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emotion dysregulation as well as and the effects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emotion dysregulation. For this purpos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were implemented to 214 undergraduate students to measure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emotion dysregulation, respectively.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maladaptive strateg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 dysregulation and distractive strategies and approaching strategies among adaptive strateg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 dysregulation.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ccounted for 39% of the variance in the emotion dysregulation. The maladaptive strategies exhibite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for the emotion dysregulation. In addition, among adaptive strategies only approach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motion dysregul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조절방략과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정서조절방략들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서조절방략을 포괄적으로 측정 및 구분하는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와 정서조절곤란 수준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를 실시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은 정서조절곤란 총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적응적 정서조절방략들 중에서 주의 분산적 방략과 접근적 방략이 정서조절곤란 총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지지 추구적 방략은 정서조절곤란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다양한 정서조절방략들이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방략들에 의해 정서조절곤란을 설명하는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정서조절방략들은 정서조절곤란의 전체 변량 가운데 39%를 설명하였다. 정서조절방략들 가운데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였고, 적응적 방략들 중에서는 접근적 방략만이 정서조절곤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의 기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이지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ment 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tudi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was mediated by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adults, while controlling for perceived parenting styles, sex, and age. The EAS, DERS, ERSQ, and EMBU-short were administered to 890 adult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emotionality and ac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ociability correlated negatively with it.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emperament accounted for 37% of the variance i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among temperamen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dition,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adaptive and maladaptive strategies.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on emotional dysregulation. The higher the emotionality, the more frequent use of maladaptive strategies, and the decreased use of adaptive strategies resulted in higher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bility, the lower the use of maladaptive strategies; frequent use of adaptive strategies resulted in lower emotional dysregul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기질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때 기질과 정서조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성별 및 연령 등 인구학적 정보를 고려하였다. 성인 890명을 대상으로 성인용 기질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정서조절방략 질문지, 지각된 양육방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부분상관분석 결과, 기질 가운데 정서성과 활동성은 정서조절곤란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성은 정서조절곤란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인의 기질은 정서조절곤란의 전체 변량 가운데 37% 가량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기질 가운데 정서성과 사회성이 정서조절곤란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또한 정서성과 사회성은 적응적 및 부적응적 방략의 사용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중다매개가설을 검증한 결과, 정서성 및 사회성 기질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적 방략과 부적응적 방략의 사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서성 기질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방략을 자주 사용하고 적응적 방략을 덜 사용하여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회성 기질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방략을 덜 사용하고 적응적 방략을 자주 사용하여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 효과

        이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1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 정서조절곤란, 정서조절방략 세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4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양육방식 척도(EMBU-short),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와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RSQ)를 실시하여,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부분상관분석 결과, 부모의 거부와 과보호 방식은 정서조절곤란 및 부적응적 방략과 정적 상관을, 부모의 애정 방식은 정서조절곤란과 부적 상관, 적응적 방략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상태에서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은 정서조절곤란의 전체 변량 중 11%를 설명하였고, 부의 애정과 모의 거부 방식이 정서조절곤란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였을 때,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은 적응적 방략의 13%를, 부적응적 방략의 10%를 설명하였다. 부모의 애정 방식은 적응적 방략을, 부모의 거부 방식은 부적응적 방략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지각된 부모의 양육방식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적응적 방략은 부의 애정 방식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고, 부적응적 방략은 모의 거부 방식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dysregulation were mediated b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adults, controlling for sex and age. EMBU-short, DERS, and ERSQ were implemented to 943 adult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s' refusal and overprotec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emotion dysregulation and maladaptive strategies and parents' affection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m.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arenting style accounted for 11% of the variance in emotion dysregulation, 13% of adaptive strategies, and 10% of maladaptive strategies. Father's affection and mother's refusa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strategie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ffec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strategie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fusal and emotion dysregul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적 섭식자의 부정 정서와 폭식 행동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윤정민,심은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1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정서적 섭식자의 폭식 행동의 위험요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을 확인하고, 부정 정서가 정서적 섭식을 매개하여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정서조절곤란에 따라 달라지는 지 살펴보았다. 또한 생태순간평가(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를 통해 부정 정서와 폭식 행동의 관계 및 정서조절곤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여자 대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식이행동질문지, 폭식행동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고, 식이행동질문지의 정서적 섭식 점수 상위 25%(n = 43)를 대상으로 7일간 EMA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 자료 분석 결과, 정서적 섭식과 폭식 행동 위험이 모두 높은 집단은 정서적 섭식만 높은 집단에 비해 정서조절곤란, 특히 충동조절곤란이 높았다. 또한 정서조절곤란이 높을수록 부정 정서가 정서적 섭식을 통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EMA 자료 분석 결과, 정서적 섭식자의 부정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이 높을수록 폭식 행동이 심각해지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조절곤란과 폭식 행동 발생 위험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정서적 섭식자의 폭식행동 예방 및 치료에서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 as a risk factor of binge eating (BE) in emotional eaters,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ating(E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E differs as a function of DER in an online survey with 228 female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E, and the moderating role of DER, using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EMA) with 43 students with the top 25% score in EE. The group with both high EE and BE had a higher DER, particularly, more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than the group with only high EE.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 on BE mediated by EE increased with higher DER. The EMA results showed that the BE severity increased with a higher negative affect and DER.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address DER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

