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환조건에 기초한 해안경계 임무전환정책에 관한 제언

        박무춘(Park Moochoo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2 전략연구 Vol.29 No.1

        해안경계의 임무전환 정책은 군이 보다 더 군 본연의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적에 의해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추진이 결정되었으며 2006년 이후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까지 시기에 의한 전환(time-based approach) 추진을 토대로 논의되어 왔으나 구체화된 시행계획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2017년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수정1호)」이후부터 2018년 「국방개혁 2.0」에 이르기까지 조건에 의한 전환(condition-based approach)개념으로 수정하여 추진하도록 하고 개략적인 계획을 명시하였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조건에 기초한 해안경계 임무전환 정책으로의 변경을 2014년에 결정하였으며, 세 가지 조건은 ( 전환조건 #1 ) 북한의 위협: 군사위협 및 남북관계 평가, ( 전환조건 #2 ) 국가재정 여건: 임무전환 예산 ( 해경능력 확충 등 ) 소요, ( 전환조건 #3 ) 해경 임무수행능력: 해안경계 임무수행능력 평가로 설정하였다. 이는 군의 해안경계 임무를 해경으로의 전환이라는 기본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언제 어떠한 방법으로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조건에 기초하여 충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무전환 추진의 성격에 부합하고 정책결정을 위한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에 근거, 해안경계 임무전환을 위해 전환지역, 임무전환 조건 및 평가체계를 구체화하고, 임무전환 이후 해경의 임무와 역할, 수행개념 등을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해안경계에 관한 임무가 군에서 해경으로의 전환 이후, 해안경계는‘해경 주도-군 지원 체계’하에서도 상호간 균형적이고 보완적 관계는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군과 해경의 관련 규정과 지침 등에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해안경계 임무전환 조건 충족여부 평가는 전환조건별 충족성을 평가하되, 전환조건 #3을 우선 고려하여 정책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전환조건에 따른 평가지표의 평가요소와 내용의 구체화 및 평가방법 등 현장 확인 및 평가와 분석, 조정 등 전반적인 순환체계에 의한 분석틀을 구축하여 목표연도 시점까지 지속적이고 일관된 평가와 검증이 가능하도록 추진해야 한다. 해안경계 임무전환 정책의 추진을 위해서는 첫째, 국방부 주도의 조속한 정부합동협의체 구성과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둘째, 전환조건 #3의 충족성 여부에 최우선을 두고 임무전환을 위한 소요 및 예산을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해안경계 임무전환을 위해 잠정적인 목표연도 설정을 전제로 「해안경계 임무전환추진계획(가칭)」을 수립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끝으로 이러한 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국방부-해경 간 전략적 소통(SC)을 활성화하고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역량을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olicy on the transfer of the coastal guard was decided by the Defense Reform Act with the aim of allowing the military to concentrate more on the important tasks of the military. Since 2006, the plan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e time-based approach from the basic plan of defense reform 2014 to 2030, but the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has not been presented.,Since the National Defense Reform Basic Plan 2014-2030 (Revision 1) in 2017, the concept of condition-based approach has been revised and promoted, but the detailed implementation road-map has not been decided so fa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decided in 2014 to change the condition-based coastal guard mission transfer policy. The three conditions were (transfer condition #1) North Korea"s threat: military threat and inter-Korean relations evaluation, (transfer condition #2) national financial condition: mission transition budget (such as expansion of maritime capability), (transfer condition #3) Coastal guard mission performance ability: Coastal guard mission performance ability evaluation. This can be an alternative in that it maintains the basic principle of the military"s coastal guard mission to the Coast Guard, but it can meet the plan of when and how to proceed based on the condition, so that it meets the nature of the mission transfer and presents a basic framework for policy making. Based on the Defense Reform Act, the transfer area, the condition and evaluation system of the mission conversion should be specified for the coastal guard mission transfer, and the mission, role, concept of performance of the coastal guard should be newly established after the mission transfer. After the task of coastal guard is changed from military to Coast Guard, coastal guard needs to be specified in the related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military and Coast Guard so that the balanced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can be maintained under the "Coast Guard-led military support syste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ulfillment of the conditions of the coastal guard mission transfer by the transfer conditions, but to make a policy decision considering the transfer conditions # 3.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overall circulation system such as on-site confirmation, evaluation, analysis, and adjustment, such as the evaluation factors, detail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transfer condi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continuous and consistent evaluation and verification until the target year. First,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joint governmental councils and operation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second,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satisfaction of the transfer condition #3, and the needs and budget for the mission conversion should be reflected. In order to change the coastal guard mis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astal Guard Mission Transfer Promotion Plan(tentative name)” and to implement it step by step and systematically. In order to promote such a policy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strategic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Coast Guard, and concentrate its capabilities to secure national support.

