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朱子正心論의 繼承과 變容 ― 朱子·王陽明·王船山의 正心論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홍성민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6 No.-

        이 논문은 朱子正心論의 구조와 의미를 고찰하고, 이후 왕양명과 왕선산이 그것을 어떻게변용·발전시켰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주자는 마음을 도덕 주체(明德)라는 의미와감정 주체라는 의미 두 차원에서 설명하였다. 정심론은 감정 주체에 관한 논의로, 주자는 자신의정심론에서 바람직한 감정 주체의 조건으로 거울처럼 텅 빈 마음 상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주자는 이러한 감정 주체가 도덕 주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설명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이후 철학사에서 주자의 정심론은 매우 상이한 방향으로 그 의미가 변용되었다. 王陽明은 주자의 정심론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주자와는 다른 방향으로 그것을 발전시켰다. 왕양명은 주자가 정심론에서 제시한 올바른 감정 주체의 의미를 無我의 정신 경계로 재해석하고 灑落의 기상을 추구하는근거로 삼았다. 반면 王船山은 주자의 正心論에 불교적 요소가 담겨있다고 비판하면서, 도덕 주체(明德)로부터 발현되는 道德的志向을 正心論의 핵심적 토대로 삼았다. 그래서 왕선산은 도덕적 지향을 견지하고 감정을 그 지향에 부합시키는 공부가 바로 正心이라고 규정하였다. 이 논문은 감정의 중절을 설명하고자 했던 주자의 정심론이 자유로운 정신경계론으로 변용되기도 하고,또는 도덕 의지론으로 재구축되기도 했다는 점을 보여주면서, 주자의 정심론이 철학사의 전개에서 매우 중요한 테마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Zhu Xi's explanation on ZhengXin正心(Rectifying One's Mind), and pursues how Wang Yangming and Wang Chanshan transformed iteach other. According to this paper, Zhu Xi elucidated the meanings of mind in the two aspects,that are moral subject and emotional subject. ZhengXin is concerned on emotional subject, Zhu Xisupposed that the appropriate condition of emotional subject should be empty mental state asempty mirror. Zhu Xi, however, didn't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moral subject and emotionalsubject, and it actually caused various transformations of his ZhengXin concept. For instance,Wang Yangming interpreted Zhu Xi's concept of empty mind state as realms of transcendentalfreedom intentionally, and pursued the realms of non-selfness. whereas Wang Chanshancriticized that Zhu Xi's ZhengXin is just transformed Buddhism, and newly defined the meaning ofZhengXin as holding fast to innate moral intention.

      • KCI등재

        성리학의 정심론(正心論)과 도덕 감정의 문제

        홍성민 ( Hong Seong-m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2 No.-

        이 논문은 『대학』「정심」장에 대한 주자의 해석 방식을 검토하고, 몇 명의 사상가들이 주자의 해석을 비판하고 「정심」장을 새롭게 해석한 과정과 그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주자에 따르면, 『대학』「정심」장은 감정의 잔재가 마음의 본바탕에 체류하지 않게 함으로써 대상과 상황에 부합하는 감정의 중절을 이루어내기 위한 마음공부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주자는 「정심」장을 사의(私意)와 감정의 체류를 없앤다는 점에만 중점을 두고 설명한 나머지 마음 본체를 텅 빈 상태로 묘사하였고 마음 본체의 선천적 도덕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즉 주자는 그의 심성론에서 도덕 본성이 사단의 도덕 감정으로 드러난다는 성체정용(性體情用)을 주장한 바 있는데, 정심론에서는 이것을 표명하지 않은 것이다. 이로 인해 주자의 정심론은 후배 사상가들에게 회의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면서 성리학 본연의 도덕 감정과 그 도덕주체의 특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먼저 이 논문은 왕선산이 주자의 정심론을 비판하면서 자율적도덕 주체를 수립해간 과정을 검토한다. 이어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쟁에서 퇴계가 취한 입장을 분석하고 그것의 도덕철학적 의의를 해명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산이 주자 정심론에 대해 전면적으로 비판하고 공사(公私)관념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심론을 제출하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이들의 논쟁과 비판을 통해 주자 정심론의 문제가 한층 보완되었으며 조선 성리학은 더 발전하게 되었다고 이 논문은 주장한다. The rectification of mind means to enable subject to moral appropriateness of emotion in Zhu Xi’s self cultivation theory. He regulated that “Rectification of Mind” in Great Learning indicated subject could erase any sediments of emotion at mind and then achieved moral appropriateness of emotion. His thought, however, implies that human being have no any moral innate contents in their mind originally, but this was contradictory with his other theory that human being had innate moral nature and it manifested as four kinds of moral motion. This article researches that how Joseon Neo-Confucianists approached to this contradictory issue. According to this article, Toegye and Gobong’s Four-Seven debate reflected this theoretical problem, in advance, Dasan tried to solve this problem. In Conclusion, this article claims that Joseon Neo-Confucianism was developed from Zhuxi’s thought more over.

