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정치적 소비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 연구

        박미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2

        정치적 소비는 주로 서구 민주국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최근 연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정치적 소비의 척도구성이나 실증적인 연구에 한계점을 가지며, 국내에서도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치적 소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수와 영향력 정도를 규 명하는 연구목적을 갖는다. 광범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인구통계적 특성, 동기(내적동기, 이슈관 심, 소비효능감), 가치(글로벌 친사회성, 보편주의), 정치적 태도(정치적 관심, 정치적 신뢰), 정보활동(정보습 득, 커뮤니케이션, 온라인콘텐츠생산) 변수로 구성하였다. 정치적 소비는 바이콧, 보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로 분류하여 한국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국내척도를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전국적인 할 당표집 방식의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소비의 전반적 수준은 전체 평균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소비의 영역별 평균점수는 보이콧, 바이콧, 담론적 정치적 소비, 라이프스타일 정치의 순이었다. 둘째, 인 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정치적 소비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바이콧, 보이콧은 모든 변수들이 집단 간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담론적 정치적 소비는 학력, 직업이, 라이프스타일 정치에는 결혼여부, 학력, 직업이 유의미 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셋째, 정치적 소비의 각 영역들은 어떤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력은 어떠 한지를 알아보았다. 전체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요인은 영향력이 높지 않았고 동기, 가치, 정치적 태도, 정보활 동 관련변수들에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모든 정치적 소비 영역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 온라인콘텐츠 생산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글로벌 사회에서 소비문제 인식 감수 성을 높이고 소비자주권과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분석에서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동기의 활성화와 가치 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상호간의 연결과 유대를 중시하는 사회적 동일시 동기와 온라인콘텐츠 생산이 정치적 소비의 전 영역에 유의한 영향변수로 나타난 결과는 SNS가 성장하는 최근의 추세에서 이의 활용 이 정치적 소비의 성장에 주는 함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개인화된 책임수용으로도 언급되는 정치적 소비는 정 치의 대체라기보다 보완적인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버넌스가 필요하다. 끝으로 정부, 기업, 시민사회, 소비자등의 이해당사자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The political consumption is mainly found in Western democracies, and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its study. However, prior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e scale of the political consumption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re's little research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nd identifying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political consumption. Based on the extensive previou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sisted of demographic factors, motivations (intrinsic motivation, issue concerns, consumption efficacy), values(global prosociality, universalism), political attitudes(political interest, political trust), and information activities(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online content production). The political consumption was based on the existing scale which was categorized into buycott, bo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nationwide quota sampling, and data was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was above averag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area of political consump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boycott, buycott,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nd lifestyle politics.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litical consum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buycott and boycott. The variables of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discursive political consumption. Additionally, variables of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occup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lifestyle politics. Thir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politica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 on it were examined. Over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appear to be highly influential, but the related variables of motivation, value, political attitude, and information activity were highly influential. Both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consumption problem in the global society, and to strengthen consumer sovereignty and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motivations and cultivate the values,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if it is considered that social-identification motivation which is focused on mutual connection and online content production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areas of political consumption, the utilization of SNS have a big implication to the growth of political consumption with the recent trend of SNS growth. Political consumption, also referred to as individualized responsibilitytaking can be viewed as a complementary aspect rather than a substitute for politics, and various governances are required for political consumption. Finally, it suggested the proposals for stakeholders such as the government, business, civil society, and consumers,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hat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TV 메인뉴스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치적 성향, 뉴스 시청동기, 채널 브랜드자산을 중심으로-

        김지수 ( Jee Soo Kim ),최양수 ( Yang Soo Choi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1