      • KCI등재

        전환사채에 대한 조건부 이자율 적용시 과세문제- 상장조건부 상환할증금 과세를 중심으로-

        문성훈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학 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chracteristic and tax treatment of convertible bond(CB) that is representative type of hybrid securities and study interest taxation of CB when call premium is contingent as to achievement of predetermined term. for this object I review general taxation rule of bond, compare issuing company's journal entry and tax treatment of call premium with investor's, and then suggest validity and problems on taxation of CB's call premium. I have reviewed grounds of next two alternatives.:first alternative is that call premium interest rate is respectively applied to before and after achievement date of predetermined term, second alternative is that call premium interest rate is retroactively applied to entire period irrespective of achievement of predetermined term. As a result, I suggest second alternative which coincide with real taxation principle and settlement principle of claims and obligations. To improve taxation of bond with contingent interest rate including contingent call premium reasonably, it needs to be followings:① application of effective interest method in contingent interest rate and introducing claim for reassessment, ② deferral of recognition in contingent interest rate taxation, ③ symmetric tax treatment of contingent interest rate between issuing company and investor, ④ review of accrual taxation about interest income in long-term perspective. also it needs to be accordance with principle of derivatives' taxation through income classification in contingent interest rate income which have characteristics of interest income and embedded option both. I anticipate that this research help to construct resonable tax treatment of hybrid securities and contingent debt securities that will be appeared after enactment of F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본 연구에서는 주식과 채권의 성격이 복합된 혼합증권(hybirid securities)의 대표적인 유형인 전환사채의 상환할증금의 성격과 과세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상환할증금이 변동하는 조건부 이자율의 적용시 이자소득 과세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채권소득 과세제도 전반에 대해서 살펴 본 후 상환할증금에 대한 발행법인 및 투자자 입장에서 회계처리 및 세법상 취급에 대해서 비교분석하고 전환사채 상환할증금 과세의 타당성 및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환할증금에 대한 조건부 이자율 적용시 상장 등 조건성취 전후를 나누어 각각의 기간에 이자율을 달리 적용하는 경우(제1설)와 조건성취와 관계없이 변경된 이자율을 조건 성취 이전 기간에도 적용하는 경우(제2설)로 나누어 각각의 논거를 분석한 결과, 실질과세원칙과 권리의무확정주의에 부합되는 제2설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전환사채 상환할증금을 포함한 조건부 이자를 가진 채권 전반에 대한 합리적 개선을 위해서는 조건부 이자에 대한 유효이자율법 적용 및 경정청구 제도 도입, 조건부 이자에 대한 과세상 인식시기 이연, 조건부 이자에 대한 투자자와 발행회사간 대칭적 과세취급, 이자소득 발생주의 과세 중장기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환할증금과 같은 이자와 내재옵션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는 조건부 이자에 대한 소득분류를 합리적으로 하여 파생상품에 대한 과세원칙과의 조화도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이후 다양하게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혼합증권 및 불확정채무의 합리적인 과세기준 정립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조건부자본증권의 현황과 쟁점 고찰

