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성환(Kim Sung Hwan)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전성과 참성의 초례는 산 정상의 野壇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시기적으로 전성의 제천단은 고려 전ㆍ중기, 참성의 제천단은 고려 후기에 국가제사에 편재되어 운영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선종 5년(1088) 鹽州의 동쪽에 있던 氈城 제천단에서의 초례는 성종 1년(982) 최승로의 건의로 중단된 조치에 대한 修復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고종 19년(1232) 강도로 천도할 때까지 이후 지속되었다. 『대동지지』에서 현종 20년(1029) 국왕이 염주에 행차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성 제천단에서 친초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있다. 전성의 제천단은 연안의 天拜山으로 비정된다. 『대동지지』에서는 연안의 옛날 제천단을 南神堂이라고 부르고 있었음을 전하고 있다. 『연안부지』에서는 제천단의 모습이 원형이고, 흙으로 쌓았음을 전하고, 이곳에 오르면 사방이 트여있다고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위치를 마리산 참성단과 비교할 수 있다. 마리산 참성단이 석축인 것에 비해 전성의 제천단은 토축하였다는 점이 다르다. 또 『연안부지』에서는 천배산에 大王堂과 남신당의 사당이 존재했음도 전한다. 대왕당은 전성의 제천단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남신당은 제천의 의례를 준비하고 향사ㆍ헌관 등이 재숙하던 공간으로 추측된다. 이런 점에서 대왕당은 마리산 참성단과, 남신당은 齋宮과 비교될 수 있다. 하지만 그 기능은 점차 상실되어 남신당은 이후 불교의 암자로서 존재하여 南神堂菴으로 불리다가 이후 폐치된 것으로 보인다. 역시 마리산 참성단의 재궁이 天齋宮ㆍ天齋菴으로 불렸던 것과 비교할 수 있다. 선종 5년(1088) 3월의 초례에 정2품과 정3품의 관리가 파견되고 있음은 고려 후기 마리산참성에서의 향사가 3품직이었던 대언이었던 것과 비교된다. 또 마리산참성의 예와 비교할 때, 摩尼山塹城祭田과 같이 제수 마련을 위한 별도의 氈城祭田도 운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성과 참성의 제천단을 비교할 때, 주목되는 것은 역사인식과 관련된 문제이다. 전성에 대해서는 '제천단'이라는 성격만 밝히고 있는데 비해 참성단의 경우는 '단군제천단'이라 하여 성격은 물론 역사성까지 이해의 폭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두 자료에서의 차이는 고려시대의 역사계승인식과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마리산참성에서 국왕의 친초 배경이 "삼한을 진단으로 변화시키려는데三韓變爲震旦" 있었다. 이것은 삼한에 머물러 있던 고려의 역사인식이 고조선[또는 전조선]으로의 변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불과 20여년 후 국조를 단군으로 설정하여 이후 국가들을 일정한 체계 속에서 정리한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편찬되었다는 사실은 상당한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The sacrifice rituals of Jeonseong(氈城) and Chamseong(塹城) were special in that they were held at an outdoor altar at the peak of a mountain. The Jeonseong and Chamseong's sacrificial altars can be differentiated in that the former was used during Goryeo's early and mid periods while the latter was used during the later period for the performance of national sacrificial ceremony. The heavenly ceremony conducted at the Jeonseong altar in the eastern part of Yeomju(鹽州)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jong(1088) after having been suspended at the suggestion of Choi Sueng-ro in the first year of King Seongjong(982) carried the spirit of a revival. It was thus continued until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Gangdo(江都) in the nineteenth year of King Gojong(1232). In Korea historical geography, Daedong-giji, the king's visit to Yeomju during the twentieth year of King Hyeonjong(1029) can be confirmed, but it also brings up the possibility of hi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ceremony itself. The location of Jeonseong's sacrificial altar has been settled as being on Mount Cheonbae(天拜山) in Yeonan. Daedong-giji shows Yeonan's ancient sacrificial altar was called Shrine in the southern region, Namshindang(南神堂), and Yeonan historical geography, Yeonan-buji, records the altar as being round in shape and made of piled earth. From the point recorded in the same source that upon ascending the location of the altar one had an open view in all four direction, the location could be linked with Mount Mari's Chamseong altar. In contrast to this altar located on Mount Mari, which was of stone, Jeonseong's altar was earthen. Yeonan-buji also records the existence of Great for the shrine, Daewangdang(大王堂), and Namshindang on Mount Cheonbae, the significance being that Daewangdang referred to the sacrificial altar itself while Namshindang referred to the location of the preparation of the ceremony as well as the area where rural scholars and temporary officials associated with the ceremony would spend the night. On this point, Daewangdang is comparable with the Chamseong altar and Namshindang with the place to prepare for sacrifice, Jaegung(齋宮). Gradually, however, the functionality of the shrine deteriorated, and Namshindang subsequently became a hermitage designated the place of Namshindang(南神堂菴) before apparently falling into disuse. In the same way, Jaegung at Mount Mari's Chamseongdan can be