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혜종고의 전후제단에 관한 일고(一考)

        이상옥 ( Lee Sang-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대혜종고(大慧宗?, 1089~1163) 선사의 전후제단(前後際斷) 체험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다. 그 이야기 속에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의 수행 목표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왜, 대혜 선사는 전후제단을 자신이 도달해야할 깨달음의 과제로 삼았는지, 그리고 체험의 내용과 의미는 무엇이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논자는 앞뒤의 시간이 끊어진다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어원과 경전을 살펴보았다. 전후제단의 경전 근거는 승조 법사와 하택 선사가 인용한 것으로 보아 『유마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마경』에서는 시간의 공성(空性)을 근거로 전후제단으로써 열반하는 근거로 사용하고 있다. 둘째, 선어록에 나타난 전후제단의 사용례와 연원을 살펴보았는데, 초기의 사용자는 승조 법사였고, 선종에서는 육조의 제자인 영가 선사와 하택 선사가 최초 사용자인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원오심요』에 나타난 사용례를 찾아보니, 스승 원오의 설법 중에 전후제단이 되면 바로 깨달음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야기하는 여러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전후제단이 조동이나 운문에서 뿐만 아니라 임제 문하에서도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끊어짐(斷)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았다. ‘한 타래 엉킨 실 뭉치’ 라는 표현은 『디가 니까야(Digha Nikaya)』에도 나오는 것임을 찾아내었고, 『도서』에서 돈오돈수(頓悟頓修)를 설명하면서 언급되었는데, 견혹의 끊어짐과 수 혹의 끊어짐 두 가지 종류에 대한 비유로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또 열반에서 심상속이 단절되거나 소멸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넷째, 동상불생과 정나라(淨裸裸)한 곳을 얻었다는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동상불생은 『능엄경(楞嚴經)』 이근원통의 과정인 ‘입류망소(入流亡所)’를 의미하는 것임을 밝혔다. 정나라처를 설명하기 위해서 『대반야경』의 세간의 섬과 영가의 중간자고(中間自孤)와 함께 논했는데, 정나라처와 영지로서 중간자고를 비교하면, 전후제단의 상황에서 정나라처는 적멸의 측면, 즉 선정, 지(止)를 말하고, 중간자고는 지혜, 관(觀)의 측면을 말하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후제단 체험의 한계와 의미에 대해 논했다. 결국, 전후제단의 경계에 이르면 정안종사의 지도를 받아 화두 참구를 통해 ‘사중득활’ 해야 한다는 대혜 선사의 체험 이야기는 선의 수증(修證)에서 임제종의 독보적인 우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혜의 전후제단 체험이 제시하는 바는 전후제단은 쌍차의 체험이기 때문에 화두 참구를 통해 쌍조로 한 걸음 더 나가 중도를 증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후제단은 지금 여기 산은 산으로 물은 물로 모든 것이 그대로 다 진리의 모습으로 드러나는 일념현전이 되는데, 원오 선사는 이때의 경계를 “삶이여, 온몸으로 살고, 죽음이여, 온몸으로 죽어라.”라고 표현했다. For students of Seon buddhism, it is a well-known story that Dahui Zonggao 大慧宗?, 1089~1163) who is the pioneer of Ganhwa seon(看話禪) had experiences of Jeonhu jedan(前後際斷,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In this story, Dahul is aimed at Jeonhu jedan to practice. I found the reason of this in a tradition of Seon Jong. And I divided his experiences into three. One experience is that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were broken. Other experience is like a situation that a sword cut off tangled threads. Last one is that the mind wasn`t moved but got a Jeongnara (淨裸裸, revealation one`s original purity). First, I`m going to start from researching examples about sutras and recorded Seon sayings to understand What is the ‘Being broken the front and the rear times’. And next, I found a meaning of Jeonhu jedan from examples of 『Vimalakirti-nirdesa-sutra』. It is said that “There are no pudgala(人) because the future and the past are broken …”. So it can be a reason for explaining about anatman. Second, I assumed that Yongjia Xuanjue(永嘉玄覺, 637~713) is the pioneer who used Jeonhu jedan at first in Seon Jong and searched his master Yuanwu Keqin(圓悟克勤, 1063~135)`s quotation Third, I found a meaning of ‘Being broken(斷)’. An expression ‘Tangled threads’ wass from Nikaya and used from Doseo(禪源諸詮集都序, Preface to the Collection of Seon Sources) to explain Donodonsu(頓悟頓修,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I looked at the being broken continuance of the Mental stream(心相續) in nirvana and insisted that Dahui Zonggao`s experience is related to nirvana. Finally, I studied the place to get jeongnara. Its crucial meaning is Jungganjago(中間自孤, existence alone between)’ that is made by Yongjia Xuanjue. I found that Dahui Zonggao`s experiences of Jeonhu jedan is used to appear a predominance of Linji Zong in practicing of Seon. Especially I thought that I had had to focus on features of Jeonhu jedan as Ilnyeom hyeonjeon(一念現前,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spirit). Yuanwu Keqin said about it to a gorgeous sentence that “Life, live itself, Death, die itself”.