        본 연구는 종합편성채널 등장 이후 TV 메인뉴스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경쟁이 증가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연령 변인과 함께 정치적 성향, 뉴스 시청동기, 채널 브랜드 자산이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연령별 할당 표집을 통해 20세 이상 성인남녀 3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연령은 KBS 1,채널A, TV조선, MBN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보수적 정치성향은 지상파 3사와 TV조선 메인뉴스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뉴스 프로그램 시청 동기 중 ‘유사한 견해 추구 동기’와 ‘다양한 견해 추구 동기’는 종편 4개 채널 뉴스 시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시청 동기는 7개 채널 뉴스 시청에 차별적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채널 브랜드자산은 모든 채널에서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령, 정치적 성향, 시청동기, 채널 브랜드자산이 메인 뉴스 시청에 미치는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채널 브랜드자산이 압도적으로 큰 설명력을 보였다. 브랜드자산 변인 중 JTBC에서만 채널인지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고 그 외 6개 채널에서는 채널 충성도가 메인뉴스 시청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시청자가 뉴스 프로그램을 선택할 때 개별 뉴스 프로그램의 특성(프로그램 단위의 선택)보다는 자신이 친숙하고 좋아하는 채널(채널 단위의 선택)의 메인뉴스를 시청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중 회귀분석결과 JTBC만이 ‘차별화된 뉴스 추구 동기’, ‘유사한 견해 추구 동기’가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JTBC를 제외하고는 시청동기 변인의 설명력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인뉴스 시청은 일상적이고 반복적이며 의례적인 행위로 일종의 시청관성(viewinginertia)에 따라 메인뉴스를 시청한다고 이해할수 있다. 연령은 MBC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치적성향은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인식과 차이가 나는 이러한 결과는 연령과 정치적 성향이 채널 브랜드 자산을 경유하여 해당 채널의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후속 연구의 면밀한 검토를 요구한다. 본 연구는 종합편성채널 도입 이후 뉴스 프로그램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정치적 성향의 측정도구를 정교화하고, 종편 메인뉴스와 시사프로그램을 구분하여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뉴스 시청자를 확보하기 위해 채널 브랜드 자산 관리의 중요성을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서 실무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viewership of 3 terrestrial and 4 cable networks’ main news. It hypothesizes that political orientations, news viewing motivations, and perceived brand assets of 7 channels would have impacts on the news viewership. In order to obtain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and research hypothese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322 men and women more than 20 years old. The results of correlations indicate that while ag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iewership of KBS1, Channel A, TV Chosun, and MBN, conservative orienat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iewership of 3 terrestrial networks and TV Chosun. Motivations of ‘similar opinion’ and ‘diverse opinion’ are correlated with the viewership of 4 cable networks. All brand asset variables are posively correlated with all channels news viewing. On viewership of main new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e models explained ranging from 42%(SBS) to 73%(MBN) of variances. Brand asset variables have strong effects on the viewership and most of age, political orientations, and viewing motivations’ effects disappeared in the final stage of the models. Th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viewers rely on the image of a channel rather than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news program, when they choose and watch TV main news. JTBC distinguished itself as it attracts the viewers with liberal orientation, with high channel awareness and with the motivations of ‘trustworthiness’ and ‘different news content.’ The authors propose that future stud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distinguishing current affair programs and main news on cable networks.

      • KCI등재

        신앙인의 ‘정치적 투신’과 ‘종교적 동기’

