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ㆍ미 대학생 소비자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현정(Hyun Jung Yoo)(兪炫汀),송유진(Eu Gene Song)(宋裕珍)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9

        생명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물질 개발과 함께 재화의 정보가 점점 전문적이고 복잡해지고 있는 환경 속에서 정보의 신뢰성은 소비자들이 재화를 구매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직ㆍ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보 신뢰성의 중요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ㆍ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수집한 후, 한국과 중국,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정보신뢰성이 정보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식품표시 정보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식품안전 커뮤니케이션 신뢰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요구도가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과 중국의 경우 표시정보 확인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미국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한국소비자의 식품안전행동이 중국과 미국에 비해 정보신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사회에서 정보신뢰성은 타국에 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소비자 역량 또한 정보신뢰성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정부는 기업 대한 적절한 규제와 감시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며, 식품안전사건ㆍ사고 또는 새로운 식품위해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중립적인 자세에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정보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 교육을 통하여 소비자의식을 함양하고 올바른 식품소비 행동 매뉴얼을 작성하여 배포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Product information is increasingly professional and complicated because of bio technology developmen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is major effective factor in a complex market environment when consumer purchases some good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a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ffects food safety behavior directly and indirectly. In addition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on analysing the differences for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afety behavior among Korea, China and America.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food safety communication reliability but not effect on food display information. Secondly, consumers' information needs positively affect food display information confirmation only in American. Thirdly, Koean consumers' food safety behavior is even more affected by information reliability than Chinese and American.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afety competency are very important factors of Korean society compared with Chinese and American. Therefore, government should create an atmosphere which offers consumers information rightly through restricting and monitoring the corporation. In addition, food safety education and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publishing food consumption conduct manual should aim to develop consumers competency.

      • KCI우수등재

        트윈세대의 정보 신뢰성 판단에 관한 연구

        정진수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redibility judgements of information by tweens using digital media and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study focused on tweens’ perception of internet research and information use and on their credibility judgement of source and message,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on consulting with others for their credibility judgement. The survey methodology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grade 5 and 6 students in two elementary schools whose parents are likely in middle and upper class. 336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400.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25. Findings suggested that tween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using smart media and computers, that they used Youtube, Naver, Kakao talk, Naver JisikIN much in sequence, and that they believed the Internet research was easy and fun.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urvey questions for credibility judgement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Internet service providers, sources and information, and consulting with others. Tweens used sources and information credibility, consulting with others credibility, Internet service providers credibility in sequence. However, it was interesting to find that there were greater deviation in answers on knowing how to find out the cognitive authority of the authors and on the importance of using current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critical need for tweens’ credibility judgement research for promoting critical thinking skills as well as for proac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schools and libraries on information literacy.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와 컴퓨터 등 디지털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아동기 후반과 청소년 초기에 낀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트윈들이 다양한 정보를 선별․수용하는 판단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들의 인터넷정보 조사와 이용에 대한 인식, 정보 신뢰성 판단에 대해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울시내 초등학교 2개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336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코딩된 데이터는 SPSS 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트윈들은 스마트 기기와 컴퓨터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네이버 지식인의 순서로 많이 이용한다고 응답했으며 인터넷 정보조사가 쉽고 재미있다고 인식하였다. 정보 신뢰성 문항들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신뢰성, 정보원과 정보 신뢰성, 신뢰성 상담으로 개념적 틀이 구분되어 제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정보원과 정보 신뢰성 판단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정보 저자 신뢰성에 대한 확인방법 인지, 최신정보의 확인 필요성에서는 응답의 편차가 컸다. 현재 국가교육과정에 정보활용교육이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들이 경험법을 통해 터득한 신뢰성 판단 전략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더 심도 있는 트윈들의 정보 신뢰성 판단을 위한 후속 연구와 학교와 도서관 현장의 교육적 실천을 기대한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브랜드 정보의 신뢰성에 관한 영향요인과 결과