      • 前後七子에 대한 許筠의 인식

        이병순 근역한문학회 200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7 No.-

        Heogyun is a figure who is much spot-lighted by the academic circles in relation to development in a literary theory of reactionism for Qianhouqizi(前後七子) in the Ming Dynasty. By the way, in terms of Heogyun’s attitude toward Qianhouqizi, the existing researches were being confronted the conflicting opinions. Those include the argument of the non-imitation of ancient style, which criticized Qianhouqizi, on one side, and the opinion of having been rather concentrated, not having criticized Qianhouqizi, on another side. Accordingly, in the wake of these contrary arguments, it examined how Heogyun’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Qianhouqizi was on earth. Heogyun’s comment related to Qianhouqizi is crossed evaluation and criticism on them. Heogyun criticized imitation of ancient style(擬古) in Qianhouqizi and stressed individuality, but highly rated even their performance and very liked them. Generally, given comparing literary peo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who proceeded with one side of criticism on Qianhouqizi, Heogyun’s this attitude seems to be very unique walking. Thus, Heogyun’s this attitude of both criticizing and liking Qianhouqizi is mirrored mostly with the looks of antinomy. However, Heogyun’s this image was just divided by the sight of researchers who perceived Qianhouqizi as imitation of ancient style(擬古), but is actually consistency of Heogyun himself. What Heogyun was opposed to imitation of ancient style in Qianhouqizi is clear. However, he judged that Qianhouqizi achieved high performance with native ability and excellent literary capability, thereby having taken the attitude of highly rating and accepting this matter. Heogyun was consistent in critical acceptance on Qianhouqizi. 許筠은 명대 前後七子의 復古主義 문학론의 전개와 관련하여 학계의 많은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그런데 전후칠자에 대한 허균의 태도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는 상반된 견해가 대립하고 있었다. 한쪽에서는 전후칠자를 비판한 反擬古라는 주장과, 또 다른 한쪽에서는 전후칠자를 비판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경도되었다는 견해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 상반된 주장을 계기로 전후칠자에 대한 허균의 인식과 태도는 과연 어떠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전후칠자와 관련된 허균의 언급은 그들에 대한 평가와 비판이 교차된다. 허균은 전후칠자의 의고를 비판하고 개성을 중시하였지만, 그들의 성과도 높이 평가하고 그들을 무척 애호하였다. 대체로 전후칠자에 대하여 비판적 일변도로 나아간 조선후기 문인들과 비교하면 이러한 허균의 태도는 매우 특이한 행보로 보인다. 그래서 전후칠자를 비판하기도 하고 좋아하기도 하는 이러한 허균의 태도는 다분히 이율배반적인 모습으로 비춰진다. 그러나 이런 허균의 모습은 전후칠자는 의고라고 인식한 연구자들의 시각에 이해 나누어진 것일 뿐 사실은 허균 스스로의 일관성이다. 허균은 전후칠자의 시문에 대한 비평을 남겼는데, 문장에 대하여는 비판적 면모가 강한 반면에 시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두드러진다. 물론 이것은 양자 간의 문학관 상에서 문장에 대한 관점의 격차가 크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허균은 전후칠자의 작품을 통해 볼 때 그들의 문학적 성취는 시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여긴 듯하다. 허균은 전후칠자의 의고를 반대하였다. 그러나 전후칠자를 의고라는 관점으로만 바라보지 않았다. 허균은 전후칠자가 천부적인 재능과 뛰어난 문학적 역량으로 높은 성과를 이루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이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취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후(戰後)의 재해 거버넌스에 관한 한일 비교 분석