        김녕(Kim Ny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8

        이 글은 정치적 대의(大義)를 위해 스스로를 던져 버린 신앙인 안중근과 장면의 정치적 투신(投身)과 종교적 동기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신앙인의 정치적 투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행동에 대한 “구조적 구속”을 강조하는 구조적(構造的, structural) 설명과 “행위자의 상대적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원적(自願的, voluntaristic, 의지를 행위의 근본 원리로 봄) 설명만으로는 부족하고, ‘종교적 동기’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을 주장하였으며, ‘종교적 동기’로는 구조적 요인으로서의 ‘교회적 요인’과 자원적 요인으로서의 ‘신앙적 요인’에 주목하였다. 그 ‘교회적 요인’으로는 교회-국가 관계 및 안중근 혹은 장면이라는 신앙인의 교회와의 관계 내지 대(對) 교회 관계를 살펴보았고, ‘신앙적 요인’으로는 스스로의 신앙과 정치 투신을 합일시키는 신앙관 내지 소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교회와의 관계에 있어서 ‘순명’을 택한 장면의 경우와 ‘저항’을 택한 안중근의 경우를 대조해 보았으며, ‘순명의 신앙’과 ‘저항의 신앙’, 둘 다 신앙인으로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종교가 지닌 ‘상대적 자율성’에 비추어 볼 때, ‘종교적 동기’, 특히 ‘신앙적 요인’은 ‘상대적 자율성’을 지니기에 제도 교회와의 관계라는 구조적 요인 혹은 구조적 제약으로부터도 상대적으로 자율적일 수 있으며, 그렇기에 더욱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신앙인의 정치적 투신이 더욱이 신앙에 입각한 순국(殉國)까지도 추구하는 경우라면, 그 동기는 순교(殉敎)의 경우만큼, 그 어떤 요인들로부터도 자율적이고 가장 강력할 것이기에 ‘종교적 동기’에 대한 고찰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신앙인이라면 흔히 제도적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제도 교회와의 관계에도 얽매이지 않아야 할 것이며, 이데올로기도 초월하여, “천주께 대한 진정한 충성”을 오롯이 지향하는 그러한 신앙을 지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commitment and religious mo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Ahn Jung Geun, a respectable national patriot, and John Myeon, the prime minister of the Second Republic of Korea. It maintains that neither structural determinism nor voluntarism seems to be sufficient to explain the political commitment of these Catholic believers. It further points out that political commitment or political actions are not always motivated by political concerns per se, and that religious motives deserve careful attention, as are the cases with Ahn Jung Geun, a Catholic who assassinated Ito Hirobumi, and John Myeon, a statesman who seemed to have been born a Catholic priest or a Catholic educator, instead of being a politician. This article goes on to analyze religious motive into two parts, i.e., church factors, and faith factors, and shows that both the strong disobedience of Ahn Jung Geun to the Church’s policy of disengagement from politics and the sincere obedience of John Myeon to the Church’s call for working for the Church’s interests were largely motivated by their religious conviction. It further argues that faith factors sometimes outweigh church factors, thus motivating believers either to resist the Church’s policy or to respect it unconditionally at any cost. Faithful believers are those who can die a martyr in the cause of independence or democracy of their nations, if only they have conviction that it is the will of God. Thus, we can say that what matters most is the faith of believers, and that it deserves particular attention when analyzing political actors whose conviction seems to be rooted in religious faith, rather than political desire.

      • KCI우수등재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행태에 관한 실증 분석: 불편부당성, 정치적 대응성, 정치적 책임성을 중심으로

        김다니 ( Kim Danee ),정윤진 ( Jung Yunjin ),임도빈 ( Im Tobin )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4

        그동안 정치적 중립성은 상반되거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왔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정치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정치적 중립을 논의함에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행태를 불편부당성, 정치적 대응성, 정치적 책임성 등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제시한다. 불편부당성으로서의 정치적 중립은 정치적 상관이 누구이든 상관없이 동일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 정치적 대응성으로서의 정치적 중립은 정치적 상관의 명령을 자신의 신념과 같이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정치적 책임성으로서의 정치적 중립은 정치적 상관의 명령을 자신의 공익관에 비추어 판단하고 나아가 저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정치적 인사개입과 공공봉사동기, 개인의 정치적 성향 등이 정치적 중립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정치적 중립성 개념 발전 뿐만 아니라 실증연구를 통해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Political neutrality has often been used with conflicting meanings by different researchers and in different cases due to conceptual ambiguity. The political use of the term has added to the confusion in discussing political neutrality. Based on an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divide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civil servants into three dimensions: unbiasedness, political responsiveness, and political responsibility. Political neutrality as unbiasedness means maintaining the same attitude regardless of who the political superior is. Political neutrality as political responsiveness means taking orders from the political superior as one's own beliefs. Political neutrality as political responsibility means actively reflecting on and judging orders from superiors in the light of one’s own sense of public value. Our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political personnel interventi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olitical orientation wer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neutrality. This suggests that civil servants can serve as the last resort for the protection of the public interest in a society of "political excessiveness." Finally, this study seeks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resea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political neutrality.