        선종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3

        오늘날 수많은 소비자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브랜드 정보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 교환되는 브랜드 정보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함께 브랜드 정보의 신뢰성이 브랜드 정보에 대한 태도와 브랜드 자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HSM(Heuristic-Systematic Model) 이론을 토대로 구성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설문지 조사기법으로 수집된 175부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PLS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브랜드 정보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휴리스틱 경로와 관련된 요인으로서 소비자의 지각된 전문성, 친밀성, 동질성을 제시하였으며, 체계적 경로와 관련된 요인으로 소비자의 관여도와 정보 품질을 제시하였다. 또한 브랜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브랜드 정보에 대한 태도변화와 브랜드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휴리스틱 경로와 관련된 소셜미디어의 전문성 요인, 그리고 체계적 경로와 관련된 관여도와 정보품질 요인이 정보의 신뢰성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신뢰성은 브랜드 정보에 대한 태도와 해당 브랜드에 대한 태도, 둘 모두에게 유의적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은 휴리스틱 경로와 체계적 경로 둘 모두를 활용하여 브랜드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그 영향력의 크기는 체계적 경로와 관련된 요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교환되는 브랜드 정보신뢰성과 태도변화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 실무적 통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se days, almost all consumers are exposed to tons of brand information via social media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examine empirically critical factors affecting brand information credibility as well as its effects on attitudes toward brand information and toward brand itself.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and model built upon HSM(Heuristic-Systematic Model), a dataset of 175 questionnaire responses was analyzed via PLS technique. As Heuristic-path factors affecting brand information credibility, consumers’ perceived expertise, familiarity, and homophily were prosed, then perceived involvement and information quality were designed as Systematic-path factors. The empirical results reported that consumers’ perceived expertis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rand information credibility. However, other Heuristic-path factors such as familiarity and homophily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dditionally, both involvement and information quality proposed as Systematic-path factors were observe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with i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perceived credibility on brand information on social media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 both brand information and brand itself. The research, at least partly, i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in that both Heuristic and Systematic paths work simultaneously in individuals’ responses and attitudes. Finally, this study expands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brand information credibility on social media.

      • KCI등재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이보람,이영학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5

        There have been numerous steps of growth in policy system since the legal systemization through the enactment of Information Disclosure of public institution Act in 1996 and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 Act in 1999 as well as infrastructure advancement led by government bodies, but it still shows insufficiency in some aspects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records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issue of reliability on record information disclosed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raised, and institutional base through the legal and technical devices to ensure the reliability are not well prepared. Government has attempted to enact laws and regulations to guarantee the public right to know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cords management at government level, and establish the national system in a way that advances the infrastructure for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in state affairs and utilization of national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There are limitations that it lacks internal stability and overlooks the impact and significance of record information itself by focusing upon system expansion and disclosing information quantatively. Numerous record information disclosed tends to be falsified, forged, extracted or manufactured by information disclosure staffs, or provided in a form other than official document or draft. In addition, the disclosure or non-disclosure decisions without consistency and criteria due to lack of information disclosure staff or titular supervising authority, which is likely to lead to societal confusion. There are also frequent cases where the reliability is damaged due to voluntary decision, false response or non response depending upon request agen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In other cases, vague request by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nt or civil complaint form request are likely to hinder the reliability of record information. Thus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record information by establishing and amend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systemic improvement through organizational and staff expertise advancement, supplemen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process, and changing the social perception on information disclosure. That is, reliable record inform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genuine governance form administration as well as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bodies and public organizations. In conclusion, there are needed numerous attempt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record information to be disclosure in the future beyond previous trials of perceiving record information as records systematically and focusing upon disclosing more information and external development of system. 1996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과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통한 법률적 정비와 정부 차원에서 주도한 인프라 고도화의 노력 이후 많은 성장이 있었으나, 아직도 기록관리와 정보공개제도의 여러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존재한다. 특히 정보공개제도를 통해 공개되는 기록정보가 신뢰할 만한가에 대한 문제의식과 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률적·기술적 장치를 통한 제도적 기반은 전반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법률의 제정 등 정부차원의 정보공개와 기록관리를 통한 국민의 알권리 보장, 국가 행정 참여 및 국가 기록정보자원의 활용 등을 위한 인프라 고도화 등 국가적으로 제도를 확립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제도의 확산과 더 많은 공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내실이 부족하고 기록정보 자체의 영향력과 의미를 간과했다는 한계가 있다. 공개되는 많은 기록정보들은 공문서나 기안문 이외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정보공개담당자에 의해 위조·변조 또는 발췌·가공되기도 한다. 또 정보공개 담당 인력의 부족 혹은 감독기관의 유명무실로 인해 일관성과 기준이 없는 공개 및 비공개 결정으로 혼란을 초래하기도 하며 정보공개 청구주체에 따른 임의 결정, 허위 답변이나 무응답 등 신뢰성을 훼손시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한편 정보공개 청구인의 모호한 청구, 또는 민원형태의 청구도 기록정보의 신뢰를 해치는 요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관련 법률의 제·개정과 기관 및 인력의 정비를 통한 제도적 개선과 정보공개시스템 및 프로세스를 보완하고 정보공개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을 통해 기록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즉 신뢰할 수 있는 기록정보를 통해 정부와 공공기관의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이 보장되며 참된 의미의 거버넌스(governance) 행정이 가능해질 것이다. 기록정보(information)를 기록(records)과 유기적으로 인식하고 더 많은 정보의 공개와 외형적 제도 확립에만 주목했던 이전의 노력을 뛰어 넘어 향후 정보공개제도로 공개되는 기록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영화 공식 SNS에 대한 팔로워의 정보품질과 정보신뢰성이 소비자의 관람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한주 한국광고PR실학회 2014 광고PR실학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소비자가 영화 공식 SNS를 통해 영화관련 정보를 탐색할 때 팔로워의 영화에 대한 정보품질과 정보신뢰성이 소비자의 정보만족과 영화에 대한 관람의도와 구전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공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팔로워들의 정보품질의 경우 정보신뢰성(가설 1), 정보만족(가설 2), 관람의도(가설 3)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구 전의도(가설 4)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화 공식 소셜 네 트워크 서비스 내 팔로워들의 정보신뢰성의 경우 정보만족(가설 5)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람의도(가설 6)와 구전의도(가설 7)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화 공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팔로워들의 정보만족의 경 우 관람의도(가설 8), 구전의도(가설 9)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람의도는 구전의도(가설 10)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영화의 공식 SNS를 통해 영화사의 마케팅 효과를 높이기 위 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SNS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팔로워들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고 만들어진 콘텐츠의 품질관리를 통해 영화의 공식 SNS의 전략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information quality and information trust of followers towards movies would have on the information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their viewing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owards the movies when consumers search the movie-related information via the Movie Official S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quality of followers within the Movie Official social networ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trust(hypothesis 1), information satisfaction (hypothesis 2), and viewing intention(hypothesis 3), bu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d-of-mouth intention(hypothesis 4). Second, the information trust of followers within the Movie Official social networ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formation satisfaction(hypothesis 5), bu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viewing intention(hypothesis 6) and word-of-mouth intention(hypothesis 7). Third, the information satisfaction of followers within the Movie Official social network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viewing intention(hypothesis 8) and word-of-mouth intention(hypothesis 9). Finally, the viewing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word-of-mouth intention (hypothesis 10).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ovie official SNS which can help induce voluntary involvement of followers to increase the advertising impact of SNS through communication reinforcing the marketing effect of film companies and can be operated strategically through the quality control of the contents that have been produced.

