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분석 및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건우,이은경,이영준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인터넷이 급성장함에 따라 인터넷 상의 유해정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다양한 영역에서 대두되고 있으며,교육을 통한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등학생들을 위한 정보통신윤리 교육 과정은 청소년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수준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청소년들의 실제 의식 수준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청소년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실태를 분석 하고 정보통신윤리교육과 관련된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유해정보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보통신윤리 지수를 중등학생 452명(중학생 204명 고등학생 248명)에게 적용하여 하위 요소인 존중,책임,절제,규범인식의 네 가지 지표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청소년들은 정보통신윤리 수준에 대해 성별,학교급별,사용기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보통신윤리교육과 관련된 현행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개선되어야 할 정보통신윤리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As Internet grows rapidly, harm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ecomes a matter of public concerns. To deal with this problem, several researchers have discussed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education.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for adolescents should include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appropriated to their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consciousness. Therefore, we need to diagnose adolescents'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olescents'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consciousness and to suggest proper curriculums for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education. First, we surveyed 452 student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ndex and analyzed sub-indicators consisting of four indicators: respect, responsibility, temperance, and recognition of moral rules.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dex according to their gender, school-type and using period. Finally, we suggested new curriculum of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based on the surveyed results.

      • KCI등재

        정보통신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보통신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연구

        이유종(Yoo Jong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3

        공학교육인증제와 더불어 공대생들의 윤리적 자질 함양 및 공학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공학 재학생 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시사점과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의한 연구 내용으로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대학생의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을 ‘회 사이익을 위한 불법적 비윤리의식’(2.11점), ‘경제적 이익추구를 위한 비윤리의식’(2.86점), ‘자신을 위한 묵과적 비윤리의 식’(1.99점)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학생들의 성향은,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비존중의식을 가질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군대에 다녀오지 않은 경우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로서의 윤리의식이 비윤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교육인증제 실시와 더불어 정보통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있고, 효과적인 공학윤리 및 정보통신윤리 강좌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program outcomes of ‘the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the acquisition and assessment of ethical attitudes as an engineer is emphasized these days. In this study, we surveyed and investigated the attitudes and ethical mind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regarding their professional attitude and ethical behavior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by assuming their hire in this industry. The average score of engineer ethics was 2.25 out of 5. Multi-variate regression found that the unethical attitud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 were more distinct for students of older age, students with ‘rude and insulting’ attitudes, students who had not served in army, students who are not idealistic, and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The results provide educators with useful understandings related to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정보통신공학 전공 대학생의 정보통신윤리 행동과 관련 변수

        이유종(Yoo Jong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0 공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정보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정보통신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정보통신윤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 하고 행동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변수들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정보통신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부산 및 경남 지역 대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윤리의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윤리 행동의 하위영역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소극적 불법은 5점 환산평균 2.75점, 적극적 불법 1.75점, 존중하지 않음 1.65점, 참여행동 5점 환산평균 2.10점으로 나타나 중간점인 3점보다 낮아 대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행동수준은 매우 윤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연령이 높거나 고학년일수록, 또 종교가 있는 집단 쪽이 비윤리적 행동경향이 높았다. 온라인 사용 관련변수에 따라서는 이용시간과 지출비용이 많을수록, 이상주의 수준이 낮을수록 비윤리적 행동을 많이 했다. 셋째, 정보통신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정보 통신윤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설명력은 13-1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서비스 활용을 하며, 졸업 후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가 될 대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행동을 관찰한 것으로 공학윤리 교육 및 정보통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and to develop indices for measu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 ethics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Data collected from 288 students surveyed in Busan and Kyungnam area were used and the aver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ethics were below the mid-points meaning ‘fairly ethical’. ‘Passively violating behavior’ showed the highest value (2.77 out of 5) while ‘rudeness and insulting behavior’ showed the lowest (1.65 out of 5). Second, variables of gender, age, religion, idealism, and relativism were revealed to be meaningful ones. Results can help educators underst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 ethics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develop topics in educating engineering ethics.

