SunDo culture represented by Park culture pursues. Therefore ‘一氣 · 三氣’ and 'the brightness' are one and the same. SunDo's heavenly rituals are the practicing process to become one with '一氣· 三氣, the brightness’ and '一氣· 三氣, the brightness’ within oneself, which we call 'Heaven and Human Combined in One天人合一'. That is to say, it is 'the restoration of brightness'. Thus the divinity of Korean SunDo's heavenly rituals has always been MaGo. And Mt. TaeBaek heavenly rituals inherited from the tradition of ShinShi Mt. BaekDu, the heavenly ritual mountain of BaeDalGuk which started Korean SunDo‘s heavenly rituals, are also MaGo heavenly rituals. To examine the Mago altars remaining in the Mt. Taebaek area, the researchers first looked at the Mt. Taebaek altars, a prototype of the MagoSamShin altars in the Mt. Taebaek area. The origin of the Mt. Taebaek heavenly rituals and the heavenly rituals Procedure confirmed that Mt. Taebaek was the burial site of the Mago heavenly rituals, and that the prestige of the Korean Seondo heavenly rituals was Mago since ancient times. Next, the MagogSamShin altars remaining in the Mt. Taebaek area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types of goddesses, gods, and Chilseong to confirm its link with the Mt. Taebaek heavenly rituals.

      •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 추보(追補) 연구: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중심으로

        정경희(Jung, Kyung-He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3 No.-

        본고는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 대한 필자의 기존 연구에 근간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추가,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분기별 변천상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이다. 1기-조단(B.C.4000~B.C.3500년)의 시기, 선도사상의 요체인 삼원(천·지·인, 원·방·각)의 상징성을 요령 있게 담아낸 거대 규모의 적석단총,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가 조성되었다. 그 주인은 배달국 초 환웅족이 가져온 선진적 선도제천문화를 수용하여 토템족 웅족사회를 천손족 맥족(환웅족+웅족)사회로 바꾸어놓은 역량 있는 선인 지도자 웅녀군이었다. 1기(B.C.4000~B.C.3000년, 배달국 전·중기) 제천단의 거대 규모와 대비되는 간결하고 담백한 제천의 흔적은 선도제천문화의 태동기, 군더더기 없이 기본에 충실한 선도제천문화의 출발점을 보여주었다. 2기(B.C.13세기~8세기, 단군조선 후기) 만발발자의 드넓은 소도제천지에는 3층원단·방대의 국부에 주·부 제천사 2좌가 들어서 있었을 뿐이었다. 1기에 자리 잡힌 소도제천문화의 기본 틀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3기(B.C.8세기~B.C.3세기, 단군조선 말기)가 되자 소도제천문화가 크게 형식화되고 번잡해졌으며,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계성까지 생겨났다. 단군조선 말기 맥족사회의 분열·와해 국면 속에서 선도제천문화도 세속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4기(B.C.3세기~3세기, 고구려 개창기)가 되자 종래 번속화 방향으로 흘렀던 소도제천문화는 재차 간결화되면서 새로운 안정 국면을 맞았다. 고구려의 개창으로 맥족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린 변화였다. 5기(3세기~5세기, 고구려 중기)에는 제천시설의 중첩 및 소규모화 현상, 또 제천공간의 축소 현상이 두드러졌다. 고구려 중기 선도제천문화의 위상이 서서히 약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This paper is a supplementary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changes of ‘Wanfabozi萬發撥子 relic’ according to the periods by adding 『Tonghua Wanfabozi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to my previous study on Wanfabozi relic. During the early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500B.C., early Baedalkook倍達國), the huge scale stone mound altar·tomb, i.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3層圓壇·方臺)’ that captured the symbolism of Samwon三元(Cheon天·Ji地·In人, Won圓·Bang方·Gak角), a key element of Sundo仙道 ideas, was built. Its owner was King Ung-nyeo熊女君, a competent good leader who transformed ‘Totem Ung熊 people’ society into ‘Heavenly Maek貊 people(Hwanung桓雄 people + Ung people)’ society by accepting the advanced Sundo culture brought by Hwanung people in early Baedalkook. During the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000 B.C., early and middle Baedalkook), in contrast to the huge scal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traces of concise and plain ritual procedure showed the starting point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and the essence of the Sundo without any unnecessity. In the 2nd period of Wanfabozi(the 13th century B.C.∼the 8th century B.C., late Dangun Josun檀君朝鮮), there were only two main and secondary temples for Heaven Ritual on a part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framework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1st period, was maintained. In the 3rd period of Wanfabozi(the 8rd century B.C.∼the 3rd century B.C.,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formalized and complicated, and even the hierarchical tendency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was formed. In the midst of the divis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Maek貊 society in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also being secularized. In the 4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 B.C.∼the 3rd century, early Goguryeo高句麗),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had been flowing in the direction of secularization, had been arranged in order again and had taken a new phase of stability. These changes were coincided with the mood of the times that the founding of Goguryeo brought a new stability to the Maek society. During the 5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the 5th century, middle Goguryeo), the noticeable point of change in Wanfabozi were just the miniaturization of the Heaven Ritual facilities and the reduction of ritual space. These points show that the status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the Maek society was gradually weakening from this time on.

