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情史》의 국내 수용 과정에 관한 試論

        李騰淵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1 No.-

        이 논문은 중국 晩明 시기에 등장한 文言小說選集 《情史》가 국내에 수용된 과정을 검토하되, 《情史雜選》·《情史類略抄》 등 이미 해제가 이루어졌던 기존의 선집과 달리 그동안 학계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情史彙珠》란 선집의 기본적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심을 두었다. 《情史》의 국내 유입과 관련해, 《閱古觀書目》·《隆文樓書目》·《大畜觀書目》 등 왕실 서목이나 尹德熙·李鈺·宋來熙·池奎植 등 문인의 기록을 통해 이 책의 국내 유입 상황은 일단 분명하게 확인된다. 필자는 이들 여러 자료 가운데 池奎植이 《荷齋日記》에서 언급한, “《정사(情史)》 중에서 볼 만한 것을 한글로 베꼈다.”, “골라낸 《정사》를 표지를 잘 꾸며서 춘헌에게 주었다.”는 언급에 주목하여 이 번역 초록집과 《情史彙珠》·《情史雜選》 등 시선집의 관련 가능성을 고려해보았다. 국내 소장 《情史》 선집 가운데 특히 《情史彙珠》·《情史雜選》 두 시선집은 문언소설집 《情史》 내용 중에서 ‘고사’가 아닌 ‘詩詞’를 선별했다는 점, 그 선별 기준이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 체제가 엄밀한 편이 아니고 필사 과정의 오류가 적지 않다는 점 등에서 적지 않은 공통성이 있다. 그런데 이 두 선집의 작자, 제작 시기 등에 관한 자료가 전무한 상태인지라 상술한 지규식과의 관련성 문제 등은 매우 추상적인 가설일 수밖에 없으며, 향후 학계에서 연구가 확대될 수 있도록 참고로 제시한 것일 뿐이다. 한편, 이 논의 과정에 참고하기 위해 일본 쪽에서 이루어진 선집이나 번역본, 예를 들어 107종 고사를 선록한 《情史抄》, 일부 작품을 선별해 번역한 《通俗情史》 등도 함께 비교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들 각 선집을 서로 비교하는 과정에서 각 텍스트의 구체적 선별 기준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았다. 이 때문에 본고에서는 일단 새로 발굴한 《情史彙珠》의 성격 규명을 일차 목표로 삼아, 이를 다른 선집과 비교해 파악한다는 전제에서 관련 문제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고, 여전히 남은 문제들은 향후 계속 검토해나가고자 한다. This research reviewed the acceptance process of an anthology of classical-language stories Qinshi (history of love, 情史) which appeared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into Korea. Unlike the existing anthologies such as Chengsa-jabseon (a random collection of Cheonsa), Chengsa-yuliakcho (a random collection of Chengsa-yuliak) that already have annotated before, I introduc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nthology called Chengsa-huiju (a special collection of Chengsa) which were not mentioned in the academia in meantime.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Qingshi in Korea, according to the book index of royal library such as Yolgoguanseomok, Yungmulluseomok, Daechukguanseomok and the record of the writers including Yun Deokhee·Lee ok·Song Laehee·Ji Gyusik, the acceptance process in Korea is evidently confirmed. I focused on the reference that Ji Gyusik mentioned in Hajae’s diary “I have copied things in Qingshi in Korean that were worthy to look through.” “I decorated the cover of selected Qingshi and gave it to Chunheon.”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relevance between the translation collections and collection of poems such as Chengsa-Huiju and Chengsa-jabseon. Especially in the Qingshi anthology restored in Korea, Chengsa-huiju and Chengsa-jabseon two collection of poems are an anthology of classical language stories, In the context, they have selected poem instead of story in Qingshi, The criteria of selection is not specific. the system is not strict and there are several mistakes in the process in re-writing.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are almost no reliable evidence about the writer of these two anthologies or the production period. Therefore, the relation issue between Ji Gyusik above-mentioned cannot but be abstract. I have suggested the issues expecting the research to be extended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I have compared the anthologies and translations also in Japan. For example, Joushi shō (a random collection of Joushi) which recorded the 107 stories and Tsuuzoku joushi (a popular collection of Joushi) which translated some selected pieces. In result, it was not easy to understand the specific standards for selection through comparing each anthology. For these reasons, the primary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Chengsa-huiju that we have newly discovered. We have generally looked through the related issues by comparing this character to other anthology and continue to examine the left issues from now on.

