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의 변천

        배은경(Bae, Eun-ky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진이 강조되고 있는 정신건강개입패러다임의 변화와 맞물려 한국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199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관련 정책 · 학술자료, 아동청소년정신건강사업지침 등을 토대로 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의 특성은 서비스대상, 서비스 환경, 전문인력 및 훈련의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의 변천과정은 태동기와 형성기를 거쳐 현재 과도기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예방과 증진의 개념이 혼재되어 실천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적의 정신건강을 목표로 보다 적극적으로 정신건강증진을 실현하는 공공 아동청소년정신건강서비스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the change in mental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to project their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The policies and academic materials issued between 1990 and 2014 and are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ental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re currently in a transition stage from the embryonic and formative stages, and that the concepts of prevention and promotion have been in mixed use for the process of the delivery of the mental health services. Therefore, proactiv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oncept of the universal promotion of mental health were suggested.

      • KCI등재

        정신질환자 위기서비스체계 구축을 위한 정신건강복지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복지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welfare legislation to establish a crisis service system for the mentally il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oncept of mental health cris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sis service system related laws/policy and precedent studies are reviewed. And The crisis support experience of the public officials of community centers, the staff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the famil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was analyz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by synthesizing the survey and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direction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welfare legislation to establish a mental health crisis service system. Matters requiring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mergency concept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in order to activate public functions such a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police, and fire departments in mental health crisis situations. Second, in the mental health welfare system,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concept of mental health crisis that is broader than the concept of emergency in order to materialize the policy for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person concerned and securing social safety in the crisis situation of the mentally ill. Third, as a community crisis service infrastructure, the basis for installing crisis shelters must be legislated. And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crisis service system based on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follow-up measures mandatory for police officers and employees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dispatched in relation to mental health crises. Second, an effectiv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polic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 night crisis servi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needs to be reestablished as a base for the crisis service system by expanding its function as a mental health crisis suppo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자 위기서비스체계 구축을 위한 정신건강복지법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신건강 위기개념과 국내외 위기서비스체계 관련 법제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지역사회에서 정신질환자 위기지원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동주민센터 공무원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실무자, 정신질환자 가족의 위기지원 경험을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와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정신건강 위기서비스체계 구축을 위한 정신건강복지법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정신건강복지법령의 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 위기상황에서 정신건강복지센터, 경찰 그리고 소방관서 등의 공적 기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복지법」의 응급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신건강복지체계에서 정신질환자의 위기상황에서 당사자 권익옹호와 사회적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응급개념보다 넓은 범주의 정신건강 위기개념을 신규 입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 위기서비스 인프라로서 위기쉼터 설치의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신건강복지법령에 근거한 위기서비스제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 위기와 관련하여 출동한 경찰관과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에 대하여 후속조치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찰과 정신건강복지센터 그리고 동주민센터 간의 실효성이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야간 위기서비스체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넷째,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건강상의 위기지원체계로 기능을 확대하여 위기서비스체계의 거점으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천시민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인지도에 대한 연구

        김혜미,허선영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7 No.-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with an aim to examine the Incheon residents’ awareness on mental health social work service agencies. While service awareness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leading to service utilization, studies focusing on service awarenes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are limited. In particular, not much is known about the service awareness among Incheon residents even though mental health needs and problematic indices are highly noticeable in Incheon City. With an objective to assess the awareness lev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1,000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rvice awareness had increased, and that residents were well aware of ‘Suicide Prevention Center’ and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In comparison, a less number of people had knowledge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a central mental health service agency, indicating a need for more active and diversified advertisement tacts to reach a larger community.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천시민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정신건강·복지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및 인지도에 관련된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인천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인천시민의 경우 우울감 경험률, 음주율, 스트레스 경험률, 자살사망률 등 다수의 정신건강 지표에서 취약하며, 국내 다른 지역주민들과 비교했을 때에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정신건강·복지서비스에의 접근성 향상 및 이용률 제고를 통해 인천시민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 지역사회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서비스 이용의향과 행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신 건강 증진에 있어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시민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인지도 및 이에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000명의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민의 정신건강 수준은 취약한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2013년 인천시 실태조사의 결과에 비해 전반적으로 정신건강·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높아졌으며, 특히 자살예방센터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편이었다. 반면 정신건강·복지서비스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인지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 지역사회 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인식과 모바일 앱 이용의도: e헬스리터러시와 정신과 상담 태도의 영향력