        김영근 한일군사문화학회 2014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후(戰後) 한일 양국의 재해 거버넌스 및 경제정책을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일본과 한국의 경제구조나 경제정책이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과 한국의 전후(1945년 이후) 재해 거버넌스 및 경제정책, 부흥정책을 비교해 본 결과, 정책의 변화 및 한일간 차이가 뚜렷이 드러난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자 분석 목적이었던 재해 이후 세계 경제의 구조 변화 속에서 전후(戰後) 한국과 일본이 계획하고 실행한 복구 및 부흥정책 및 경제정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별 재해부흥 프로세스에서의 일본 시스템(거버넌스)의 변용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시스템의 변용을 요약하면, 전쟁과 전쟁 사이를 의미하는 ‘전간(戰間)체제’에서 벗어나 전후(1945)는 말 그대로 ‘전후(戰後)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기존(旣定) 정책의 비효율적 대응이 지속되어 체제 변화 및 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전간(戰間)체제가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글로벌 경제의 변동에 따른 일본 경제정책의 대응관계에 관한 것이다. 전전(戰前)은 경제대공황(1929-33)의 발생과 맞물린 쇼와(昭和)공황이 발생하여 ‘전시(戰時)경제’라 할 수 있다. 전후(1945)는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체제하의 무역자유화 추진 및 ‘재벌해체, 농지개혁, 노동개혁 등을 통한 경제자립’으로 변동되었다. 이에 비해 전후(1945) 한국의 시스템은 ‘전후 신탁통치 체제’로 작동의 주체가 일본에서 미국으로 변화되었을 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재원조달을 위한 수단인 재정정책에 관한 비교분석이다. 관동대지진(1923) 후 ‘국채 외채의 발행’ 및 ‘긴축재정정책의 실시’, 전후(1945)는 ‘세계 시스템으로의 복귀’를 통한 경제대국으로 진입 등의 정책변화가 이루어졌다. 한편 한국은 자유시장경제 체제의 도입을 위한 ‘일본인 소유지 농지개혁의 단행 및 농산물가격 개선’, ‘통화개혁(1953)’ 등 다양한 경제정책의 시도과정에서 정책실행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재정)으로 주로 ‘미국의 경제원조’에 의존했다. 넷째, 재해 후 일본의 부흥정책을 추진한 주요 정책결정자의 역할 변화에 관한 것이다. 관동대지진(1923) 후 일본정부의 ‘부흥원’ 운영, 전후(1945)는 연합국군최고사령부(GHQ)와 일본정부가 주도하는 구도로 변화하였다. 특히 한국과 일본을 비교하자면, 전후 부흥(현장) 과정에서 주된 정책 수행자가 바뀌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 비해 일본은 취약성이 훨씬 적어, 전후경제부흥에 안정적인 프로세스로 운영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전후’에 대한 한일문학사 인식 비교 - 한국전쟁을 둘러싼 상반된 해석과 담론 -

        조정민 ( Cho Jung-mi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比較文化硏究 Vol.52 No.-

        이 글은 한국과 일본의 문학사 기술에서 ‘전후’라는 개념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비교 고찰한 것이다. 일본문학사에서 ‘전후’는 제2차 세계대전(아시아태평양전쟁)종결 이후를 의미하는 반면, 한국문학사에서는 주로 ‘한국전쟁 이후’를 가리킨다. 서로 다른 전쟁 이후를 가리키면서도 양국에서는 동일하게 ‘전후’라는 용어를 사용한 탓에 ‘전후’에 관한 이해에서 혼선이 빚어졌고, 특히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하여 양국에서는 완전히 상반된 전후를 상상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은 한국문학에서는 전후의 출발을 의미했지만 일본문학에서는 전후의 종언을 알리는 분기점이 되어 매우 대비적인 효과를 초래했던 것이다. 그러나 양국이 전경화시킨 ‘전후’란 각국의 서사 전략 혹은 담론의 정치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는 것으로, 양국이 ‘전후’ 담론을 통해 달성하려 했던 과제가 무엇이었는지 점검해 보면 서로 다른 두 ‘전후’의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은 당장에 노정된다. ‘전후’에 내재된 이데올로기의 해체는 일국사, 일국 문학사에서 ‘전후’를 해방시킬 수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며 한일문학사에서의 ‘전후’ 인식 비교와 교호 가능성 탐색도 그러한 작업의 일단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mparatively considered how Korea and Japan address the concept of ‘postwar’ in descriptions of their literary history. In Japan, ‘postwar’ refers to the period after World War II (Asia-Pacific War). This word implies a variety of contexts such as collapse, poverty, confusion, calendar reform, reconstruction and restoration as well as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such as war, war defeat, and American occupation; and so it has been treated in Japanese society a significant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is after national liberation that the word ‘postwar’ appeared; however, it has usually indicated ‘the period after the Korean War.’ The question is that although the term of postwar refers to periods after different wars, Koreans used the term of postwar also in the same way as Japan, and their concept of postwar overlaps with the concept of prewar or postwar used in Japan, and accordingly, side effects are produced that fail to grasp properly the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In conclusion, the Korean War brought about contrasting effects on the history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While the Korean War meant a start after the war in Korean literature, it became a turning point marking the end of postwar in Japanese literature. Such different perceptions on postwar also have major implications in that perceptions represent postwar discourses in today’s Korea and Japan.