      • KCI등재

        정서강도, 정서조절곤란이 강박적 구매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

        이슬아,고사랑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정서강도와 강박적 구매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고, 정서조절곤란이 강박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충동성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426명을 대상으로 정서강도 척도, 강박적 구매행동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충동성 척도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서강도와 강박적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효과와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확인한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강도, 강박적 구매행동, 정서조절곤란, 충동성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강도가 정서조절곤란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조절곤란은 정서강도와 강박적 구매행동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된 매개 효과 검증 결과, 정서강도가 강박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고, 정서조절곤란과 강박적 구매행동의 관계가 충동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compulsive purchas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compulsive purchasing. The Affect Intensity Measure, Compulsive Purchase Scal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Impulsiv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426 adults over the age of 18,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ffect intensity,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mpulsivity. Second, affect intens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test revealed that affect intensity mediated the pathway through which emotional dysregulation affected compulsive purchas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impulsivity,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및 그 차원들이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서우정,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및 그 차원들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상위인지, 부정적 정서 및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 둘 모두 일반화된 불안증상 및 부정적 정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은 부정적 정서와 상위인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심각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상위인지 또한 부정적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일반화된 불안증상들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는 부정적 정서의 영향을 넘어서서 일반화된 불안증상의 전체 변량의 9%를 추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된 불안증상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6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해 동시적 중다회귀방정식을 사용한 결과, 다른 나머지 차원들을 통제한 후에도 정서적 명료성 부족과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접근 제한차원은 각각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에 대한 상위인지의 5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시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걱정에 대한 통제 불가능성/위험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인지적 자신감 부족차원은 각각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 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조절곤란과 상위인지가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예측하는데 있어 각각 고유하게 기여하며, 일반화된 불안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일반화된 불안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 두 변인 모두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ole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the severity of generalized anxiety(GA) symptoms. Two hundred and thirty thre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battery of self-report measures to asses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etacognition, general negative affect, and GA symptom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general negative affect and metacognition. Metacognition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 symptoms,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together explained an additional 9% of the total variance of GA symptoms, above and beyond negative affect. Furthermore,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six dimension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o GA symptoms. Of the dimensions,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limited access to strategies for regulation dimensions each uniquely contributed to GA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dimensions.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five dimensions of metacognition to GA symptoms revealed that negative beliefs about worry concerning uncontrollability and danger and the lack of cognitive confidence dimensions ea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GA symptoms. In conclusion,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linicians should focus on both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in order to alleviate GA symptoms and preven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more effectively.

