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치적 책임에 대한 시론적 고찰

        이상협(Lee Sang-Hyeb)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3 No.2

        이 글은 국가의 공적업무나 개별 정책집행의 착오나 실패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의 문제, 즉 정치적 책임의 이론화를 위한 시론이다. 따라서 근대 국가론에서 나타나는 시민과 국가의 규범적 관계를 우선 살펴보고 국가가 가지는 책임 (accountability)과 임무 (obligation)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고찰하였다. 근대 민주주의 국가에서 관료(제)의 역할과 책임이 베버 (Weber)의 국가론을 통해 강조되는데, 관료(제)가 갖는 행정적 책임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과 정치적 책임 (political accountability)에 대한 개념화와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정치적 책임은 대의제의 행태와 통치체계 등 공식적 제도의 배열에 따라 상이하게 규정되거나 분석될 수 있는데, 이때 역사적으로 형성되고 배태된 규범과 가치, 선호와 이데올로기 등과 같은 비공식적 제도들이 향후 비교정치학적 맥락에서 정치적 책임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분석틀임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e theorization of political accountability that occurs in errors or failure of state performance or public policy enact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and and state in modern state theories, at first, and then how the accountability and obligation can appear. According to the Weberian bureaucrats state theory that highlightend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bureaucrats in modern democratic states,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se and presents ananlogy for the administrative accountability and political accountability. It is noteworthy that the political accountability can be analysed and ident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r provision of formal institutions, such as the political system of representative and responsible government behavior. And more importantly, informal institutions such as norms, values and preferences formed by path-dependency machanism, should be emphasised as a useful famework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the political accountability in the comparative political research field.

      • KCI등재

        페미니스트 정의론의 관점에서 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의미와 과제

        이나영(Lee, Na-Yo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젠더와 문화 Vol.11 No.2

        이 글은 일본군 ‘위안부’ 운동에 대한 폄훼와 왜곡이 심각하고 피해당사자들이 돌아가시고 있는 현실에 착목한다. 일본의 아베 정권이 과거 사실을 부인하고 ‘도덕적 책임’이라는 수사로 법적 책임을 회피하며 당사자들이 비존재할 순간을 기다리는 시점에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무엇인가. 기존의 법적/도덕적 책임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피해당사자들의 정신을 계승하고 우리에게 남겨진 책임을 강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필자는 아이리스 영의 정의론을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난국을 돌파하려 한다. 먼저 영의 정치적 책임론의 의미를 파악하고 책임에 관한 연결모델을 통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이해하고자 했다. 그러나 법적인 죄가 추궁당하지 않을 때 정치적 책임의 영역이 오히려 확장되어 왔기에, 법적-도덕적 책임과 연결된 정치적 책임의 층위론적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ct that while the controversy over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still under way and the victims are passing away, there is still serious disagreement and distortion of the situation.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ask what tasks remain for sympathizers and advocates of the victims, when the Abe administration in Japan denies the past and avoids legal responsibility by arguing for ‘moral responsibility,’ as it waits for the relevant parties to die out. How are we to transcend the dichotomy of traditional legal/moral responsibility while upholding the spirit of the victims and emphasizing our own responsibilities?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se difficulties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Iris Young’s justice theory. First, the meaning of Young’s ‘political responsibility’ is explored and the issue of sexual slavery in Japan is investigated through a connection model of responsibility. However, since the domain of political responsibility has been enlarged in the absence of legal criminal action, an alternative stratigraphic model of political responsibility linked to legal-moral responsibility is suggested.