        임철현,김용재 한국금융법학회 2018 金融法硏究 Vol.15 No.3

        A contingent convertible bond (CoCo) is a hybrid bond that is convertible into equity if a pre-specified trigger event occurs. Although a CoCo has been introduced into Korea since 2013 under the Act o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Services, it is not used as a corporate financing tool for general stock-listed corporations at all. Rather, the concept of CoCo has been o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risis management in the banking industry, and it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tool of increasing capitals, thus enhancing the safety and soundness of the banking industry. At the early stage of introducing a CoCo in Korea, lots of domestic scholars and lawyers discussed actively on the basic concept and simple legal issues surrounding a CoCo, based on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which already issued some CoCos much earlier than Korea. However, the Commercial Banking Act of Korea adopted relevant provisions of a CoCo and provided a strong legal source of issuing CoCos for commercial banks since March, 2016, more active and deeper analyses and studies have been stopped with no reasons. Conceptually, a CoCo as a corporate financing tool for a stock-listed corporations is quite different in detail from that as the enhancing tool of safety and soundness for banks. Thus, the basic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CoCos for all corporations including banks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and scope at this time. Early discussions were focused on the brief introductions of CoCos in other countries, such as a concept, an origin, and main functions. Now, more advanced discussions, including ① distinctions and legal natures under either the Act o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Services or the Commercial Banking Act of Korea, ② any structural improvement and variation under some Korean situations, ③ deeper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a future reform, should be made. After reviewing all the legislative histories, present situations and discovering some problems surrounding a CoCo in the Korean context, this paper points out a few legal hurdles and suggests some fundamental reforms for exploiting a CoCo as one of important corporate financing tools in the near future. Then, a CoCo will be a strong and innovative financing method in Korea. 조건부자본증권은 특정한 재무악화 사유가 발생했을 때 주식으로 전환되는 하이브리드형 사채를 말한다. 조건부자본증권이 우리나라에는 2013년「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의 개정으로 도입되었지만, 아직 일반 상장기업의 자금조달수단으로서 활성화되지는 않고 있다. 오히려 조건부자본증권은 은행산업의 위기관리 차원에서만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며, 은행의 자본을 증대시키고 은행의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조건부자본증권의 도입 초기에는, 이미 이 증권을 발행해본 경험이 있는 외국의 사례들을 기초로 하여 증권의 개념과 간단한 법적 쟁점들을 다룬 국내 학자들 및 실무가들의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2016년 3월 은행법 개정으로 은행들의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에 대한 관련 조항을 마련함으로써 강력한 법적 근거를 도입한 이후에는, 이에 관한 분석과 검토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개념적으로 자본시장법상 일반적인 기업자금조달수단으로 발행되는 조건부자본증권과 은행법상 건전성 제고 차원에서 규제자본으로 발행되는 조건부자본증권 간에는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많다. 따라서 지금은 은행을 포함하여 모든 기업들에 공통되는 조건부자본증권의 본질과 특성을 보다 심도 있고 넓게 고찰하여야 할 시기이다. 도입 초기에는 외국에서의 조건부자본증권에 대한 간단한 소개로서 증권의 개념, 발행 배경과 기능 등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보다 진전된 논의로서, ① 자본시장법상 조건부자본증권의 발행과 은행법상 조건부자본증권의 발행의 차별화 및 법적 성질 규명, ② 우리나라 상황에서의 구조적인 개선 및 변용, ③ 보다 심도 있는 검토 및 향후 법률 개정안 제안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고는 특히 우리나라에서 최초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조건부자본증권의 입법 경과와 제도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발굴한 이후, 법적인 장애요인들을 규명하고 조만간 조건부자본증권이 일반적인 기업자금조달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위한 법적 개선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때에는 우리나라에서 조건부자본증권이 강력하고 혁신적인 기업자금조달수단으로서 역할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정책결정 차이를 중심으로 -