      • KCI등재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 KCI등재

        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 - '백두산 신시'를 이은 '태백산 신시'의 중창 -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5 No.-

        B.C. 3세기~B.C. 1세기 무렵 단군조선의 와해 과정에서 단군조선의 많은 엘리트 세력이 한반도·일본열도 방면으로 이주하였다. 북부여 왕실 출신의 선가 파소·박혁거세 세력은 한반도 남쪽 경주 분지로 이주, 仙桃山 ‘壇(祭天壇)·廟(祭天廟)’에서의 ‘마고제천’을 통해 사상·종교적 주도 권을 장악하였고 이로써 6촌 세력의 규합에 성공, 사로국을 개창하고 진한의 맹주로 도약하였다. 선도 전통에서는 단군조선이 중국 한나라에 밀려 와해된 근본 원인을 음양오행론이라는 현상(물질)에 치우친 가치관이 단군조선으로 유입되어 단군조선의 삼원오행론, 곧 본질(생명氣, 밝음)과 현상(물질)을 하나로 바 라보는 전통적인 가치관을 와해시켰던 때문으로 본다. 단군조선·북부 여계엘리트 선가였던 파소·박혁거세는 이러한 인식에 따라 중국문화에 대한 경계와 방어를 표하고 단군조선의 선도문화에 대한 강력한 수호 의지를 천명하였다. 단군조선의 선도 복건론은 ‘符都復建論’으로 개념화되었다. ‘符都’란 ‘천 부사상의 중심지’라는 뜻으로 단군조선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단군조선은 ‘영토·정치’의 차원이 아니라 ‘사상·문화’의 차원, 곧 ‘선도문화’의 차원이었다. 고구려 ‘多勿主義’류의 ‘단군조선의 구토 회복론’과 차별화되는 단군조선의 사상·문화적 정체성 회복론으로 그 사상사적 가치가 다대하다. 박혁거세가 추진한 선도 복건 정책의 중심에는 ‘백두산의 신시(제천단 시설)를 계승한 태백산 신시 중창’ 사업이 자리하였다. 단군조선의 삼신 산이었던 태백산(현 백두산)과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는 남태백산(현 태백산)을 백두산을 대신한 새로운 삼신산으로 지목, 그 정상에 제천단을 중창하였다. 이는 당시 진한 일대에서 펼쳐진 새로운 차원의 마고제천문 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백두산 신시의 직접적인 계승을 표방하면서 행해진 남태백 신시에서의 제천은 단군조선계 유민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었고 이러한 이념성은 진한12국을 결집시키는 핵심 명분으로 작용, 사로국을 진한12국의 맹주로 우뚝 서게 하였다. Around the third century B.C. ~ the first century B.C., many dominant elites of Dangun Josun檀君朝鮮 migrated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during the disintegration process of Dangun Josun. Especially Princess Faso婆蘇 and her son Park Hyeok-geose朴赫居世 who came from North Buyeo北扶餘 royal family migrated to the Gyeongju慶州 branch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ok control of ideological and religious initiative through the ‘Sundo Heaven rituals(Mago Heaven rituals)’ at the ‘Mt. Sundo仙桃’s Heaven rituals Altar祭天壇 and Heaven rituals Shrine祭天廟. With this, they succeeded in the consolidation of the six villages and opened Saroguk斯盧國, at last became the central nation of the Jinhan辰韓 Federation. In Sundo’s historical awareness, the reason why Dangun Josun was pushed to the Chinese Han漢 was that the value of China(Yin and Yang theory) had flowed into Dangun Josun and had broken down the traditional values(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of Dangun Josun. According to this recognition, Faso and Park Hyeok-geose expressed their vigilance and defense consciousness to Chinese Culture and declared strong will to protect Dangun Josun’s Sundo Culture. ‘The idea of Dangun Josun’s Sundo Reconstruction’ was conceptualized as ‘the theory of Budo符都 Reconstruction’. ‘Budo’ means ‘the center of Sundo thought’. At this time, Dangun Josun was not only a dimension of ‘territory and politics’ but a dimension of ‘ideology and culture’. It was the theory of Dangun Josun’s ideological and cultural identity Restoration. It was different from ‘Dangun Josun’s old territory Restoration’. The key issue of the Sundo Reconstruction policy pursued by Park Hyeok-geose was the Rebuilding of ‘Mt. Taebaek太白’s Shinshi神市(Heaven rituals Altar)’, which inherited ‘ Mt. Baekdu白頭’s Shinshi.’ Mt. Taebaek which is connected to Mt. Baekdu(Mt. Samshin三神山(the holy mountain of Sundo) of Dangun Josun), was designated as new Mt. Samshin of the Jinhan Federation. The Rebuilding of ‘Mt. Taebaek’s Shinshi was the symbolic event showing a new development of Mago Heaven rituals spreading in the Jinhan Federation at the time. Mago Heaven rituals at Mt. Taebaek’s Shinshi, which was expressed the direct succession of Mt. Baekdu’s Shinshi, led to deep empathy for refugees of Dangun Josun. It served as a central cause of the union of the Jinhan Federations and led Saroguk to stand firmly as the ruler of the Jinhan Federations.

      • KCI등재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Ⅱ) - 2차 제천시설 ‘선돌 2柱 · 積石 方壇 · 祭天祠’를 중심으로 -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Wanfabozi萬發撥子 relic is just the typical ‘Heaven Ritual relic’, which was condens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Maek貊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Heaven Ritual culture during B.C.4000~A.D. 600, from Baedalkook倍達國 to Goguryeo高句麗. It was consisted of two facilities, i.e. ① primary facilities: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and ② secondary facilities: two sets of Menhir·stone mound square altar·shrine for Heaven Ritual. The chinese excavation and research on Wanfabozi was original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but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ed the fictitious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For the chinese side, the most serious and confused problem of the excavation results was the origins and thecurrent success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prim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遼東, the west of Mt. Baekdu白頭 area(Baedalkook Cheonpyeong天坪 culture) and spreaded to Liaoxi遼西, Uaryang牛河梁 area(Baedalkook Cheonggu靑邱 culture) and Cheonggu culture spreaded to Zhongyuan中原 area through the Yin殷 dynasty again. According to this cultural propagation path,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hing but the west of Mt. Baekdu area(Cheonpyeong culture). Nex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second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Heaven Ritual culture of Maek race had been widespread in ‘Liaodong ~ Liaoxi area’ since B.C. 4000 and it had been pushed to ‘the west of Mt. Baekdu ~ Korean peninsula area’ during Bronze Age ~ Early Iron Age, i.e. Dangun Josun檀君朝鮮~Yeolgug(列國, the age of division of small countries after the collapse of Dangun Josun). In short, Baedalkook civilization had been succeeded to Korea, not China. The chinese side(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 which could not accept these excavation results,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ies of Wanfabozi relic finally, and concealed all altars of the west of Mt. Baekdu which were excavated in the 1990s too.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 KCI등재