      • KCI등재

        寒岡 鄭逑의 武屹精舍 建立과 著述活動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9 남명학연구 Vol.28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son and the process for Hangang Jeonggu(1543-1620) to establish 'Muheul-jeongsa' in 1604 at the age of 62, his writing activities there, and a historical development thereof. His personal belongings as well as several thousand books collected or published by him were preserved in Muheul-jeongsa. Subsequently 'learned men(sunbi)' in Yeongnam created a series of 'Muheul culture' through academic activities including reading books and discussing scholarly subjects. Nevertheless, an understanding and attention on the Muheul culture from academics and local government are insufficient currently. Thus this study was launched to pinpoint certain negligence regarding Muheul-jeongsa an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an all-out life cultural research centered around Muheul-jeongsa. Jeonggu was interested in 'Muheul-dongcheon' from early on and a major reason for him to choose Muheul as a place to settle in his later years was a desire of 'cultivation through reading' based on 'solitude consciousness(避地意識).' He tried to cultivate himself through reading even by politely turning down invitations from closest friends. He once was appointed to a public official such as 'deputy delegate for Andong(Andong-daedoho-busa)' however, he was also engaged in writing in diverse areas during his 7 to 8 years' of residence in Muheul. His writings during this period include Yeomrak-gengjakrok, Susa-uninrok, Goksan-dongamji concerning Neo-Confucianism(Sung Confucianism), Gyeonghyun-sokrok, Wharyeong-amji, Chiran-jeyo, Gogeum-inmulji, Yoosun-sokrok concerning historical biography, and Bokjuji which was a local newspaper. Through his writing activities, he tried to clarify the origin of Jujahak based on a 'Philosophy of Benevolence(仁思想)' of Confucius, and its transplantation in Chosun,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developments. Muheul-jeongsa was built with enormous care including a personal supervising of Jeonggu on a construction site. It was located closely in Manweoldam among nine valleys of Muheul(武屹九曲). Initially various annex facilities existed including the centering Seowunam with three-room thatched cottage, Sancheonam with two-room thatched cottage, Biseolgyeo, and Jayiheon. After Jeonggu passed away, Muheul-jeongsa went through several changes and challenges such as an expansion into the 36-room thatched Muheul-jeongsa in a different location with a library(Jangseogak). Four entities of the Jeongsa established in 1922 and a 'small kitchen(庖舍)' remain up to date. The year of Gapjin 1784 especially(the 8th year of the King Jeongjo reign) saw Muheul-jeongsa newly built led by his offspring and a renovation for the entire Muheul valley. To commemorate this event, a painting of 'Muheul Nine Valleys'(武屹九曲圖) was produced and a variety of poems were created. Muheul-jeongsa has its significance in its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Muheul culture not only during lively activities of Jeonggu but throughout the later generation of many learned men who visited here for exploration. Contemporaries of Jeonggu visited Muheul-jeongsa, mainly disciples of Jeonggu, based on a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fter Jeonggu passed away, many learned men paid their homage to Jeonggu by visiting the place as part of the exploration. Most of all, Muheul-jeongsa contained Geongssi-jangseo collected and written by Jeonggu in its library(藏書閣) of Seowunam so that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reading and discussing academic subjects for the learned men. 본 연구는 鄭逑(寒岡, 1543-1620)가 무흘정사를 건립하게 된 이유와 과정, 무흘정사에서의 저술활동, 무흘정사의 연혁 등을 두루 고찰한 것이다. 무흘정사에는 정구의 유품뿐만 아니라 그가 수집․편찬한 수 천권의 서적이 보관되어 있었으며, 영남의 선비들은 이곳에서 책을 열람하고 강학활동을 하는 등 일련의 ‘무흘 아카데미’를 형성하였다. 최근에는 무흘정사의 書目 일부가 고문서의 형태로 발견되기도 했다. 사정의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학계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것이 실정이다. 본고는 여기에 일정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무흘정사를 중심으로 한 무흘의 본격적인 생활문화 연구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기획된 것이다. 무흘동천에 대한 정구의 관심은 이른 시기부터 있어왔는데, 그가 만년에 무흘행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避地意識에 기반한 독서양성이었다. 평소 친분이 두텁던 벗의 방문까지 정중히 사양하면서 독서를 통한 養性을 실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정구는 安東大都護府使 등의 관직을 맡기도 하지만 7-8년동안 이곳에서 보내면서 다양한 분야의 저술활동을 전개한다. 성리학 분야의 「염락갱장록」ㆍ「수사언인록」ㆍ「곡산동암지」, 역사전기 분야의 「경현속록」ㆍ「와룡암지」ㆍ「치란제요」ㆍ「고금인물지」ㆍ「유선속록」, 지방지 분야의 「복주지」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 같은 저술활동을 통해 그는 공자의 仁思想에 근간을 둔 주자학의 연원과 그 조선적 계승을 道脈에 입각하여 명확히 하고자 했다. 무흘정사 건립에는 정구가 직접 공사감독을 할 만큼 많은 정성을 기울인다. 그 위치는 무흘구곡 가운데 와룡암과 만월담 사이에 있었으나 만월담에 더욱 밀착되어 있었다. 1604년 건립 당시에는 초가 3간으로 된 서운암을 중심으로 하여 2간의 산천암, 비설교와 자이헌 등 다양한 부속시설들이 있었다. 정구가 세상을 뜬 후 무흘정사는 위치를 달리하여 36간의 무흘정사와 3동의 장서각으로 규모가 확대되기도 하였고, 여러 곡절을 거치면서 현재 1922년에 세운 4간의 정사와 庖舍 약간 동이 남아 있다. 특히 1784년(갑진, 정조8)에는 후손이 중심이 되어 무흘정사를 새로 짓고 무흘구곡 전체에 대한 정비작업을 하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무흘구곡도」를 그리고 다양한 시를 짓기도 한다. 무흘정사는 정구가 활동할 당시는 물론이고 이후 많은 선비들이 이곳을 탐방하면서 무흘 문화를 만들어갔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정구 당대에는 사승관계를 형성하는 제자들이 이곳을 주로 찾았고, 정구가 세상을 뜬 후에는 정구를 추모하는 많은 선비들이 답사객이 되어 심방하였다. 무엇보다도 무흘에는 정구가 수집하고 저술한 이른바 鄭氏藏書가 장서각 서운암에 보관되어 있어 영남 선비들의 독서와 강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口傳政事 연구

