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약에 따른 양보 어미 교육 순서 선정에 관한 연구

        정종수 ( Jong Su Jeong ),김기범 ( Gi Beom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양보 연결어미를 가르칠 때, 그 교육 순서를 제언하고자 한다. 그 교육 순서는 연결어미가 있는 제약의 범위가 작은 것을 먼저 가르치고, 제약의 범위가 큰 것을 나중에 가르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양보 어미는 ‘C1아도C2’, ‘C1더라도 C2’, ‘C1은들 C2’, ‘C1을망정 C2’, ‘C1을지언정 C2’, ‘C1을지라도 C2’, ‘C1다고 C2’, ‘C1기로서니 C2’, ‘C1되 C2’ 등 9개이다. 이 어미들이 가지고 있는 제약은 ‘부정문제약, 질문화행불가제약, 명령화행불가제약, 청유화행불가제약, 약속화행불가 제약, ‘-았-’결합불가제약, ‘-겠-’결합불가제약, ‘-더-’결합불가제약’의 여덟 개의 제약이다. 이 논문에서는 아홉 개의 각 어미들이 가지고 있는 제약의 범위에 따라 각 양보 어미들의 교육 순서를 정한다. 그리고 현재 출판되어 여러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섯 종류의 한국어 교재들을 초급부터 고급까지 어떤 양보 어미들을 어떠한 순서로 어느 단계에서 가르치도록 제시해 놓았는지 분석해 보았다. 9개의 양보 어미들의 교육 순서를 정하기 위하여 우선 각 제약들의 등급을 설정하고 그 등급순으로 각 어미 항목들에 적용했다. 그렇게 하여 ‘C1아도 C2, C1더라도 C2, C1을지언정 C2, C1을지라도 C2 → C1은들 C2 → C1되 C2 → C1을망정 C2 → C1다고 C2 → C1기로서니 C2’로 순위를 매길 수 있었고, 이와 같은 순서로 한국어학습자에게 교수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the teaching order of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for Korean L2 learners need to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one with least grammatical constraints in its use should be taught first. Six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o check what kinds of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are introduced to Korean L2 learners in what order. Most of them introduced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following frequency of their use. This paper studies nine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nd eight constraints that are relevant to those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C1-ado C2, C1-deorado C2, C1-eundeul C2, C1-eulmangjeong C2, C1-euljieonjeong C2, C1-euljirado C2, C1-dago C2, C1-giroseoni C2, C1-doe C2. We can set an order through eight constraints such as: *C2/promise, *C2/propositive, *C2/imperative, *C1/-gess-, *C1/-deo-, *C2/question, *C1/-ass-, *C2/affirmativ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constraints, we can set up the hierarchy of those constraints such as: C2/negative ≫ *C2/question ≫ *C2/imperative, *C2/propositive ≫ *C2/promise ≫ *C1/-ass- ≫ *C1/-gess- ≫ *C1/-deo-. Thus we suggest the following as a proper teaching order of concessiv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education: C1-ado C2, C1-deorado C2, C1-euljieonjeong C2, C1-euljirado C2 → C1-eundeul C2 → C1-doe C2 → C1-eulmangjeong C2 → C1-dago C2 → C1-giroseoni C2.