        강승미,안순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3

        본 연구는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이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조사에는 총 227명의 성인 남녀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e헬스리터러시가 높아지고, 이는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정신건강서비스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대한 e헬스리터러시의 효과는 정신과 상담 태도와 상호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즉, e헬스리터러시의 영향력은 정신과 상담 태도가 낮은 집단에서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정신건강에 대한 위험 인식이 e헬스리터러시를 거쳐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정신과 상담 태도의 조절적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앱 이용 증대 및 한국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e헬스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erceived threat toward mental health on the intention for using a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A total of 228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e-Health literacy between perceived threat toward mental health and the level of intention to use a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That is, a higher perceived threat led to higher levels of e-Health literacy, which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intention for using a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Furthermore,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service was found.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was stronger for those with negative attitudes to mental health service than those with positive attitudes to mental health service. This study highlights on the important role of e-Health literacy for promoting the use of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

        김희철(Hee Chul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우울 수준이 실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이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한국의 6개 대학에서 총 3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우울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은 우울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필요(Need) 요인으로서 우울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영향에 대한 고려와 동시에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이 주요하게 개입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그 중요성이 드러난 만큼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생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actual mental health help-seeking behavi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liter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ctual help-seek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305 students at 6 universities in South Korea completed in-class surveys in Winter, 2018.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mental health literac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tual help-seeking behaviors. The findings from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mental health literacy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tual help-seek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help-seek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한국형 정신건강 통합서비스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정신건강전문요원 인식도 조사

        임정숙(Jeungsuk Lim),김성남(Soungnam Kim),이미경(Mikyung Lee),이해국(Hae-Kook Lee),박한선(Hanson Park),현진희(Jinhee Hyun),김혜수(Hyesoo Kim),이상민(Sang Min Lee),백종우(Jong-Woo Paik)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8 사회정신의학 Vol.23 No.2

        목 적 : 정신질환자의 인권보장과 탈수용화를 위한 치료환경 변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신건강 기관에서는 정신질환자에게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평가도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기관에서 근무하는 정신건강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한국형 정신건강 통합서비스 평가척도 개발을 위해 치료요구도 및 배치를 위한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연구 참여자는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정신건강 전문요원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조사내용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정신보건 현장에서 근무하는 정신건강전문요원들은 정신질환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합적 평가도구 개발과 사용에 있어 도구의 활용가능성, 개인적 역량 및 동기부여, 유지관리 등 3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는 한국형 정신건강 통합서비스 평가척도 개발에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평가도구개발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A variety of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now need an assessment tool to provide service to their patients, as it is required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and change treatment environment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ental Health Act, which was overhauled in 2016. This study surveye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bout their perceptions about the Korean assessment tool for mentally ill people’s treatment needs and placement.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hich uses the assessment tool to provide service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se subject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hen 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is study’s investigation. Results : This study’s results demonstrated that mental health specialists, who served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perceived 3 categories-tool usability, personal competency and motivation, and maintenance-and 10 sub-categories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use of the assessment tool, which measures mental health service needs. Conclusion :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esented the finding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Korean mental health service needs assessment tool, and would be us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 references to develop such a tool.

      • 대학생의 우울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

        김희철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8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우울 수준이 실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Mental Health Literacy)이 이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한국의 6개 대학에서 총 3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우울은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은 우울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필요(Need) 요인으로서 우울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대한 영향에 대한 고려와 동시에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이 주요하게 개입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그 중요성이 드러난 만큼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생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촉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신건강 복지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정신질환자의 수요자 인식에 관한 연구

        남성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 복지서비스의 수요자인 정신질환자가 처한 서비스 정보획득의 접근성과 서비스 선택의 다양성이 실제 서비스 이용만족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정보접근성 및 선택다양성 변수와 함께 서비스 이용만족의 수준이 서비스를 소비하는 그들이 가지는 수요자 인식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접근성과 선택다양성이 클수록, 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이러한 정보접근성과 선택다양성은 정신질환자들이 자신을 수혜자로보다 수요자로 인식하게 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만족 수준은 정신질환자의 수요자 인식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접근성과 선택다양성이 서비스 이용만족 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공급자 중심의 정신건강 복지서비스 체계를 정신질환자의 욕구에 초점을 둔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시켜가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cessibility to service information and the diversity of service choices on the satisfaction with service use of mental patients who are consumers of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ir consumer perception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the greater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choice diversity of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use.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choice diversity have an effect on making mental patients perceive themselves as consumers rather than beneficiaries of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 Howev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does not affect their consumer percep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pplier-centered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 system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consumers-centered one aiming at the needs of the mental patients.