        정구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9

        The Gujeonjeongsa(口傳政事) is one of the oral personnel systems.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person is recommended from the government office, and again orally from YiJo(吏曹) to the king. Then, the system was verbally approved by the king. In the case of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王朝), Gujeonjeongsa was generally used for the appointment of subordinate officials of the Yukjo(六曹),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military officials. However, during the latter phase of the Joseon Dynasty, the subjects of the old court were abused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Jeongseung(政丞) and Yukjo were also appoin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Gujeonjeongsa was used as a conduit for urgently filling lower-level officials.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燕山君), many officials were appointed as Gujeonjeongsas because the king did not care about personnel appointments. Immediately after the King Jungjong's(中宗) revolt, the Hungu(勳舊) faction took up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and the Gujeonjeongsa was used political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oral tradition was tarnished by frequent appointments o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s a result, conflicts between the king and his officials have emerged. 구전정사는, 구두로 이루어지는 인사 관행의 하나로서 관청이나 지휘관 등이 인물을 천거하면 전조인 이조와 병조에서 정식의 절차인 삼망을 거치지 않고 구두로 혹은 초기나 단자를 올려 임금에게 인물을 단망으로 천거하고 임금이 구두로 이를 재가하던 제도이다. 조선 전기의 경우, 구전정사는 대체로 의금부 관원, 별좌․제거․판관 등 육조 속아문의 하급관리, 교육기관의 교수관․훈도관, 수령이나 찰방 등의 지방관, 노비변정도감․도성축성도감 등 임시관청의 관원, 무관, 권지 등의 임명에 활용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구전정사의 대상이 학대되어 중앙의 하급관리나 지방관 등만이 아니라 정승이나 육조 판서․참판 등의 고위 관료까지도 구전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고위 관료의 임명에는 왕의 의지가 반영된 경우가 많았는데, 이 때문에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혀 철회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영조 때 고위 관료에 대한 구전정사를 금지하는 법이 제정되기도 하였다. 구전정사는 조선 초기에는 주로 하급관리 등을 긴급하게 충원하는 통로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연산군 때는 왕이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아 많은 관리가 구전으로 임명되었다. 또 중종반정 직후에는 훈구파들이 논공행상으로 고위관직을 차지하면서 구전정사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구전정사가 시급한 관리 임명을 명분으로 하기는 했으나, 고위 관료에 대한 국왕의 구전, 임명이 빈번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구전의 본래 의미가 변질되고 국왕과 신하들 사이의 인사권을 둘러싼 갈등과 충돌양상으로 변질되었다. 요컨대, 조선 전기에는 시급한 관리 충원이라는 구전정사 본래의 취지가 비교적 잘 지켜졌지만, 후기에는 왕에 의한 고위 관료나 청요직 등의 임명에 구전정사가 활용됨으로써 그 취지가 퇴색하게 되었다.