      • KCI등재

        소비자의 정치적 소비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 연구

        박미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2

        정치적 소비는 주로 서구 민주국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최근 연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정치적 소비의 척도구성이나 실증적인 연구에 한계점을 가지며, 국내에서도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치적 소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와 영향력 정도를 규 명하는 연구목적을 갖는다. 광범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인구통계적 특성, 동기(내적동기, 이슈관 심, 소비효능감), 가치(글로벌 친사회성, 보편주의), 정치적 태도(정치적 관심, 정치적 신뢰), 정보활동(정보습 득, 커뮤니케이션, 온라인콘텐츠생산) 변수로 구성하였다. 정치적 소비는 바이콧, 보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로 분류하여 한국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국내척도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국적인 할 당표집 방식의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소비의 전반적 수준은 전체 평균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소비의 영역별 평균점수는 보이콧, 바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의 순이었다. 둘째, 인 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정치적 소비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바이콧, 보이콧은 모든 변수들이 집단 간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담론적 정치적 소비는 학력, 직업이, 라이프스타일 정치에는 결혼여부, 학력, 직업이 유의미 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셋째, 정치적 소비의 각 영역들은 어떤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 한지를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요인은 영향력이 높지 않았고 동기, 가치, 정치적 태도, 정보활 동 관련변수들에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정치적 소비 영역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 온라인콘텐츠 생산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글로벌 사회에서 소비문제 인식 감수 성을 높이고 소비자주권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분석에서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동기의 활성화와 가치 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상호간의 연결과 유대를 중시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와 온라인콘텐츠 생산이 정치적 소비의 전 영역에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결과는 SNS가 성장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이의 활용 이 정치적 소비의 성장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개인화된 책임수용으로도 언급되는 정치적 소비는 정 치의 대체라기보다 보완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버넌스가 필요하다. 끝으로 정부, 기업, 시민사회, 소비자등의 이해당사자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The political consumption is mainly found in Western democracies, and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its study. However, prior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e scale of the political consumption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re's little research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nd identifying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political consumption. Based on the extensive previou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sisted of demographic factors, motivations (intrinsic motivation, issue concerns, consumption efficacy), values(global prosociality, universalism), political attitudes(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and information activities(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online content production). The political consumption was based on the existing scale which was categorized into buycott, bo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nationwide quota sampling, and data was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was above averag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area of political consump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boycott, bu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buycott and boycott.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dditionally, variables of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lifestyle politics. Thir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olitica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 on it were examined. Over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appear to be highly influential, but the related variables of motivation, value, political attitude, and information activity were highly influential. Both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consumption problem in the global society, and to strengthen consumer sovereignty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motivations and cultivate the values,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if it is considered that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which is focused on mutual connec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 utilization of SNS have a big implication to the growth of political consumption with the recent trend of SNS growth. Political consumption, also referred to as individualized responsibilitytaking can be viewed as a complementary aspect rather than a substitute for politics, and various governances are required for political consumption. Finally, it suggested the proposals for stakeholders such as the government, business, civil society, and consumers,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hat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책임론적 화해’를 넘어서 — ‘한일화해3.0’을 위한 철학적 토대 —

        박홍규,조계원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1 일본사상 Vol.- No.41

        이 글의 목적은 한일 역사화해가 지체 혹은 역행하고 있는 원인 중 하나를 ‘책임론적 화해’ 관점이 지니는 한계에서 찾고, ‘포용론적 화해’ 관점에서 ‘한일화해 3.0’을 위한 철학적 토대를 모색하는 것이다. ‘사죄와 용서의 정치’를 통한 ‘책임론적 화해’는 화해를 정치적 공간에서 지속되는 과정으로 바라보는 정치적 책임에 기초한 관점이다. 그러나 한일 관계에서 ‘사죄와 용서의 정치’에 기초한 화해는 정치적 책임이 아니라 법적 책임이 중심이 됨으로써 오히려 정치적 공간을 축소하고, 화해 과정을 가로막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글은 ‘포용의 정치’를 통해 중단된 화해 과정을 복원시키고,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의 치유를 통해 보다 깊어진 관계로 나아가야 할 시점에 와 있음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ne of the causes of the delay or reversal of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limit of the viewpoint of ‘responsible reconciliation’ and to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Korea-Japan historical reconciliation 3.0’ in terms of ‘inclusive reconciliation’. Responsible reconciliation through ‘politics of apology and forgiveness’ is based on political responsibility that sees reconciliation as a process that continues in political space. However, reconciliation based on ‘politics of apology and forgiveness’ in Korea-Japan relations has resulted in reducing the political space and blocking the reconciliation process by focusing on legal responsibility, not political responsibility.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time to restore the reconciliation process through ‘politics of embrace’ and move on to a deeper relationship through the healing of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 입법적 책임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시론적 논의