      • KCI등재

        Tweeting Politics -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motivations for Twitter use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in South Korea

        Daekyung Kim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7 N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트위터가 일상생활에서 소통과 관계의 주요한 도구로 대중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선거 공간에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동기들과 어떠한 변인들이 트위터 이용 동기를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6월 2일에 있었던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292명의 트위터 이용자들이 참여했다. 연구과제로는 첫째,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트위터를 이용한 동기에 대해서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이용 동기들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정치 이용자들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보다 더 트위터에 의존을 하여 선거 관련 뉴스와 정보를 습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거기간 동안 트위터를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들은 세 가지 주요한 동기들-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편의/오락, 사회적 유용성-을 나타냈고,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트위터 의존과 정치적 행위 간의 유의미하고 정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변인 중에는 나이, 성별, 그리고 가구 수입이 유의미한 변인들이었고, 신문 구독은 트위터의 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동기에 대한 부정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하게는, 트위터 의존과 정당 지지 강도가 트위터의 사회적 유용성 동기를 예측하는 유의미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거 기간 동안에 정치적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트위터가 유용한 토론의 장으로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트위터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서 본 연구는 앞으로 트위터가 정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nfluences of Twitter during the local election held on June 2 2010 in South Korea. First,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s for why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were using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and then explored what factors could predict the motivations for using Twitter. An online survey of 292 politically motivated Internet users in this study identified three primary reasons for accessing Twitter: political surveillance/information-seeking, convenience /entertainment, and social utility. Correlation analysi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itter reliance and political behavior,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both Twitter reliance and strength of party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utility motives for accessing Twitter, which may indicate the discursive nature of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both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witter as a political communication tool. Based on those findings, discussion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followed.

      • KCI등재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결정요인 연구 : 정치적 동기설을 중심으로

        문장권 세종연구소 2018 국가전략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motives played the primary determinants in the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For that purpose, though it is ver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North Korea's real motives and intentions to develop the nuclear, the previous studies have not given enough explanations about their motives, because they have taken their approaches largely from the broad prospective. The results from trying the test in the logical way by putting it in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are as follow ; The determinants of the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included the political motives in primary, beside which security and economic motives played the secondary determinants. Specifically, the political motives played the primary determinants in the NK's nuclear policy in the post Cold-War. In each period, NK decided their nuclear policies under the objects of 'sovereignty protection' , 'sovereignty reinforcement', and then 'sovereignty stabilization', which means that in the last 1st, 2nd, and 3rd NK nuclear crisis the political motives affected their decisions as the critical variables. 본 글은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결정요인중 정치적 동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탈냉전 이후 북한의 핵정책은 정치적 동기요인이 주된 결정요인이며, 이러한 핵정책은 북한의 대내외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핵심 정책수단이다.”는 가설을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전개과정에 대입시켜 논리적으로 검증을 시도하였다. 기존연구에서 탈냉전기 북한의 핵정책 결정에 있어 정치적 동기가 주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는 가설로는 북한의 핵정책 관련 인식과 행위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며, 정치적 동기가 주된 결정요인이라는 논리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탈냉전기 북한 핵정책의 주된 결정요인으로 정치적 동기가 작용하였으며, 각 시기별로 북한은 ‘자주권 수호’ → ‘자주권 강화’ → ‘자주권 공고화’ 라는 목표 하에 핵정책을 결정했다. 다시 말해 북한은 지난 제1·2·3차 북핵위기 시핵정책 결정에 있어 정치적 동기가 핵심 변수로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동학이 세외수입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Kim Jung so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2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은 지방재정에서 세외수입이 갖는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실행가들뿐 아니라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지방세외수입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세외수입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동기와 환경이라는 정치적 동학을 중심으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지방세외수입 증감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동기가 지방세외수입과 징수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자치단체가 처한 정치적 환경 역시 지방세외수입과 징수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단체장의 정치적 동기와 정치적 환경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정치적 환경인 지역장악력이 단체장의 이념 성향의 효과를 좀 더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인 세외수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주의 정당 경향을 약화할 수 있는 선거제도개선 등이 요구된다. In recent years, local autonomous entities have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ocal tax revenue, not only among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s but also among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income.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political motives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environme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local tax revenue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motivation of the heads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cal tax revenue and the collection rate. Second,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cal income and collection rate. Finally, analyz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olitical motivation and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it is found that the political environment, the territorial governance, amplifies the effect of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self-funded income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which can weaken the tendency of localism parties.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이병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젊은 층의 정치참여행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 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치적 관심 및 이용, 그리고 정치효능감 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우선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정치참 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사회적 관계, 즉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타인과의 의견 교류를 추구할수록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정치적 관심은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 과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 어 이용자들이 정치에 관심이 높을수록 소셜미디어를 정치적인 측면에서 이용하고, 자 신의 정치적 행위가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신념 정도인 정치효능감, 그리 고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은 정 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를 정치적 으로 이용할수록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media users. Total of 321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se of motive in social media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political interest of social media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influenced positively on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정치 팟캐스트 이용의 예측 요인 탐구 : 미디어 이용, 팟캐스트 이용 동기, 정치적 성향, 정보 신뢰성을 중심으로