compared with Cheonjae-gung(天齋宮)ㆍCheonjae-am(天齋菴). The dispatch of second and third level officials to the March ceremony in the fifth year of King Seonjong(1088) can be compared to a third level scholar acting as the king's representative at Chamseong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Moreover, when comparing the example of Mount Mari's Chamseong, one notic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anagement of its ceremonial area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the sacrificial resources and those carried out at Jeonseong's ceremonies. The issue surrounding the comparison of the sacrificial altars of Jeonseong and Chamseong's sacrificial altars is on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Jeonseong's character as merely a sacrificial altar evokes a serious contrast with that of Chamseong which is known as "Tangun's sacrificial altar." This can only provoke a severe gap in historical perception between the two locations, a gap which is recognized a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historical succession. This is especially evident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king's direct participation in the sacrificial ceremony as he decreed "Samhan shall become Jindan(三韓變爲震旦)." By this, the king mean the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nation to include not only the remaining concept of Goryeo in the Samhan period, but also ancient Joseon and even pre-Joseon. It is thu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aning behind this statement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t fact that the compilation of Samgug-yusa and Jewang-ungi within the framework of
박지영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2 No.-
본고는 배달국 제천산이었던 백두산 신시를 계승한 태백산 제천의 영향으로 태백산 일대에 남아있는 마고삼신계 제천단(당)을 여신, 천신, 칠성 유형으로 나누어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2000년대 이후 선도적 역사인식의 등장과 중국 동북 요서지역에서 발굴 된 고고학의 발전으로 태백산에 대한 연구도 민속· 무속적인 연구에서 선 도적인 시각으로의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홍산문화 여신묘에서 발 견된 여신상으로 선도제천의 신격문제가 연구되었고, 상고 이래로 선도제 천의 신격은 여신, 즉 마고삼신이었음이 밝혀졌다.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인 ‘일기·삼기, 마고삼신’ 은 밝문화로 대표되는 선도문화가 추구하는 ‘밝음’의 실체이므로, 생명에너 지인 ‘일기·삼기, 밝음’과 자신 안의 ‘일기· 삼기, 밝음’이 하나되고자 하 는 천인합일의 선도수행과정이 선도제천이다. 그러므로 한국선도제천의 신 격은 언제나 마고삼신이었고, 한국선도체천의 시작인 배달국 백두산 신시 의 전통을 이어받은 태백산 제천의 신격 또한 마고삼신이다. 필자는 먼저 태백산 제천의 유래와 마고삼신을 살펴보았다. 태백산 제천 의 유래와 제천의례절차를 통해서 태백산 제천의 신격이 마고삼신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태백산 일대에 남아있는 수많은 마고삼신계 제천단(당)을 여신, 천신, 칠성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한 후, 대표적인 사례 들을 선정하여 자세히 살펴본 결과 태백산 마고제천과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written examined the MagoSamShin altars remaining in the Taebaek Mountain area by dividing it into the types of goddesses, gods and Chilseong, etc.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t. Taebaek heavenly rituals had succeeded Mt. BaekDu ShinShi, the heavenly ritual mountain of BaeDalGuk. After 2000's, the appearance of Korean SunDo's historical recognition and the archeological development excavated in Chinese northeast Liaoxi area enabled the study of Mt. TaeBaek in Korean SunDo's viewpoint away from folklore and shamanism so far. Especially with the goddess statues found in HungShan culture's goddess shrine, the divinity of SunDo heavenly rituals was researched. Thus it came to be clarified that the godhead of SunDo's heavenly rituals was the goddess MaGo from the ancient times. MaGo is the essence of existence ‘一氣 · 三氣’, the original life energy of the universe. The essence of being and fundamental life energy of the universe ‘一氣·三氣’ is the substance of 'brightness', what SunDo culture represented by Park culture pursues. Therefore ‘一氣 · 三氣’ and 'the brightness' are one and the same. SunDo's heavenly rituals are the practicing process to become one with '一氣· 三氣, the brightness’ and '一氣· 三氣, the brightness’ within oneself, which we call 'Heaven and Human Combined in One天人合一'. That is to say, it is 'the restoration of brightness'. Thus the divinity of Korean SunDo's heavenly rituals has always been MaGo. And Mt. TaeBaek heavenly rituals inherited from the tradition of ShinShi Mt. BaekDu, the heavenly ritual mountain of BaeDalGuk which started Korean SunDo‘s heavenly rituals, are also MaGo heavenly rituals. To examine the Mago altars remaining in the Mt. Taebaek area, the researchers first looked at the Mt. Taebaek altars, a prototype of the MagoSamShin altars in the Mt. Taebaek area. The origin of the Mt. Taebaek heavenly rituals and the heavenly rituals Procedure confirmed that Mt. Taebaek was the burial site of the Mago heavenly rituals, and that the prestige of the Korean Seondo heavenly rituals was Mago since ancient times. Next, the MagogSamShin altars remaining in the Mt. Taebaek area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types of goddesses, gods, and Chilseong to confirm its link with the Mt. Taebaek heavenly rituals.