        모준성(Junseong MO) 경인교육대학교 입법학센터 2022 입법과 혁신 Vol.1 No.-

        이 글은 입법자가 헌법에 따라 부담해야 하는 입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시론적 논의로서, 입법적 책임의 구조와 특수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입법적 책임은 법규범 중 하나인 헌법이 입법자에게 부과하는 의무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 책임으로 정의내릴수 있으며, 따라서 입법적 책임을 규범적 책임과 헌법적 책임의 하위개념으로 볼 수 있다. 입법적 책임의 구조와 특수성을 탐색하기 위해 입법적 책임의 근간인 규범적 책임의 기본구조와 본질, 그리고 헌법적 책임의 특수성을 전제적으로 살핀다. 헌법이 입법자에게 부과하는 입법적 의무가 존재하기 때문에, 입법적책임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헌법적 특성으로 인한 헌법적 책임의 특수성과 입법의 특성으로 인한 입법적 책임의 특수성은 입법적 책임을 실현시키는 데 난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외부환경의 복잡성에 전면적으로 노출된 개별적 입법자에게 기대불가능한 의무를 부여할 수 없다는 점, 입법적 의무 위반을 규범적으로나 사실적으로나 판정하기 불가능하다는 점은 입법적 책임을 무제한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제한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입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입법적 의무위반의 위험을 가능한 한 낮출 수밖에 없다. 즉 구체적인 입법절차 혹은 입법적 산출물이 입법적 의무에 위반되었는지 사후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입법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입법적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한다. 이는 입법적 책임을 명목상 책임으로 남겨두거나 오로지 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으로 실현하는 것을 방지한다. 입법적 의무위반의 위험을 낮추는 방식은 예컨대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시에 반드시 지켜야할 별도의 의무로서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적 선택시에 판단의 근거로 삼았던 모든 정보와 판단의 이유를 문서화하여 공개하는 것이다. 이는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 적 의무위반의 책임을 면책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discussion for practically realiz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that legislators have to bear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aim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the particularities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Legislative responsibility can be defined as a comprehensiv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obligations imposed on legislators by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articularities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the basic structure and essence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and the particularities of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are examined preconditionally. Since there are legislative obligations that the Constitution imposes on the legislator, it can be said that legislative responsibility also exists. However, the particularities of the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due to the 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ularities of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due to the legislative characteristics act as a difficulty in realiz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s also limited because of the inability to impose unsatisfiable obligations on individual legislators who are fully exposed to the complexity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normatively and factually impossibility of determining violations of legislative obligation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actically realize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preemptively reduce the risk of violation of the legislative obligations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rather than ex post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legislative procedure or legislative output violates the legislative obligations, a preemptive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to minimize the risk of violating the legislative obligation in the course of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avoids leav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as a nominal responsibility or realizing it solely as a political responsibility by the people. A way to reduce the risk of violation of legislative obligations is, for example, to document and disclose all information and reasons on which individual legislators base their judgments when making legislative choices. This not only improves the political responsibility by the people, but can also function as a means for individual legislators to be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for violations of legislative obligations.

      • KCI등재

        철도산업의 책임성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이상철 대한지방자치학회 2017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의존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철도환경변화에 적절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철도산업이 어떤 책임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지를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책임성의 유형을 관리적 책임성, 수직적 책임성, 정치적 책임성, 고객적 책임성, 사회적 책임성의 5가지 책임성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를 26개의 책임성 하위요소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철도산업의 이해관계자인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SRT,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유형화한 책임성 요소들의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분석을 통하여 책임성 영역과 책임성 요소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철도관련 이해관계자들은 철도산업이 사회적 책임성과 고객적 책임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특히 지역사회발전 기여, 사회적 약자의 보호, 고객친절도, 고객의견수렴을 중요한 책임성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경우 다른 집단들과 차이를 보였는데, 수직적 책임성과 정치적 책임성을 상대적으로 중요한 책임성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책의 반영도, 경영합법성, 국정감사의 합리성 등을 중요한 책임성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ich type of accountability the railway industry should focus 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railway environment appropriately and promptly. Based on the resource dependency theory, the study classified the accountability into four types: managerial accountability, vertical accountability, political accountability, customer accountability, and social accountability. Furthermore, they were categorized into 26 detailed accountability elements. Additionally, a survey on the importance of these accountability elements was conducted to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SRT, and an expert group, which are stakeholders of the railway industry. The accountability areas and importance and priority among elements were analyzed by employing AHP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akeholders of the railway industry considered social accountability and customer accountability as important factors. Particularly,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y recognized that contribu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protection of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customer kindness, and customer feedback were the most important accountability elements. However,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revealed different results than other sample groups. It considered vertical accountability and political accoun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accountability characteristics and policy reflectance, the legitimacy of management, and the rationality of government audit as the most important accountability elements.