      • 이산정보의 증가에 따른 Akaike 정보척도 기반 신뢰성해석의 정확도 평가

        임우철(Woochul Lim),이태희(Tae Hee Lee)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5-2

        이산정보를 이용한 신뢰성해석의 방법으로 Akaike 정보척도를 이용한 신뢰성해석 기법이 있다. 기존의 신뢰성해석 기법은 변수의 분포를 연속함수로 정의되는 특정 확률분포로 가정하기 때문에 변수의 분포가 알려져 있지 않거나 비정규분포를 따를 대 신뢰성 해석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Akaike 정보척도는 변수의 분포에 대한 가정 없이 이산정보를 이용하여 신뢰성해석을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산정보의 개수가 많을수록 실제 응답의 신뢰도에 근사한 값을 추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예제를 이용하여 이산정보의 개서의 증가에 따라 추정된 응답의 신뢰도의 정확성의 수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적절한 이산정보의 개수를 제안한다. 추정된 응답의 신뢰도에 대한 평가는 수학예제를 이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한다. It is inappropriate to perform the reliability analysis using earlier developed methods for discrete information because most of these methods assume that distribution functions are continuous. On the other h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Akaike information criterion(AIC) is a proper method to calculate reliability for discrete information. Since it uses discrete information directly, it stands on advantage is reliability analysis. As there is increasing in number of discrete information, reliability becomes more accurate. Hence in this paper, we suggest a suitable number of discrete information to calculate reliability. To assess accuracy of reliability, we compare AIC with Monte Carlo Simulation(MCS) using mathematical example.

      • KCI등재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 신뢰지수 및 신뢰성 평가요인

        김영기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1

        This study tried to develop the confidence indicators and evaluation factors of credi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online information by nationwide large scale online survey.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 confidence indicators by types of online information: information on news sites(72.553), financial companies(68.894), government sites(67.938), cafe(66.464), portal sites(65.001), collective intelligence sites(63.489), nonprofit organization (63.392), company/corporation sites(59.789), blog(59.066), online community sites(55.609), e-commerce sites(55.118), mini-homepage(50.695). ii) ‘Widely known site’ or ‘famous sit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ll types of online information. User opinions like as posting or comment are major factors for sites of cafe, blog, mini-homepage, online community, collective intelligence etc. and ‘name recognition’ and ‘reputation’ are main factors for site of financial company, corporation, government, nonprofit organization. 본 연구는 온라인 정보원을 12개 유형으로 범주화한 다음 전국적 규모의 대규모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온라인 정보의 유형별 신뢰도 실태조사 및 신뢰지수의 도출, 그리고 온라인 정보의 유형별 신뢰성 평가요인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드러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 ‘신뢰지수’는 뉴스 사이트에 게시된 정보(72.553), 금융기관(68.894), 정부기관(67.938), 카페(66.464), 포털(65.001), 집단지성(63.489), 비영리기관(63.392), 일반기업(59.789), 블로그(59.066), 온라인 토론방(55.609), 전자상거래 사이트(55.118), 미니홈피(50.695)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형별 온라인 정보원의 신뢰성 평가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 전체적으로 보아 ‘널리 알려진 웹 사이트이다’는 요인은 온라인 정보원 정보원의 유형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범주에서 신뢰성 평가를 위한 주된 요인이 되고 있으며, 카페나 블로그, 미니홈피, 토론방, 집단지성 등의 신뢰성 평가에는 게시된 글의 조회 수나 댓글 등과 같은 다른 이용자의 의견이, 그리고 금융기관이나 일반기업, 정부기관이나 비영리기관 등은 해당 기관의 평판이 신뢰성 평가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인터넷 건강정보 제공 사이트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의 추출 및 중요도 산출에 관한 연구