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을 통해 본 백두산 서편 맥족의 제천문화(Ⅱ) - 2차 제천시설 ‘선돌 2柱 · 積石 方壇 · 祭天祠’를 중심으로 -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Wanfabozi萬發撥子 relic is just the typical ‘Heaven Ritual relic’, which was condens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Maek貊 race(the chief race of Korean race)’s Heaven Ritual culture during B.C.4000~A.D. 600, from Baedalkook倍達國 to Goguryeo高句麗. It was consisted of two facilities, i.e. ① primary facilities: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the mother-son tomb) with attached square altar and ② secondary facilities: two sets of Menhir·stone mound square altar·shrine for Heaven Ritual. The chinese excavation and research on Wanfabozi was original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Liao-ho river遼河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長白 culture theory’, but the excavation results revealed the fictitiousness of ‘the Liao-ho river civilization theory-the Mt. Changbai culture theory’. For the chinese side, the most serious and confused problem of the excavation results was the origins and thecurrent succession of the ancien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prim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The typical Heaven Ritual culture of Baedalkook based on Sundo仙道 thoughts was formed in Liaodong遼東, the west of Mt. Baekdu白頭 area(Baedalkook Cheonpyeong天坪 culture) and spreaded to Liaoxi遼西, Uaryang牛河梁 area(Baedalkook Cheonggu靑邱 culture) and Cheonggu culture spreaded to Zhongyuan中原 area through the Yin殷 dynasty again. According to this cultural propagation path,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is nothing but the west of Mt. Baekdu area(Cheonpyeong culture). Next,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secondary facilities are as follows. Heaven Ritual culture of Maek race had been widespread in ‘Liaodong ~ Liaoxi area’ since B.C. 4000 and it had been pushed to ‘the west of Mt. Baekdu ~ Korean peninsula area’ during Bronze Age ~ Early Iron Age, i.e. Dangun Josun檀君朝鮮~Yeolgug(列國, the age of division of small countries after the collapse of Dangun Josun). In short, Baedalkook civilization had been succeeded to Korea, not China. The chinese side(State Administration of Cultural Heritage國家文物局), which could not accept these excavation results, concealed Heaven Ritual facilities of Wanfabozi relic finally, and concealed all altars of the west of Mt. Baekdu which were excavated in the 1990s too. 1990년대 중국의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 정립 과정에서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중 가장 전형적인 홍산문화계 고제단으로 지목, 전면 발굴이이루어졌던 만발발자 유적은 B.C.4000년~A.D.600년 무렵, 곧 배달국~고구려시기 한민족의 주족인 맥족계의 선도제천문화가 성립·변천되어가는 과정을 집약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더없이 귀한 유적이다. 유적은 제천·주거·무덤시설로 이루어졌는데 제천시설이 중심이며 나머지 시설은부속시설에 해당한다. 제천시설은 다시 1차 시설 ‘3층원단(모자합장묘)· 방대’, 2차 시설 ‘선돌 2주·적석 방단·제천사’로 나뉜다. 만발발자의 1차 및 2차 제천시설은 크게 보아 B.C.4000년~A.D.600 년 무렵(정식 발굴을 거쳤을 뿐아니라 가장 넓은 시기값을 지닌 만발발자유적의 시기를 기준으로 함) 요동·요서·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나무솟대·제천사·선돌·고인돌류)’ 계통으로 중원지역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형태였다. 중국측의 만발발자 유적 발굴은 애초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증명하기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동북아 상고문화의 기원과 계승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 첫째, 1980년대 이래 요서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북아 상고사 연구를 요동 중심으로 돌려 놓았다. 둘째, 중원문화의 기원이 배달국 요동~요서 문화였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원문화가 배달국문화의 본령인 선도제천문화의 전형을 제대로 전수하지 못하고 지역문화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수용할 수 없었던 중국측은 만발발자 유적중 제천시설 부분을 은폐하며, 더하여 1990년대 발굴조사되었던 백두산 서편 고제단군 전체를 은폐하게 된다.