      • KCI등재

        옛 동리정사 재현과 공연학적 해석

        이영일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This thesis is aimed to reproduce past shape of Dongli-Jeongsa, and then to insquir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from view of performance study about that. Reproducing past shape of Dongli-Jeongsa is first problem, and when this is achieved successfully, second problem shall be solved easy and be useful to us. I analyzed a dozen of files about activities of shin Jaihyo, his poems (Danjapga), testimony, collections of Pansori museum, cadastral map and data of the Japanese Ruling Era, testimony of Lee kiwha, actual measurement data on Sarangchai(Shin Jaihyo's old house). and then I submitted position and scale of Dongli-Jeongsa, and arrange Sarangchai(Shin Jaihyo's old house), Seokgasan, loutus pond, a pavilion standing beside that, the main building and side building on it. This reappearance map will be important for reproducing real buildings. Based on this map, I interpret the meaning and signification from view of performance study on Dongli-Jeongsa. This community have the all processes of performance-training, workshops, rehearsals, warm-ups, performance, cooldown, aftermath in their cultural site. First, The site of Dongli-Jeongsa is used for training of Pansori. Second, A kind of workshop that Dongri correct sound and meaning of word for Pansori singers, and that let them correct their vulgar is held in this site. Third, Pansori performed centered Yeondang( pavillion standing beside lotus pond) and Sarangchai. This is very symbolic and meaningful science that let the legacy continue. fourth, Gisaeng and Gwangdai performed Pansori front of Shin Jaihyo, and received comment about the performances. Jeong Hyeonseok appraise Shin Jaihyo as a “thoughtful man”. He evaluate Shin know how to improve the dignity throughout art. In early days, Shin had great insight about poetry, calligraphy, paintings, and pursuit spiritual realm of “Pungryu” throughout Pansori, keeping himself in Seokgasan that symbolizes the “Pungryudo”Dongli-Jeongsa where community member trained, taught, performed, evaluated Pansori is not private house anymore. This site is “Pansori private Institute” and the “Cradle of Pansori in korea”. Therefore, Dongli-Jeongsa must be reproduced and preserved as educational property for Pansori. This is a way to preserve Inter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ansori 이 논문은 옛 동리 정사의 모습을 재현하고 공연학적인 관점에서 판소리 공연학적 의의와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동리 정사의 옛 모습을 구현하는 것은 1차적인 과제이며, 이 과제가 잘 이루어졌을 때, 그 판소리 공연학적 의의를 밝히는 2차적 과제도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옛 동리정사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서 신재효 선생의 행적을 정리한 자료, 신재효 선생의 노래(단잡가), 증언자료, 박물관 소장 자료, 구지적도, 구지적대장, 향토연구가의 증언, 전통 가옥인 사랑채의 전반적인 조사와 실측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옛 동리 정사의 위치와 범위·규모, 구성물인 사랑채, 연당(정자)와 연못, 석가산, 안채와 그 부속건물, 기타 시설물의 위치와 대략적인 형태를 재현하였다. 분석 작업을 통해 제시된 재현도면은 옛 동리정사를 실재 가옥으로 재현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재현된 도면을 바탕으로 옛 동리 정사에 대한 공연학적 의의와 의미를 해석했다. 옛 동리 정사는 트레이닝(training)·워크샵(workshops)·리허설(rehearsals)·워밍업(warm-ups)·공연(performance)·냉각(cooldown)·여파(aftermath) 등의 공연 전 과정을 자족적으로 충족시키는 문화적 공간이었다. 첫째 동리 정사는 곳곳이 판소리 트레이닝의 장소로 활용되었다. 둘째, 광대들을 불러 모아 문자를 가르쳐 그 음과 뜻을 바로 잡아 주고 비속함이 심한 것을 고쳐 주고 그것을 익히게 하는 워크샵의 장소였다. 셋째, 동리 정사는 사랑채와 연당(석가산)을 중심으로 판소리의 훌륭한 공연이 펼쳐진 장소였다. 이는 한국 광대들의 공연문화의 맥을 잇는 상징적인 장면으로서 매우 의미심장한 것이다. 넷째, 기생·광대들이 신재효 선생 앞에서 자신의 기량을 과시하고 유의미한 지침을 얻어 갔다. 정현석의 신재효에 대한 “뜻이 있는 선비”라는 평가는 결국 예술을통해 스스로 삶의 경지를 높이고 그를 통해 자족할 줄 아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신재효는 詩·書·畵에 나름대로 문화적 활동과 식견을 가지고 있었지만 풍류도적인 인생·자연관을 상징하는 석가산을 옆에 두고 판소리라는 고도의 공연예술을 통해서 풍류의 경지를 추구한 사람이었다. 일정한 문화 공동체가 숙식을 같이하며 자연스럽게 판소리를 교육·수련·공연·평가했던 옛 동리정사는 더 이상 개인의 생가가 아니다. 가히 ‘판소리 사설 학교’이며, ‘한국 판소리 공연과 교육의 산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동리정사는 한국 판소리 교육과 수련·교육현장으로 재현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것이야말로 세계무형문화유산 판소리를 보존하는 하나의 방식일 것이다.