        김영기(Kim, Young-k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정보원과 온라인 정보원의 신뢰성 평가 기준 및 건강 정보원 평가에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 결과들을 조사?분석하여, 건강정보를 제공해주는 인터넷 사이트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들을 도출한 다음, 관련 전문가들의 AHP를 통해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들의 중요도를 산출해 보았다. 이를 위해 평가 영역 구분, 세부 평가 영역 및 평가 항목 도출, 평가 영역과 세부 요인의 계층적 분류, 평가 영역별?요인별 신뢰성 평가에 미친 가중치 산정 등의 작업이 진행되었다. 최종 평가지표는 3영역 6요인 29개 세부평가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1차 지표에서는 진실성 영역의 중요도가 0.5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성 0.333, 안전성 0.140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콘텐트와 작성자의 믿음성과 명성이 온라인 건강정보의 신뢰성 평가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제공 사이트에 대한 2차 지표 간의 전역 가중치를 비교해 보면, 진실성 요인 중의 믿음성 요인(0.440)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전문성 요인 중의 유용성(0.291)과 안전성 요인 중의 보안성(0.116)이 뒤를 잇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차지표인 평가항목에서는 ‘검증된 정보임을 명시’하고 있음(0.179)이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과거에 유용하게 사용했던 경험(0.113)’과 ‘정보 이용시 유의해야 할 사항 명시(0.113)’, ‘정보의 출처 제공(0.106)’, ‘비영리 기관에 의한 운영(0.057)’, ‘정보의 검증과정과 절차 명시(0.056)’, ‘개인정보 보호정책(0.047)’ 등이 신뢰성을 판단하는 중요 항목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ired to extract evaluation factors and calculat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for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web-site using AHP.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i) importance analysis in first level factors: trustworthiness(0.528), expertness(0.333), safety(0.140), ii) importance analysis in second level factors: trustfulness(0.440), usefulness(0.291), security(0.116). iii) some of the importance analysis in third level factors: verification statement of information(0.179)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the health information web-sites credibility, the next, useful past experience(0.113), personal information notice(0.113), available resources information(0.106), operated by non-profit organizations(0.057), information specified in the verification process and verification procedures(0.056), privacy policy(0.047) etc.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items, respectively.

      • KCI등재
      • 교회의 회계정보신뢰성과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신남(Lee Shin-Nam) 대한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저널 Vol.24 No.1·2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회 회계정보의 신뢰성과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교회의 회계정보신뢰성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회계정보신뢰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용성'은 같은 성별에서는 남성이 연령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욱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에 의한 신뢰는 여성이 더 높게 평가하였다. 20대, 30대는 '정확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40대 이상은 '유용성'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의 경우 기혼보다 '유용성'과 '정확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의 회계정보만족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회계정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효과적인 활동을 위해서 정보이용 자가 회계정보만족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정보내용', '정보 개방성', '정보검색' 등에서 회계정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회계정보만족도와 관련하여 20대는 '정보 개방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정보 개방성'으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 할 수 있어 회계정보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된다. 미혼의 경우에는 기혼보다 '정보 보고의 개방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기혼의 경우 정보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 소득 200만원 미만인 경우, '정보불만처리'에 대한 만족도를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differences about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level of accounting information followed by demographical features of christia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emographical features of christians. In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men had stronger usefulness than women. Women had stronger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endency by expertise than men. Young class in 20s-30s had stronger accuracy than 40s. Unmarried christians had strong usefulness and accuracy than married christians.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accounting information, women satisfied with information contents, information openness, information search better than men. Young christians in 20s considered information complaints handling more than christians in 30s-40s. Unmarried christians attached greater importance to information openness than married consumers. Low-income christians of less than KRW two million in monthly average acquired more satisfaction from information complaints handling. Based on these finding, some theor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level of accounting inform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