      • KCI등재

        청소년 정보통신윤리지수 개발 및 타당화

        김길모,김성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행동 개선을 위한 정보통신윤리지수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목적이 청소년들 스스로가 정보화 사회에서 윤리적인 것과 비윤리적인 것을 판단하고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윤리와 관련한 문제 행동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것이라고 본다면, 이를 위해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문제 행동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지수의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고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항에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고, 최종 선정된 척도의 신뢰도가 .935로 높게 나타났으며, 타당도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통계적 기준치를 상회하는 안정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개발한 척도를 계량화하기 위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보통신윤리지수를 도출하였으며,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상대적 해석의 편리성을 위해 전국 단위로 표집을 추출하여 규준집단을 만들고, 표준점수(T)로 변환하여 정보통신윤리지수 표준점수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보통신윤리지수 규준표를 작성하고 해석의 기준을 제시하여 응답자가 규준집단 내에서 자신의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상대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석 기준을 통하여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지수를 통하여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정보통신윤리 행동 변화 수준을 확인하여 맞춤형 교육을 진행하거나 개별 상담 활동을 통하여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ICE) Index to improve ICE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o prove their validity.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ICE Education is to prevent and cure problem behaviors related to ICE in order to make adolescents draw a line between ethical and unethical things and do the right thing on their own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is needed, above all, to develop ICE Index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IC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In this regard, the study mad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veloped index by applying it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secur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a number of problems contained in the items could be solved, the reliability of the finally-selected index turned out to be as high as .935, and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analyze its validi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a stabilized result exceeding the statistical standard level. Also, the study presented ICE Index with weighted value in order to quantify the developed Index, and also came up with ICE Index Standard T-score by extracting samples on a nationwide level, setting up standard groups and converting them to Standard T-score for the convenience of relative interpretation of ICE Index. The study, based on that, created a standard table for ICE Index and presented criteria for interpretation, which will help respondents confirm the relative position of their ICE Index within their standard group and easily recognize it through criteria for interpretation. Finally, the ICE Index enables teachers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by confirming the change and level of ICE Behaviors of each student or to induce changes in ICE Behaviors of teenagers with individual counselling activiti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보통신윤리 교육 내용 비교 분석

        조정표,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information ethic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future. With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guidance released in 2005, information ethics part from ICT literacy examination of 2007, and updated 2007 education curriculum, I have analyzed available textbooks. I could draw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Firs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s mostly dealt in 'moral education' and 'practical arts'even though information ethics sections are included in 'disciplined life', 'Korean Language','moral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textbooks Second, the details i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re formulated without consideration to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Only 51.4%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materials are developed in correspondence with child's development. Third, there are great differences in education details according to our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ubjects in elementary education have their own unique teaching objectives. Materials in textbooks are defined in a way to meet teaching objectives, and it is not easy to integrat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to existing subjects. I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s included in curriculum, it will include materials that are viewed as "most important". And we can not avoid overlapping of education contents as details are determined without much interdisciplinary consultation. Therefore, there should a new, integrated subject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that is very crucial in information age.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정보통신윤리’ 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ICT 활용능력 기준(ISSS)(2001),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개정안(2005),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2007)의 연구 결과 중 정보통신윤리 관련 영역을 토대로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바른생활’, ‘국어’, ‘도덕’, ‘실과’ 교과서 중 정보통신윤리 내용은 ‘도덕’, ‘실과’ 교과서에집중적으로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세부 사항이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게 제시되지 않고 있다. 전체 교과서에서 나타난 정보통신윤리 내용 중 51.4%만이 적용 단계에 맞게 제시 되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세부 항목에 대해 빈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초등교육과정의 교과들은 각각의 고유한 교과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교과서의 내용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고, 이 교과내용에 정보통신윤리 영역을 통합하여 나타내기란 쉽지 않다. 설령 각 교과내용에 정보통신윤리 영역의 내용이 포함되더라도, 각 교과서에 포함될 정보통신윤리 내용은 그 시대에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일 경우가 높다. 그리고 전 교과의 통합적인 합의 없이 각 교과별로 내용이 협의되기 때문에 정보통신윤리 내용의 중복을 피하기 어렵다. 이에 정보화 사회에서 꼭 필요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윤리를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창의적 체험 활동, 방과후교실 등을 통해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일이 필요하다.

      •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육과정 연구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2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결합을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가공, 유통 능력이 극대화되면서 정보의 가치가 산업사회의 물질과 에너지 이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정보 사회의 도 래는 산업사회의 삶의 양식을 혁명적으로 변화시켰고, 삶의 질의 향상을 가져왔으나 동시에 인터넷 • 게임 중독, 현실도피 • 일상생활의 파괴로 인한 개인의 정체성 상실 등 의 비인간화 현상, 음란물 • 푹력물 • 허위정보 등의 불건전 정보유통, 사생활침해, 불법 복제로 인한 지적재산권 침해, 컴퓨터 바이러스유포 • 해킹 • 크래킹 • 스펨메일 둥의 불 법행위 문제 등 여러 가지 역기능과 많은 문제들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성인뿐 아니라 청소년 수준에서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 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초등학교 때부터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도덕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목표와 지도 내용, 그리고 교수-학습 지도 방법 등을 포함한 초둥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자 하였다. We live in the age of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 want to educat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ystematically. First we suggested the goal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econd we suggested the contents, and Finally learning-teaching method. Moral intelligence was formed at elementary school age, that is called 'era of conscience’. With this poi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s emphasized from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grow out, and they will take a proper leading role in future information society. I hope the study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will be continued.