      • KCI등재

        율곡학파 학자들의 『대학』 공부론 연구 - 부념(浮念)과 편념(偏念)에 관한 호론과 낙론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

        정연수 ( Jung Yeon-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대학』 공부론을 기반으로 호론과 낙론 학자들이 부념(浮念)과 편념(偏念)에 관한 『대학』 공부론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는지 사상사적 맥락에서 살펴 보았다. 호론과 낙론 학자들은 악념을 제거하는 성의 공부 이후에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와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 공부까지 이루어야 성인의 마음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율곡의 『대학』 공부론을 발전시킨다. 다만,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를 정시(靜時)로 보는 호론 학자들의 주장을 낙론 학자들이 비판하면서 『대학』 공부론에 관한 논쟁이 전개된다. 호론 학자들은 대체로 『대학』 정심장에 제시된 성찰의 방식이 동시(動時) 상으로 나아가 사려로 헤아리는 것이 아니라, 부념에 해당하는 네 가지 병통의 기미가 있다는 것을 포착하자마자 그 즉시 놓아버리는 것으로 요약되기 때문에 『대학』의 정심 공부가 마음의 본체를 존양하는 정시(靜時) 상의 공부라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낙론 학자들은 대체로 『대학』 정심장에서 말하는 심(心)은 마음의 전체를 말하는 것이지 정시(靜時)의 미발심(未發心)에 국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심 공부를 동정(動靜)을 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율곡은 부념을 가볍게 비추어보자마자 그 즉시 놓아버리는 공부(輕輕照管·輕輕放退)와 같은 맥락에서 이연평의 미발체인(未發體認) 공부를 논한 바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자면, 호론 학자들과 같이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를 정시(靜時)의 미발 공부로 분속시켜 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율곡이 정심 공부를 미발과 이발을 아울러 존양과 성찰을 함께 논한 측면에서 보자면, 낙론 학자들과 같이 정심 공부가 동정(動靜)을 겸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대학』에도 정시(靜時)의 공부가 있다는 것은 호론이나 낙론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다만, 호론 학자들이 대체로 『대학』의 정심 공부 자체를 『중용』의 미발 공부로 이해한다면, 낙론 학자들 중에서는 『대학』의 정심 공부가 동시(動時)에 해당하지만 체용일원(體用一源)의 논리에 의해 미발 공부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는 차이가 있다. 이처럼 율곡학파 학자들 사이에서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와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 공부에 관한 문제는 단순하게 부념과 편념을 다스리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대학』과 『중용』을 하나의 공부 체계로 이해하는 논의로 발전된다고 하겠다. In this thesis, based on Yulgok's theory to study “Daehak”, it was examined how scholars of Horn and Nakron developed the theory to study “Daehak” regarding Bunyeom and Pyeonnyeom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The scholars of Horon and Nakron developed Yulgok's theory to study "Daehak" arguing that one could fully recover a saint's mind only after studying Seongeui(誠意, sincerity) to get rid of Aknyeom(惡念, an evil intention), Jeongsim(正心, an upright heart) to control Bunyeom, and Susin(修身, moral training) to control study and Pyeonnyeom. Yet, as scholars of Nakron criticized Horon scholars' argument considering the study of Jeongsim to control Bunyeom as Jeongsi(靜時, calm time), the controversy over the theory to study "Daehak" developed. The scholars of Horon generally insisted that because the method of Seongchal(省察, introspection) suggested in “Jeongsimjang(正心章, Chapter of Upright Heart)” of “Daehak” was not going into Dongsi(動時, dynamic time) and fathoming with Saryeo(思慮, consideration), but releasing it at the very moment of catching the indication of four troubles relevant to Bunyeom, the study on Jeongsim in "Daehak" should be the study of Jeongsi(靜時, calm time) for Jonyang(存養, developing good nature) of the main part of mind. On the other hand, the scholars of Nakron mostly contended that because Sim(心, mind) discussed in “Jeongsimjang” of “Daehak” referred to the whole mind and was not limited to Mibalsim(未發心, mind not manifested yet) of Jeongsi(靜時, calm time), the study on Jeongsim should include Dongjeong(動靜, movements). Yulgok once commented on Lee Yeon-pyeong(李延平)'s study on Mi-bal-che-in(未發體 認) in the same context of the study methods of release at the very moment of light reflection(輕輕照管·輕輕放退). In this respect, study on Jeongsim to control Bunyeom can be separated and belong to the study on Mibal of Jeongsi(靜時, calm time) as the scholars of Horon did. On the other hand, from the aspect that regarding the study on Jeongsim, Yulgok discussed both Jonyang(存養, developing good nature) and Seongchal(省察, introspection) with Mibal(未發, not manifested) and Yibal(已發, already manifested) together, it seems to have no problem to think of Jeongsim as the study including Dongjeong(動靜, movements). There were no different opinions between the scholars of Horon and those of Nakron regarding that there was study of Jeongsi(靜時, calm time) in “Daehak”, too. However, while the scholars of Horon usually understood the study of Jeongsim in “Daehak” itself as the study of Mibal in “Jungyong”, some scholars of Nakron thought that even though the study of Jeongsim of “Daehak” corresponded to Dongsi(動時, dynamic time), it included the study on Mibal because of the logic of Che-yong-il-won(體用一源). It can be said that the discussion over the study of Jeongsim to control Bunyeom and the study of Susin to control Pyeonnyeom were not limited to the proposal of the methodology to just control Bunyeom and Pyeonnyeom, but developed into the understanding of “Daehak” and “Jungyong” as one system of study.