      • KCI등재

        여가제약협상모델의 타당성 검증 연구

        오정학,김철원,김종갑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

        Based on the White(2008)'s suggestion of additional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d the validity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model proposed by Loucks-Atkinson and Mannell(2007). The model suggested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negotiation efficacy, leisure motivation, leisure constraint,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y, and leisure participation. Data were conveniently collected from 353 Korean high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in 2009.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empirical support on the seven paths out of eight paths of the structural model. However, results did not empirically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strategie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population and different leisure activity might hav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truc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s well. 본 연구는 Loucks-Atkinson et al.(2007)의 여가제약협상모델을 교직종사자 집단에 적용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두 가지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White(2008)에 의해 시도된 위 모델의 타당성에 대한 추가 규명을 통해 이들 연구와의 비교 관점에서 여가제약 협상모델의 확장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위 모델을 통해 국내 교직종사자집단의 야외 여가활동 행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를 위해 본 연구와 동일한 여가유형을 연구한 White(2008)의 연구모델을 기본모델로 제시하고, 표본의 상이성과 관련한 척도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측정변수 수준에서 기본모델을 수정하였다. Loucks-Atkinson et al.(2007)과 White(2008) 및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이론변수들의 경로 유의성 검증결과를 보면 협상효능감이 여가동기(+)와 여가제약(-) 및 여가제약협상(+)에 미치는 인과경로는 세 연구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여가제약이 여가제약협상(+)과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인과경로와, 여가동기가 여가활동참여(+)에 미치는 인과경로역시 세 연구에서 일치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초 Hubbard et al.(2001)의 제약효과완화모델로부터 확장된 Loucks-Atkinson et al.(2007)의 여가제약협상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상효능감이 여가제약협상과정을 설명하는 구성요소로서 개념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동기는 여가활동 참여의 강력한 동인이며, 여가제약은 여가활동 참여를 저해하지만 여가제약협상에 대한 노력을 활성화시켜 여가제약이 여가활동 참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킨다는 Hubbard et al.(2001)의 제약효과완화모델을 지지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반면 여가제약협상→여가활동참여(White, 2008)와 여가동기→여가협상전략(본 연구)의 경로는 방향성은 일치하나 통계적인 검정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함으로써 Loucks-Atkinson et al.(2007)이 제안한 여가제약협상모델의 안정성 및 확장가능성을 기각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본 연구와 White(2008)의 연구는 표본을 달리했을 뿐 유사한 야외여가활동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Loucks-Atkinson et al.(2007)의 여가제약협상 모델이 모든 여가활동 집단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모델로서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자, 여가활동 유형, 여가활동 집단에 따라 상이한 여가제약협상과정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복제 약품의 출시가 제약 제품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

        임현우 ( Hyun Woo Lim ),박청규 ( Cheong Kyu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4

        오리지널 제약 제품의 특허 만료 이후에 다른 제약 회사가 오리지널 제품과 같은 분자구조를가지는 복제약품을 시장에 내놓는 일은 매우 흔하다. 이러한 복제약품의 출시는 같은 분자구조를 가지는 모든 제품들의 경쟁을 심화시켜 이들의 평균 가격을 낮추게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이러한 복제약품의 출현은 같은 분자 구조를 가지는 제품들에 대한 전체 시장의 크기를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시킨다고 믿어져 왔다. 하지만 복제약품의 등장 이후에 오리지널 제약 제품 회사는 복제 약품 생산회사가 자신들의 마케팅 활동에 무임승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약영업과 임상실험을 중단하는 경향도 있을 뿐아니라 비슷한 효능을 가지는 제품을 가진 경쟁회사들은 복제 약품의 출현 이후에 자신들의 제약 영업예산을 조정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제약영업예산을 통제한 상황에서 이러한 복제 약품의 등장이 같은 분자구조를 가지는 제품들의 전체 수요를 증가시키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답하기 어렵다. 본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답기 위해서, 매우 인기 있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태틴 계열의 약에 대한 캐나다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오리지널 제약회사와 경쟁사의 제약 영업을 통제한 상황에서는 시장 팽창의 효과가 개별 약의 효능의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제약제품이 좋을 때에는 복제약품의 출시가 사회후생을 증진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부나 정책입안자들은 이러한 복제약품들이 출시되도록 장려해야한다. 하지만 제약제품이 좋지 않을 때에는 이러한 사회후생의 증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나 정책입안자들은 복제약품의 출시를 장려하고자 할 동기가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유라시아지역에 미치는 시사점 또한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제약품시장이 최고로 발달해 있다고 할 수 있는 북미지역에서 그것도 캐나다에서의 시장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아직도 성장단계에 있는 유라시아지역의 복제약품시장에 미칠 영향을 미리 예견한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유라시아 국가들은 자체적으로 약품을 개발하고 상용화하기가 아직까지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더불어 다국적 제약회사들의 공격적인 시장진입이나 마케팅활동은 그 어느 때보다도 치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라시아지역의 정부나 정책입안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복제약품시장의 도입 및 대응방안을 미래 생각해볼 수 있다. 즉 복제약품시장의 활성화가 각 경제주체의 사회복리후생 증진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려해 보고, 복제약품시장의 활성화를 장려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It is very common that after patent expirations of original pharmaceutical products (brand products), other pharmaceutical firms enter the market with generic drugs which has the same molecule as the original drugs. For example, in any pharmacies in North America, acetaminophen or ibuprofen, the generic version of Tylenol or Advil, respectively, can be easily found. The generic entry (introduction of chemically equivalent drug) of a brand product significantly lowers the average price of the drugs with the same molecule and thus,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total market size for the molecule increases significantly. However, after the generic entry, brand firms tend to stop spending on detailing, the most common marketing activity of pharmaceutical firms, which is sending their representatives to physicians and explaining the efficacy of drugs, and investments for clinical trials because generic products can free-ride on the marketing efforts of the brand firms. Also, firms producing the competing drugs with similar efficacy, e.g., me-too drugs, can adjust their detailing efforts after the generic entry. Therefore, it is unclear whether the generic entries actually expand the total market for the focal molecule after controlling for the detailing activities of focal firms and competing firms. In this research we try to answer this question by using the Canadian data on drugs in statin class, which is a very popular class of anti-cholesterol drugs. Our estimation results provide policy makers with valuable implications as follows. When a drug is strong, the generic entry seems to increase social welfare so the policy maker should encourage the generic entry. However, when a drug is weak, the generic entry does not seem to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welfare so the policy maker seems to have less incentive to encourage the generic entry. In addition, by observing the generic drug market in Canada, where generic drug market is mature, the generic drug companies and policy makers in Asia, where generic drug market is still growing, can learn the dynamics of generic market development.