        손대선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This article analyzes what determines the course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WT-OPCON) transfer Policy. This article sets two independent variables, the President's perception of Korean Armed Forces' relative power over the North Korean Army's and U.S. strategic preference toward ROK-US alliance. These two variable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outcome of such interactions can be categorized by three types of policy decision, ‘transferring WT-OPCON unconditionally’, ‘transferring WT-OPCON conditionally’, ‘transferring WT-OPCON when appropriate’. During the Roh administration, the President perceived military ‘superiority’ of Korean Armed Forces over North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S. strategic preference toward the ROK-US alliance was built upon an ‘internationalism'. These two factors resulted in the policy of ‘transferring WT-OPCON unconditionally’. However, during the Lee administration, the President perceived military ‘inferiority’ of Korean Armed Forces over North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S. strategic preference toward the ROK-US alliance was built upon an ‘internationalism’. These two factors resulted in the policy of ‘transferring WT-OPCON when appropriate’. Lastly, during the Park administration, the President perceived military ‘inferiority’ of Korean Armed Forces over North Korean Armed Forces. And the U.S. strategic preference toward the ROK-US alliance was built upon a ‘Status Que’. These two factors result in the policy of ‘transferring WT-OPCON conditionally’. 본 논문은 한국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정책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연구한 글이다. 이를 위해 노무현 정부에서의 전작권 전환 정책, 이명박 정부에서의 전작권 전환 연기 정책, 박근혜 정부에서의 전작권 전환 재연기 정책을 대상으로 무엇이 연속적인 정부에서 동일한 사안에 대해 서로 다른 정책결과를 가져왔는지 연구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지도자의 대북 군사력에 대한 상대적 수준 인식과 한미동맹에 대한 미국의 전략성향을 핵심변수로 설정하여 이 두 변수간의 상호작용이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였다. 노무현 정부시절 대통령은 대북 군사력의 상대적 수준을 우세하게 인식하였고, 당시 미국의 한미동맹 전략성향은 국제주의적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두 변수의 조합은 ‘전작권의 무조건적 전환’이라는 정책결과로 도출되었다. 반면 이명박 정부시절 대통령은 대북 군사력의 상대적 수준을 열세로 인식하였고, 당시 미국의 한미동맹 전략성향은 국제주의적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두 변수의 조합은 ‘전작권의 적시적 전환’이라는 정책결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박근혜 정부시절 대통령은 대북 군사력의 상대적 수준을 열세로 인식하였고, 당시 미국의 한미동맹 전략성향은 현상유지적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두 변수의 조합은 ‘전작권의 조건적 전환’이라는 정책결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작권 전환에 대한 외교안보정책은 지도자의 군사력에 대한 인식변수와 미국의 한미동맹에 대한 전략성향 변수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국제협력 - 개혁·개방정책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조영국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08 국가안보와 전략 Vol.8 No.1