백두산 서편의 제천유적과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에 나타난 맥족의 선도제천문화권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9 고조선단군학 Vol.40 No.-
1990년대 중국측은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에 따라 백두산 일대에서 홍산문화(선상문화 · 예제문화)의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고 일차적으로 백두산 서편 통화지역의 적석 단 · 총에 주목하였다. 통화 일대의 고제단 연구는 1989년 여명 제단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는데, 중국 당국의 주목을 받아 1990년대 10여년간 만발발자 제단 및 여명 제단을 위시하여 무려 40여기에 이르는 고제단군이 발굴조사 되었다. 발굴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두산 서편 제천유적의 기본 성격은 B.C.4000년~A.D.600년경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로 정리된다. 이는 요서 우하량 상층적석총 단계(B.C.3500년~B.C.3000년경)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계승되었다. 필자는 이상의 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선돌 · 적석단 · 제천사류), ② B.C.3500년~B.C.3000년경 요서 우하량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류), ③ 청동기~초기철기시대 한반도 남부지역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을 동일 계통 유적으로 보고,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의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 · 적석단 · 나무솟대 · 제천사 · 선돌류)로 총칭해보았다. 중국측이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을 추진해간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B.C.4000년~A.D.600년경 요동 · 요서 · 한반도지역을 관통하던 ‘맥족계 선도제천문화권’의 존재가 드러난 것이다.
요동~요서 적석단총에 나타난 맥족(예맥족)의 이동 흐름
정경희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2 No.-
배달국~고구려시기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한반도 지역 선도제천시설의 대체는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 선돌·나무솟대·제천사·고인돌류)’이었다.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의 중심 제천시설은 애초 3층원단류의 적석단총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고인돌 이하 각종 다양한 제천시설로 다변화되어갔다. 요서지역에는 나타나지 않는 고인돌이 등장하는 등 요동지역은 요서지역에 비해 제천시설 다변화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단군조선시기에는 새롭게 신식 고인돌 단총제가 등장하였으나 구식 적석단총제를 전면 교체하지 못하고 구식과 신식이 상호 공존·결합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재차 적석단총제의 부활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면모는 맥족 선도제천문화의 원향이던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 선도제천문화의 저력, 특히 그 상징물인 적석단총제의 저력을 보 여주었다. 백두산 천평지역의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중기 요서사회로 전파, 대릉하 일대를 중심으로 화려하게 만개한다. 요서지역의 적석단총제는 배달국 후기 일시적 쇠퇴기를 지나 단군조선 전기가 되자 ‘환호·석성을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적석단)’의 형태로 재차 극성하였으나, 단군조선 후기가 되자 요서사 회 전반에서 군사문화 요소가 증대하고 북방족의 영향력이 높아지는 변화 속에서 약화 경향을 보였다. 부여·고구려시기 맥족은 요서사회에 대한 주도권을 상실하고 요동 송화강 일대를 거쳐 맥족의 원향인 백두산 서편 천평지역으로 되돌아가게 되며 여기에서 재차 적석단총제를 꽃피우게 된다. 결국 배달국~고구려시기 맥족은 ‘요서 진출·정착 및 요동 회귀’라는 순환적 이동 흐름, 곧 ‘백두산 서편 혼강·압록강 천평지역 → 대릉하 청구지역 → 서랍목륜하지역→ 송화강지역 → 백두산 서편 혼강·압록강 천평지역 → 일본열도’의 이동 흐름을 보였고, ‘환호·석성을 두른 구릉성 제천시설(3층원단·적석단·선돌·나무솟대·제천사·고인돌류)’로 대변되는 선도제천문화를 남겼다. 맥족의 선도제천문화는 동아시아사회는 물론 유라시아사회로 전파, 세계 상고문화의 발전을 견인하였다. Since the opening of Baedalkook倍達國, Chunpyeong天坪 region in the west of Mt. Baekdu白頭, Liaodong遼東 had maintained its status as a source and center of typical ‘Sundo Heaven Ritual仙道祭天 Culture’ which was represented as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three-layered circular altar·tomb type)’ or ‘three layer- circle·square-moat typed altar·tomb’. The stone mound altar·tomb system of Chunpyeong region spread to Liaoxi遼西 area in middle Baedalkook and it was in full bloom mainly in Daling River大凌河. After the temporary decline in late Baedalkook, it was polarized in the form of ‘hilly Heaven Ritual facilities with a moat(stone mound altar type)’ again in early Dangun Chosun檀君朝鮮. However, as the military cultural factors of Liaoxi society increased in late Dangun Chosun, the stone mound altar·tomb system was weakened somewhat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rough these changes, we can know that Maek race(the main tribe of Baedalkook originated from Chunpyeong region in the west of Mt. Baekdu)'s advancement to Liaoxi region in early and middle Baedalkook, Maek race's settlement in Liaoxi region in early Dangun Choson, and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northern peoples closely related to the military culture of Liaoxi society in late Dangun Chosun. Due to the collapse of the Dangun Chosun Federation at the end of the Dangun Chosun, Maek race lost control of Liaoxi society and moved their activities to the Liaodong area. The vacancies of the Maek race are filled with the northern peoples, who have been increasing influence since the late Dangun Chosun. Overall, from Baedalkook to Goguryeo高句麗, there was Maek race's cyclic moving flow, i.e, 'Maek race's advancement and settlement to Liaoxi area and return to Liaodong area. Specifically it was the movement of 'Chunpyeong region of the west of Mt. Baekdu and Hun River渾江·Amnok River鴨綠江 → Cheonggu靑邱 region of Daling River → Xilanmulun River西拉木倫河 region → Songhwa River松花江 region → Chunpyeong region of the west of Mt. Baekdu and Hun River·Amnok River' The main tribe of Baedalkook, Maek貊 race spread throughout the Liaodong, Liaoxi and Korean Peninsula as the above-mentioned moving flow and became the central race of northeast asian society. In additio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led by Maek race lead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urasian ancient culture, spreading not only in East Asian society but also in Eurasia.