        은평구 ‘천부지모비’의 성격과 변천 과정 연구

        박지영 ( Park Ji Yo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2 No.-

        본고는 불광중학교 운동장에 있다가 1975년에 불광중학교가 운동장을 넓히면서 지금 있는 불광중학교 뒷산으로 옮긴 은평구 천부지모비(天父地母碑)의 성격과 변천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우리나라 도처에는 수많은 서낭당이 있다.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아직도 시골 마을 입구나 마을 중심에 서낭당 혹은 신목이 세워져 있는 경우가 많다. 예부터 우리 민족은 하늘의 밝음과 자신 안의 밝음이 하나 되어 그 밝음을 세상에 펼치고자 하였고 그것이 제천수행, 제천의례라는 형식을 통하여 이어져 내려왔다. 처음엔 산 정상에서 행해지던 제천의례가 점점 마을로 내려오면서 제천을 행하는 장소가 서낭당이 되었고 서낭당 이외에도 신목, 장승, 솟대, 선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바뀌었다. 은평구 천부지모비는 마을제당이 서낭당 같은 제천사의 모습이 아닌 비석의 형태로 전해지는 사례이다. 당초 불광중학교 운동장 자리에 있을 때에는 제당 안에 비석을 모신 상태였다가 1975년에 불광중학교가 운동장을 넓히면서 지금 있는 불광중학교 뒷산으로 제당은 없애고 비석만 옮겼다고 한다. 천부지모비를 연구해 본 결과 천부지모비는 지리적으로 북한산 올라가는 산중턱에 위치하고 불광천이라는 하천이 자연환호 역할을 하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 중 제천사 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천단의 원형인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과 우하량 제단군의 위치 또한 높지 않은 산구릉에 위치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천부지모비는 그 일대 사람들이 다함께 모여 제천하기 좋은 장소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적으로도 천부지모비는 한민족의 삼원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천(天)과 지(地) 그리고 김매월로 대표되는 인(人)을 비석에 새겨 우리 민족 전통의 천ㆍ지ㆍ인 삼원사상을 잊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밥할머니 전승과의 연계성으로 천부지모비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천부지모비는 밥할머니를 신격으로 하는 한민족의 제천의례와 관련 있는 제천단이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서기전 4000년 전부터 면면히 이어온 한민족 제천단의 최적의 입지인 ‘환호를 두른 구릉성’ 입지에 ‘천ㆍ지ㆍ인’ 삼원사상을 내포하고 비석 형태로 전해지고 있는 천부지모비의 제천단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천단의 모습이 아닌 천부지모비와 같은 비석 혹은 신목, 장승, 솟대, 선돌 등 여러 형태로라도 지금까지 남아있는 유적은 전국 도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많은 제천단의 변형적인 형태가 민속이나 무속적인 시각을 넘어 선도적인 해석으로 그 문화재적인 가치가 재인식되고 복원하는 사례가 많아지길 희망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examining the nature and transition process of Cheonbujimobi(天父地母碑) in Eunpyeong-gu(恩平區), which was located in the playground of Bulgwang Middle School and was moved to the mountain behind Bulgwang Middle School in 1975. There are numerous village guardian deity shrines everywhere in Korea. Although it has disappeared a lot now, Seonangdang(shrine to the village deity) or Sinmok(a tree sacred to the gods) is still often built at the entrance to rural villages or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Since ancient times, the Korean people have tried to spread the brightness of the sky and the brightness within themselves to the world, and it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form of Heavenly ritual practice and Heavenly rituals. As Heavenly