        This study aims to view how international cooperation have affected states experienced Socialist transition in the process of its transition by dividing its type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m comprehensively. In order to do it, this study analyzes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of the states in the transition process under domestic and foreign crisis structures, focusing on the intentions and purposes of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divided into Soviet type(the Soviet Union), Southern European type(Rumania), Middle European type(Hungary), Chinese type(China, Vietnam) and Cuban type(Cuba) as a main analytic subject. Also this study diachronically review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the states experienced transition before and after the post-cold war. Although it is very arguable to 'virtue of openness' in analysing Socialism transition states'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it is observed that 'tolerance of national intervention' has changed in spite of existence of foreign threatening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adictions of the system cannot but reforming and opening up. Also, we can come to know the transition state pursued opening up policy escalating national intervention to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goal through post-ideological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ctive opening up if the state pushed with ideological diplomatic relations and security-center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past cold-war era in the transition proces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reign policy of the states experiencing transition process in post-cold war era have pursued readjustments, practical diplomatic relations and access diplomacy to west based on interdependence for economic growth. Also, we come to know that these changes of foreign polic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play a pivotal variable to draw outcomes of internal reform. Therefore, the transition of the Soviet Union type, Southern European type, Middle European type, Chinese, Vietnamese and Cuban types have pursued in synchronized with the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by national strategic judgements, and we come to recognize that the degree of depth in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wa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ative changes(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joining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foreign relations as well as its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in the internal system. 본 연구는 사회주의 체제전환을 경험한 국가들의 체제전환 과정에서 국 제협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그 특징과 함의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그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탈냉전기 체제전환을 진행하고 있는 체제전환국이 대내외적 위기구조 하에 서 개혁·개방정책을 어떻게 추진했으며 그 의도와 목적을 소련형(소련), 남부유럽형(루마니아), 중부유럽형(헝가리), 중국형(중국, 베트남), 쿠바형 (쿠바)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탈냉전기를 전후한 체 제전환 국가들이 추진한 국제협력 양상과 특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사회주의 체제전환 국가들의 개혁·개방정책에 대한 분석은‘개 방의 효과(virture of openness)’에 관한 논쟁이 비록 첨예하지만, 개혁· 개방하지 않으면 안 되는 체제 내·외적 모순으로 인해 대외위협의 상존에 도 불구하고‘국가개입의 내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체제전환 국가가 체제전환 과정에서 과거 냉전시기 이념적 외교관계와 안 보 중시의 대외관계를 추진하였다면, 체제전환 과정에서는 체제내적 모순즉 경제난 해결을 위한 탈이념적 대외관계와 적극적 개방을 통해 경제발전 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개입의 내성이 넓어지는 개방정책을 추 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탈냉전기 체제전환을 경험한 국가들의 대외 정책은 경제발전을 위해 상호의존을 통해 재조정되고, 실리적 외교, 대서방 접근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특징을 보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같은 대외정책 변화는 체제전환 과정에 있어서 내부개혁의 성과를 내는데 중요 한 변수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련형, 남부유럽형, 중부유럽형, 중국, 베트남, 쿠바의 체제전환 은 국가들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개혁·개방정책을 연동하여 추진했고, 개 혁·개방정책의 심도 차이는 체제내적 정치·경제적 조건뿐만 아니라 대외 관계의 질적 변화(국교정상화, 국제기구의 가입)와 밀접히 연동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변화 -비교사회주의 관점에서

        김근식 ( Keun Sik Kim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0 통일과 평화 Vol.2 No.2

        이 글은 비교사회주의 시각에서 사회주의 체제전환론을 고찰하고 전환의 유형과 방식을 결정하는 초기 조건(initial conditions)과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e)에 대해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향후 북한 체제전환의 가능성과 방식을 전망하고 이를 위한 조건과 과제를 도출한 것이다. 북이 체제전환에 나설 경우 아시아형 ``점진적 체제개혁``과 정치체제의 근본 변화 없는 ``당-국가 주도형`` 체제개혁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점진주의(gradualism)에서도 중국 베트남보다 ``쿠바형``에 상대적인 친화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북한 특유의 초기 조건과 역사적 유제들을 고려하면 북한의 체제전환은 특정 유형이 아닌 고유한 ``북한식``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금 당장은 가장 북한적인 초기 조건으로서 수령제라는 대내 조건과 북미 남북관계라는 대외 조건이 체제전환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이다. This paper will analyze the theory of socialist transi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socialism and examine initial conditions and path dependence of regime change, which determine the form and method of transi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possibility of regime change and its method will be explored as well as conditions and tasks necessary to accomplish this will be suggested. If North Korea decides to pursue regime transition, it is most likely to take the Asian model of "gradual systemic reform" or regime reform centered on "party-state system" that will not involve any major change from its current structure. Under the explanation of gradualism, North`s regime change will resemble relatively that of "Cuban model" than that of China or Vietnam. However, considering the unique initial conditions and historical factors, North Korea`s regime change will not resemble a specific case type but rather a distinctive "North Korean approach" will be taken. The init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that is preventing regime change are Suryong System that governs the domestic situation and external factors of US-DPRK and inter-Korean relations.