최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This research studied Lee Sang-Pil’s life and literature in Jecheon local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Lee Sang-Pil’s life and poetry. Lee Sang-Pil was aspiring novelist and poet. He was active in the center literary circle of Seoul. Korea since the war, Lee Sang-Pil was forgotten from Korea Literature history. Lee Sang-Pil had been abducted to North Korea in World Literary Dictionary of Mun Seok Su. However in contrast, Lee Sang-Pil lived in the hometown Jecheon City. Still, he was a poet, and educator and historian. He died in 1975 in Jecheon City. Lee Sang-Pil born in 1917. In 1937 he published first poetry remaining dream . And remaining dream mean the lead of Contemporary literature form Chungbuk and Jecheon. Also, this cultivated a large number of modern literature from Jecheon local. In 1955 he published second poetry nostalgia-elegy. There are a lot of his poetry that Publication does not. Lee Sang-Pil’s poems is an object of loss. He has lost a mother, sister,lover and hometown, pastoral of space in poems. The mother, sister, lover is a motherland and ethnic. His poem sublimate to poem of lamentation. Hometown signified a deficient space in the life of the current, signified the lost paradise. Pastoral of space make a recovery and regain the lost paradise. The image of hometown in poem is a Utopia image from recuperate the lost homeland. Later Poems is to change perceptions. “Live the way of life” will entrust the laws of nature and a sense. And they will live with the belief that what is right. And this is outgoing to wisdom. Deliverance of one’s soul as knowing is delivered from worldly existence. This study means that Jecheon local literature introduction in academia. It informs with the existence of Jecheon local literature as Lee Sang-Pil’s life and literary world lighting. Since “The Jecheon Literary Association” was formed, until now it is the basis of preparation for research into Jecheon local literary activity. And this study is the foundation that Jecheon local literary can be attached to Korea literature history. 제천에서 태어나 제천에서 살다가 제천에 묻힌(生於堤, 長於堤, 死於堤) 이상필은 1937년 제1시집 『잔몽』을 출간한다. 그리고 1949년에서 1950년 초반 『문예』에 소설이 추천된다. 그는 당시 중앙문단에서 촉망 받던 소설가이며 시인이었다. 하지만 6·25동란 이후 제천으로 내려와 후학을 양성하며, 1955년에는 제2시집 『향수애가』를 제천에서 출간한다. 문덕수는 『세계문예대사전』에서 이상필이 “납북, 행방불명”된 것으로 기술하고있다. 그러나 그는 1975년 작고할 때까지 제천에서 거주한다. 그는 고향인 제천에 자리 잡고 문학인으로서, 교육가로서, 향토사가로서의 삶을 산다. 이상필의 시는 대상 상실의 시이다. 그의 대상 상실은 결핍, 부재로 인해 끊임없이 욕망을 환기시킨다. 그가 잃어버리고 상실한 대상은 어머니, 누이, 임만이 아니었다. 그에게 어머니, 누이, 임은 원초적 어머니로 표상되는 조국이며 식민지인으로 살아가는 우리 민족이었다. 그렇기에 대상 상실로부터 그가 욕망하는 것은 구원의 여인이며 온전한 조국이었다. 채워질 수 없는 대상에 대한 욕망이 환기하는 상실감에서 그의 시는 애도로 승화된다. 그의 시에서 끊임없이 등장하는 고향의 이미지는 고향 상실로부터 고향을 회복하고자 하는 유토피아적 이상으로 그려진다. 고향은 자연과 어우러진 건강한 노동의 공간이며 생명의 온전한 안식처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6·25동란 이후고향은 폐허가 된다. 그런 고향은 현재의 삶 속에서 결핍된 공간이며, 상실된 낙원으로 의미화 된다. 하지만 그는 풀피리의 세계, 곧 초금의 세계로 회귀하여 ‘전원’의공간을 회복하고 상실된 낙원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상필이 초·중기 시에서 ‘인식’으로서의 앎을 추구했다면 후기 시에서는 ‘해탈’로서의 앎이 그려진다. 그에게 “인생의 산다는 방식”은 자연의 순리와 이치에 세계를 맡기는 것이며, 옮음에 대한 신념으로 살아가는 것, 대원(大圓)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마음으로부터 얻어지는 앎, 해탈로서의 앎을 덧없는무상(無常)이자 ‘꿈’으로 인식했다. 이상필의 시는 제천의 지역성을 담고 있다. 전원 공간을 배경으로 한 시들을비롯해 「의림지 호반에서」, 「초가를 보면서」, 「제천팔경풍물시」등에서도 제천의 지역성이 담긴다. 이것은 이상필의 문학이 갖는 제천지역문학으로서의 특수성이다. 따라서 이상필의 시세계에 대한 조명은 격동기 우리문학의 보편성과 제천 지역문학의 특수성을 찾는 것이자 잊어지고 잃어버린 문학사에 대한 봉합에 의미를 갖는다.