      • KCI등재후보

        후회스러운 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모색―주자학(朱子學)에서의 성의(誠意)와 정심(正心)―

        강지은 ( Kang Ji-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6 No.-

        적절하지 않은 행동을 한 뒤에 그것을 후회하면서 괴로워할 때가 적지 않다. 이렇게 마음을 괴롭히는 과정을 되풀이하다가 마음의 병을 얻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아픈 마음을 달래는 방법보다 그러한 부적절한 행동을 다시 범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대학』의 성의와 정심에 대한 주자학에서의 해석은, 외부의 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자기의 마음을 준비해 두는 과정이다. 사람의 마음은 움직이지 않는 고요한 상태일 때에도 그 자리에 존재하고, 움직여서 외부의 사물에 대응할 때에도 분명히 그 곳에 존재한다. 마음이 움직이지 않을 때에는 바른 상태가 유지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이 정심(正心)의 공부이다. 마음이 막 움직이려고 할 때에는 그 움직이는 지점을 성실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것이 성의(誠意)의 공부이다. 자신의 마음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고 마음을 바르게 유지해나가는 방법을 통하여 세상을 굳세게 살아갈 수 있는 성숙한 인격을 만드는 길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성숙한 인격으로서의 성인의 영역에 들어가기를 목표로 할 때에, 인간은 자기를 실현해 나가는 존재로서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목표를 설정해 두고, 그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가다듬어 두고자 하는 것이 성의와 정심이다. 이 수양은 마음이 고요할 때와 마음이 움직일 때를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행동을 해나갈 것을 지향하였다. 이미 병들어버린 마음을 치료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에 비해, 개인의 수양을 통해 성숙한 인격에 도달하고자 하는 성의와 정심의 방법은 근본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해결방법일 것이다. 다만, 이러한 개인들이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사회구조를 조성하는 것은 여전히 사회의 몫이다. It is commonplace for us to regret after having behaved inappropriately. Some people become mentally ill after repeatedly bringing to distress themselves. In this case, we should find the fundamental way not to repeat inappropriate behavior. Zhuxi studies interpret `Making one`s will sincere (誠意)` and `Correcting one`s thought (正心)` in the Great Learning (Daxue) as a process of preparing themselves to be attuned to matters that occur. The mind is there even when it is not active, and it is also there when it has to move to deal with problems. We should continue our efforts to have an upright mind even when it is not active. This is `Correcting thought (正心)`. We should make the mind sincere at the very moment when it starts to move. This is `Making the will sincere(誠意)`. Zhuxi and his followers suggest that we should create a mature personality through this kind of training. Man cannot live as a being of self-realization until he sets his aim on being a sage. He collects his thought and settles himself to build up the foundation. This process has two sides. One is that of the mind being calm. The other is that of the mind beginning to move. Both of them aim to understand what has happened correctly and take proper measures. `Making the will sincere` and `Correcting thought` together can be taken as a fundamental as well as economical solution to care for people whose mentally ill. But it is the society that is still responsible for building the social structure so they can feel fulfilled.

