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朱子正心論의 繼承과 變容 ― 朱子·王陽明·王船山의 正心論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홍성민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6 No.-
이 논문은 朱子正心論의 구조와 의미를 고찰하고, 이후 왕양명과 왕선산이 그것을 어떻게변용·발전시켰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주자는 마음을 도덕 주체(明德)라는 의미와감정 주체라는 의미 두 차원에서 설명하였다. 정심론은 감정 주체에 관한 논의로, 주자는 자신의정심론에서 바람직한 감정 주체의 조건으로 거울처럼 텅 빈 마음 상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주자는 이러한 감정 주체가 도덕 주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설명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이후 철학사에서 주자의 정심론은 매우 상이한 방향으로 그 의미가 변용되었다. 王陽明은 주자의 정심론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주자와는 다른 방향으로 그것을 발전시켰다. 왕양명은 주자가 정심론에서 제시한 올바른 감정 주체의 의미를 無我의 정신 경계로 재해석하고 灑落의 기상을 추구하는근거로 삼았다. 반면 王船山은 주자의 正心論에 불교적 요소가 담겨있다고 비판하면서, 도덕 주체(明德)로부터 발현되는 道德的志向을 正心論의 핵심적 토대로 삼았다. 그래서 왕선산은 도덕적 지향을 견지하고 감정을 그 지향에 부합시키는 공부가 바로 正心이라고 규정하였다. 이 논문은 감정의 중절을 설명하고자 했던 주자의 정심론이 자유로운 정신경계론으로 변용되기도 하고,또는 도덕 의지론으로 재구축되기도 했다는 점을 보여주면서, 주자의 정심론이 철학사의 전개에서 매우 중요한 테마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Zhu Xi's explanation on ZhengXin正心(Rectifying One's Mind), and pursues how Wang Yangming and Wang Chanshan transformed iteach other. According to this paper, Zhu Xi elucidated the meanings of mind in the two aspects,that are moral subject and emotional subject. ZhengXin is concerned on emotional subject, Zhu Xisupposed that the appropriate condition of emotional subject should be empty mental state asempty mirror. Zhu Xi, however, didn't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moral subject and emotionalsubject, and it actually caused various transformations of his ZhengXin concept. For instance,Wang Yangming interpreted Zhu Xi's concept of empty mind state as realms of transcendentalfreedom intentionally, and pursued the realms of non-selfness. whereas Wang Chanshancriticized that Zhu Xi's ZhengXin is just transformed Buddhism, and newly defined the meaning ofZhengXin as holding fast to innate moral intention.
후회스러운 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모색―주자학(朱子學)에서의 성의(誠意)와 정심(正心)―
강지은 ( Kang Ji-e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6 No.-
적절하지 않은 행동을 한 뒤에 그것을 후회하면서 괴로워할 때가 적지 않다. 이렇게 마음을 괴롭히는 과정을 되풀이하다가 마음의 병을 얻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아픈 마음을 달래는 방법보다 그러한 부적절한 행동을 다시 범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대학』의 성의와 정심에 대한 주자학에서의 해석은, 외부의 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자기의 마음을 준비해 두는 과정이다. 사람의 마음은 움직이지 않는 고요한 상태일 때에도 그 자리에 존재하고, 움직여서 외부의 사물에 대응할 때에도 분명히 그 곳에 존재한다. 마음이 움직이지 않을 때에는 바른 상태가 유지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것이 정심(正心)의 공부이다. 마음이 막 움직이려고 할 때에는 그 움직이는 지점을 성실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것이 성의(誠意)의 공부이다. 자신의 마음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고 마음을 바르게 유지해나가는 방법을 통하여 세상을 굳세게 살아갈 수 있는 성숙한 인격을 만드는 길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성숙한 인격으로서의 성인의 영역에 들어가기를 목표로 할 때에, 인간은 자기를 실현해 나가는 존재로서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목표를 설정해 두고, 그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자신의 마음을 가다듬어 두고자 하는 것이 성의와 정심이다. 이 수양은 마음이 고요할 때와 마음이 움직일 때를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행동을 해나갈 것을 지향하였다. 이미 병들어버린 마음을 치료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에 비해, 개인의 수양을 통해 성숙한 인격에 도달하고자 하는 성의와 정심의 방법은 근본적이면서도 경제적인 해결방법일 것이다. 