      • 「마담보바리」에 나타난 자유간접화법의 묵시적 표지 분석

        김종로(Kim Jong-R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6 No.-

        자유간접화법은 직접화법이나 간접화법과는 달리 명시적인 도입동사나 종속접속사가 나타나지 않고 문맥과 상황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맥을 벗어나면 자유간접화법임을 알 수 있는 표지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문맥을 면밀히 살펴보면 명시적이지는 않지만 묵시적인 표지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자유간접화법 앞에 어떤 문체가 쓰여졌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0가지 유형의 자유간접화법을 살펴본 결과 자유간접화법 바로 앞에 간접화법이 나타난 경우는 5가지이고, 직접화법이 나타난 경우는 2가지이고, 서술문이 나타난 경우는 3가지였다. 자유간접화법 앞의 간접화법이나 직접화법이 자유간접화법의 묵시적 표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자유간접화법의 시제와 자유간접화법 앞 구문의 시제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유간접화법 앞 구문의 시제는 단순과거이고 자유간접화법의 시제가 반과거이거나 조건법 현재 형태인 경우가 6가지이다. 단순과거에서 반과거나 조건법 현재 형태로의 변이도 자유간접화법의 구분에 중요한 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자유간접화법에 나타난 시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반과거나 대과거, 조건법 현재 형태나 조건법과거 형태, 단순미래 반과거나 근접미래 반과거가 전환된 시제인지 아닌지를 분석해 보아야 할 것이다. 주절이 과거일 때 종속절의 시제가 현재형은 반과거로, 복합과거는 대과거로, 단순미래는 조건법 현재 형태(과거의 미래)로, 전 미래는 조건법 과거 형태(과거의 전미래)로 바뀐다는 사실은 자유간 접화법 시제가 전환된 시제임을 밝혀낼 수 있는 근거이다. We cannot find an explicit sign as a introductive verb or a subordinate conjunction in Free Indirect Speech. There is an implicit sign like an Indirect Speech or a Direct Speech in front of Free Indirect Speech. Secondly we find Tense Change from Indirect Speech to Free Indirect Speech. For example in Indirect Speech ‘Passe Simple’ but in Free Indirect Speech ‘Imparfait’, ‘Conditionnel Present’, ‘Conditionnel Passe’. Finally we have to analyse Free indirect Speech Tense. It is very important to compare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Indirect Speech Tense and Free Indirect Speech Tense. When we read Madame Bovary we have to identify the sign of Free Indirect Speech. If we don‘t know Free Indirect Speech de Madame Bovary we can‘t understand exactly Madame Bovary.

      • KCI등재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근로조건 설정 기준

        김희성,이재현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2 産業關係硏究 Vol.32 No.3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r worker conversion policy’ implemented in 2017, a large number of temporary or part-time employees have been converted to regular employees. In addition, there are workers who were converted to regular employees as per the stipulations in the Fixed Term Act and Temporary Agency Workers Act. Previously, recognition and confirmation of the regular employment were the main debate topic, but now, how to set the working conditions after the conversion or regular employment of previous non-regular workers is an important issue. The biggest problem is the absence of clear standards and principles that can reasonably set the working conditions for those who became part of the workplace or converted to regular employees. The lack of legislation is the underlying cause, but the court’s tendency to actively seek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working conditions for individual workers is also problemat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learly set the standards with which the same and similar work is defined clearly through legislation and policymaking. ‘정규직 전환정책’에 따라 다수의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전환되었고, 기간제법과 파견법의 규정에 따라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사례도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전에는 정규직 근로관계의 인정・확인이 주된 쟁점이었다면, 현재는 전환・편입 이후의 근로조건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가 중요한쟁점이 되고 있다. 문제는 사업장 편입・전환 이후, 이들의 근로조건을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과 원칙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입법의 미비에서 비롯된 것이나, 법원이 개별 근로자의 적정 근로조건을 적극적으로 결정하려는 태도도 문제가 있다. 입법 정책적으로 동종・유사 업무의 기준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접속 부사어 ‘그러면’과 ‘그렇다면’의 의미 연구 -‘시간성’과 ‘사실성’을 중심으로-