Ritual, which was initially practiced at the top of the mountain, gradually came down to the village, the place where Heavenly Ritual was practiced became Seonangdang, and in addition to Seonangdang, various behaviors such as Sinmok, Jangseung(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Sotdae(a pole signifying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Seondol(Menhir) were changed. The Cheonbujimobi Monument in Eunpyeong-gu is an example in which a village shrine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monument, not in the form of Heavenly ritual shrine like Seonangdang. Initially, when it was located in the playground of Bulgwang Middle School, a monument was enshrined in the shrine, but in 1975, when Bulgwang Middle School expanded the playground, the shrine was removed and only the monument was moved to the mountain behind Bulgwang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studying Cheonbujimobi, it was confirmed that Cheonbujimobi is a type of Heavenly ritual shrine among the "hilly Heavenly ritual facilities with surround lak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ountain that goes up Bukhansan Mountain geographically and acts as a natural surround lake. Considering that the locations of old Altars on the west side of Baekdusan Mountain, which are the prototype of Heavenly ritual Altar, and Niuheliang (牛河梁) Altars, are also located in a good place for many people to gather and perform in Heavenly ritual. In terms of content, Cheonbujimobi contains the idea of the Korean people’s Samwon(三元). The monument is carved with people represented by heaven and earth and Kim Mae-wol so that they do not forget the idea of Samwon, the heaven and earth of our nation. In addition, the value of Cheonbujimobi was confirmed by the connection with the transmission of Bob-Halmoni(Cooked-rice Grandmother).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Cheonbujimobi was the Heavenly ritual Altar, which was related to the Heavenly ritual of the Korean people, which was dedicated to Bob-Halmoni. It can be said that the cultural value as a Heavenly ritual Altar of Cheonbujimobi, which is handed down in the form of a monument, is sufficient for the "hilly Heavenly ritual facilities with surround lake" the best location of the Korean Heavenly ritual Altar since 4,000 years before AD. In the meantime, relics such as Cheonbujimobi, which have remained so far, can be easily found throughout the country, even in the form of a monument, not in the form of Heavenly ritual Altar.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cases in which the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is re-recognized and restored as a Korean SunDo’s interpretation.