다만, 이러한 개인들이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사회구조를 조성하는 것은 여전히 사회의 몫이다. It is commonplace for us to regret after having behaved inappropriately. Some people become mentally ill after repeatedly bringing to distress themselves. In this case, we should find the fundamental way not to repeat inappropriate behavior. Zhuxi studies interpret `Making one`s will sincere (誠意)` and `Correcting one`s thought (正心)` in the Great Learning (Daxue) as a process of preparing themselves to be attuned to matters that occur. The mind is there even when it is not active, and it is also there when it has to move to deal with problems. We should continue our efforts to have an upright mind even when it is not active. This is `Correcting thought (正心)`. We should make the mind sincere at the very moment when it starts to move. This is `Making the will sincere(誠意)`. Zhuxi and his followers suggest that we should create a mature personality through this kind of training. Man cannot live as a being of self-realization until he sets his aim on being a sage. He collects his thought and settles himself to build up the foundation. This process has two sides. One is that of the mind being calm. The other is that of the mind beginning to move. Both of them aim to understand what has happened correctly and take proper measures. `Making the will sincere` and `Correcting thought` together can be taken as a fundamental as well as economical solution to care for people whose mentally ill. But it is the society that is still responsible for building the social structure so they can feel fulfilled.
최석기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대학』 해석에 대해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퇴계의 釋義類 經書解釋과 『대학』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그의 『대학』 해석을 『대학석의』의 해석과 기타 자료에 산견되는 문인들과 문답한 해석으로 크게 나누어 고찰하였다.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15-6세기 학자들이 大全本을 텍스트로 사서삼경을 정밀히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종류의 釋義를 모아 정리하고 비평한 것으로, 후대 校正廳本 諺解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우리나라 경학사상 釋義時代에 생산된 釋義類의 集大成이라 하겠다. 퇴계는 『대학』을 大廈에 비유하고, 여타 경서는 그 대하를 수식하거나 장식하는 부속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대학』을 경학의 根幹으로 보는 그의 經學觀이다. 또한 그는 『대학』을 修己治人之道를 담은 政治書로 보지 않고, 存心出治之本에 해당 하는 修身書로 보았다. 『대학석의』의 내용과 해석성향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총 101항목 중 98항목이 字句의 諺解을 정리한 것이므로 註보다 本文 字句의 정확한 언해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퇴계는 이를 위해, 첫째 語助辭 하나에도 신중을 기하였으며, 둘째 언해로 판가름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한문으로 그 의미를 정밀히 논변했으며, 셋째 字義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虛辭 등을 분변하였다. 이 가운데 한문 해석이 곁들여진 대목이 그의 『대학』 해석에 있어 주요한 설들이다. 기타 편지글 등에 수록된 『대학』 해석에 관한 자료를 살펴본 결과, 퇴계 『대학』 해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퇴계는 '知止而后有定' 이하를 格物致知傳으로 보는 설에 대해 반대하였다. 둘째, 格物·物格의 해석에 있어 一身의 주재자인 마음이 대상에 있는 이치를 認知하는 것에 대해 정밀하게 논하였다. 셋째, 知止·定·靜·安·慮·得의 해석에 있어, 예컨대 誠意의 경우 誠意가 그칠 바를 알아 意誠을 얻는데 定·靜·安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하여, 주자의 설보다 진전된 해석을 하였다. 넷째, 팔조목 중 誠意·正心·修身에 대한 해석에 있어 성의는 靜時의 存養工夫로 정심과 수신은 動時의 省察工夫로 보아, 意誠한 뒤에도 四有의 偏私處를 없애는 正心을 해야 하고 五僻의 偏私處를 없애는 修身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正心章의 兼體用說에 대해서는 주자의 설에 따라 心之用만을 말한 것으로 보고, '心不在焉'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는 心在軀殼說·心在視聽說 등을 모두 부정하고 主內應外說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a detailed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Toi-gye(退溪), Yi Hwang(李滉)'s interpretation of [Dae-hak].