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연구로의 질적 전환: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를 사례로

        서근원,이미종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youth identity studies from quantitative things to qualitative on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to determine what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es properly, including youth identity studies. According to Erickson (1968), Identity is a psychological social phenomenon that has properties of uniqueness, sameness, and persistence. Most of psychologists regarded identity as a reality in the individual’s mind and tried to explain the rules of identity by scientific research method. But the method could not make them comprehend the unique identities of individuals. For this reason, some psychologists have recently been trying to redefine concept of identity as a narrative recently. And they are trying to research the identity by narrative research method. It is an appropriate attempt to study identity as a psychological social phenomenon presented by Erickson. But they do not draw an entire picture of participant's unique identity because of their scientific research approach. This means that still there have not yet been any established methods suitable for researching narrative identity. To adequately study the identity as narr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with research subjects. Narrative identity inquiry can be an appropriate alternative. The transitional way to qualitative research is in field, not in book. 본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정체성의 개념과 연구 방법이 양적인 것으로부터 질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가는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청소년 정체성 연구를 비롯하여 여타 분야의 질적연구가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릭슨(Erickson, 1968)에 따르면 정체성은 심리사회적 현상으로서 고유성, 동일성, 지속성의 속성을 가진다. 심리학계에서는 그러한 정체성이 개인의 내면에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간주하고, 그것을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의해서 법칙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각 개인의 고유한 정체성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런 이유에서 근래에 이르러서 일부 연구자들이 정체성을 내러티브로서 재정의하고,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 방법으로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것은 에릭슨이 제시한 심리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적절한 시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내러티브로서의 정체성을 과학적인 논리를 기반으로 연구함으로써 각 개인의 정체성을 충실하게 밝혀내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내러티브로서의 정체성을 적절히 연구하려면 연구 방법이 연구 대상에 일관되어야 한다.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가 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질적연구로의 전환은 언어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질적연구는 글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깨닫는 것이다.

      • KCI등재

        이봉창 전기를 활용한 자아정체성 탐구 학습

        박찬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역사교육에서 정체성을 다루는 것은 민감한 사안이지만, 그것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 학교 역사교육에서 정체성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고 해도, 정체성은 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기반으로 작동한다. 역사교육은 국가・민족・종교 등 거대 집단의 정체성을 함양하는데서 벗어나, 갈등 속의 다른 집단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서로를 연결시켜 주는 정체성들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종교라는 하나의 기준으로 세계를 분할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테러와 전쟁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듯이, 특정 집단의 단일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것은 갈등과 폭력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이다. 집단 정체성의 함양에서 벗어나 개인의 정체성 변화・형성 과정을 탐구하는 학습은 세 가지 목표가 있다. 먼저 학생들이 과거의 사람들이 동일한 가치와 사고방식을 가졌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지 않고, 특정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각기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이는 다원적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개인이라는 작은 대상에 대한 세밀한 탐구를 통해 거시적 주제의 맥락과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공식적 역사’의 권위와 학습 내용의 ‘단순화・축소’로 인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주제에서 배제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이 학습의 마지막 목표는 학생들이 학습의 대상이 되는 인물과 공감하는 동시에 개인과 집단・구조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현재 자신들의 삶과 사회적 변화가 무관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우리가 소속한 집단으로 인해 생겨난 특정한 사회적 정체성이 갈등과 폭력을 조장한다고 해도, 그것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리는 문제가 되는 정체성과 경쟁하는 ‘대안적 정체성’을 인식하고 강화함으로써, 문제를 완화할 수는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우리와 그들을 구별하는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서 벗어나, 우리와 그들을 연결시켜주는 ‘가교(架橋)’ 역할을 할 정체성을 발굴하고 형성하는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타인이 가진 다양한 정체성들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타인과 자신이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가는 경험을 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정체성을 협소화시키려는 시도에 비해서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것이며, 조금 더 사회를 평화롭게 만들 것이다. 이 글에서 사례로 제시한 독립운동사 학습의 경우, 학생들의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독립운동가들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독립운동가들과 현재 학생들의 공유점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오히려 공동체에 대한 헌신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Discussing identity in history education is a sensitive issue, but it should not be avoided. Although history classes do not address identity issues, identity serves as a basis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history.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dentities that reduce bias among conflict groups and connect one another, beyond its conventional role, cultivating the identity of large groups such as nations, ethnic groups, and religions. Recognizing the world with the eyes of a single identity of one certain group is a fundamental cause of conflict and violence, as can be seen through terrorism and war that arises from one religious standard that divides the world. There are three goals in the inquiry-based learning that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ing and shaping an individual's identity, beyond the development of group identity. First, students should be aware that individuals in a community have diversity, without thinking that people in the past had the same values ​​and mindset. It will help cultivate the citizenship in a pluralistic and democratic society. Next, students should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macroscopic theme based on a detailed inquiry into the smaller subject of individuals. It will allow them to identify historical facts that are excluded or distorted from historically important themes due to the authority of “official history” and “simplification and reduction” of learning. The final goal of this learning is to let the students empathize with the individuals they meet in the learning and further acknowledg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groups, and structures. Consequently, students will realize that their lives and social changes are not irrelevant,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tudents' social involvement. Even if a particular social identity created by the group to which we belong promotes conflict and violenc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eliminate them. However, we can mitigate the problem by recognizing and reinforcing “alternative identities” that compete with the problematic identities. In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find and form an identity that plays a role of ‘bridge’ that connects them and us, not to emphasize th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us from them.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diverse identities in the past, students can find themselves experiencing the connection with others. This effort will promote understanding of others as well as oneself, as opposed to attempting to narrow the identity, and will make the society a little more peaceful. In the case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presented above as an example, it can be seen from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hat instead of highlighting the greatnes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finding shared points between the activists and the students can rather encourage their contribution and engagement in a community.