      • 退溪의『大學』解釋과 그 意味

        최석기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대학』 해석에 대해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퇴계의 釋義類 經書解釋과 『대학』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그의 『대학』 해석을 『대학석의』의 해석과 기타 자료에 산견되는 문인들과 문답한 해석으로 크게 나누어 고찰하였다.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15-6세기 학자들이 大全本을 텍스트로 사서삼경을 정밀히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종류의 釋義를 모아 정리하고 비평한 것으로, 후대 校正廳本 諺解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우리나라 경학사상 釋義時代에 생산된 釋義類의 集大成이라 하겠다. 퇴계는 『대학』을 大廈에 비유하고, 여타 경서는 그 대하를 수식하거나 장식하는 부속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대학』을 경학의 根幹으로 보는 그의 經學觀이다. 또한 그는 『대학』을 修己治人之道를 담은 政治書로 보지 않고, 存心出治之本에 해당 하는 修身書로 보았다. 『대학석의』의 내용과 해석성향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총 101항목 중 98항목이 字句의 諺解을 정리한 것이므로 註보다 本文 字句의 정확한 언해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퇴계는 이를 위해, 첫째 語助辭 하나에도 신중을 기하였으며, 둘째 언해로 판가름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한문으로 그 의미를 정밀히 논변했으며, 셋째 字義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虛辭 등을 분변하였다. 이 가운데 한문 해석이 곁들여진 대목이 그의 『대학』 해석에 있어 주요한 설들이다. 기타 편지글 등에 수록된 『대학』 해석에 관한 자료를 살펴본 결과, 퇴계 『대학』 해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퇴계는 '知止而后有定' 이하를 格物致知傳으로 보는 설에 대해 반대하였다. 둘째, 格物·物格의 해석에 있어 一身의 주재자인 마음이 대상에 있는 이치를 認知하는 것에 대해 정밀하게 논하였다. 셋째, 知止·定·靜·安·慮·得의 해석에 있어, 예컨대 誠意의 경우 誠意가 그칠 바를 알아 意誠을 얻는데 定·靜·安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하여, 주자의 설보다 진전된 해석을 하였다. 넷째, 팔조목 중 誠意·正心·修身에 대한 해석에 있어 성의는 靜時의 存養工夫로 정심과 수신은 動時의 省察工夫로 보아, 意誠한 뒤에도 四有의 偏私處를 없애는 正心을 해야 하고 五僻의 偏私處를 없애는 修身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正心章의 兼體用說에 대해서는 주자의 설에 따라 心之用만을 말한 것으로 보고, '心不在焉'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는 心在軀殼說·心在視聽說 등을 모두 부정하고 主內應外說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a detailed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Toi-gye(退溪), Yi Hwang(李滉)'s interpretation of [Dae-hak].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and his cognition about it at first, and I studied classifying into the interpretation of [Dae-hak-seok-eui(大學釋義)] and several scattered datum like Q&A exchange letters with his pupils.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study way of arranging and commenting several kinds of Seok-eui(釋義) while minutely interpret the books of '四書三經' in 15~16th century, and he influenced very greatly in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校正廳本' of next gener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compilation of Seok-eui-ryu which produced in Seok-eui-rye period of Korea. Toi-gye regarded that many other classics are decorations or ornaments if [Dae-hak] is a mansion. This is his very viewpoint of the classics that of [Dae-hak] is the root and the trunk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e thought that [Dae-hak] is the moral culture textbook of '存心出治之本' not to the political theory of '修己治人之道'.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ment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s that he concentrated to the accurate Korean literal text interpretation of [Dae-hak] judging from that the 98 items of his book is consisted of Korean interpretation arrangements. Regard for this, Toi-gye paid attention to the choice of each character, and detailed commented with Chinese character on the difficult point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classified the expletive concerning about the exact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 additional Chinese interpretation among this are his major theories of [Dae-hak] interpretation. The result of several datum inspection like other private letters, the major features of the Toi-gye's interpretation of [Dae-hak]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i-gye opposed the theory that regard [格物致知傳] below the text of '知止而后有定'. Second, he discussed minutely the principle that the mentality is aware of its object while interpreting of '格物' and '物格' Third, while interpreting '知止·定·靜·安·慮·得'. he suggested a progressed theory than Chu-tzu(朱熹)'s one, for example. '定·靜·安' exist in the middle place when achieve '意誠' in case of '誠意'. Forth, in interpretation of '誠意·正心·修身' among '八條目', he regarded '誠意' as '靜時 存養工夫', and '正心' and '修身' as '動時 省察工夫', more over he insisted that it needs not only '正心' which exclude '四有 偏私處' but also after achieve ‘修身’ which exclude '五僻 偏私處' after achieve '意誠'. Fifth, he followed the Chu-tzu's theory that mentioned about '心之用' for '兼體用說' of the chapter of '正心', however, he insisted '主內應外說' denying '心在軀殼說' and '心在視聽說' for the interpretation of '心不在焉'.