      • KCI등재

        신문 기사 분석으로 살펴본 근대의 情死-낭만적 사랑과 죽음에 대한 조선과 일본의 의식 차-

        김순옥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6 No.-

        본고는 20세기 초, 근대 조선 사회에 열풍처럼 번진 情死 사건이 실제 어떠한 형태로 발생하였으며, 그 현상은 어떠했는지 실태와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조선의 情死는 일본의 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情死라는 낭만적 사랑과 죽음에 관한 근대 조선과 일본의 인식 차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1920년-1940년 사이 발생한 190 건의 情死 사건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근대 조선의 情死 사건 기사는 1925년에서 1936년까지 근 10년간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1940년 이후 급격히 줄어들었다. 계절적으로는 봄부터 증가세를 보이다가 여름인 7월과 8월에 정점이 되었다. 情死의 방법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자살자들이 주로 ‘액사’를 선택한 것과 달리 ‘음독’의 비중이 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 情死의 원인은 ‘채무’나 ‘생활고’와 같은 금전적인 이유가 컸다. 근대 문학작품에도 종종 등장하는 情死라는 소재는 조선 사회에서는 낯선 문화가 분명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情死라는 낯선 문화를 수용하는 근대 조선인들의 연애관을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endeavors to scrutinize the occurrence and dynamics of the phenomenon known as ‘Double Suicide for Love,’ which proliferated as a societal trend in ‘Modern Jose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urthermore, it seeks to draw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stances of ‘Double Suicide for Love’ in ‘Modern Joseon’ and analogous incidents in Japan. The study also delves into the perceptual disparities regarding ‘Double Suicide for Love’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Modern Joseon’ and Japan. Methodologically, data for this investigation were meticulously compiled from 190 reported cases of ‘Double Suicide for Love’ spanning the years 1920 to 1940, as documented in the 『Donga-Ilbo』 and 『Chosun-Ilbo』 newspapers, and subjected to rigorous analytical scrutiny. The findings of this study elucidate that ‘Double Suicide for Love’ incidents in ‘Modern Joseon’ manifested a concentrated surge between 1925 and 1936, with a conspicuous decline post-1940. Temporal analysis discloses a seasonal surge commencing in spring and culminating in peak occurrences during the summer months of July and August. Diverging from conventional suicides, which predominantly involve hanging, ‘Double Suicide for Love’ predominantly employed the method of ‘Drug intoxication.’ Financial motives, specifically entailing ‘financial obligation’ or ‘financial problems,’ emerged as pivotal factors contributing to instances of ‘Double Suicide for Love.’ This scholarly inquiry posits that a nuanced understanding of ‘Double Suicide for Love’ incidents is instrumental not only in unraveling the historical fabric of ‘Modern Joseon’ but also in discerning the intricate attitudes towards romantic endeavors among the denizens of ‘Modern Joseon.’ The insigh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may additionally prove invaluable for the nuanced portrayal and utilization of the ‘Double Suicide for Love’ theme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Novels.