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and his cognition about it at first, and I studied classifying into the interpretation of [Dae-hak-seok-eui(大學釋義)] and several scattered datum like Q&A exchange letters with his pupils.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study way of arranging and commenting several kinds of Seok-eui(釋義) while minutely interpret the books of '四書三經' in 15~16th century, and he influenced very greatly in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校正廳本' of next gener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compilation of Seok-eui-ryu which produced in Seok-eui-rye period of Korea. Toi-gye regarded that many other classics are decorations or ornaments if [Dae-hak] is a mansion. This is his very viewpoint of the classics that of [Dae-hak] is the root and the trunk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e thought that [Dae-hak] is the moral culture textbook of '存心出治之本' not to the political theory of '修己治人之道'.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ment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s that he concentrated to the accurate Korean literal text interpretation of [Dae-hak] judging from that the 98 items of his book is consisted of Korean interpretation arrangements. Regard for this, Toi-gye paid attention to the choice of each character, and detailed commented with Chinese character on the difficult point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classified the expletive concerning about the exact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 additional Chinese interpretation among this are his major theories of [Dae-hak] interpretation. The result of several datum inspection like other private letters, the major features of the Toi-gye's interpretation of [Dae-hak]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i-gye opposed the theory that regard [格物致知傳] below the text of '知止而后有定'. Second, he discussed minutely the principle that the mentality is aware of its object while interpreting of '格物' and '物格' Third, while interpreting '知止·定·靜·安·慮·得'. he suggested a progressed theory than Chu-tzu(朱熹)'s one, for example. '定·靜·安' exist in the middle place when achieve '意誠' in case of '誠意'. Forth, in interpretation of '誠意·正心·修身' among '八條目', he regarded '誠意' as '靜時 存養工夫', and '正心' and '修身' as '動時 省察工夫', more over he insisted that it needs not only '正心' which exclude '四有 偏私處' but also after achieve ‘修身’ which exclude '五僻 偏私處' after achieve '意誠'. Fifth, he followed the Chu-tzu's theory that mentioned about '心之用' for '兼體用說' of the chapter of '正心', however, he insisted '主內應外說' denying '心在軀殼說' and '心在視聽說' for the interpretation of '心不在焉'.
대학(大學)의 인성교육론: 예비교원 교육실습을 위한 메타프락시스
조미경,신수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orientation for a capacity-based personality education and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thesis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in The Great Learning. It also examines the concept of a “Sincerity·Upright Mind” and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its practice. Whereas the chapter ‘investigation of things’ is about the epistemological explanation of the Eight Categories, “Sincerity·Upright Mind” explains the meaning of “Mind” and its actions concerning the everyday matters of New People. “Sincerity·Upright Mind” is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 of mind,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personality”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rocesses of “Sincerity” and “Upright Mind” Since personality is relevant to something ‘unexpressed-yet’ either through words or actions, the educational aspect of personality is concerned with a state in which feeling and thinking have not been aroused sufficiently yet in order to be expressed. 