최수민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선도문화 Vol.34 No.-
최근 고고학적 발굴의 성과가 축적되면서 아무르강과 오소리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맥족계 선도제천문화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한 ‘구릉성 적석단총’유적이 발굴되면서 중기 신석기문화(서기전 7200∼서기전 6600년 경)의 내용적 성격이 드러나게 되었다. 아무르강 하류-연해주-한반도 동해안의 문화가 서로 관련된 문화임이 고고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한반도 동남해안 에 나타나는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과 아무르강과 백두산을 사이에 둔 흑수백산지 구의 구릉성 단총간에 형태적⋅내용적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구릉성 단총은 그 문화의 내용성보다는 입지, 묘제, 장법, 두향, 부장품 위주로 연구되어 왔기에 단순히 사자의 무덤이란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에서 시작된 선도제천문화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면 단순한 무덤의 의미를 넘어 제천시설로 바라보게 된다.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는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선도제천문화임이 드러난 바 본고에서는 한반도 남부 신석 기시대 구릉성 석단총유적 중 흑수백산지구 선도제천문화의 전통을 반영한 전형적인 유적으로 울진 후포리유적을 조명해 보았다. 울진 후포리유적은 야트막한 구릉상의 야산 정상부에 7개의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 구덩이를 이용하여 40여 구의 인골을 순차적으로 세골장한 집단 매장유적이다. 토기는 1점도 없이 180여 점의 장대형석부와 비, 관옥 등 옥⋅석기만을 부장하여 ‘구릉성 석단총’을 조성하였기에 ‘구릉성 석단총-옥⋅석기문화’로 볼 수 있어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계통의 선도제천문화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남산문화에 나타난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은 사방에서 조망이 좋고 하늘과 가까운 탁 트인 공간 즉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무덤 조성시 돌을 이용하여 ‘적석’의 방식을 채용한 점에서 선도제천을 위한 구릉성 적석단총으로 바라보고, 단총내 제천 의기인 ‘옥⋅석기를 부장’한 측면에서 ‘구릉성 적석단총-옥⋅석기문화’로 바라본다. 울진 후포리유적 역시 ‘구릉지’라는 입지 조건, ‘화강암괴’로 둘러진 자연구덩이를 무덤으로 이용한 점, 제천 의기인 ‘옥⋅석기만을 부장’한 점 등을 들어 ‘구릉성 석단총- 옥⋅석기문화’로 바라보게 된다. 후포리 석단총의 묘주들은 후포리 지역사회에 선도제 천문화를 알리고 보급한 중심 인물들로 제천 의기인 마제석부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장인이자 선인층(仙人層) 즉 사제 계층의 일원이었으리라 미루어 짐작하게 된다.