      • KCI등재

        대학(大學)의 인성교육론: 예비교원 교육실습을 위한 메타프락시스

        조미경,신수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orientation for a capacity-based personality education and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thesis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in The Great Learning. It also examines the concept of a “Sincerity·Upright Mind” and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ts practice. Whereas the chapter ‘investigation of things’ is about the epistemological explanation of the Eight Categories, “Sincerity·Upright Mind” explains the meaning of “Mind” and its actions concerning the everyday matters of New People. “Sincerity·Upright Mind” is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mind,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personality”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rocesses of “Sincerity” and “Upright Mind” Since personality is relevant to something ‘unexpressed-yet’ either through words or actions, the educational aspect of personality is concerned with a state in which feeling and thinking have not been aroused sufficiently yet in order to be expressed. 본 연구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논하고 있는 **대학**을 통해서 역량 중심의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의정심(誠意正心)’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육의 사태에서 실천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첫째, 수기(修己)의 과정에서‘성의정심(誠意正心)’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삼강령과 성의정심의 관련에서 볼 때 **대학**이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는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주희와 다산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격물치지론이 팔조목에 대한 인식론적 수준에서의 해명이라면 성의정심론은 삼강령의 신민(新民)과의 관련에서 정(情)의 작용까지 포괄하여, 심(心)의 뜻을 보다 구체적이며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성의정심은 마음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성(人性)’은 경(敬)에 상응하는 성의와 정심의 교섭 작용을 통해서 이해될 때 비로소 교육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인성은 말과 행동으로 외부에 표현되기 이전의 ‘미발(未發)’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발시 함양에서 인성의 교육적 측면이 부각된다. 이 글에서, 인성교육의 목적은 자아의 실현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수기(修己)하는 것과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경(敬)을 거점으로 지(知)와 행(行)이 병행될 때에 삶을 통해 만나게 되는 부단한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선진유가에서의 감정 수양의 중요성 ㅡ 《大學》과 《中庸》을 중심으로 ㅡ