      • 요동~요서 적석단총에 나타난 맥족(예맥족)의 이동 흐름

        정경희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2 No.-

        배달국~고구려시기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한반도 지역 선도제천시설의 대체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 선돌·나무솟대·제천사·고인돌류)’이었다.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중심 제천시설은 애초 3층원단류의 적석단총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고인돌 이하 각종 다양한 제천시설로 다변화되어갔다. 요서지역에는 나타나지 않는 고인돌이 등장하는 등 요동지역은 요서지역에 비해 제천시설 다변화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단군조선시기에는 새롭게 신식 고인돌 단총제가 등장하였으나 구식 적석단총제를 전면 교체하지 못하고 구식과 신식이 상호 공존·결합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재차 적석단총제의 부활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면모는 맥족 선도제천문화의 원향이던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 선도제천문화의 저력, 특히 그 상징물인 적석단총제의 저력을 보 여주었다. 백두산 천평지역의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중기 요서사회로 전파, 대릉하 일대를 중심으로 화려하게 만개한다. 요서지역의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후기 일시적 쇠퇴기를 지나 단군조선 전기가 되자 ‘환호·석성을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의 형태로 재차 극성하였으나, 단군조선 후기가 되자 요서사 회 전반에서 군사문화 요소가 증대하고 북방족의 영향력이 높아지는 변화 속에서 약화 경향을 보였다. 부여·고구려시기 맥족은 요서사회에 대한 주도권을 상실하고 요동 송화강 일대를 거쳐 맥족의 원향인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으로 되돌아가게 되며 여기에서 재차 적석단총제를 꽃피우게 된다. 결국 배달국~고구려시기 맥족은 ‘요서 진출·정착 및 요동 회귀’라는 순환적 이동 흐름, 곧 ‘백두산 서편 혼강·압록강 천평지역 → 대릉하 청구지역 → 서랍목륜하지역→ 송화강지역 → 백두산 서편 혼강·압록강 천평지역 → 일본열도’의 이동 흐름을 보였고, ‘환호·석성을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선돌·나무솟대·제천사·고인돌류)’로 대변되는 선도제천문화를 남겼다. 맥족의 선도제천문화는 동아시아사회는 물론 유라시아사회로 전파, 세계 상고문화의 발전을 견인하였다. Since the opening of Baedalkook倍達國, Chunpyeong天坪 region in the west of Mt. Baekdu白頭, Liaodong遼東 had maintained its status as a source and center of typical ‘Sundo Heaven Ritual仙道祭天 Culture’ which was represented as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three-layered circular altar·tomb type)’ or ‘three layer- 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The stone mound altar·tomb system of Chunpyeong region spread to Liaoxi遼西 area in middle Baedalkook and it was in full bloom mainly in Daling River大凌河. After the temporary decline in late Baedalkook, it was polarized in the form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stone mound altar type)’ again in early Dangun Chosun檀君朝鮮. However, as the military cultural factors of Liaoxi society increased in late Dangun Chosun, the stone mound altar·tomb system was weakened somewhat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rough these changes, we can know that Maek race(the main tribe of Baedalkook originated from Chunpyeong region in the west of Mt. Baekdu)'s advancement to Liaoxi region in early and middle Baedalkook, Maek race's settlement in Liaoxi region in early Dangun Choson, and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northern peoples closely related to the military culture of Liaoxi society in late Dangun Chosun. Due to the collapse of the Dangun Chosun Federation at the end of the Dangun Chosun, Maek race lost control of Liaoxi society and moved their activities to the Liaodong area. The vacancies of the Maek race are filled with the northern peoples, who have been increasing influence since the late Dangun Chosun. Overall, from Baedalkook to Goguryeo高句麗, there was Maek race's cyclic moving flow, i.e, 'Maek race's advancement and settlement to Liaoxi area and return to Liaodong area. Specifically it was the movement of 'Chunpyeong region of the west of Mt. Baekdu and Hun River渾江·Amnok River鴨綠江 → Cheonggu靑邱 region of Daling River → Xilanmulun River西拉木倫河 region → Songhwa River松花江 region → Chunpyeong region of the west of Mt. Baekdu and Hun River·Amnok River' The main tribe of Baedalkook, Maek貊 race spread throughout the Liaodong, Liaoxi and Korean Peninsula as the above-mentioned moving flow and became the central race of northeast asian society. In additio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led by Maek race lead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urasian ancient culture, spreading not only in East Asian society but also in Eurasia.