김동환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0 한국종교 Vol.48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f Daejong-gyo. The Heaven rituals of Daejong-gyo are closely related to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f the faith of Dan’gun. In addition,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in Daejong-gyo involve an act of religiously returning to the root of heaven, and it is the best way of praying by human beings to continue the great grace (大光明) of heaven on this land. The Rituals for Heaven in Daejong-gyo religious acts as its essence and phenomenon. The motives of this study are also related to this. This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f Daejong-gyo are not a simple creation of modern times, but a national ceremony that has continued in our history. However, despite this form of Heaven rituals being an important foundation for our national identity and religious culture, there have been not many in depth or systematic studies conducted.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take an open and broad approach to the whol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f Daejong-gyo. I looked at the tradition of Daejong-gyo Heaven rituals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n, the modern resurrection of such Heaven rituals was linked to the Restoration of Daejong-gyo, which claimed to restore Palgwan (八關), and the consciousness was understood through the Seon-euisik (䄠儀式) enacted by Na-cheol (羅喆). 이 논문은 대종교의 제천의례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대종교의 제천은 전해오는 단군신앙의 제천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대종교에서의 제천은 종교적으로 하늘의 근본으로 되돌아가려는 행위인 동시에, 하늘의 대광명을 끊이지 않고 이 땅에 이으려는 인간 최고의 기도라 할 수 있다. 대종교 종교행위에 있어 제천은, 그 본질이자 현상을 이룬다. 이 연구의 동기도 이것과 연관된다. 대종교의 제천의례가 단순한 근대의 창작물이 아니라, 우리 역사에 연면히 이어온 민족적 제전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그러나 이 제천이 우리민족의 정체성과 종교문화의 중요한 토대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심도와 체계를 갖춘 연구는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대종교 제천의례의 전반에 대해 개설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종교 제천의 기원이 되는 단군제천과, 그 역사적 전개에 대해 살폈다. 이어 그러한 제천의 근대적 부활 문제를, 팔관(八關)의 복원을 자처한 대종교의 중광(重光)과 연결시켜 바라보았으며, 그 의식에 대해서는 나철(羅喆)이 제정한 선의식(䄠儀式)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신유림(낭산)’의 선도제천문화와 그 성격 변화 과정 연구
박주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4 선도문화 Vol.36 No.-
본 연구는 신라 천년고도 경주 낭산을 한국선도적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초기 낭산(신유림)은 신라의 대표적인 소도(蘇塗)로 나타나는데, 삼산오악제가 시행되면서 중악, 삼산과 같은 최고의 지위에 오르게 된다. 진평⋅선덕여왕대에는 제석신앙의 성행 으로 제석신앙의 성소인 수미산으로 전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이면에 ‘선도제천문화’와 ‘선⋅불습합적 제석신앙’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낭산(신유림)은 소도신앙인 전불시대칠가람지 중 하나였는데, 실성왕대에 이르러 김씨왕족의 성산으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낭산은 중고기 김씨왕실의 왕경오악의 중악으로 기능하였고 중대에는 삼산의 핵심이 되었다. 삼산오악제는 한국선도기학의 ‘삼원오행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며 홍산문화 우하 량 모신묘의 십자형 구도를 제도적 원형으로 하는 ‘선도제천산’제도였다. 배달국의 선도제천에서 출발하여 단군조선-북부여-신라로 이어진 ‘선도제천문화’가 중고기 이후 김씨왕실에 이르러 김씨족의 삼신산이었던 낭산에서 그대로 체현되었다. 김유신의 ‘호국삼신녀’설화는 선도제천의 신격이 우주의 근원적 생명력을 의미하는 마고삼신에서 호국적 의미의 삼신녀로 비소(卑小)화한 전승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호 국삼신녀’전승은 낭산이 ‘선도제천산’임을 알려주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 기록이다. 또한 김씨족의 왕권강화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기능한 제석신앙은 배달국 이래 ‘선도 제천문화’의 상징인 삼성신앙(환웅신앙)이 불교 내 호법천신신앙으로 화한 선⋅불습합 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선덕여왕의 장지가 조영되고, 통일 후 낭산에 창건된 사천왕사는 ‘선⋅불습합적 제석 신앙’의 성전사원으로 호국사찰의 중심터전으로 자리매김한다. 제석신앙의 원형을 선도제천으로 규정할 수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석 신앙이 성행한 진평왕대∼신문왕대와 ‘선도제천산’제도인 삼산오악제의 시행 시기가 동시대라는 점이다. 둘째, 제석신앙의 신격인 제석이 선도제천의 신격인 삼성(환웅)의 불교적 변형태라는 점이다. 셋째, 사천왕사의 가람배치에 나타난 오방사상이 한국선도 기학의 핵심인 삼원오행론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낭산에 나타난 ‘선도제천 산’제도와 ‘선⋅불습합적 제석신앙’의 배후에는 한국선도의 삼원오행사상에 기반한 ‘선도제천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is on Mt. Nangsan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Shilla Kingdom, viewed from Korean SunDo. At the beginning of Shilla, Mt. Nangsan(ShinYooRim, a forest where the gods played) seems to have been a representative sanctum. It was upgraded to the supreme status like the Middle Rugged Mountain and Three Major Mountains with the practice of the Samsan Oak (Three Major Mountains and Five Rugged Mountains) system.