      • KCI등재

        한국문학의 ‘전후’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

        박현수(Park, Hyun-soo)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9

        한국 현대문학에서 ‘전후’ 개념은 ‘전후=한국전쟁 이후’라는 단일한 개념이 아니라, 한국적 상황과는 무관한 타자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자신의 기의를 채워나가는 생성 중인 개념이었다. 즉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발발 이전까지 이 개념은 외국문학을 소개할 때에만 등장하고 우리 문학적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 외신용 개념 혹은 타자의 개념이었다. 이후 한국전쟁이라는 기의가 가세하여 이 개념은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1960년 전후에 한국전쟁이 기의 상의 기축으로 존재하며 다른 전쟁을 아우르는 중층성이 자리 잡게 되었다. 1950년대에 전후 개념이 한국 문학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면서 혼선도 발생하였는데, 그 혼선의 진원지는 아이러니하게도 신구문화사의 『세계전후문학전집』이었다. 이 전집은 전후 개념의 기점을 한국전쟁이 아니라 2차 세계대전으로 잡음으로써 ‘한국전쟁 이후’라는 기의를 고정시켜가는 당시 담론의 진행방향에 반성과 혼선을 동시에 주고 있었다. 그 원인은 그 전집이 모델로 삼고 있는 것이 일본의 ‘아프레게르총서’라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런 전후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이루어진 것은 1950년대 후반에 와서였다. 김우종과 백철의 논의가 대표적인데 그들은 한국문학에 있어서 전후는 2차 세계대전이라는 서구적 기의와 태평양전쟁이라는 일본적 기의, 그리고 한국전쟁이라는 한국적 기의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중층적 개념이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런 중층성에 대한 인식이 없이 한국의 전후문학의 본질은 제대로 파악되기 힘들 것이며, 1960년대 이후 고착화된 ‘한국전쟁 이후의 문학’이라는 전후 개념은 유용성의 측면에서도 실재성의 측면에서도 부적절하게 될 것이다. The ‘aprés guerre’(postwar)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was not a single concept indicating “aprés guerre=after Korean War” but a forming one which was filling its own signifié although it departed from the concept of "others" irrelevant to Korean literary circumstances. The ‘aprés guerre’ in Korean literature is a complex, multi-tiered concept: it carries the Western signifié i,e. World War II , the japanese signifié i,e. the Pacific War, and Korean signifié i,e. Korean war. Specifically speaki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Liberation from Japan to the outbreak of Korean War, this was a foreign concept (or the concept of "others") having no connection with Korean literary circumstances. It only appeared when a foreign literature was introduced. But this concept after adding Korean War on its signifié was developed more complex. Therefore, in circa 1960,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which turns on its axis of the Korean war overwhelming other wars, was prevailed. When the concept ‘aprés guerre’ was applied to Korean literature in 1950"s, the concept went through some confusions, the epicenter of confusions was ironically Sege Jeonhu Munhakjeonjip(1960), the collection of postwar world literature, published by Singumunhwasa. This collection argued that the stating point of the concept ‘aprés guerre’ was not Korean War but World War II. Accordingly, it gave refle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fusion to the progress of the discourse at the time when the signifié was being fixed. The reason of the argument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collection"s model was Japan"s ‘Aprés‐Guerre Créatrice’. Such reflective study about the ‘aprés guerre’ concept was performed since late 1950". Kim woo-jong and Baek chol who played main role at the time pointed out that the ‘aprés guerre’ concept in Korean literature was multi-dimensional. Without awareness of this muti-dimensional complexities, it would be really hard to grasp the essence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 기획논문2 : 『여원』에 나타난 전후 연애담론 양상 고찰

        송경란 ( Kyung Ran So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한국어와 문화 Vol.18 No.-