        박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2 No.-

        . 본고는 《大學》의 正心章과 《中庸》의 中和節을 중심으로 선진유가 수양론에서 감정 수양이 지니는 중요성과 의의를 살펴보고 양자의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大學》의 正心과 《中庸》의 中和는 모두 감정 수양에 관련된 내용들이다. 《大學》에서 正心은 誠意 다음의 단계이고 誠意의 주된 내용은 愼獨이다. 《中庸》에서도 愼獨 다음의 단계로 中和를 들고 있다. 이로 보아 선진유가에서는 감정을 제대로 다스리는 것이 남들의 시선이 없는 곳에서도 항상 자율적으로 선을 지향하는 것보다 높은 단계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正心이 되어야 修身으로 나아갈 수 있고 결국 平天下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中和에 이르면 천지가 자리를 잡고 만물이 화육된다. 모두 감정 수양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正心과 中和는 둘 다 감정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正心에 등장하는 忿懥, 恐懼, 好樂, 憂患은 喜怒哀樂처럼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통칭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어지럽혀 올바른 지각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감정들이다. 公平無私한 사려판단과 推己及人의 실천궁행을 통해 治國平天下를 이루려면 우선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 正心章의 주장이다. 이것은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음’을 好學의 기준으로 삼았던 공자의 입장을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에 비해 中和에서는 감정이 일어나지 않은 고요한 상태인 中과 감정이 일어나 움직임이 있지만 그 움직임이 절도에 맞는 和를 동등하게 중시한다. 中和의 감정에 대한 태도는 正心에 비해 훨씬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다. 이는 “즐거워하되 음란하지 않고 슬퍼하되 상심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면서 감정을 긍정하되 절제를 중시하였던 공자의 관점을 이은 것이고, “인간이 태어나서 고요한 것은 성품의 본바탕이고 외물에 감응하여 움직이는 것은 성품의 욕구다.”라는 〈樂記〉의 감정론을 조금 더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부념(浮念)과 편념(偏念)에 관한 한원진의 『대학(大學)』 공부론 연구