      • KCI등재

        재외 이주민 정체성의 불확정성과 이중성의 의미 -재일동포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를 통해 그들의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민족 언어에는 민족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표지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그들이 거주하는 국가의 여러 요인에 의해 순일한 정체성을 유지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는 데 있다. 즉 대개의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불확정성 원리’의 특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어느 한쪽의 정체성적 양상만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다른 한쪽의 정체성에 대한 특징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고는 재일동포의 한국어 시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통해 이들 정체성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재일동포의 시와 중국 조선족의 시에 나타난 정체성은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으로 대변할 수 있는 이중적 양상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만약 그들의 민족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 민족 정체성의 양상만을 강조할 경우에는 그들의 국가 정체성이나 다른 성격의 정체성에 대해선 제대로 파악하기 힘든 것이다. 그만큼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다양한 양상을 함께 갖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이중적 양상은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그들 정체성의 현재적 위상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면서도 이질적인 정체성이 함께 결합하면서 또 다른 개념의 이주민 주체로서의 정체성으로 생성되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에 나타난 그들 정체성의 특성은 결국 민족이나 국가와 같은 기존의 정체성 요인만이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체성 형성의 요인을 동시에, 그리고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분명하게 파악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through their poetry in Korean. It is because national language shows the sign that reveals national identity. Identity issue among Korean emigrants lies in the complexity without a fixed, single identity because of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the countries in which they resid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n most cases, is characterized by its duality. Such identity among Korean emigrants should be examined by ‘uncertainty principle’. When one aspect of identity examined, the other aspect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can be hardly verifi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through poetry in Korean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Identity in poetry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demonstrates duality that represents identity of a country and a nation. When national identity emphasized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in mind, it is hard to grasp their identity of a country or other aspects.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has various aspects to that extent. Although such duality in identity seems contradictory,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sent state of their identity.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s complex, combined with heterogeneous identities and experiences the process to become another identity of emigrants with another concept. Therefor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shown in poetry in Korean can be understood clearly by simultaneous awareness of various factors of identity without any exclusion in any way.