        이 논문은 여성교양의 화두가 되어온 전후 연애담론의 양상을 『여원』을 대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후 여성지 『여원』에 게재된 소설, 시, 만화, 수필 등의 문학텍스트를 제외한 특집이나 기획의 성격을 띤 논설, 좌담회, 기사, 설문 등을 중심으로 ‘연애담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대중의 인기를 모았던 ‘연애’를 모티프로 한 전후소설 또는 여성지 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규명하는 데 객관적인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다. 더욱이 『여원』의 필진들은 해방 전후를 경험하고 전후사회의 주축이 된 기성 논자들의 견해를 피력하면서 ‘연애’를 키워드로 전후의 사회문화적 경향과 여성교양의 주요 담론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후 대표 여성지 『여원』은 한국적 근대화를 기치로 내세우던 1950~60년대 미국 중심의 서구 문화의 유입에 의해 사회 전반에서 급변하는 모습을 ‘위기’로 보고 여성교양을 통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질과 소양을 마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연애’는 일제치하에서 계몽적인 담론의 화두로, 해방 후에는 인간이라면 누려야 하는 권리이자 바람직한 애정 선택 방식으로 수용되었다. 『여원』에서 ‘연애’는 여성교양의 맥락에서 기사와 논설의 담론양식으로, 연애의 미학 탐색-이상적인 연애관, 연애와 결혼의 결합공식-낭만적 사랑, 근대적 연애-에티켓과 실천윤리 등의 양상을 띠고 전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여원』의 필진 중 문인들은 ‘연애’를 미학 탐색적인 면에서 의미를 모색하며 ‘신 성한 연애’라는 이상적인 연애관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연애’의 자유에 대해서는 국가 재건을 위한 국민교양에 관심을 두고 있는 지배담론의 편을 든다. 이에 따라 ‘연애+결혼=행복’이라는 낭만적 사랑에 초점을 맞추어 연애담론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점차 논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수용하면서 해방 전후의 ‘연애담론’과 차별화하는 방향을 모색하기에 이른다. 전후 청년 남녀들의 삶과 밀접해 있는 연애의 실천적 양식으로서 에티켓과 현실적 감각에 맞는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여원』은 ‘연애’를 키워드로 하여 청년 특히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전후 사회문화적 담론을 교육적 관점에서 담론화하였다. 여기서 개화기 이후 근대성과 일제치하에서 경험한 균열을 ‘낭만적 사랑’이나 ‘신성한 연애’와 관련된 지식인 특유의 내적 담론으로 형성했던 근대 연애담론과 차별화된 지점을 보여준다. 이로써 전후사회의 혼란과 성윤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전한 가치관 확립의 지표이자 여성교양의 표상으로서 전후 연애담론은 일종의 사회담론으로 자리잡는다. 즉 『여원』의 연애담론은 전후 사회의 가치관 확립에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전후 연애소설과 여성지 연재소설에 영향을 준 주요 사회문화 담론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arget duration in view of the female shape of the theory of liberal who have been an issue of the post-war love discussion to purpose without tickets. Women`s magazine Yeowon after the war of novels, poems, cartoons, published essays on literary text except the characteristics of a plan or a special feature in Editorial writer, article, article, the survey mainly checked out the shape of the ‘Theory of love discussion’. Central to the 1950s and 1960s the public popularity by ‘A love’ collected a dominant theme in a postwar novels or women`s magazine in examining a narrative feature of the objective will provide us with clues. Furthermore, Yeowon of the writers were experiencing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established the writer`s expressed views by keywords the ‘A love’ postwar social and cultural, there are noteworthy in that they formed a discourse on major liberal tendency and women. Put up actively the modernization of the nationality or so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 won worth of American standards, the 1950s and 60s who by society at large influx of Western culture in the ever-changing appearance ‘Crisis’ report to the women and an aptitude and ability to overcome the crisis by means of a major breakthrough seems to have to find a way. ‘A love’ enlightening discourse at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topic of liberation, after about being human affection, should enjoy rights and a desired option was accepted by methods. Yeowon in women is ‘A love’ liberal arts. Journalists write stories with an article in the context of a model of the discussion of navigation - the ideal formula combination of a view of love, love and marriage of aesthetics - romance, romantic love,Etiquette - a modern romance and complexion of, which includes action unfolded. A writer on the related move, the won worth of literary people is by seeking significance for seeking ‘A love’ ‘Divine love’ showed the ideal romance called. But ‘A love’ of freedom about is a national liberal arts institution in order to build a country and pay due attention to controlling discourse that sided with. Accordingly, the ‘romance+marriage=happyness’ that romantic love, focusing on yeonaedam and play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But gradually the writer`s aides, accepting various views of postwar ‘Theory of love discussion’ too early to seek measures to differentiate. Young men and women before and after their lives very close to a love of those advanced by the ethical standards for etiquette and realistic sense as a practical form. Won worth is ‘A love’ the keywords with youth, especially to target young women after the war, social and cultural discourse by minimizing educational standpoint, the discourse. Here a experienced in modern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chasm after the Enlightenment ‘Romantic love’ or ‘Divine love’ intellectuals and is linked to the peculiar internal discussion for which formed Theory of modern love discussion and differentiated, shows that the point. This is the story how to solve the problem of turmoil and sexual ethics conference jeonhusa of establishing a sound values for indicators and female cultural representation as a kind of theory of post-war love discussion Social discourse to settle down. In other words is postwar social values to exer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s of their Yeonwon as postwar romance novels and women`s magazine a serial novel, which influenced major social, cultural discourse was bumper to bumper can`t make an assessment.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의 ‘전후문학’ 언설과 ‘전후일본’ 표상 연구 ─『내가 정말로 젊었을 적에』와 80년대 글을 중심으로―