        정연수 ( Jung Yeon-s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대학』에 관한 율곡의 공부론을 기반으로 『대학』의 정심(正心)장에서 제기되는 부념(浮念)의 문제와 수신(修身)장에서 제기되는 편념(偏念)의 문제에 관한 한원진의 공부론을 고찰함으로써 율곡학파의 공부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율곡이 정심공부에서 부념의 문제를 제기한 이래, 한원진에 의해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론이 심화되었고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공부론이 새롭게 정립됨으로써 『대학』에 관한 내성공부론의 체계가 정밀하게 구축된다. 부념을 다스리는 한원진의 정심공부론은 정시(靜時) 상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도래하는 미세한 부념의 기미를 경(敬)으로 성찰하자마자 성찰한 마음까지 즉시 놓아버림으로써 다시 정존(靜存)의 공부로 직입하여 미발의 본체를 보존하는 데 요지가 있다. 비록 도래한 부념을 성찰하는 순간은 이미 동시(動時)로 접어든 상태지만, 정심공부에서 성찰을 한다는 것은 정시(靜時) 상에서 도래하는 부념을 포착하기만 하는 것이지 동시(動時) 상에서 성찰해 나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원진은 정심공부를 정(靜)한 마음의 일로 분속시킨다. 이러한 공부론은 한원진이 이연평의 미발체인(未發體認) 공부를 략략조고(略略照顧)의 공부법으로 이해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편념을 다스리는 한원진의 수신공부론은 정심공부에 의한 정존(靜存)의 마음이 일에 응접하여 다시 동시(動時)로 나아감에 미세하게 치우친 의념을 살펴 감정을 검속함으로써 일신(一身)을 온전하게 주재하는 데 요지가 있다.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공부는 동시(動時) 상에서 의념의 편정(偏正)을 중절(中節)하게 다스려 나가는 공부이기 때문에 한원진은 수신공부를 동(動)한 마음의 일로 분속시킨다. 한원진은 정심공부를 정(靜)에 분속시키고 수신공부를 동(動)에 분속시킴으로써 미발(未發)과 이발(已發)을 아울러 체용(體用)을 겸비한 『대학』의 공부론을 확립하게 되고, 중(中)과 화(和)를 이루는 『중용』의 공부론과 통일된 공부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정심공부와 수신공부는 마음의 기질을 변화시키는 공부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미발기질유선악(未發氣質有善惡)을 주장하는 한원진에 의하면, 범인이 잠시 미발한 마음에 이르렀다고 해서 탁박한 마음의 기질이 한 순간에 온전하게 변한다고 말할 수 없다. 이에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로 인해 전일(專一)하게 정존(靜存)의 중(中)을 함양해야 마음의 기질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응접하는 일마다 티끌만한 편벽된 의념도 용납하지 않고 중절(中節)하게 화(和)를 이루는 수신공부를 완성해야 비로소 기질이 온전하게 변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학』에 관한 한원진의 공부론은 선대 조선 유학자들의 공부론을 심화시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후대 조선 유학의 공부론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는 토대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후속연구에서 『대학』에 관한 한원진의 공부론이 후대 호론과 낙론의 학자들에게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율곡학파의 공부론에 관한 연구를 심화시켜 나가도록 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Han Won-jin`s theory of study regarding the matter of Bunyeom(浮念) raised in Chapter Jeongsim(正心) in Daehak and Pyeonnyeom(偏念) raised in Chapter Susin(修身) based on Yulgok`s theory of study on Daehak, and laying the ground for the in-depth study on the Yulgok school`s theory of study. Since Yulgok brought up the problem of Bunyeom in the study of Jeongsim, the theory of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had been deepened by Han Won-jin, and as the theory of Susin study to rule Pyeonnyeom was newly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 theory of Naeseong study on Daehak was precisely established. The point of Han Won-jin`s theory of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is to introspect with Gyeong(敬) the minute indication of Bunyeom arriving at Jeongsi(靜時) without one`s awareness, and at the very moment, to immediately let go of the reflected mind, directly enter the study on Jeongjon(靜存), and preserve the noumenon that has not been manifested. Even though the moment when the arrived Bunyeom is introspected is already the state to reach Dongsi(動時), reflection in Jeongsim study is just catching the arriving Bunyeom at Jeongsi(靜時), not introspection at Dongsi(動時), so Han Won-jin classified and assigned Jeongsim study in the matter of mind of Jeong(靜). This theory of study is in the same context as Han Won-jin`s understanding of Lee Yeon-pyeong`s study on Mibalchein(未發體認) as the study method of Ryakryakjogo(略略照顧). The point of Han Won-jin`s theory of Susin study to control Pyeonnyeon is to examines minutely biased Euinyeom when the mind of Jeongjon(靜存) by Jeongsim study receives a matter and proceeds to Dongsi(動時) again, and to preside a body wholly by exercising stric control over emotions. Susin study to control Pyeonnyeom is the study to rule `Pyeonjeong(偏正)` of Euinyeom with Jungjeol(中節) at Dongsi(動時), so Han Won-jin classified and allocated Susin study to the matter of mind of Dong(動). By classifying and allocating Jeongsim study to Jeong(靜) and Susin study to Dong(動), Han Won-jin established the theory of Daehak study that combines Cheyong(體用) bringing Mibal(未發) and Yibal(已發) together, and could build the theory of "Jungyong“ study forming Jung(中) and Hwa(和), and unified study structure. Jeongsim study and Susin study can be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tudy that changes the disposition of mind by a body. According to Han Won-jin who insisted Mibalgijilyuseonak(未發氣質有善惡), even though a mediocrity reaches an unmanifested mind for a moment, the disposition of mind with Takbak cannot be said to change in an instant. Accordingly, the disposition of mind can be changed when Jung(中) of Jeongjon(靜存) is intensively cultivated by Jeongsim study to rule Bunyeom, and disposition can be said to be changed wholly when all the matters to be received becomes appropriate with no biased Euinyeom is admitted, and one advances to Susin study to accomplish Hwa(和) with Jungjeol(中節). Han Won-jin`s theory of Daehak study not only played a crucial role to deepen the theories of study of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but also paved the way for the theory of study of Confucianism in later Joseon to come a turning point.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how Han Won-jin`s theory of "Daehak" theory was transmitted later to the scholars of Horon and Nackron will be examined.