본 연구는 수기치인(修己治人)을논하고 있는 **대학**을 통해서 역량 중심의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의정심(誠意正心)’ 개념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육의 사태에서 실천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첫째, 수기(修己)의 과정에서‘성의정심(誠意正心)’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삼강령과 성의정심의 관련에서 볼 때 **대학**이 인성교육에 주는 시사는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주희와 다산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격물치지론이 팔조목에 대한 인식론적 수준에서의 해명이라면 성의정심론은 삼강령의 신민(新民)과의 관련에서 정(情)의 작용까지 포괄하여, 심(心)의 뜻을 보다 구체적이며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성의정심은 마음의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성(人性)’은 경(敬)에 상응하는 성의와 정심의 교섭 작용을 통해서 이해될 때 비로소 교육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인성은 말과 행동으로 외부에 표현되기 이전의 ‘미발(未發)’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발시 함양에서 인성의 교육적 측면이 부각된다. 이 글에서, 인성교육의 목적은 자아의 실현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수기(修己)하는 것과 다른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경(敬)을 거점으로 지(知)와 행(行)이 병행될 때에 삶을 통해 만나게 되는 부단한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선진유가에서의 감정 수양의 중요성 ㅡ 《大學》과 《中庸》을 중심으로 ㅡ
박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2 No.-
. 본고는 《大學》의 正心章과 《中庸》의 中和節을 중심으로 선진유가 수양론에서 감정 수양이 지니는 중요성과 의의를 살펴보고 양자의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大學》의 正心과 《中庸》의 中和는 모두 감정 수양에 관련된 내용들이다. 《大學》에서 正心은 誠意 다음의 단계이고 誠意의 주된 내용은 愼獨이다. 《中庸》에서도 愼獨 다음의 단계로 中和를 들고 있다. 이로 보아 선진유가에서는 감정을 제대로 다스리는 것이 남들의 시선이 없는 곳에서도 항상 자율적으로 선을 지향하는 것보다 높은 단계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正心이 되어야 修身으로 나아갈 수 있고 결국 平天下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中和에 이르면 천지가 자리를 잡고 만물이 화육된다. 모두 감정 수양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 正心과 中和는 둘 다 감정 수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正心에 등장하는 忿懥, 恐懼, 好樂, 憂患은 喜怒哀樂처럼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통칭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어지럽혀 올바른 지각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감정들이다. 公平無私한 사려판단과 推己及人의 실천궁행을 통해 治國平天下를 이루려면 우선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 正心章의 주장이다. 이것은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노여움을 옮기지 않음’을 好學의 기준으로 삼았던 공자의 입장을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에 비해 中和에서는 감정이 일어나지 않은 고요한 상태인 中과 감정이 일어나 움직임이 있지만 그 움직임이 절도에 맞는 和를 동등하게 중시한다. 中和의 감정에 대한 태도는 正心에 비해 훨씬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다. 이는 “즐거워하되 음란하지 않고 슬퍼하되 상심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면서 감정을 긍정하되 절제를 중시하였던 공자의 관점을 이은 것이고, “인간이 태어나서 고요한 것은 성품의 본바탕이고 외물에 감응하여 움직이는 것은 성품의 욕구다.”라는 〈樂記〉의 감정론을 조금 더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趙麒永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1 No.-
율곡은 도가 구현된 것이 글이며, 글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보았다. 이에 율곡의 시관은 ‘시본성정(詩本性情)’의 성정론, ‘관도지기(貫道之器)’와 ‘문이형도(文以形道)’의 도본론(道本論)으로 정리되었다. 율곡은 38세인 1573년에 시선집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을 만들었다. 중국의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워 시도(詩道)의 모범으로 삼을 만한 작품들을 가려 뽑아 8편으로 만들었다. 이에 충담소산(沖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 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라는 풍격을 위주로 하여 시작품을 정선하였다. 