        송인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1 No.-

        This study diachronically reviews what “postwar literature” meant to Kenzaburo Oe in his major writings before the 1980s and examines the context of his re-mentioning of “postwar literature” in the 1980s. The article considers The Time that I Was Really Young (1992) as the fulfillment of his mission as the successor of “postwar literature,” as well as his representation of nationalism in the 1980s in the form of a novel. It interprets this aspect afresh from the point of view of memory and war responsibility. In the latter half of the 80s, Oe regarded the 40 years after the war as a process during which writers and readers were all losing their "positive attitude," and assessed that the unique position of Japan's postwar literature was disappearing. One of the “reality” of the time that he mentioned repeatedly in his writings was the memory of "Japan's aggression on Asia" and the atmosphere of revival of nationalism surrounding the description of history. Oe’s recall of postwar literature was the result of a consciousness of crisis while looking at the same period with the “eschatological vision” and “revelationary perception” of postwar author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t could also be an urgent warning to reawake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ntemporary literature, including his own. His novel The Time that I Was Really Young, in which he adopted the memory of the Asia-Pacific War as material again several years after his warning, was the outcome of his consciousness of crisis, which was triggered by the "self-justifying nationalism of Japan" and his mission as a literary man. 오에 겐자부로는 일본에서 이른바 ‘전후문학’의 열기가 식은 1980년대 후반에, 자신의 에세이들을 통해 새삼스럽게 ‘전후문학’을 다시 언급한다. 본 연구는 오에에게 ‘전후문학’이란 무엇이었는지를 80년대 이전까지의 주요 저술들을 통해 통시적으로 검토한 후, 80년대 오에의 ‘전후문학’ 재언급의 맥락을 고찰하였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쓰인 소설 「내가 정말로 젊었을 적에(僕が本当に若かった頃)」를, ‘전후문학’ 계승자로서의 오에의 사명감의 실천이자 80년대 자국(自國) 인식의 소설적 재현으로 보고, 이를 전쟁의 기억과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였다. 데뷔 초기의 오에는 주로 1946년~52년 사이의 한정된 시기의 문학을 대상으로 전후문학을 논했다. 그러나 이후 오에는 전후문학의 대략의 시기를 패전 직후부터 1970년 전후(前後)로 넓게 언급하고, 특히 패전 후 10년간을 전후문학의 기세가 뚜렷했던 시기로 꼽는다. 하지만 80년대 후반의 오에는, 전후 40년간을 일본문학이 작가와 독자 양쪽 모두에게서 “능동적 자세”를 잃어가는 과정으로 파악하며, 일본의 전후문학이 확립했던 독특한 위치가 상실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것은 곧 일본문학이 더 이상 일본의 ‘현실’에 대한 환기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는 위구(危懼)의 마음에 다름 아니다. 그리고 이 시기의 글에서 오에가 반복적으로 언급하는 당대의 ‘현실’ 중의 하나가 곧 “일본의 아시아 침략”에 대한 기억과 역사 기술(記述)을 둘러싼 내셔널리즘 재흥의 분위기이다. 80년대는 일본이 경제대국으로서의 열매를 누리던 시기이지만 오에는 이 시기를 문학의 위기로 파악하는 한편, 부활하는 내셔널리즘에 기반을 둔 새로운 ‘전전(戰前)’으로 언급한다. 즉, 오에의 전후문학 재소환은 전(前) 세대 전후문학자들이 지녔던 ‘종말관적 비전과 묵시록적 인식’으로 80년대의 전후일본을 응시한 위기의식의 결과이며, 자신을 포함한 동시대 문학의 사회적 책무를 다시금 일깨우기 위한 긴급한 경보였다고 볼 수 있다. 손수 그 경보를 울린 지 몇 년 후에 새삼스럽게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기억을 부분적으로 언급한 소설 「내가 정말로 젊었을 적에」 역시, “일본의 자기정당화의 내셔널리즘”으로 촉발된 오에 겐자부로의 위기의식과 이에 대한 문학자로서의 사명의식의 산물이다.

      • KCI등재

        중립, 그리고 오지 않은 전후 : 신동엽과 전봉건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지윤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6 No.-