      • KCI등재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형성 과정

        장용선(Yong-Sun Chang) 한국경영사학회 2018 經營史學 Vol.85 No.-

        본 연구의 목표는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선언된 조직정체성에 담겨 있는 전략선택과 조직정체성과의 상호관계 및 삼성전자 내 사업들 사이의 정체성 관계를 통해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성전자는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관련 기록과 문헌이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형성 과정을 관련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서 1차 분석은 문헌과 기초자료를 통해 영역을 분류하였고, 2차 분석은 유사한 영역들을 범주화하여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삼성전자는 초기정체성 형성을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1기 정체성 선언과 조직정체성 원형 형성, 삼성전자의 2기 정체성 선언과 정체성 관리, 다중조직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겪었다. 삼성전자는 1969년 창립하여 가전제품의 OEM 기업으로 명확한 존재감을 형성하지 못하다가 1980년대 후반 부터 반도체산업에서 빠른 속도로 세계적인 기업이 됨으로써 전자산업에서 강한 조직정체 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를 시작으로 바람직한 조직정체성을 형성 한후 정체성 특성을 관련 디지털산업인 LCD, 스마트폰, 디지털 TV사업 등으로 확산시켜 세계 정상 기업이 되었다. 삼성전자는 삼성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고유한 정체성을 발전시켜 삼성그룹의 대표적인 기업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영사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및 발전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다. 1970년대 당시에 삼성전자가 지금과 같은 세계 최대 전자회사가 될 것으로 예측한 사람은 적을 것이다. 그러나 메모리반도체 사업의 성공을 시발점으로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회사가 되었다. 세계 최대 전자회사인 삼성전자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조직정체성을 형성하였고 발전하였는지에 대한 이해는 한국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Samsung Electronics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profess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identities among various businesses. Samsung Electronics is a representative company in Korea. Records and documents related with Samsung Electronics are accumulat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Samsung Electronics through related literatures. Samsung Electronics was not able to establish a definite organizational identity as an OEM company for home appliances until the early 1980s since it was founded in 1969. But it became a global company rapidl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e late 1980s. Thereby Samsung Electronics has formed strong organizational identity. Samsung Electronics has become a global leader by spreading its identity not only in semiconductors but also in related digital industries such as LCD, smart phones, and digital TV busin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 KCI등재

        정체성 갈등 시대 정체성 정치문화에 대한 소고 : 자기 동일성으로서의 정체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중심으로

        유용민(Yongmin Ryu)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정체성 정치는 현대사회 상이한 정체성 사이의 공존과 상호 인정을 도모하는 민주적 기획으로 환영할 수 있지만 동시에 정체성 사이의 과도한 긴장과 갈등을 불러오는 폭력적인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복합적인 성찰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정체성 정치에서 정체성 개념이 특권화되고 과잉 도덕화되는 경향이 정체성 정치에 갖는 의미에 주목해 보았다. 정체성은 불변하는 자아를 지지하는 관념인 것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지만 자아의 동일성과 지속성에 대한 현대철학적 사유들은 실체로서 주체가 갖는 의미가 고정적이지 않음을 일깨운다. 정체성 정치가 자기 동일성에 대한 지나친 믿음에 기초할 때 그러한 정체성 정치가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제공하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 글은 자기동일성에 대한 데이비드 흄의 철학과 정체성 논쟁을 정치철학적으로 제기한 토머스 홉스 그리고 우연적 자아의 개념을 도입해 본질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비판하고 비본질주의적인 주체의 개념을 상정하는 미국 프래그머티즘 논의를 탐색하면서 완벽한 정체성의 추구를 부르짖는 정체성 정치의 위험성을 진단한다. Identity politics is a controversial concept that requires complex reflection. The reason is that it has the violent possibility of causing excessiv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differentt identities.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the tendency for the concept of identity to be privileged and overmoralized in identity politics. Identity tends to be perceived as an idea that supports an immutable self. However,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awaken that the meaning of the subject as a substance is not fixed in relation to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self.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politics for their relationship to democracy when it is based on an over-belief in self-identity? This article examines David Hume’s philosophy on self-identity, Thomas Hobbes who raised the identity debate as a political philosophy, and American pragmatism that criticizes the essentialist concept of identi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contingent self and assumes the concept of a non-essentialist subject. Exploring the discussion, this author criticizes the dangers of identity politics calling for the pursuit of perfect identity.