첫째, 충담소산(沖澹蕭散)이란 아무런 욕심이 없는 깨끗한 것이며, 어디에 구속됨이 없이 자연스럽고 편안한 경지를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충담소산(沖澹蕭散)한 풍격 및 의취를 『시경』3백편 외에 도연명의 시에서 볼 수 있다고 여겼으며, 율곡도 여기에 도연명의 시를 가장 많이 실었고, 다음으로 위응물의 시를 많이 실었다. 둘째, 한미청적(閒美淸適)한 풍격은 조용하고 침착하며 스스로 흡족하게 여기는 삶 속에서 흥에 겨워 표현된 것으로 이 시작품을 읽게 되면 심기가 저절로 화평하게 된다고 하였다. 율곡은 욕심 없이 한가롭게 유유자적하면서 사는 평화로운 삶의 경계를 동경하여 한미청적(閒美淸適)한 풍격을 선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청신쇄락(淸新灑落)은 세속적 가치를 초탈하여 물욕에 얽매이지 않는깨끗함을 말한다. 매미가 허물을 벗듯이 속기를 떨쳐내며, 맑은 바람을 쐬고 이슬을 마시듯이 매우 고상하여 세상 사람의 입에서 나온 것 같지 않다고 하였다. 넷째, 용의정심(用意精深)이란 뜻의 운용, 곧 시어의 설정 및 시적 구성이 정미(精微)하고 심오(深奧)한 것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글귀와 시어가 단련되고 품격과 운도(韻度)가 엄정하며, 매우 작은 것조차 찾아내고 깊숙한 경계도 볼 수 있어 생각이 저절로 천박하지 않게 『정언묘선』의 풍격과 栗谷의 詩道 87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다섯째, 주제를 설정하고 구상을 전개함에 있어 ‘정심의원(情深意遠)’한 것을 위주로 하였다. 그리고 ‘원이불패(怨而不悖)’하고 ‘애이불상(哀而不傷)’하는 전통적인 시도를 제시하였는데, 이는‘성정지정’에 의거하고 온유돈후한 시교(詩敎)를 지향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격사청건(格詞淸健)은 필력이 씩씩하고 굳세되 급하게 다그치는 뜻이 없으며 엄정하고 심원한 맛이 있다고 하였다. 다만 격사청건(格詞淸健) 한 작품을 위주로 하였다고 하여 격조와 사치의 청건(淸健), 곧 맑고 건장한 형식미를 통하여 내용미가 승화되는 풍격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정공묘려(精工妙麗)는 비록 아로새기고 색칠한 꾸밈이 있으나 도리에 어긋나고 겉만 아리따운 데에는 이르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형식적인 면을 고려한 풍격임을 나타냈다. 그리고 마지막 「지자집」은 율곡의 정언묘선}서문이나 박세채의 글을 참고로 하여 어느 정도까지 상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명도(明道)하고 이아(爾雅)한 내용이라면 『염락풍아』에 실린 작품의 유형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는 도본문말(道本文末)과 성정지정에 근거하는 율곡의 시관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율곡 또한 명도적인 내용이나 철리적인 의경을 추구하여 이러한 시도의 양상이 그의 시세계의 일면이 되었고 보았다. 결국 율곡의 명도적이고 철리적인 시세계가 정언묘선의 마지막 「지자집」의 내용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 in Jeongeunmyoseon(精言妙選). The contemporary writings is very little ability, as Tao(道) put to good use utilize for literary composition, without a decoration, It to be the elegant prose or extreme sentence and make an impression.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o(道), insist on the contemporary writings express tangibly the Tao. He uses several terms to explain his views on the relation of Tao and literature. I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ao and writings(道本文末), that is the means and the end for the mutual effect of enlightenment and moral cultivation. He cut a conspicuous figure in a fineness selection of poems as presented in Jeongeunmyoseon(精言妙選), that included his poetic viewpoint and poetic fondness. It is based on the poetic style of a distinctive quality(풍격), that is characterized by a moral sense and effective value and an adequate expression. The first, He pursue a freedom from avarice and tranquility in poetic world (沖澹蕭散). The second, He long for a quietness and tranquil life in poetic world(閒美淸適), that is live in easy retirement. The third, He watch with deep concern a new and fresh style in poetry(淸新灑落). The fourth, He give attention to a creative activity carefully arranged and a profound intention of a creative work(用意精深). The fifth, He prefer to a great emotion and a lofty aspiration in poetic world(情深意遠). The sixth, He point to neatness and wholesome in rules of versification and poetic language(格詞淸健). The seventh, He head for exquisiteness and gracefulness in a rhetorical device and a decoration(精工妙麗). It is embellish one’s style and polish up a sentence, but 116 東洋古典硏究 第31輯 is not make outward show and keep up appearances. The last, He pursue an sagacious and intelligent reason in poetic world. He study the philosophy of a propriety in the world.