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Queen SeonDeok, Mt. Nangsan transformed into Mt. Sumisan, a sanctum of Indra belief by its prevalence. This paper probed that there ar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dra SunDo-Buddhism fusion’ behind belief of by way this and transformation. Mt. Nangsan(ShinYooRim) was one of the seven temples, sanction belief,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settled as the royal family Kims’ sacred mountain during the reign of King SilSung. It functioned as the Middle Mountain of Kims’ royal family’s Five Rugged Mountains in Gyeongju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became the center among the Three Major Mountains. The Samsan Oak system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 of Korean SunDo energy study. It is ‘SunDo Heaven Ritual Mountain’ system which has taken the cruciform of Uharyang goddess’ shrine of Hongsan Culture as a systemic archetyp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started from BaeDal country and has passed down through DanGunJoSeon, North BooYeo and Shilla. Then it was embodied in Mt. Nangsan, the royal family Kim’s mountain. The Indra belief functioned as an ideology for strengthening royal family Kim’s sovereignty, it w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ransformation from Samsung belief (Hanwoong belief), the symbol of ‘SunDo Heaven Ritual culture’, to buddhistic heaven’s gods belief, Korean SunDo-Buddhism fusion. Kim YooShin’s legend of ‘three guardian goddess for the kingdom’ shows that divinity in ‘SunDo Heaven Ritual’ was diminished from MgGo Mt. Samsin which meant the original life force of the universe to three Mt. goddesses which only defense the country. However, it is a record that has an important value which says Mt. Nangsan is a ‘mountain for SunDo Heaven Ritual’. Besides, Queen SeonDeok’s burial ground was made there. After the Three Kingdom-unification, SaCheonWangSa Temple built in Mt. ‘Indra of for belief of has had holy temple Nangsan status a SunDo-Buddhism fusion’ and the central temple of defense of the country. I finalize the elements which can be prescribed as the prototype of Indra belief is SunDo Heaven Ritual as follows. First, it is the same period that Indra belief was prevailing from King JinPyeong to King ShinMoon falls the same time with the period of performing Samsan Oak system, ‘SunDo Heaven Ritual system’. Second, Indra, the divinity of Indra belief is the Buddhistic transform of Samsung (Hanwoong), the divinity of SunDo Heaven Ritual mountain. Third, Korean traditional Five Direction Idea which appeared in the placement of SaCheonWangSa temple is based on the the theor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the essence of Korean SunDo energy study. To sum up, in the background of ‘SunDo Heaven Ritual mountain system’ shown in Mt. Nangsan and ‘Indra belief of SunDo-Buddhism fusion’, there was SunDo Heaven Ritual culture based on the world view of SamWon Ohaeng theory.
조우연(趙宇然) 고구려발해학회 2011 고구려발해연구 Vol.41 No.-
이 글에서는 고구려의 국가제사로서의 제천의례가 지니는 정치적 의미와 그 시기별 변화에 대해 살폈다. 필자는 고구려 제천의례를 초기국가시대, 3세기를 전후한 나부연맹체 국가시대와 4∼5세기 강력한 왕권 등 장 이후로 시기를 구분하여 제천의례가 각 단계에서 어떠한 정치적 목적으로 행해졌는지에 대해 살폈다. 우선, 초기 국가시대에는 고구려의 제천의례는 巫的인 왕이 천신과의 소통능력을 드러내는 신성한 의식으로, 왕은 그러한 능력을 재연함으로써 구성원들로부터 정치권력을 부여받았다. 다음으로, 나부연맹 시대에 행해진‘東盟祭’라는 제천의례는 기존의 학계에서 이해해왔던 것처럼 왕권의 신성성을 드러냄으로써 왕권을 정당화하기 위한 장치라기보다는 ‘천신’이라는 추상적인 공동의 신에 대한 정기적(혹은 전쟁에 앞서) 의례를 통해 연맹세력을 취합하기 위한 정치적 장치로서 기능했다. 그 다음, 4∼5세기 이 후 강력한 왕권의 등장과 비대해진 親왕실 집단을 배경으로, 왕실에서 천신을 독점하게 되며, 왕실의 시조는‘昇天’하여 神의 지위를 부여받음으로써 퇴거한 천신을 대신해 국가신앙의 전면에 대두하게 된다. 이러한 전개로 인해, 고구려의 제천의례는 후기에 이르러 점차 간소화 된다. 중국 고대 사회제도 체계가 宗法을 토대로 한 분봉체제에서 중앙집권체제로 전환되면서,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장치로서 국가제사체계의 중심이 조상제사에서 제천의례로 전환된다. 그와 달리, 고구려 국가제사의 중심은 나부연맹체 시대 非혈연 집단 취합을 목적으로 행해진‘공동의 天神’에 대한 제천의례 중심에서 4∼5세기 강력한 왕권의 대두와 함께 왕실 시조에 대한 조상제례 중심으로 변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