      • KCI등재

        일본 슈퍼마켓 산업 노동시장의 성별 구조화: 여성정사원의 기업 내 지위를 중심으로

        김순영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4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By analyzing the situation of the female regular workers in Japanese supermarket industry, this paper asserts that female regular workers can not have a stable status in the internal labor market, as long as the work model of male breadwinner, freed from family responsibility, enjoys the privilege of the normalit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market industry that demands transferring work places and doing night shift work will not permit the family responsibility of the worker in the internal labor market. Therefore, not only are the female regular workers with family responsibility unable to advance into upper positions but they are also faced with the difficulties of maintaining the status of regular worker if they can not gain the other women’s support. In such situation, the employment type of female workers depends on the women’s life stage and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ir family, not on their working capability and skills. That is, within the women’s life stage “A regular worker is the past of the part-time worker, and the part-time worker is the future of the regular worker.” Supermarket company substitutes part-time worker for regular worker, and the number of female regular workers has been drastically cut down. The rapid reduction of female regular workers renders regular workers with family responsibility and maternity protection difficult. Once again, this situation forces female regular workers to give up their job at the stage of family formation. As a result, the labor market of the supermarket industry is structured and dualized by the internal labor market composed of male breadwinner freed of family responsibility and the external labor market composed of housewife worker with family responsibility produced by the housewife institution. 이 논문은 일본슈퍼마켓 산업의 여성정사원이 처해있는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가족책임이 전면적으로 면제되어 있는 남성생계부양자의 노동모델이 ‘정상성’으로서의 특권을 갖는 한, 여성노동자는 내부노동시장에서 안정적인 지위를 확보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특히 정사원에게 점포이동과 야간근무, 교대근무를 요구하는 슈퍼마켓 산업의 특성은 내부노동시장 노동자의 가족책임을 결코 용인하지 않는다. 때문에 가족책임을 가진 여성정사원들은 사원구분제도에 의해 승진이 차단될 뿐 아니라 다른 여성의 도움을 받을 수 없으면 정사원 취업을 지속하기조차 어렵다. 이런 현실 속에서 여성노동자의 취업형태는 본인의 노동지향성 및 인적 자본에 의해서가 아니라 생애단계와 가족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해진다. 다시 말해 여성의 생애단계 상에서 “정사원은 파트타이머의 과거태이며, 파트타이머는 정사원의 미래태”다. 기업은 이런 현실을 이용하여 과거의 정사원으로 현재의 정사원을 대체하고 있다. 또 여성정사원의 급감으로 인해 가족책임을 가진 정사원, 모성보호를 받아야 하는 정사원이라는 존재 자체가 특별하고 비정상적인 존재로 치부되고 있으며 그것은 다시 한번 가족형성기에 여성정사원이 내부노동시장을 이탈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슈퍼마켓 산업의 노동시장은 가족책임에서 전면적으로 면제된, 기업이 요구하는 ‘생활태도로서의 능력’을 갖춘 “남성생계부양자의 내부노동시장”과 ‘주부제도’가 만들어내는 저임금 고숙련의 “주부노동자가 중심이 된 외부노동시장”으로 구조화되어 가고 있다.

      • KCI등재후보

        무인항공기에 의한 지형모델에 따른 정사영상의 특징 분석

        박영진,김민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5

        Recently, UAV(Unmanned Aerial Vehicle)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beyond the simple application for a military operation. In this study, ortho image were constructed about study area using UAV for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type of terrain model. Ortho image were normal ortho image by DTM(Digital Terrain Model) and true ortho image by DSM(Digital Surface Model). And comparing the produced images were performed. There are no distortion around the building in normal ortho image but it appears shadow area around the building. So, normal ortho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general services such as image map service. However, true ortho image seems high usability in the surveying field. If the distortion would be complemented around building through further studies, true ortho image will be used in various surveys. 현재 무인항공기는 공간정보 분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군작전에 대한 단순한 활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모델에 따른 정사영상의 특징 분석을 위해 DTM과 DSM을 이용하여 일반정사영상과 정밀정사영상을 제작하고, 제작된 영상의 특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정사영상은 건물과 같은 높이가 있는 특정 대상물 주변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주변에 폐색지역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정밀정사영상은 폐색지역 없이 지도와 같은 형태로 건물이 나타났지만 건물의 형태가 왜곡되어 나타났다. 일반정사영상은 정밀정사영상에 비해 일그러짐이 없는 가시성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영상지도서비스와 같은 측량목적이 아닌 일반적인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측량분야에서는 일반정사영상보다 지도와 같은 형태를 나타내는 정밀정사영상이 활용성이 높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정밀정사영상의 건물 외곽에서 나타나는 왜곡현상을 보완한다면 다양한 측량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상(李箱)의 글쓰기와 정사(double suicide)