홍성민(Hong, Seongm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高峯 奇大升의 四七論을 도덕 감정론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 논문에 따르면, 고봉은 退溪가 사단칠정을 소종래로 구분한 것에 반대하고 性發爲情의 원칙에 따라 감정의 도덕성 문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高峯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자신의 일관된 도덕감정론을 주장했다고 이 글은 밝힌다.이 논문은 세 가지 측면에서 고봉의 도덕감정론을 해명한다. 첫째 不中節한 四端의 문제이다. 고봉은 四端도 기질의 영향으로 인해 不中節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퇴계의 四端理發說에 대한 반대이면서 도덕 감정을 현실적 적절성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둘째 中節한 七情의 문제이다. 고봉은 칠정도 중절하면 사단과 똑 같으 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퇴계의 七情 氣發說 에 대한 반대이면서, 현실적 적절성을 갖는 감정이 바로 도덕감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中節의 실천적 수양으로서 正心의 문제를 제기한다. 퇴계가 칠정을 경계하여 마음 본연의 도덕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正心이라고 주장했던 반면, 고봉은 주관적 왜곡 없이 사태를 명징하게 인지하고 사태의 인지와 부합하는 감정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 정심이라고 주장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고봉 철학의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고 현대감정이론과의 비교 접목하여 고봉의 사칠론을 연구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Gi Daeseung’s philosophy from the view point of the moral emo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paper, Gi Daeseung reputed Yi Hwang’s view point on emotions which divides emotions by moral and appetitive origins, and elucidated moral emotions by principle which is called “nature manifests as emotions性發爲情”. Especially, this paper claims that Gi Daeseung announces his coherent moral emotion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appropriateness中節” In this regard, this paper illuminates his theory from three points. First, innate moral emotions四端 also can be non-appropriate. Second, General emotions七情 also can be moral if they are appropriate. Third, the “Rectifying one’s mind正心” is so important to achiev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but it doesn’t mean protecting general emotions as Toegye announced. Finally,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Gi Daeseung’s theory with contemporary emotion theories.
김경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This paper emphasizes that Korean traditional prenatal education is the first stage of education and one stage of Confucian parent education, and it is an educational activity conducted with the purpose and method of Confucianism under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Therefore, the value and meaning of 『Taegyosingi(胎敎新記)』 written by Yi-Sajud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discussed by the viewpoint of Confucian parent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whole were divided into the values of prenatal education in Confucian parent education, the fundamental purpose of prenatal education, and the method of prenatal education. And 『Taegyosingi』 was discussed connecting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Confucianism. Prenatal education is an educational effort to provide a healthy foundation for your child'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aims at mind education with a good heart. Therefore, the purpose of prenatal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that goes to the Sushin(修身) that Confucianism pursues. Confucianism tried to go to the basic purpose of the Sushin through the education method of the Seongu i(誠意) and the Jungshim(正心). And 『Taegyosingi』 suggests Jungshim and Samgam(謹) in a way of the Sushin. 본 논문은 『胎敎新記』를 통해 한국의 전통태교가 교육의 최초 단계로 유학적 부모교육의 한 단계이며, 유학의 원리 하에 실천된 교육활동으로 유학적 목적과 방법을 가지고 진행되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조선후기 이사주당이 저술한 『胎敎新記』의 가치와 의미를 유학적 부모교육 관점에서 논하였다. 전체의 내용을 유학적 부모교육에서의 태교의 가치, 태교의 근본 목적, 태교의 방법으로 나누고 『胎敎新記』를 유학의 근본원리인 誠意, 正心, 修身과 연결하여 논의하였다. 태교는 자신의 자녀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을 말하며, 善한 마음을 가지는 마음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태교의 교육목적은 유학에서 추구하는 修身으로 나아가는 교육목적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유학에서는 誠意와 正心의 교육방법을 통해 修身이라는 근본목적에 나아가고자 하였으며, 『胎敎新記』에서는 修身의 교육방법으로 正心과 謹[삼감]을 제시하고 있다.