      • KCI등재

        미래지향적 책임과 과거지향적 책임의 구분에 대하여 : 아이리스 영의 사회적 연결 모델에 대한 고찰

        서원주 한국여성철학회 2021 한국여성철학 Vol.36 No.-

        정치철학자 아이리스 영(Iris Young)은 사회구조적 부정의에 대해 행위자들이 책임을 갖고 개입하기 위해서는 그저 개인 행위자의 관점에서만 책임을 묻는 게아니라 구조적 관점에서 책임을 구상하는 모델이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영은 이러한책임 모델을 “사회적 연결 모델(social connection model)”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제기되는 책임의 형태인 ‘정치적 책임’은 (영이 “법적 책임(liability) 모델”이라고 명명하는) 기존의 개인적-원자론적인 책임과 크게 5가지 측면(책임의 고찰 방법, 대상, 방향, 주체, 실현방식)에서 대비된다. 본고에서 나는 사회적 연결 모델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점으로 간주되는 미래지향적책임과 과거지향적 책임 사이의 구분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영에 따르면, 기존의 도덕적책임은 과거 행위에 대한 비난 혹은 처벌에 초점을 맞춰왔으나, 부정의한 사회구조적과정에 대해 이러한 비난중심적 접근은 유의미하지 않다. 따라서 정치적 책임은 과거의개별 행위를 비난하거나 처벌하는 대신, 이 부정의한 상태를 개선하는 미래지향적 방향에 중점을 둔다. 영의 이 구분은 사회적 연결 모델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핵심적인 논쟁지점이 되어왔는데, 대표적으로 『정의를 위한 책임』 서문에서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은책임의 두 방향성에 대한 구분이 유지될 수 없다는 반론을 제기한다. 두 책임성은 서로얽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를 개념적으로 엄밀하게 구분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것이다. 더욱이 비난성이라는 요소를 책임에서 제거할 때, 이와 같은 의미에서의 책임은매우 무력해진다는 반론이 제시된다. 우리는 누스바움의 비판 및 유사한 비판적 논의를추가로 살펴본 뒤, 사회적 연결 모델을 방어하는 입장에서 이 비판들에 답변을 모색할것이다. 이 답변은 구조적 과정 속에서 책임이 발생하는 근거와 의미를 재확인하고, 이를 통해 행위자들에게 정치적 책임이 어떻게 주어지는가를 해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KCI등재

        아이리스 영의 정치적 책임에서 주체의 문제: 사회구조적 부정의에의 참여는 책임의 필요충분조건인가?

        서원주 철학연구회 2023 哲學硏究 Vol.- No.143

        본문에서는 정치철학자 아이리스 영의 사회적 연결 모델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책임의 주체 문제를 논의한다. 영은 사회구조적 부정의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정치적 책임을 공유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부정의에의 참여라는 조건이 정치적 책임의 조건이라는 원칙, 즉 ‘한정 원칙(limiting principle)’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나는 마티아스 군네미르가 한정 원칙에 대해 제기하는 비판, 즉 구조적 부정의에 대한 참여는 정치적 책임의 충분조건도 필요조건도 되지 못한다는 비판을 상세히 검토하고, 이에 대해 영의 입장에서 가능한 답변을 모색한다. 이때 답변의 핵심은 구조적 부정의를 그저 개인이 아닌 사회 집단 층위에서 관찰, 서술하고 구성원들이 이에 대해 책임을 지는 데 있다. 이처럼 집단적으로 확장된 책임 원리는 사회구조적 참여가 정치적 책임의 필요조건임과 동시에 충분조건임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In this article, I deal with the agen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hat arises from Iris Marion Young’s social connection model. Young argues political responsibility is to be shared by all the participants of unjust social structure to challenge the process. I examine in detail Mattias Gunnemyr’s criticism against Young, and seek a possible answer from Young’s point of view. The key to the answer is to observe and describe structural injustice at the scope of social groups, not just individuals. This modified principle of responsibility explains that social structural participation is both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politic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생활과 윤리』내 ‘책임’ 개념의 보완을 위한 제언 - 한나 아렌트(H. Arendt)를 중심으로 -

