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강동호 ( Kang Dong-ho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文科)의 제도적 변화와 실제 운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 제주는 지리적인 이유로 과거 운영에 있어 상당한 수준의 배려가 있었다. 과시의 일종인 승보시 정액 2인을 제주에 배정해 선발하였다. 승보시는 1639년(인조 17)부터 시행되었다. 승보시는 목사가 문관일 때 시행되었으며, 후에 목사가 무관이어도 판관이 문관이면 단시관(單試官)으로 시행하도록 완화하였다. 실제 승보시 운영 사례를 검토한 결과, 제주지역 생원·진사시 입격자 총 27명 가운데 7명이 제주 승보시를 거쳐 입격하였다. 제주 승보시는 초기 제술 2인만 선발하다가 후에 강경 1인도 추가 선발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문과초시는 전라도 향시 정원 중 1액을 배정하여 시행하였다. 이러한 규정이 법전에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대전통편』에 제주삼시관 조목을 신설해 최소한의 법적 근거와 시행 장치를 마련하였다. 제주문과초시는 숙종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조 말까지 시행되었다. 그러나 자료를 검토한 결과 제주문과초시는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미실행이 거듭되었다. 이는 제주문과 초시를 거쳐 급제한 인원이 확인되지 않는 점과도 무관하지 않으리라 판단된다. 제주 문과급제자의 약 93.7% 해당하는 인원이 외방별과와 제주별시를 통한 급제였다. 제주외방별과 시행의 주된 형태는 어사파견 외방별과로 총 16명의 어사가 시취하였다. 그리고 특지에 의해 한번 시행되었다. 철종대에는 외방별과가 외방별시로 승격되어 총 두 번 시행되었고 8명의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그동안 제주도 과거 운영 연구에서는 어사파견 외방별과에만 주목한 경향이 두드러졌다. 제주지역 문과 급제자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절대적 영향을 끼쳤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여러 법규에 명시되어 원칙적으로 적용되었던 여러 제도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외방별과와 외방별시 같은 비정기 시험보다 정기 시험이 교육을 장려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승보시와 제주문과초시가 정기적으로 운영되지는 못했지만 조선말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고 실제 입격자를 배출한 것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다가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changes and actual opera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was a region that received considerable consideration concerning the administration of national examinations for geographical reasons. Fixed number of individuals to be selected was two in 'Seungbo' in Jeju. 'Seungbo' started in 1639 (the 17th year of King Injo). ‘Seungbo (陞補)’ was implemented when the governor of Jeju was a civil servant. Afterwards, even when the governor was a soldier, if the administrative assistant was a civil servant, it was eased to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prosecutor (單試官)’.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ases of operations of ‘Seungbo (陞補)’, 7 out of 27 people who passed the Jeju Saengwonjinsa appointment test (生員進士) were selected in the Jeju ‘Seungbo(陞補)’.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ungbo (陞補)’ selected only two people initially but additionally one more person was selected by an oral test. The first step of the Jeju civil service test was conducted by allocating one person from the total number of passers in province examination held in Jeolla-do. Although these regulations were not stipulated by law, a clause concerning Jeju Samshigwan was newly added in『Daejeontongpyeon』to provide the minimal legal basis and institutional strategy. The first step of the Jeju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as conducted beggining from the time of King Sukjong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ta, it was found that the first step of the Jeju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as not operated stably and was not conducted regularly. This might be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none of the final passers in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as known to have passed the first step of the test held in Jeju. About 93.7% of the final passers of the Jeju civil service appointment test were admitted through special local tests and Jeju Byeolsi(濟州別試). The most frequently adopted forms of the Jeju special examination is to send 16 eosas(御史) to Jeju for the test, and it was carried out once under the approval of a special document. In the era of Cheoljong, the local special exam was raised to Jeju Byeolsi(濟州別試), and a total of 8 students passed the final exam. In the meantim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civil service tests in Jeju Island have had tendency to focus on special exams and the concomitant dispatches of 'eosa(御史)' to local area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final passers in civil service tests in Jeju area passed the special exam. However, in this research, the author claims that th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various systems stipulated by law and applied in principle. In other words,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regular exams have much more educational value than non-regular exams to encourage education. In this regard, although the first steps of the civil service tests in Jeju and 'Seungbo (陞補)' were not held regularly, it is noteworthy that they continued to be operat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ere actually successful candid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