      • KCI등재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 및 여가참가의 관계: 생활체육 지도자 연수 참가자를 중심으로

        황선환 ( Sun Hwan Hwang ) 체육과학연구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여가 제약, 협상 및 여가 참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08년 생활체육 지도자 연수생을 대상으로 유의 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300명의 연구대상을 표집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총 255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회의, 패널 조사,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여가 제약, 협상 및 참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가 제약은 여가 참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여가 제약은 개념적 정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여가 참가를 방해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여가 제약 협상은 여가 참가에 강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여가 제약 협상전략은 여가 참가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여가 제약은 협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여가 제약은 협상 전략을 자극하여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협상 전략을 통하여 참가를 촉진 시킨다. 이 연구는 여가 제약이 여가 참가를 감소시키지만, 협상을 유발하여 협상과정을 거치면서 여가 참가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협상은 여가 제약과 참가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 요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To conduct this study, initially a total of 300 respondent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session for instructors of `sport for all`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Finally, out of these respondents, a total of 255 surveys were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e utilized feedback from a panel of exper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scale reliability, Cronbach`s α was determined and analyz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tilized. As a result, the following main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leisure constraint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leisure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it was demonstrated that leisure constraints were factors preventing leisure participation. Second, negotiation strongly and positively influenced leisure participation. It means that negotiation was an important determinant facilitating leisure participation. Third, leisure constraints had positive effects on negotiation. It means that negotiation played a mediator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participation.

      • KCI등재

        자원제약과 혁신 성과, 그리고 혁신 효율성에 관한 연구

        신재호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5

        자원제약과 혁신 성과에 대한 오랜 논의에도 불구하고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혁신은 단순히 성과가 아닌 투입 대비 산출로 계산된 효율성으로 측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자원제약의 영향은 혁신 성과의 차원에서만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제약과 혁신 성과의 관계를 검증함과 함께, 자원 제약과 혁신 효율성의 관계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조업에 속한 1,334개의 기업을 분석에 활용하였으 며, 요인분석을 통해 자본 제약과 역량 제약의 두 자원제약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수행 하여 혁신 효율성의 값을 도출한 후, 혁신 성과와 혁신 효율성을 각각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수행 하였다. 분석 결과 자본 제약과 역량 제약은 혁신 성과와 혁신 효율성에 모두 유의한 음(-)의 영향이 검증되 었다. 또한 자원제약과 혁신 성과, 그리고 자원제약과 혁신 효율성의 관계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투입에 대해 추론하였다. Despite discussions on resource constraints and innovation performance has been vigorous, research has yet to make a consensus.Though studies argue that innovation should be measured with efficiency calculated by ratio of input to output rather than outcome itself, in addition, the impact of resource constraints is discussed only in terms of innovation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verify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constraints and innovation performance,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aints and innovation efficiency. This study utilized 1,334 manufacturing firm data, and established two types of resource constraints (capital constraints and capability constraints) by performing factor analysis. After perform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derive values of innovation efficienc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establishing innovation performance and innovation efficiency as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capital constraints and capability constraints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both innovation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firms’ innovation inputs based on overall relationship among resource constraints, innovation performance, and innovation efficiency.