        이 논문은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전후문학 연구의 딜레마와 ‘전후’ 개념과 범위 설정에 대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전후문학 논의의 전제 하나를 제시하려 하였다. 또한 전후문학을 바라보는 협소한 시각을 넓히고 전쟁을 양의적으로 고찰하며 당대 현실과 시단의 재편성 속에서 새로움을 모색한 소위 ‘전후파’의 문학 속에 드러난 ‘전후’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해보려 했다. 기존에 전후문학은 전쟁의 허무, 황폐함, 우울, 죽음의식, 불안 등 부정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주로 연구되었는데, 전쟁이 끝난 직후 당대인들이 욕망했던 ‘포스트시대’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쟁의 양의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전쟁을 끔찍한 재난, 비참한 파국, 혼돈 상태로만 받아들인다면 그것을 정상화 혹은 복구하기 위해 서둘러 그 상태를 종료시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기가 쉽다. 해방 이후 ‘청산’하고 ‘극복’해야 한다는 목적 아래 서둘러 ‘포스트’라고 말하게 된 것은 아닌지 의심해보기 위해 우리는 ‘전후’, ‘식민지후’를 재조명해야 하며 그것이 진정으로 청산되고 극복된 것인지에 대한 끊임없이 현재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당대인들이 욕망했던 ‘포스트’ 시대와 그에 대한 전망을 구현하려는 문학적 전략, 그리고 그것이 실패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이 글은 ‘휴전’이라는 사건 직후의 시대를 조망하며 그 하나의 방식으로 전후문학에 나타난 공간의식을 살펴보았다. 당대인들의 ‘시도’와 ‘실패’를 동시에 검토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이유는, 이것이 ‘끝나지 않은 전쟁’이라는 문제를 환기시킨다는 데 있다. ‘오지 않은 전후’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는 것이 신동엽, 전봉건의 전후기 시 작품들이다. 신동엽과 전봉건의 전후기 시들은 당대의 현대성 담론, 시대적 상황과 사회의 공통욕망 등을 반영하면서도 자신들의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이들의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코스모폴리타니즘과 아나키즘적 문제의식과 이상을 담은 새로운 공간에 대한 상상이었다. ‘포스트시대’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음을 반복해서 환기시키는 일은 당시 정치적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 및 극복 의지, 도전성을 보여준다. 미-소 냉전체제나 자본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던 당대의 한국 현실에서 ’아직 오지 않은 전후’를 환기시킨 것은 ‘식민지후’, ‘전후’에 돌입했다고 할 수 없는 한국적 현실과 그 배후에 있는 원인들을 자각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이 제시하는 ‘중립지대’에 대한 공간적 상상 혹은 탈경계적 평화주의의 이상은 ‘구성된 평화주의’나 ‘문서상의 평화’에 대한 항변의 뜻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전쟁 위협’ 혹은 ‘평화’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하는 시도들과 외부의 개입에 의해 이루어진 ‘휴전’ 속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거나 더욱 곪아가며 남아있는 문제들을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써 지속시키기 위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들의 문학적 대응은 현재 우리의 문제를 성찰하고 여러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이 되어준다. 신민족주의와 신자유주의가 범람하는 지금의 세계에서 ‘전후’ ‘식민지후’라는 개념을 재고찰할 필요성은 더 높아졌다. 이는 언젠가 도래할 ‘종전문학’을 예비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Looking back on the preceding study of postwar literature, this paper tried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the dilemma of the post-war literature study and the setting of the concept and scope of “post-war” literature that we are currently dealing with, and put forward a premise of the post-war literature studies. The concept of post-war literature is very difficult, complicated and must be closely examined in Korean circumstances because of the long truce. By far, Postwar poetry has generally studied in the context of desolation, nihilism, anxiety, and death consciousnes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study on the postwar poetry by looking at it in the context of renewal, new hope,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postwar period as a starting point’, reviewed the perio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tried to identify the ‘newness’ that Korean modern postwar poetry desperately and enthusiastically facilitates, and reveal the identity that contemporary writers of the time seek to establish. Considering that the military regime and the cultural dark ages has lasted for some time since the 1960s, the creative consciousness or productivity of this period cannot in fact have achieved the purpose originally expected. This paper examined the propensity in the overall post-war literature and discussed its specific examples through works by Shin Dong-yup and Jeon Bong-gun. This paper noted the perception of ‘neutral zone’ and ‘unfinished postwar’ in their work. What could be found in their works was their imagination of a new space featuring cosmopolitanism and anarchistic ideals. The spatial imagination of the trans-boundary ideal of pacifism from their works, may imply an objection to negative realities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ose days. The literary response of poets during this period i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in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facing our society