      • KCI등재

        다중정체성을 통한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

        김소영(Kim, So 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4

        일반적으로 개인의 정체성은 주로 사회적 신분 혹은 역할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접근할 경우, 그 논의는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는 정체성에 관한 논의 중, 최근 국내 학계에서 임대근이 제기한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을 재고하였다. 캐릭터의 정체성 변화에 주목하는 트랜스아이덴티티는 정체성 역전, 정체성 전치, 정체성 횡단, 정체성 초월로 나뉜다.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에 대한 재고와 확장을 위하여 본고는 피터 버크의 ‘다중정체성’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는 크게 두 관점에 의해 규정된다. 먼저 외적 관점인 ‘사회적 구조’에 따라 ‘사회적 정체성’, ‘역할 정체성’, ‘개인 정체성’으로 세분화된다. 내적 관점으로 보면, ‘성품’과 ‘환경’이라는 ‘제어 시스템 1’, ‘제어 시스템 2’로 구성되는 자아의 통합적 ‘제어 시스템 3’이 개별 정체성을 형성한다. 다중정체성을 통한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은 캐릭터의 정체성 전환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는 데 기여한다. 이에 관한 사례 연구로, 레오스 카락스 감독의 영화 <홀리 모터스>의 두 캐릭터-하루에 아홉 명의 삶을 살아가는 오스카와 그의 비서이자 고용주인 셀린-를 선정하였다. 분석 내용은 먼저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을 활용하여 두 캐릭터의 정체성이 정체성 전치에 해당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이어 다중정체성 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기준에 의한 외적 정체성과 캐릭터의 자아 심리를 동원한 내적 정체성을 살펴본다. 이와 같이 학제 간 사유를 통해 정체성 담론을 고찰하고,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 가능성을 시도한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Generally, we consider that identity is defined by personal and social role. However, in case of dealing with it as academic topics, we can discuss in various ways. Recently, Great Root Wood suggests the word of trans-identity and he analyses characters’ identities within trans-identity storytelling and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turing identity, changing identity, crossing identity, and transcending identity. Moreover, he also tries to extend it to diverse discourses related to narrative, artistic, aesthetic, cultural, social, legal, ethical, political, and economical categories. For this, this study makes use of Peter J. Burke s multi-identities, which is defined by external focus and internal focus. The former is composed of social identity, role identity, and personal identity and the latter consists of perceptual control system and individual identity. For an application of this study, I analysed <Holy Motors>(2011) directed by Leos Carax. Firstly, two characters who are Oscar and Celine are in accordance with changing identity using the concept of trans-identity. Secondly, this study goes into details about their identities with the theory of multi-ident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can be mentioned that it tries to expand trans-identity to discourses. Also, I hope that we can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each identity in modern society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정체성,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노두

        박승규(Seung-kyu Park)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정체성이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는 데 있다. 지리학은 지표위에 새겨져 있는 인간의 흔적에 관심 갖는다. 누가 왜 그와 같은 흔적을 남겼는지 탐색한다. 인간이 지표위에 남긴 흔적을 통해 존재에 대해 설명한다. 인간은 내가 누구이고,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리기 위해 지표위에 흔적을 남긴다. 인간이 새겨놓은 흔적은 그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는다. 우리는 그 흔적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고, 인간을 이해한다. 인간이 새겨놓은 흔적은 나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그 흔적에 담겨있는 이야기는 나만의 것이다. 자신만의 이야기로 구성된 정체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변화하는 정체성’과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이다. 변화하는 정체성은 차이와 다름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은 동일시와 같음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한다. 하지만, 매일의 삶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나의 모습이 같은 듯 다른 모습이듯이 정체성 역시도 생성과 반복의 과정을 통해 변화한다. 그렇기에 정체성은 지금도 변화하고 있는 현재형이고, 진행형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identity’plays the crucial role of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space. Geography is preoccupied with footprints of humans which are engraved on the ground. It explores why such tokens are left over. It explains the existence of humans through footsteps of them. Men leaves traces of themselves to notify that who I was and who we were. The traces left behind by humans contain narratives of their own. Through those narratives, the very men who left the traces on the ground are to be grasped. A trace engraved by a person expresses its own identity of representing that person, so the narrative contained by one trace is the narrative of that individual. The identify which is composed of its own narrativ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two are ‘changing identity’and ‘unchanging identity’. ‘Changing identity’ shapes the identity of oneself by difference. ‘Unchanging identity’ constructs the identity by identifying itself with sameness. However, as one’s figure in everyday life becomes identical or different, identity also varies through processes of generation and repetition. Therefore, identity is currently changing and in progress.