      • KCI등재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자기 정체성에 의해 조절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임종민,장문선,이종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nd to examine whether self-identity moderates this mediating effect. A total of 233 college students who had engaged in NSSI within the past 12 month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NSSI, with self-identity moderating this relationship. Also, self-identity moderated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ivity on NSSI meditated by emotional dysregulation, while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affectivity on NSSI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higher levels of self-identity are expected to mi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NSSI.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자기 정체성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 조사 업체가 보유한 패널 중에서 최근 1년 동안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를 경험한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성인 기질 척도(ATQ), 자해 기능 평가지(FASM), 정서조절 곤란 척도(DERS), 자기 정체성 척도(SCIM)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 곤란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를 자기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 정서성이 정서조절 곤란을 매개하여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자기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정체성 수준을 높임으로써 부정 정서성이 정서조절 곤란을 매개로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김보배,이은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9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21년 8월 3일부터 9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28.0과 PROCESS Macro(ver. 3.5)를 통해 분석하였다.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Model 6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거부민감성, 정서조절곤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정신화는 애착회피와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거부민감성은 애착회피와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의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의 순차적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는 정신화와 거부민감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정서조절곤란에 있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애착불안은 정신화에 부적 영향을미쳤으나 정신화는 거부민감성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조절곤란까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정서조절곤란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불안정애착 대학생 상담장면에서정신화 수준과 거부민감성을 고려한 상담의 개입시에 적절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확인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투쟁-도피-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의 관계: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와 무경험자의 비교

        권문희,신효정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9 人間理解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Fight-Flight-Freeze System(FFFS), levels of expressed emotion in the family,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comparing those who experienced in Non-Suicidal Self-Injury(NSSI) with those who did not experienced Non-Suicidal Self-Injury(NSS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SSI attempt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fight-flight-freeze system, levels of expressed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comparing to non-NSSI attempters. Second,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only the freeze system of the fight-flight-freeze system, levels of expressed emotion in the family,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for NSSI attempters. Third, the freeze system and levels of expressed emotion in the family predicte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for NSSI attempters. Lastly,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unselor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들의 투쟁-도피-동결체계(Fight-Flight-Freeze System: FFFS),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 변인들의 특징을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와 비교⋅검토해봄으로써 비자살적 자해와 연관성이 높은 예측 요인을 확인하고 추후 상담 개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 474명으로부터 투쟁-도피-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99명은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였으며, 375명은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와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에 대한 차이검증에서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는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보다 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투쟁-도피-동결체계(Fight-Flight-Freeze System: FFFS), 가족표출정서, 정서조절곤란 간의 상관에서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들은 동결과 가족표출정서만이 정서조절곤란과 상관이 유의하였고,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들은 투쟁-도피-동결체계, 가족표출정서 변인 모두가 정서조절곤란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을 예측하는 회귀분석에서 비자살적 자해 유경험자들은 동결과 가족표출정서가 정서조절곤란을 예측하였고, 비자살적 자해 무경험자들은 투쟁, 동결, 가족표출정서가 정서조절곤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은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K-MBSR이 고등학생의 정서조절 곤란 감소 및 메타인지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문희(Moon-Hee Jung),최윤정(Yoon-Jung Choi) 한국명상학회 2019 한국명상학회지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마음챙김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정서조절 곤란을 겪는 고등학생의 정서조절 곤란의 감소와 메타인지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Y지역에 있는 Y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조절 곤란 척도를 이용하여 점수가 높은 학생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21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3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6주 동안 8회기(1회기 120분간)로 구성된 K-MBSR을 실시하였다. K-MBSR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정서조절 곤란척도, 메타인지검사를 통해 측정된 자료를 공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서 정서조절 곤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메타인지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서조절 곤란의 6개 하위 요인(충동통제곤란,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부족, 정서적 명료성 부족, 정서조절 전략 접근 제한, 목표지향행동 수행 어려움) 모두에서 실험집단은 정서조절 곤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메타인지의 두 가지 하위 요인인 메타 인지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통제 모두에서 실험집단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K-MBSR이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고 정서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특히 학습과 관련된 메타인지를 향상시킨다는 결과는 마음챙김명상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에서 학생들의 인성 발달 및 학업 성취의 향상을 위한 학교 상담 프로그램으로서 K-MBSR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K-MBSR) has an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decrease and meta-cognition impro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emotion dysregu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tudents with high scores of K-DERS(the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scale in Y high school in Y area.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8 sessions(1 session per 120 minutes) of K-MBSR for 6weeks. After applying the K-MBSR program, the score of emotion dyregulation scale and the meta-cognition inventory were used to analyze the covariance analysis.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mproving meta-cogn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K-MBSR as a school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udents personality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