      • KCI등재

        인터넷 유해정보에 대한 초등학생 실태 및 교육적 보호방안 연구

        이재운,김성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3

        IT 분야의 급속한 성장은 편리성과 더불어 역기능과 유해정보를 초래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정신적, 인성적 발달에 심각한 장애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유해정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실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종 문헌과 사전 연구물을 통해 유해정보의 현황을 분석하고 유해정보의 정의와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해정보 실태 보고서를 비교분석하여 초등학생의 유해정보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생, 교사, 학부모에 대한 교육적 보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적 방안은 정보통신윤리 교육과정 구성과 교사, 학부모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apid growth in areas related to IT is bringing about benefits and dysfunctions of informatization and harm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t exerts evil effects on adolescents' mind and hampers their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tate on harm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o propose various educational pla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harmful information by reviewing various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suggest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harmful inform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in this stud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tate on harmful inform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various researches about the state of harmful information; and based on this, various educational protective plans were sugges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proposed educational plan can be used for organizing education curricula of IT ethics,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parents.

      • KCI등재

        우리나라 인터넷 內容規制 실태에 대한 小考 :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組織과 審議를 중심으로

        양동철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法學論叢 Vol.17 No.-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유통되는 불법정보나 불건전정보를 강력히 규제하여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제기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새로운 정보통신 관련 법률들이 다수 입법되었다. 아울러 이 법률 등에 근거하여 인터넷 정보 등에 대한 심의와 시정을 위하여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설립되어 있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유통되는 불법, 유해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심의하고 그 시정을 요구할 수 있는 법정기관이다. 본 논문은 정보통신윤리위원회의 조직과 심의사례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인터넷 내용규제의 실태를 살펴보고, 2006. 12. 22. 개정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비롯한 관계 법령의 올바른 해석과 함께 향후의 인터넷 내용규제의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In concer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strong regulation on illegal or harmful informations on the internet. Recently, for this reason, some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lated laws were legislated.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is one of those laws. Also, Korea Internet Safety Commission was established to prevent the circulation of harmful information and to promote a more eth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ulture. KISCOM is the statutory organization which deliberates over allegedly illegal or harmful content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realities and patterns of the regulation on illegal or harmful informations on the internet, to indicat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provisions,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legislation in Korea.

      • KCI등재

        정보통신윤리지수 모형 기반 모듈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길모,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4

        정보화의 역기능 현상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면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강화되고 있으나 현재까지의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인지적 영역만을 강조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정보통신윤리 의식은 높은 반면에 실제 행동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윤리지수 모형을 기반으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4가지 요인과 정보통신윤리의 절제, 존중, 책임, 참여에서 포함하는 세부 하위 요인을 포함하여 지속적인 정보통신윤리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교수・학습 설계 방법론에 근거하여, 학습자 개인의 수준에 따라 제공되고 학습자 스스로 혹은 교수자와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세분화 및 개별화를 이루도록 모듈식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실생활에서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목표를 중심으로 체계화되어 각각의 소모듈 학습 결과가 중모듈 수준에서 제시하는 학습 목표와 연계되어 구체적인 정보통신윤리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모듈식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정보통신윤리 행동을 개선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As increasing several societal and ethical problems lead to develop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ICE) education has been needed desperately. However the education in school has emphasized a cognitive factor itself and simply mentioned the adverse eff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fore, the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in a modular way for segmentation and individualization that help provide learners with tailore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level and enable them to learn on their own or with teachers, on the basis of Teaching-Learning Design Methodology, systematized to bring constant changes in ICE Behaviors, including four factor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explaining human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ICE Index Model and subordinate factors of Temperance, Respect, Responsibility, Participation of ICE. Such a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was structuralized in order for learners to realize what they've learned in their real life and was systematized, focusing on concrete performance goal, so as to let learners achieve their specific action goal by themselves, which could bring concrete changes in ICE Behaviors in connection with learning goal presented by each result of submodule learning on the level of intermediate module.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 that the modular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the ICE behaviour in learners.

      • 초등학교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연구동향

        한규정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본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의 역기능인 사이버범죄, 게임중독,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발생되는 초등학교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관련된 국내·외 외국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외국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공통적인 특성은 정부기관, 사회단체, 그리고 교육기관 등의 각 기관이 다양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 방향을 설정하여 청소년들의 사이버범죄 예방과 게임중독 해결 등에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도 교육기관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를 주축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여러 공공기관과 사회단체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에 관한 홍보 및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최근 5년간 국내의 정보 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주요 논문을 분석한 결과 정보통신 윤리 의식과 게임 중독 등의 현황분석에 관한 논문들이 50%이상의 비율로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반면에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정보통신 윤리교육 과정 개발과 교육방법,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가정과 학교에 실제 적용 가능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