        노지승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4 No.-

        Lee Sang's narrative text can be said as a type of Japanese 'I-Novel'(私小說) which are generally based on the crisis of writer's real life. Lee Sang wrote narrative texts based on his own love and sexu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a motifs that man and woman try to commit a double suicide or man suggest to woman a double suicide can be a dramatic and critical moment of his life. However, contrary to Japanese writers who were the model in Lee Sang's writing, the motif of double suicide in Lee Sang's text was transformed in individual and social context. In the 1920's and 1930's, a double suicide was represented as a expression of love that cannot be realized. Therefore a double suicide was a symbol of romance and eternal love. This characteristic had strengthened in the 1930s just because speedy and incontinent love by modern boys and girls was the trend in the 1930's. In the Lee Sang's text, man who loves modern girl is tortured by the fact that he cannot own her love exclusively. He suggests to the girl a double suicide just in order to test her love. Even though he can only ascertain that they fail in committing double suicide, he always hide his desperate emotion and disappontment in order to hold a dominant in relation with a girl. As a conclusion, a double suicide in Lee Sang's text is ambiguous. It is what he wants desperately but he pretends that he doesn't want that. For this reason, the proposals of double suicide are expressed not by Lee Sang's own language but by other Japanese writer's(Osamu Dazai and Ryunosuke Akutagawa) language. 이상의 산문 텍스트는 삶의 위기의식을 서사로 만드는 일본식 사소설의 전형이다. 그가 주로 산문 텍스트에서 다루었던 삶의 위기의식은 여성들과의 연애와 성에 관한 것이었다. ‘정사’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다. 이상의 산문 텍스트에서 ‘정사’는 1936년경 쓰인 여러 산문에서 확인된다. 그의 텍스트 속의 ‘정사’는 그 표현에 있어서 일본 작가인 아쿠다가와 류노스케와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에서 빌려오고 있지만 이상은 이들 일본 작가의 정사를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 형성된 사회적 정사 코드와 자신의 개인적인 맥락 속에서 변형시키고 있다. ‘정사’가 1930년대에 들어서 최신의 유행과 가치관을 신봉하는 모던 남녀의 스피디한 사랑에 낭만성의 코드가 역으로 강화된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상은 ‘정사’ 제의를 통해 사랑의 정체를 시험해 보고자 한다. 그러면서 <단발>에서처럼 정사 제안이 진지하지 않는 척, 장난인 척 만들어 버리는 것은 이러한 통속적인 애정의 표출이 여성과의 관계에서 약점이 되기 때문이며 그럼으로써 겉으로 그가 냉정함, 도도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의 ‘정사’는 양가적이다. 진정 원하지만 원하지 않는 척 위장하는 것. 그런 이유로 이상에게 있어서 ‘정사’는 자신의 언어가 아니라 아쿠다가와의 혹은 다자이의 언어를 통해 표현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武屹精舍> 題詠詩를 통해 본 空間과 학적 家族의 관계와 그 의미

        한의숭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7

        This paper intends to research on aspects of a poem about the landscape created with focus on <Mu-Heul-Jung-Sa> and trac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Mu-Heul-Jung-Sa> is important because of its roles as center of Han gang academic line from Han gang to writers in the later time. <Mu-Heul-Jung-Sa> used to be recognized as secluded space but later in time the meaning of solidarity space was more highlighted. Han gang writers created a poem about the landscape within certain space called <Mu-Heul-Jung-Sa> and tried to encourage emotional share and solidarity between older scholars and younger scholars. At the same time,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did not stay as the role of re-experiencing certain space and remember it. It made further progress and importance as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unifying school register families through remorse and veneration towards the older scholars. Emotional share of an academic line centered within certain space especially could be called as an extended meaning family formed though unrelated human networking in terms of pursuing strong bonds sustaining through eras. A poem about the landscape needs to be magnified as a solidifying method of school register family because of its role as catalyst for emotional bonds between scholars and connection of different eras. It would contribute to create new perspectives to regard the traditional academic lines as the transformed version of the unrelated families by magnifying the meaning of bonds and share of academic line formed by <Mu-Heul-Jung-Sa> Families in the traditional times are based on the space of home and ties of blood with relatives. Applying this relationship to academic lines, the ties of blood could be replaced by strong bond between teachers and followers and the space of home could be substituted by the space called Jung-Sa. This point shows that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academic line has strong importance in extension of traditional families. This paper has its values of naming the academic lines compared to school register families which is unrelated family network in traditional era and analyzing the meaning of it though <Mu-Heul-Jung-Sa> a poem about the landscape. 본고는 武屹精舍를 중심으로 창작된 題詠詩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추적해 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무흘정사는 寒岡부터 후대 문인에 이르기까지 한강 학맥의 구심적 역할을 한 공간으로 중요하다. 무흘정사는 둔세의 공간으로 인식되었으나 후대로 내려올수록 연대의 공간으로 의미가 더 부각되었다. 한강 문인들은 무흘정사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제영시를 창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학과 후학이 정서적 공유와 연대를 이루고자 하였다. 이때 무흘정사 제영시는 특정 공간을 추체험하여 회상하는 역할에 그치는 게 아니라 선현에 대한 회한과 존숭을 통해 학적 家族으로 일체화하는 詩적 발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제영시는 학인들의 정서적 친밀감을 끈끈하게 견인하면서 통시간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학적 가족의 연대 방식으로 그 의미가 새롭게 부각될 필요가 있다. 전통시대 가족은 家庭이라는 空間과 親姻戚의 血緣關係를 기본으로 한다. 이를 학맥에 적용시켜 본다면 精舍라는 공간과 師承이라는 학연관계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한 학맥의 정서적 공유는 시간을 초월한 견실한 연대를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비혈연적 관계망 속에 형성된 廣義의 家族이라 불릴 수 있을 것이다. 이점은 전통시대 가족의 외연에 있어 학적 가족의 존재와 의미가 새롭게 조명될만한 것임을 의미한다. 본고는 무흘정사 제영시를 통해 학맥을 전통시대 비혈연적 가족의 관계망인 학적 가족이라 지칭하고 그 의미를 천착해 본 것에 의미가 있다. 무흘정사를 통해 형성된 학적 공유와 연대의 의미를 확장시켜 전통시대 학맥을 비혈연적 가족이 전변된 형태로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현진건의 「그립은 흘긴 눈」과 ‘정사(情死)’ -식민지 조선과 일본의 ‘정사’의 비교문화적 접근-

