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제주 식물 탐색

        윤경섭,김미진,김무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ollagen production and hyaluronic acid production effects for wrinkle improvement test on 50 kinds of land plants and 10 kinds of marine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as a part of developing customized cosmetic materials.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are recognized as major factors affecting skin aging.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Mizushima extract (100 μg /mL) produced more than 190% of collagen in the extracts of 50 kinds of land plants.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K. Koch. extract (100 μg/mL) produced more than 160% of collagen. F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extract (100 μg/mL), Euonymus japonica Thunb. extract (100 μg/mL), Suaeda malacosperma H.Hara extract (100 μg/mL), Elaeagnus umbelellata Thunb. extract (100 μg/mL), Sedum oryzifolium Makino extract (100 μg/mL), Vicia unijuga A. Br. extract (100 μg/mL), and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Sinsk. extract (100 μg/mL) showed more than 140% collagen production effect. Among the 10 species of marine plants, Sargassum macrocarpum C. Agardh extract (50 μg/mL) produced more than 190% of collagen, and Carpopeltis angusta (Harvey) Okamura extract (100 μg/mL), Codiumcoactum Okamura extract (100 μg/mL), and Codium tenuifolium S. Shimada, T. Tadano & J. Tanaka extract (100 μg/mL) showed more than 140% collagen production. Suaeda malacosperma H.Hara extract (100 μg /mL) showed the effect of producing hyaluronic acid more than 140%, and F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extract (20 μg/mL) and Wistaria floribunda A.P. DC extract (100 μg/mL) showed more than 130% hyalunonic acid production effect. Among the 10 species of marine plants, Peyssonnelia capensis Montagne extract (100 μg/mL) was the most effective. Carpopeltis angusta (Harvey) Okamura extract (100 μg/mL), Codiumcoactum Okamura extract (100 μg/mL), and Codium tenuifolium S. Shimada, T. Tadano & J. Tanaka extract (100 μ g/mL) showed more than 120% hyalunonic acid production. Jeju resources, which have good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production, showed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solve the skin troubles of customized cosmetic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 최근 한국 제주 지역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 일환으로서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육상식물 50종과 해상식물 10종에 대해 주름개선 검증을 위한 콜라겐 생성 효과와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은 피부 노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험 결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점나도나물추출물(100 μg/mL)은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 하였으며, 살갈퀴추출물(100 μg/mL)은 160% 이상, 팔손이추출물(10 μg/mL), 금사철추출물(100 μ g/mL), 기수초추출물(100 μg/mL), 보리수나무추출물(100 μg/mL), 땅채송화추출물(100 μg/mL), 나비 나물추출물(100 μg/mL), 갓추출물 (100 μg/mL)은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해상식물 10 종 추출물 중에서는 큰열매모자반추출물(50 μg/mL)이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붉은뼈까막살 추출물(100 μg/mL), 누운청각추출물(100 μg/mL), 우단청각추출물(100 μg/mL)의 경우는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제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기수초추출물(100 μg/mL)이 14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으며, 팔손이추출물(20 μg/mL), 등나무추출물(100 μg/mL)은 130% 이상의 히알루론산이 생성 효과를 나타냈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자루바다표고추출물(100 μg/mL)이 가장 효과가 좋았 으며, 이 외에도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 μg/mL), 누운청각추출물(100 μg/mL), 우단청각추출물(100 μg/mL)에서 12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다. 이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가 양호한 제주 자원들은 향후 맞춤형화장품의 피부 고민을 해결 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후보

        제주 지역 주민 경제 활동 지원을 위한 수요자 맞춤형 기상·기후 정보 서비스 발굴

        최광용 ( Gwangyong Choi ),박혜정 ( Hye-jeong Park ),허택산 ( Taiks-san Heo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주지역 주민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 주요 산업 활동을 고려한 수요자 맞춤형 기상·기후 정보서비스 항목을 발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주민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주 지역에서는 필요성, 시급성, 공익성, 수익성을 모두 고려할 때 지역 규모 태풍 피해 탐지 시스템이 가장 우선적으로 지역주민들이 필요로하는 서비스 항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항공교통, 해운교통, 도심홍수, 산악 위험기상, 해양레포츠, 풍수해 보험, IT기반 관광정보, 가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기후시스템이 단기적으로 우선적으로 제공될 필요성이 있는 서비스 항목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요자 설문에 기반하여 발굴된 기상·기후 서비스 항목들은 과거의 생산자 중심의 단순 기상 요소 정보 시스템에 비하여 지역주민의 경제 활동 증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nts of user-customized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services that the residents in Jeju, Korea need with priority for the improvements of local economic activities. Analyses of survey data from local residents demonstrate that among many services, the typhoon monitoring system at local levels is most needed by residents in Jeju for better performance of major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agriculture, fisheries and tourism. In addition,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service systems that support aviation/navigation, urban flooding, mountain hazardous conditions, marin sports, insurance, IT-based tourism, droughts, crop production and wildland fir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systems with higher priorities for local residents. These information obtained from local residents may help to establish the user-customized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systems improving their economic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ducer-centered ones displaying the simple observed weather and climate records.

      • KCI등재

        인문도시를 위한 시민인문학의 한 사례 ― 제주에서 철학하기

        윤용택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시민인문학 Vol.33 No.-

        우리가 어떤 일을 하든, 그것을 하는 의미와 목적과 이유를 알아야 한다. 도 대체 왜 살아야 하고,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것인가? 인간은 어떤 존재이고, 어 떻게 사는 게 인간답게 사는 것인가? 그러나 인간은 구체적 개인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인간이면 누구나 안고 있는 보편적 문제도 있지만, 시대, 지역, 계층에 따 른 사회적 문제, 그리고 개인마다 다른 실존적 문제들을 안고 살고 있다. 따라서 인문학은 인간이면 누구나 안고 있는 문제를 다루는 일반 인문학뿐만 아니라 시 대, 지역, 연령, 계층, 직업 등 특수 상황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인문학이 필요하다. 지역이 달라지면 인문학도 달라져야 한다. 제주도는 자연환경, 역사문화, 정 치사회 측면에서 우리나라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이 많다. 제주가 안고 있는 여러 현안 문제들, 이를테면 개발과 보존, 전쟁과 평화, 열림과 닫힘, 지역정체성, 선 주민과 이주민간 문화적 갈등, 지역의 미래비전 등에 대해서도 철학적 고찰, 더 나아가 인문학적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주지역에서 행해지는 인간다운 삶 을 위한 철학적 담론과 제주의 자연, 사회, 역사, 문화 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의 사례가 다양한 인문도시를 위한 맞춤형 시민인문학의 문을 여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Whatever we do, we need to know the meaning, purpose and reason of doing it. Why should I live, and how do I live? What are humans, and how should humans live? Individual lives as specific human beings, not as a universal human being. Humans have not only universal problems, but also generational, regional, social, and personal problems. Therefore, we should have a variety of customized liberal arts, considering regional, age, hierarchy, and occupation, as well as general liberal arts, dealing with issues common to all humans. If things change, liberal arts should change. Jeju Island is different from the rest of Korea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historical culture, and political society. Various issues surrounding Jeju Island, such as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war and peace, openness and closure,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 vision, nee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I hope that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humanities debate in Jeju and the philosophy of nature, society, history, and culture will help to explore the civil liberal arts and humanity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