      • KCI등재

        유교명상 프로그램의 한 사례-‘정심수련’을 중심으로-

        박연규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6

        이 글은 유교의 수양법을 정심수련(正心修練)이라는 명상 프로그램을 통해 재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유교 수양의 특징을 관계와 관찰이라는 두 가지 특징으로 정리했다. 관계는 유교 명상이 다른 명상들과 차별되는 몸과 타자와의 관계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는 경(敬)의 특성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다른 하나는 수양의 관찰명상의 특징으로서 유교 수양의 방법도 명상의 일반 양상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을 재확인하는 것이다. 3장에서는 수양의 전형인 정좌(靜坐)의 의의와 방법이 정심수련 프로그램에 어떻게 녹아들고 있는가를 비교하면서 몸과 마음의 관련성을 추적했다. 4장에서는 정심수련을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평심(平心), 허심(虛心), 존심(存心), 세심(洗心), 양심(養心), 안심(安心)의 총 6단계를 각 단계마다 의의와 진행방식을 덧붙여 소개했다. 유교 수양의 관계와 관찰의 특성을 프로그램에 구현하고자 했고, 마지막 5장에서는 정심수련 프로그램을 직접 실시한 후의 느낀 점을 자세하게 기술했다. In this article I constituted a Jungsim Suryun(正心修練) meditation program (the Right Mind Practice Program) with the different cultivation extract taken from the Confucian texts. I suggested a program through the cultivation methods dotted with several ways to confirm the methods, and then reformed it as a full-fledged meditation program. To realize my idea, in chapter 2 I summarized the Confucian cultivation in two ways of relation and observation. The way of relation in meditation has a relational and holistic characters differently contrasted with other kinds of meditation of Buddhism and Daoism and et cetera. It relates to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respectfulness Jing(敬). Another meditative way of observation is applied to the Confucian meditation in the same way like today’s prevalent views of meditation. In chapter 3 I searched the relation of body and mind, comparing the quiet sitting(靜坐) with Jungsim Suryun meditation to confirm the inner equivalence of both. In chapter 4 I introduced the Jungsim Suryun meditation in earnest. For all 6 steps of the Suryun, Pyeongsim(easiness), Huhsim(emptiness), Jonsim(mindfulfillment), Saesim(mind-washness), Yangsim(mind-cultivation), Ansim(calmness), each of their meanings and method of progress are explained. I here attempted to realize the above ideas of relation and observation of the Confucian cultivation to the each step of meditative activity. In the last chapter 5 I carefully summed up the result of the Jungsim Suryun meditation program carried out within a certain period. To confirm and raise up the level of Confucian meditation with other ways of Buddhistic, Daoistic meditation, it really needs more systemic and simple way of meditation program.

      • KCI등재

        정보의 연계망 이론에 의거한 "격물-치지-성의-정심"의 재해석

        목영해 ( Young Hai Mok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사상을 대함에 과거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재해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제 아래, 유학의 `격물-치지-성의-정심`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였다. 재해석의 준거는 `정보의 연계망`이다. 격물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사물을 접하여 그 리(理)를 탐구함` 이나, 정보의 연계망에 의거하여 격물을 재해석 하면 `자료 취득 활동`이다. 치지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내 마음이 리를 아는 것`이나, 치지를 재해석 하면 `자료를 정보로 변환하는 취득하는 일`이다. 성의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그 마음이 발하는 바를 성실하게 하여 스스로 속임이 없는 것`이나, 치지를 재해석 하면 `정보를 지식으로 변환하는 취득하는 일`이다. 정심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뜻을 성실하게 한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바른 마음 상태`이나, 정심을 재해석 하면 `지식을 지혜로 승화하여 취득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ition of Ke wu-Chih chih-Ch`eng ui-Cheng hsin(格物-致知-誠意-正心) that named `the Four Categories of the Ta-hsueh`. The Ke wu-Chih chih-Ch`eng ui-Cheng hsin are practical principles of the neo-Cofucinism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a re-interpreter and a re-definition of the Four Categories of the `Ta-hsueh` for developing of the Confucianism education theory. Because that a direction of the Confucianism development is toward information oriented, a reference of the re-interpretation and the re-definition is a chain of data-information-knowledge-wisdom, called a `chain of information`. Results of the re-interpretation and re-definition are as follows: A old definition of the Ke wu is `to face matters and to investigate it`s Li`. But a new definition of the one is `to get dates from signs`. A old definition of the Chih chih is that `a mind know Li` But a new definition of the one is `to get informations from datum`. A old definition of the Ch`eng ui is that `my mind became sincere`. But a new definition of the one is `to get knowledges from informations`. A old definition of the Cheng hsin is `to keep a right mind with Li. But a new definition of the one is `to get a wisdom from knowled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 a possibility of a information oriented theory to the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