        권정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Hyun Jin-gun's text “Gŭriun hŭlgin nun (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from the context of Comparative Culture of ‘A Lover's Suicide’ in Korean and in Japan. The motif of “Gŭriun hŭlgin nun(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which was published in journal P'yehŏ ihu(after the ruin), can be seen as text for grasping of the whole flow of Hyun Jin-gun's works featuring ‘A Lover's Suicide’, in this paper. The work within the motif of ‘A Lover's Suicide’ was triggered by the case of Gang Myŏng-hwa that occurred in colonial korea in 1923. Based on the reference from previous study that “Kŭribun hŭlgin nun” ‘captured the fallacy of modern romantic love’, this article highlights the production of sense of humor which are particular to the story, with the axis of ‘Gang Myŏng-hwa incident’ and Japan's ‘shinjŭ’ as two standards. In other words, from the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between the background of ‘Gang Myŏng-hwa incident’ and the ‘A Lover's Suicide’ culture of Japan, “Gŭriun hŭlgin nun(Longing for the sidelong glance)” can be seen as approaching the aesthetics of irony of laughing ‘jeering’, in this report.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A Lover's Suicide’ as a type of cultural translation. That is to say, the motif of ‘Double Suicide for love’ requires the perspective of different cultural translation that reveals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awareness of romantic love and death. Furthermore, by conducting the analysis of visualizing the effect of Japan's ‘shinjŭ’ culture that does not appear at the surface of the text, this paper confirms composition as the other in the materialization of the motif of ‘korean’ ‘Double Suicide for love’ that contrasts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shinjŭ’ culture. 본고는 현진건의 「그립은 흘긴 눈」의 텍스트를 한국과 일본의 ‘정사’의 비교 문화적 맥락에서 그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1924년 『폐허 이후』에 발표된 「그립은 흘긴 눈」은 현진건의 일련의 ‘정사’를 제재로 한 작품의 흐름에서 파악된다. 그의 정사를 제재로 한 작품은, 1923년 식민지 조선에서 발생한 강명화의 사건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근대의 낭만적 사랑의 허위를 포착”했다는 선행 연구의 지적을 바탕으로 「그립은 흘긴 눈」을 강명화 사건과 일본의 ‘신주’라는 두 가지 기축 위에서 작품 특유의 ‘야유’의 웃음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해명했다. 다시 말한다면, 현진건의 「그립은 흘긴 눈」은, ‘강명화 사건’의 배경과 일본의 ‘정사’의 비교 문화적 시각에서 텍스트 특유의 웃음의 아이러니 생성이 해명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사’를 일종의 문화 번역으로서 다루었다. 즉, ‘정사’ 모티프야말로 낭만적 사랑과 죽음의 의식의 차이를 드러내는 이문화(異文化) 번역의 시각이 요청된다. 나아가 텍스트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일본의 ‘신주’ 문화의 영향을 가시화함으로써 ‘정사’ 모티프의 ‘한국적’ 형상화가 일본의 그것과의 대비적인 구성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