        권미정 ( Kwon¸ Mi-jeong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개의 핵심 가치 중 책임의 학문적 근거를 강화하고, 『생활과 윤리』서술에서 정치적 책임에 대한 보완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바, ‘삶의 의미 물음’을 온전히 담아 내기 위해서는 정의로운 공동체를 지향하는 시민의 삶에서도 책임을 다루어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를 분석해보면 공동체의 책임, 특히 과거 사안에 대한 정치적 책임 이행을 소홀하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정치적 책임 이행을 강조하는 한나 아렌트의 사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Ⅱ장에서 교과서를 분석하고, Ⅲ장에서는 아렌트의 책임 개념이 갖는 특징이 무엇인가를 설명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아렌트의 책임 개념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아렌트의 정치적 책임 개념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접근이 요구되는가에 대하여 제언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 academic basis of responsibility among the four key-values presented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propose supplementary points for political responsibility in description of the "Life and Ethics". As the curriculum reveals, in order to fully capture the question on ‘the meaning of life’, responsibility must also be dealt with in the lives of citizens who aim for a just community. However analyzing textbooks, they tend to neglect the community's responsibility, especially the implementation of political responsibility on past issues. In dealing with responsibility Hannah Arendt's ideas need to be noted in order to include the political responsibilities required in civil life. To this end, Chapter II will analyze textbooks, and Chapter IⅢ will explai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rendt's responsibility concept. Chapter Ⅳ will discuss how Arendt's concept of responsibility can complement the content elements of the textbook. Finally, chapter Ⅴ will suggest what kind of approach is required for Arendt's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o be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지역문제와 한국 자유주의적 개혁 세력의 분열

        나종석(Na, Jongseo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2

        이 글은 호남의 국민의당 지지로 표출된 한국 자유주의 개혁 세력의 분열/분화의 원인을 지역문제와 관련하여 좀 더 역사적인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제기되는 핵심 주장은 다 음과 같다. 1) 노무현(및 ‘친노’로 불리는 노무현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정치세력)은 한국 자유주의 개혁 세력의 분열과 위기를 초래하는데 커다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 2) 그런 분열은 어떤 특정한 정책적 내지 정치적 결정의 오류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참여정부 5년 동안 지속적으로 내려진 여러 잘못된 정치적 결단의 누적된 결과를 배경으로 하여 출현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3)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많은 지식인과 한국인들은 노무현을 자유주의 개혁 세력의 대표적 지도자(혹은 김대중과 더불어 대표적 지도자의 한 사람)로 간주하지만 그것은 상당부분 한국사회의 고질적 병리적 현상 중의 하나인 호남차별 및 반김대중 정서에 기반하고 있다. 4) 노무현이 한국 자유주의 개혁 세력의 분열과 위기를 초래한 데에는 그의 정치적 무책임과 무능력에 기인했던 것이지만, 그가 정치적으로 무책임한 결정을 내리게 된 근본 요인은 한국사회의 기본적 문제 중 하나인 지역문제, 달리 말하자면 호남지역 차별의 문제에 대한 불충분하고 잘못된 인식으로 인한 것이다. 5) 노무현의 죽음 이후 노무현에 대한 애도에서 많은 개혁성향의 노무현 지지자들은 보수 기득권 세력의 프레임 설정 능력을 과도하게 해석하면서 정치적인 행위자로서의 노무현의 정치적 결정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점은 더불어민주당으로 대변되는 한국 자유주의 개혁세력의 자기 성찰을 방해하여 더 나은 개혁 정치를 향한 노력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vision of Korean liberal reformist forces and regional antipathy, as revealed by Jeolla Province’s staunch support for The People’s Party. The thesis will present the following propositions. 1)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and the pro-R oh faction, a political body that unconditionally supports Roh) is politically liable for bringing about infighting within Korean liberal reformist forces. 2) This division was not a direct result of a specific policy nor political decision – rather, it was born from accumulated policy faux pas and their repercussions that had built up in the five years of Participatory Government. 3) Roh is widely recognized as a key liberal reformist among scholars and the general public, but that perception is actually based on inaccurate misconceptions and regional antipathy against Jeolla Province and anti-Kim, Dae-jung sentiments, an open sore of the Korean psyche. 4) Roh’s political irresponsibility and incompetence may be at blame for the division of Korean liberal reformist forces and its crisis, but the core reason for his dearth of political responsibility is his myopic and partisan perception of regional antipathy, i.e., discrimination against Jeolla Province. 5) Following his death, Roh’s supporters have exaggerated the conservative ruling party’s ability to set the playing field, thereby downplaying Roh’s political responsibility. This oversight works to prohibit Korean liberal reformist forces – best represented by The Minjoo Party -- from self-reflection and works as headwind against the maturation of Korea’s political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