      • KCI등재

        유동성제약을 고려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 분석

        정용승 ( Yongseung Jung ),김영일 ( Youngil Kim ),김광환(논평),이항용(논평)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19 韓國經濟의 分析 Vol.25 No.2

        본 연구는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성제약에 따른 가구별 소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의 2 경제주체모형을 설정하여 경기변동 관점에서 소비의 변동성과 소비 갭을 살펴보았다. 2000~2016년 기간의 노동패널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유동성자산이 부족한 유동성제약 가구의 비중(20~40%)이 적지 않으며, 이들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추정되었다. 특히 경기하강기에는 유동성제약이 큰 가구의 소비증가율이 비제약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락하였다. 또한 노동패널을 이용해 분석한 우리나라의 유동성제약 가구와 비제약 가구간 소비 갭은 2000년대 이후에 경기역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유동성제약 가구의 소비행태가 우리 경제의 소비 변동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DSGE모형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기존 케인지언들이 강조하는 Keynesian cross 함수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변형된 2 경제주체모형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소비 변동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항구적 기술충격을 도입한 대표적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과 2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 모두 빈도공간(frequency domain)에서 표현한 소비증가율의 스펙트럼은 실제자료에서 나타나는 소비증가율의 ‘L’자형 특징을 설명할 수 없었다. 그러나 Watson (1993)의 RMSAE측면에서는 유동성 제약을 도입한 2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이 대표적 경제주체의 소규모 개방경제 실물경기변동론보다는 다소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시경제모형의 개선과 더불어 경기대응정책 및 경제의 복원력(resilience) 강화를 위해 가계부문의 유동성제약이 갖는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consumption by liquidity constraints using KLIPS data, and builds up a simple two-agent economic model to to examine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gap. According to analysis of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00 to 2016, the proportion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liquid assets (20~40%) was sizable while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of these households was estimated to be high. Especially in economic downturns, the consumption growth rate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constrained. In addition, the consumption gap between households with liquidity-constraints and without the constraints showed a counter-cyclical pattern in the sample period. This suggests that consumption behavior of liquidity-constrained households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consumption volatility of the economy. Next, we examine the consumption fluctuations of Korea through the two-agent economic model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SGE model which is modified to incorporate the Keynesian cross function emphasized by the Keynesians. According to the analysis, both the representative-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with the persistent technology shock and the two-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could not explain the L-shape characteristic of consumption growth rate data in terms of the spectrum of consumption growth rate expressed in the frequency domain. However, in terms of the RMSAE of Watson (1993), the two-agent small open economy real business cycle theory with liquidity constraints is somewhat superior to the representative-agent small open economy business cycl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iquidity constraints of the household secto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acroeconomic models as well a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the economy and macro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 KCI우수등재

        제도의 행위제약성: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공장총량제도를 중심으로

        김윤권 한국행정학회 2009 韓國行政學報 Vol.43 No.2

        본 연구는 공장총량제도를 분석단위로 선정하여 공장총량제도가 행위자(개인, 국내외기업, 지자체 등)에게 부과하는 제약과 이에 대한 행위자의 반응을 규명하여, 제도설계에 있어 제도론적 함의를 도출하고 제도설계의 원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도의 행위제약성은 규범적 제약(제약이 자발적 준수유발), 객관적 제약(객관적 금지규정이 행위 자체를 금지), 주관적 제약(선호를 왜곡시켜 행위 포기), 자율적 제약(행위의 최적시기와 선택범위를 제약)을 적용하여 규명한다. 제도제약에 반응하여 행위자는 자발적 준수와 비자발적 준수, 그리고 자발적 비협조와 비자발적 비협조적인 행위를 취함을 규명한다. 이를 경험적으로 논증하기 위해 공장총량제도가 행위자에게 가하는 네 가지 제약에 따라 행위자는 지방이전, 행위 자체 불가, 사업 포기, 해외 이전이라는 반응을 보임을 분석한다. 제도제약과 행위의 관계를 통해서 도출된 제도론적 함의로는 첫째, 규범적 제약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도설계의 정당성과 정합성 확보, 둘째, 제약의 명료성·일관성·전문성·실현가능성을 확보하여 객관적 제약을 제고, 셋째, 선호나 신념을 왜곡하지 않는 제도설계, 넷째, 행위의 선택 시기 및 범주를 최적화 시키는 제도설계를 제시한다.