      • KCI등재

        제천지역 문인 이상필(李相弼)의 삶과 시세계

        최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This research studied Lee Sang-Pil’s life and literature in Jecheon local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Lee Sang-Pil’s life and poetry. Lee Sang-Pil was aspiring novelist and poet. He was active in the center literary circle of Seoul. Korea since the war, Lee Sang-Pil was forgotten from Korea Literature history. Lee Sang-Pil had been abducted to North Korea in World Literary Dictionary of Mun Seok Su. However in contrast, Lee Sang-Pil lived in the hometown Jecheon City. Still, he was a poet, and educator and historian. He died in 1975 in Jecheon City. Lee Sang-Pil born in 1917. In 1937 he published first poetry remaining dream . And remaining dream mean the lead of Contemporary literature form Chungbuk and Jecheon. Also, this cultivated a large number of modern literature from Jecheon local. In 1955 he published second poetry nostalgia-elegy. There are a lot of his poetry that Publication does not. Lee Sang-Pil’s poems is an object of loss. He has lost a mother, sister,lover and hometown, pastoral of space in poems. The mother, sister, lover is a motherland and ethnic. His poem sublimate to poem of lamentation. Hometown signified a deficient space in the life of the current, signified the lost paradise. Pastoral of space make a recovery and regain the lost paradise. The image of hometown in poem is a Utopia image from recuperate the lost homeland. Later Poems is to change perceptions. “Live the way of life” will entrust the laws of nature and a sense. And they will live with the belief that what is right. And this is outgoing to wisdom. Deliverance of one’s soul as knowing is delivered from worldly existence. This study means that Jecheon local literature introduction in academia. It informs with the existence of Jecheon local literature as Lee Sang-Pil’s life and literary world lighting. Since “The Jecheon Literary Association” was formed, until now it is the basis of preparation for research into Jecheon local literary activity. And this study is the foundation that Jecheon local literary can be attached to Korea literature history. 제천에서 태어나 제천에서 살다가 제천에 묻힌(生於堤, 長於堤, 死於堤) 이상필은 1937년 제1시집 『잔몽』을 출간한다. 그리고 1949년에서 1950년 초반 『문예』에 소설이 추천된다. 그는 당시 중앙문단에서 촉망 받던 소설가이며 시인이었다. 하지만 6·25동란 이후 제천으로 내려와 후학을 양성하며, 1955년에는 제2시집 『향수애가』를 제천에서 출간한다. 문덕수는 『세계문예대사전』에서 이상필이 “납북, 행방불명”된 것으로 기술하고있다. 그러나 그는 1975년 작고할 때까지 제천에서 거주한다. 그는 고향인 제천에 자리 잡고 문학인으로서, 교육가로서, 향토사가로서의 삶을 산다. 이상필의 시는 대상 상실의 시이다. 그의 대상 상실은 결핍, 부재로 인해 끊임없이 욕망을 환기시킨다. 그가 잃어버리고 상실한 대상은 어머니, 누이, 임만이 아니었다. 그에게 어머니, 누이, 임은 원초적 어머니로 표상되는 조국이며 식민지인으로 살아가는 우리 민족이었다. 그렇기에 대상 상실로부터 그가 욕망하는 것은 구원의 여인이며 온전한 조국이었다. 채워질 수 없는 대상에 대한 욕망이 환기하는 상실감에서 그의 시는 애도로 승화된다. 그의 시에서 끊임없이 등장하는 고향의 이미지는 고향 상실로부터 고향을 회복하고자 하는 유토피아적 이상으로 그려진다. 고향은 자연과 어우러진 건강한 노동의 공간이며 생명의 온전한 안식처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6·25동란 이후고향은 폐허가 된다. 그런 고향은 현재의 삶 속에서 결핍된 공간이며, 상실된 낙원으로 의미화 된다. 하지만 그는 풀피리의 세계, 곧 초금의 세계로 회귀하여 ‘전원’의공간을 회복하고 상실된 낙원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상필이 초·중기 시에서 ‘인식’으로서의 앎을 추구했다면 후기 시에서는 ‘해탈’로서의 앎이 그려진다. 그에게 “인생의 산다는 방식”은 자연의 순리와 이치에 세계를 맡기는 것이며, 옮음에 대한 신념으로 살아가는 것, 대원(大圓)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마음으로부터 얻어지는 앎, 해탈로서의 앎을 덧없는무상(無常)이자 ‘꿈’으로 인식했다. 이상필의 시는 제천의 지역성을 담고 있다. 전원 공간을 배경으로 한 시들을비롯해 「의림지 호반에서」, 「초가를 보면서」, 「제천팔경풍물시」등에서도 제천의 지역성이 담긴다. 이것은 이상필의 문학이 갖는 제천지역문학으로서의 특수성이다. 따라서 이상필의 시세계에 대한 조명은 격동기 우리문학의 보편성과 제천 지역문학의 특수성을 찾는 것이자 잊어지고 잃어버린 문학사에 대한 봉합에 의미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