      • KCI등재

        지역 정신건강서비스의 데이터 활용기반 마련을 위한 고찰 -미국 애리조나주 정신보건시스템을 중심으로-

        배유진,오현성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3

        이 논문은 정신장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지역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활용현황을 점검하고, 미국의 애리조나주의 데이터 수집 및 활용과 공유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정신건강서비스의 데이터 활용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조성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역 정신건강서비스의 데이터 활용의 한계와 미국 애리조나주의 사례를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지역 정신건강/약물중독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용자 중심의 성과측정 및 보고서 작성이 필요하다. 둘째, 이해관계자들이 정신건강/약물중독 서비스의 개선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실증 데이터를 쉽게 인용할 수 있는 정책 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 예컨대, 대상자 특성별 지역사회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얼마만큼, 언제, 어느 지역에서 받고 있는지,그리고 그 효과성을 연령별, 지역별, 성별, 정신질환별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결과로써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광역 및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들이 제공하는 정신건강/약물중독 치료 서비스들의 운영비 일부만을 보건복지부 내 정신정책실로 일반예산 보조금으로 받고있고 정신정책실과 전국에 약 350개가 넘는 광역 및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들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인력을 운영할 수 있는 자원이 없다. 따라서, 서비스 공급자들과 대부분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약물중독 치료 예산을 제공하는 보건복지부의 정신정책실을 대리한 평가 전문조직의 지원이 불가결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data utilization for local mental health services at a time when interest in mental disorders is increasing, and seeks ways to create a foundation to strengthen the use cases of data on the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by examining data collection, utilization, and sharing cases in Arizona, USA,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data utilization in Korea's local mental health services and the case of Arizona, USA,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First, user-centered performance measurement and reporting should be implemented in relation to Korea's local mental health/drug addiction servic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policy environment in which stakeholders can easily cite empirical data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improvements in mental health/substance addiction services. For example, there is a need for a data structured management that can provide analysis results by classifying how much, when, and in what region the target audience receives community services and programs by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iveness by age, region, gender, mental illness, etc. Lastly, only a portion of the operating costs of mental health/substance addiction treatment services provided by metropolitan and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re subsidized by the Mental Policy Office with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addition, the Mental Policy Office with more than 350 metropolitan and basic mental health centers across the country do not have the resources to operate personnel to collect and analyze data. Therefore, support from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at only conduct assessments on behalf of service providers and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Mental Policy, which provides most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substance addiction treatment budget, is essential.

      • KCI등재

        SNS 기반 모바일 정신건강서비스 플랫폼 이용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솔지(Sol Ji Lee)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전문가가 개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모바일 정신건강서비스 플랫폼 이용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로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여 한국의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에서 모바일 정신건강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과 전문적인 모바일 정신건강서비스 플랫폼의 활용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년 이상 해당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12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상에 대한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7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문제의 시작과 망망함 속 발버둥, 내가 이용한 정신건강서비스 그리고 부정적 기억들, 우연히 마주한 공간에서 경험한 다양한 정신건강서비스, 모바일 정신건강서비스 플랫폼을 지속해서 찾는 이유, 심리적 안정과 실제적인 변화와 회복, 개인 모바일 정신건강서비스 플랫폼의 한계, 공공 정신건강서비스와의 파트너십으로 함께가기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과 그에 따른 실질적인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using a mobile mental health service platform developed and provided by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experts, and was conducted to provide practical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necessity of a mobile mental health service platform and the use of a professional mobile mental health service platform in Korea's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To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2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been continuously using the platform for more than a year,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o deeply analyz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 components and 20 sub-components were derived, and the components were found to struggle in the beginning and despair of the problem, mental health services I used and negative memories, various mental health services experienced in accidental spaces, reasons for continuing to find the mobile mental health service platform,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ractical change and recovery, limitations of personal mobile mental health service platforms, and partnerships with public 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