      • KCI등재

        여성고령자의 여가제약과 협상전략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姜銀珠),김연희(金娟姬),이희선(李熙善)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4

        본 연구는 기존문헌을 토대로 여가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여가제약과의 인과적 관계 및 협상전략의 매개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세부적으로 여가제약의 하위변수로는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을 구성하여 이들 변수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시간관리, 기술습득, 대인관계, 금전관리와 관련된 협상전략이 매개변수로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서 2013년 10월 7일부터 15일까지 9일간 서울시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자 3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가제약 및 협상전략과 여가만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가제약의 하위변수로서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 및 매개요인으로서 협상전략 모두 여가만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그중 대인적 제약은 직접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은 여가만족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 수준이 높아지면 여성고령자들의 여가만족은 낮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 요인으로서 협상전략과 여가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술습득 협상전략, 금전관리 협상전략, 대인관계 협상전략, 시간관리 협상전략 등과 같은 협상전략은 여가만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여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가제약 요인들을 확인하고 개선하는 것과 더불어 여가제약 요인에 대한 협상전략에 대한 노력을 많이 기울일수록 여성고령자들의 여가만족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여가제약은 여성고령자의 여가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아울러 협상전략 또한 매개변수로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실증적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서 여성고령자들이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구조적 여가제약과 대인적 여가제약, 내재적 여가제약 요인들을 감소시키고, 협상전략을 향상시키는 개인적 노력 및 정책적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variables of elderly women’s leisure constraints(i.e., intrinsic constraint, interpersonal constraint, structural constraint) and negotiation strategies(i.e., negotiation strategy of time management, skill acquisition, interpersonal, mony management) have a direct and/or an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negotiation strategies variables. And also, the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es, the variables of intrinsic constraint and structural constrain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Also the variable of interpersonal constrain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negotiation strategies variables. The negotiation strategies of time management, skill acquisition, interpersonal, mony management as the mediating variable also were found to have direct positive effects on the leisure satisfaction variable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leisure satisfaction were appeared in the order of negotiation strategies (β=.302), structural constraint (β=-.174), and interpersonal constraint (β =.028).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the factors of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strategies as effective and important means to enhance the elderly women’s leisur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y should reflect the relative influence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대학생의 여가생활과 삶의 질: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노력, 생활 만족 간 관계

        이희정,김장현,배일현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life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was taken on a population of 390 university students in Gyonggi province on end of 2015. We used AMOS 22.0 program to accomplish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eople have monetary constraints the more they have negotiation effort. Besides, when highly effort to solve monetary constraints, they have higher satisfaction. Second, there a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netary constraints and non-monetary negotiation effort. Third, monetary constraints has a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non-monetary constraints has a negative impact on monetary/non-monetary constraints.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on-monetary constraints and life satisfaction. But, it was lim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university and the authorities concerned to develop various leisyre constraints solving program. 본 연구는 여가제약요인(금전적 요인, 비금전적 요인), 여가제약 협상노력(금전적 노력, 비금전적 노력),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경기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전적 제약요인이 높다고 판단되면 금전적 여가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협상노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전적 여가제약에 대한 노력의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전적 제약요인과 비금전적 제약협상노력 간에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전적 여가제약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부(negative)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금전적 여가제약 요인이 금전적/비금전적 여가제약 협상노력에 모두 부(negative)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금전적 제약요인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으나 그 유의성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이나 관계당국에 대학생들의 여가제약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여가생활과 삶의 질: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노력, 생활 만족 간 관계

        이희정(Lee Hee jung),김장현(kIM Jang hyun),배일현(Bae Il hyun)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여가제약요인(금전적 요인, 비금전적 요인), 여가제약 협상노력(금전적 노력, 비금전적 노력), 생활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경기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전적 제약요인이 높다고 판단되면 금전적 여가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협상노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전적 여가제약에 대한 노력의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전적 제약요인과 비금전적 제약협상노력 간에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전적 여가제약요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부(negative)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금전적 여가제약 요인이 금전적/비금전적 여가제약 협상노력에 모두 부(negative)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금전적 제약요인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으나 그 유의성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이나 관계당국에 대학생들의 여가제약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life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was taken on a population of 390 university students in Gyonggi province on end of 2015. We used AMOS 22.0 program to accomplish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eople have monetary constraints the more they have negotiation effort. Besides, when highly effort to solve monetary constraints, they have higher satisfaction. Second, there a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netary constraints and non-monetary negotiation effort. Third,monetary constraints has a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non-monetary constraints has a negative impact on monetary/non-monetary constraints. Finally,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on-monetary constraints and life satisfaction. But, it was lim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university and the authorities concerned to develop various leisyre constraints solv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