김경숙(지은) 한국선학회 2016 한국선학 Vol.44 No.-
본 논문은 북종선의 심성론과 수증론을 논하고 있다. 먼저 심성론은 신수의 저작인 『관 심론』과 신수의 저작으로 인정 되는 『대승무생방편문』을 중심으로 논한다. 신수는 마음의 작용을 염심과 정심의 2종류로 나누고 정심은 진여의 마음이며 염심은 무명의 마음 이라고 하여 염정이심론을 설하고 있다. 그는 자기 마음이 체이고 체의 작용에는 정심과 염심이 있다고 본다. 심체가 청정함을 자각하고 지혜로써 염심을 제거하여 해탈을 얻을 수 있다고 논하고 있다. 다음은 수증론을 논한다. 남종의 하택신회는 북종선법을 온전히 점수라고 비판하고 있으나 남종선 못지않게 돈오적인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대승 무생방편문』 등 돈황출토의 전적을 의지하여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대승무 생방편문』은 5종의 대승경전을 의지하여 체 [선정] 와 용 [지혜] 이 상즉하고 불이함을 논하여 돈오선법을 설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theory of mind-nature (心性論) and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修證論) . Firstly, the theory of the mindnature will be discussed, with a focus on the Guanxin lun (觀心論) written by Shenxiu (神秀) and the Dàshèng wúshēng fāngbiàn mén (大乘無生方便門) supposed to be written by Shenxiu. He divided the two function of mind as the defiled mind (染心) and pure mind (淨心) . He teaches us the ‘two minds theory of the pure and defiled mind (染淨二心論) ’ by classifying the pure mind is the mind of Thusness (眞如) while the defiled mind is the mind of ignorance (無 明) . Shenxiu regards one’s mind is as substance (體) and that there are the defiled mind and pure mind in the function of the substance. He teaches us that the practitioners can reach liberation through realizing the pureness of mind substance and eliminating the defiled mind. Secondly,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realization will be discussed. Shenxiu focused that Northern School of Chan is not only gradual doctrine but the Northern School also has sudden character of practice, relying on the Dàshèng wúshēng fāngbiàn mén and other texts which were excavated in Dunhuang. Especially, the Dàshèng wúshēng fāngbiàn mén relying on the five kind of Mahayana scriptures explains the sudden method of meditation that substance (禪定 meditative concentration) and function (智慧 wisdom) are non-dual and inter-penetrated.
朱子·象山·陽明·지山의 공부론 비교- “大學”의 격물·치지·성의·정심을 중심으로 -
임홍태 한국유교학회 200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1 No.-
The search for ideal Humanity and Moral value in every day real life, by the self-human morality, are the common goals of Sung・Ming Neo-Confucianists. But they have another methodologies to take an ideal humanity, that is the self-cultivation theory, because of their different translations of Daxue(大學)self-cultivation theory. Everyone of this time schola's controversy centered on 4 themes, the Moralizing his own Mind・Faithful intention・Achieving morl self-Congnition・Taking the objective principles. This paper prospected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Zhuxi(朱子)・Xiangshan(象山)・Yangming(陽明)・Jishan(蕺山) in this vein. They are commonly tried to get the Confucian Sage' Humanity, which means the harmoniously coordination of self-mind and heavenly principles. But their methodologies are different, Zhuxi(朱子) asserted to take the objective principles, Xiangshan(象山) accented on moralizing his own Mind, Yangming(陽明) centered on achieving morl self-Congnition, Jishan(蕺山) concentrated on faithful intention. These consequent process may be the evidence of internalizing self-cultivating theory. 현실생활에서 자신의 도덕 본심을 발현하여 도덕 가치를 성취함, 곧 이상인격을 확립하는 것이 송명이학가의 공통적인 목표이자 임무라 하겠다. 송명이학자는 비록 이상인격 완성이라는 공통된 목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이러한 이상인격을 확립하느냐 하는 공부론에 있어서 理學과 心學은 각기 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러한 차이는 바로 대학의 공부론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을 둘러싸고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대학의 공부방법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당시의 학자들은 각자의 독특한 견해를 피력하기에 이르렀으니, 그 중에서도 이들이 중점적으로 논란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던 것은 ‘正心誠意致知格物’이라는 네 가지 항목이다.이 글에서는 그 중 주희육구연왕수인유종주의 공부론을 대학의 ‘正心誠意致知格物’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들은 모두 ‘吾心과 天理가 혼연히 합일된 경지’인 성인의 경계를 추구한다는 동일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인의 경계를 추구하는 구체적인 공부방법에 있어서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대체적으로 말하자면, 주희는 격물 중심, 육구연은 정심 중심, 왕수인은 치지 중심, 유종주는 성의 중심의 공부론을 각각 주장한다. 이러한 격물에서 정심으로, 정심에서 치지로, 치지에서 성의로의 변화과정은 공부론의 내재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