      • KCI등재

        전후 신진시인들의 "세계" 인식과 "시"의 이념-『세계전후문제시집』(신구문화사, 1962)을 중심으로

        김양희 ( Yang Hee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논문은 『세계전후문제시집』에 대한 연구이다. 이 앤솔로지를 1950년대 중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에 이르는 한국 전후시사에서 세계시를 직접적으로 번역하는 것의 의미와 번역주체들이 본 세계성의 형상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 텍스트로 보고, 다음의 문제를 논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이 시집이 가지고 있는 구성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 시집은 여타의 전집과는 달리 신진 시인들이 번역자로 참여하고 있는 바, 이들이 세계시를 번역하는 것의 궁극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고 당대 신진 시인들이 세계시를 통해 모색한 새로운 시의 이념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세계전후문제시집』의 세계는 서양(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과 동양(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하여 (북유럽, 남유럽, 라틴 아메리카, 인도를 포함한) 기타 대륙으로 구성된다. 냉전 체제 안에서 자유 민주주의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가운데 ‘서구적 가치= 현대성’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성을 반영하는 데 있어서 『세계전후문학전집』은 ‘공산주의’라는 이념을 괄호 안에 묶는 대신, 불안과 절망이라는 정서적 언어를 응축해내고 있다. 다음으로, 이 전집은 각 나라와 장르를 편집· 병치하는 구성을 보인다. 이런과정을 통해 한국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과 함께 대등하게 세계문학의 기호 속에 기입되며 이 과정에서‘시’라는 매개를 통해 ‘세계’와 ‘개인’을 ‘세계사적 주체’로 연결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한편으로, 이 시집은 여타의 전집과는 달리‘외국어 능력’을 갖춘 ‘이중 언어 세대’의 ‘현역시인들’ 중심으로 번역을 진행하였다. 이로 인해 이 시집은 시적 언어로서의 ‘모국어’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실험장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전후문제시집』에 참여한 시인들이 세계시의 흐름에서 주목한것은 ‘전후’, ‘언어``,‘저항’이다. ‘전후’, ‘언어’, ‘저항’은 ‘전후 세계시’가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지점이었으며, 이러한 이념은 한국의 신진 시인들에게 와서 ‘행동하는 언어’라는 명명으로 구체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ostwar problematic poetry of world]. In the post-war literature field,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 Literature- in other word, literary Cosmopolitanism - was a very important issue. In Korean modern poetry``s history from the late 1950s to 1960s, The Anthology is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which shows ``meaning of translation to world poetry`` and ``cosmopolitan awareness`` of young writer who participated in translation. By targeting this anthology, This paper examined process of the idea of forming a new poem in postwar Korean poetry history. This paper research follow topic. First, it aims to study on this anthology’ s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and look for ‘meaning of translation’ . Second, this paper try to look at the meaning with naming of ``before and after war`` and ``the world``, the ``problem``. This is due to reveal their political unconscious of post-war poets. Next,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anthology. This is because it reveals a map of the ‘World’ by contemporary poets imagine. Finally, this paper explore the idea of a new world poem is emerging by contemporary poets. This is related to the ultimate effect being given by the markedness Korea in the world. This would mean ‘New poetic ideology’ that the contemporary poetry wanted to fill in the literary field.

      • KCI등재

        전후-해방 정신의 계류점

        이혜진(Lee, Hye-Ji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이 글은 일본의 전후와 한국의 해방 이후에 진행된 민족주의의 형성과정이 어떤 왜곡을 거쳐 왔는가를 문제 삼으면서 리샹란=야마구치 요시코와 최승희의 재신화화 과정을 추적해본 것이다. 리샹란과 최승희는 제국 일본의 프로파간다를 수행했다는 이유로 ‘친일’과 ‘한간’의 혐의 속에서 모진 수난을 겪은 뒤, 각각 전후와 해방을 거치면서 한국의 민족주의와 일본 전후의 평화주의를 체현한 인물로 탈바꿈되었다는 점에서 문제적 인물에 해당한다. 제국 일본의 식민지 네트워크에서 엄청난 대중적 인기를 구가했던 리샹란과 최승희는 일본의 패전 후 새롭게 냉전체제와 대응하면서 전개된 전후와 해방의 과제에 편승하여 각각 일본과 한국의 노스텔지어를 불러일으키며 회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전후-해방 정신에 은폐된 왜곡 상을 잘 반영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강요로 승인된 전후 일본의 평화주의와 민주주의를 전쟁과 패전이라는 공동의 감수성으로 견인한 리샹란, 그리고 해방 이후 북한과 대치하면서 반공주의와 착종된 민족주의를 견인한 최승희는 전후와 해방의 기점에서 도출된 국가 이데올로기를 대중시민사회가 소비함으로써 과거의 ‘오욕’을 봉인해버린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공통의 왜곡을 경험했다는 점은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돌이켜 볼 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tracked the remythologization process of Lǐ Xiānglán=Yamaguchi Yoshiko and Choi Seung-hui while questioning which distor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nationalism experienced after Japan’s postwar and Korea’s liberation caused. Lǐ Xiānglán and Choi Seung-hui correspond to problematic characters in terms of being transformed into figures who embodied Korea’s nationalism and pacifism of Japan’s postwar while experiencing post-war and liberation, respectively after experiencing bitter suffering in the charge of ‘pro-Japan’ and ‘traitor of the country’ for a reason of having performed the propaganda of Imperial Japan. Because they, who enjoyed tremendous popularity in the colonial network of Imperial Japan, well reflect the distorted image concealed in postwar-liberation spirit by contributing to forming the community of remorse while evoking the nostalgia of Japan and Korea by going along with the challenges of post-war and liberation developed while responding to the cold war system. Lǐ Xiānglán who led the pacifism and democracy in Japan after the war approved under coercion of the US to common sensitivity of war and Choi Seung-hui who led nationalism clashing with anti-communism while confronting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experienced the common distortion in terms of causing the result of sealing the past ‘disgrace’ as the public civil society consumed the state ideology deriv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post-war and liberation and this suggests an important problem when looking back the past at the curren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