        이창호,이재국,정낙원,유효선,진보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62

        본 연구는 시사 및 정치 관련 뉴스 팟캐스트 이용과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팟캐스트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이용, 팟캐스트 이용 동기, 정치적 성향, 정보 신뢰성, 뉴스 팟캐스트 이용량을 조사하였고, 특정한 정치 팟캐스트 이용 정도도 측정하였다. 그 결 과 전반적인 정치 팟캐스트 이용에는 뉴스 팟캐스트 이용 시간, 정보추구 동 기, 대안언론 동기가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오락 동기 는 정치 팟캐스트 이용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많이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치적 관심과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 정보 추구 동기, 뉴 스 팟캐스트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반면에, <신의한수> 이용에는 보수적 인 정치적 성향과 신문, 텔레비전, 소셜미디어 이용, 오락 동기가 정적인 영향 력을 보였다. 뉴스 팟캐스트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정치적 성향과 <김어준의 뉴스공장> 이용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지만 <신의한수> 이용을 매 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치 팟캐스트 이용을 예측 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진보적 또는 보수적 정치 팟캐스트 이용자들 의 차별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how political podcast use is related to media use, motivations of podcast use, political orientation, and information credibility. Analyses of survey responses from podcast users (N = 1,000) reveaed that news podcast use time and motivations of information seeking and alternative function of pr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olitical podcast use. However, entertainment motiv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t. The predictors of using <Kim Eo-Jun’s News Factory>, well known as a liberal podcast, were political interest, being politically liberal, motivation of information seeking, and credibility of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ose who were politically more conservative tended to use more <Shine Hansoo>, well known as a conservative podcast. Also, using newspaper, TV, and social media for news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using <Shine Hansoo>. In addition, credibility of information on news podcas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use of <Kim Eo-Jun’s News Factory> only. Thes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litically liberal and conservative podcast users in terms of media use, motivation, and credibility.

      • KCI등재후보

        소셜미디어의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집단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이병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0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젊은 층의 정치참여행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치적 관심 및 이용, 그리고 정치효능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우선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사회적 관계, 즉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타인과의 의견 교류를 추구할수록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정치적 관심은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과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정치에 관심이 높을수록 소셜미디어를 정치적인 측면에서 이용하고, 자신의 정치적 행위가 정치적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신념 정도인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은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셜미디어를 정치적으로 이용할수록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의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media users. Total of 321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se of motive in social media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Second, political interest of social media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using social media with political purpose influenced positively on political efficacy and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