      • KCI등재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이종현(Lee Jong Hyun)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본 논문은 최근 국내 학계에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개념을 재고하여, 구체화를 시도하는 연구이다. 트랜스 아이덴티티는 인간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체성 전환의 변곡점을 가리킨다. 더불어 스토리텔링적 관점에서 본다면, 수많은 서사체에 정체성 전환을 통해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인물 형상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정체성의 관한 여러 학계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정체성이란 사회적으로 규정되는 외부적 정체성과 내면의 자아가 규정하는 내면적 정체성을 모두 포괄한다. 트랜스 아이덴티티 역시 정체성의 두 가지 특징에 기반을 두는데, 학계의 경향이나 서사체의 이야기 전개 측면에서 내면적 정체성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트랜스 아이덴티티가 공감을 얻으려면 내면적 정체성의 전환이 잘 표현되어야 하는데, 비가시적인 내면적 정체성은 쉽게 표상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얼굴미학은 내면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데에, 즉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으로서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 얼굴은 내면적 자아와 가장 밀접하게 있으며, 표정을 통하여 비가시적인 자아, 영혼, 정신을 가시적으로 드러나게 해준다. 다시 말해 얼굴은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내면적 정체성 전환을 설명하는 데에 가장 훌륭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트랜스 아이덴티티 표상의 구체적인 사례 연구로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영화 <죽여주는 여자>는 매춘여성에서 살인자로 정체성이 전환되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의 내면적 정체성은 배우 윤여정의 얼굴로 발현되는데, 윤여정은 탁월한 표정연기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내적갈등 과정을 완벽하게 표상한다. 이와 같이 영화 속 배우의 얼굴은 트랜스 아이덴티티 표상의 좋은 도구가 된다.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으로서 얼굴미학의 가치는 무궁무진할 것이다. 우리가 얼굴미학에 주목해야하는 이유이다. This study specifies a newly rising concept called ‘trans-identity’ in academy in Korea by reconsidering its meaning. Trans-identity is an inflection point where an identity transformation may occur in a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 a storytelling perspective, it means that there exists a figuration which leads a story by transforming an identity in many narratives. Considering many different perspectives in academy, ‘identity’ embraces both external identity which is defined by a society and self-identity which is defined by an ego. While the concept of trans-identity is also based in both of them,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elf-identity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erms of developing a story in narratives or in academ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how how the self-identity has been transformed to gain the sympathy. However, the invisible self-identity is not easily le self-identity is not easily represented. In this context, facial aesthetics is an effective tool to express self-identity as a representation of trans-identity. A fac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elf-identity and facial expressions enable invisible egos, souls and spirits to be seen. Thus, the face is the most effective tool to explain self-identity transformation of trans-identity. This study examines a movie, <The Bacchus Lady>, and analyzes it as a case study of trans-identity. In the movie, there is a female protagonist whose identity is converted from a prostitute to a murderer. Her self-identity is expressed on an actress’ face and the actress whose name is Yeojeong Yoon represents the inner conflicts between two different identities with her outstanding facial expressions. Thus, an actor/actress’ face is the effective tool to express trans-identity. The value of facial aesthetics as trans-identity is infinite.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facial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