        서반석 ( Seo Banseoc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그러면’과 ‘그렇다면’의 용법을 상세히 살펴보고 둘 사이의 차이점을 찾는 데에 목표를 둔다. ‘그러면’과 ‘그렇다면’은 일차적으로 ‘조건’의 기능을 하는데, 어미 ‘-면, -다면’에는 없는 ‘전환’의 용법도 갖는다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그러면’과 ‘그렇다면’이 나타내는 ‘전환’은 선행한 내용이 완결되었음을 조건으로 삼아 다음 내용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기능하기에, ‘조건’ 의미와 연관을 갖는다. ‘그러면’의 경우 ‘담화 표지’로 기능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조건’과의 관련성이 약화되기도 한다. 반면 ‘그렇다면’은 이러한 기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텍스트의 진행 방식’에 따라 [시간성] 자질을 설정했는데, 이는 선행문과 후행문의 내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쇄되었는가의 여부에 따른 자질이다. 즉 이야기의 전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될 경우에는 [+시간성], 시간과 상관없이 진행될 경우에는 [-시간성]에 해당된다. ‘그러면’과 ‘그렇다면’은 이러한 [시간성]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그러면’과 ‘그렇다면’은 ‘사실 조건’ 혹은 ‘비사실/반사실 조건’을 나타낼 수 있는가의 여부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를 [사실성]이라는 자질로 나타냈는데, 어미 ‘-면’이 [±사실성], 즉 ‘사실 조건, 비사실/반사실 조건’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데에 비해 ‘그러면, 그렇다면’은 각각 일부만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geureomyoen' and 'geureottamyoen' in detail, and then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hem. Both ‘geureomyoen’ and 'geureottamyoen' function as ‘conditional’ primarily, they also have the ‘distractive’ usage that is not found in ‘-myoen’ or ‘-tamyoen’. As the ‘distractive’ shown in 'geureomyoen' and 'geureottamyoen' functions in the method of proceeding the next content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receding contents have been completed, it is related to the ‘conditional’ meaning. 'geureomyoen' could function as a ‘discourse marker’, and in that case the relation to ‘conditional’ could be weaken. And 'geureottamyoen' does not show this function. Next, I set up the [temporal] featur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text progress’, which is the feature in accordance with the matter of if the contents of preceding sentence and following sentence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flow. In other words, in case when the development of a story is proceed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flow, it falls under the [+temporal]. In case when it is proceeded regardless of time, it falls under the [-temporal]. Both 'geureomyoen' and 'geureottamyoen' show differences in this [temporal]. Lastly, both 'geureomyoen' and 'geureottamyoen' show differences in the matter of representing the ‘factual conditional’ or ‘nonfactual/ counterfactual conditional’. I represented this as the [factual] feature. The ending ‘-myoen’ could represent the [±factual], such as all of the ‘factual conditional and nonfactual/counterfactual conditional’ while both 'geureomyoen' and 'geureottamyoen' used to represent some of them.

      • KCI우수등재

        미국 증권법상의 Regulation S와 유가증권(有價證券)의 해외발행(海外發行)의 의미에 대한 검토 -유가증권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62조를 중심으로-

        조민제 ( Min Je Cho ) 법조협회 2003 法曹 Vol.52 No.8

        증권거래법 제192조의 위임을 받아 제정된 유가증권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62조 및 제63조 제1항은 주권상장법인 및 협회등록법인이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할 경우 일정한 요건을 갖춘 외국에서의 공모발행에 대하여 전환권 및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그 발행 후 1개월 후부터 행사하는 조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증권거래법 전체를 통틀어 유가증권의 외국에서의 발행에 대한 의미를 별도로 규정하여 두고 있지는 않아 유가증권의 외국에서의 발행(즉 유가증권의 해외 발행)에 대한 의미가 매우 불명확한 상태에 있다. 한편 유가증권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62조 및 제63조 제1항은 우리나라 증권거래법상의 독특한 입법 규정인 바, 그 규정에 대한 입법과정에서 미국증권거래법상의 Regulation S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국증권거래법상의 Regulation S는 유가증권의 공모발행시의 공시규제에 관한 것인 반면 유가증권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62조 및 제63조 제1항은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조건규정에 관한 것이어서 그 내용이 상이하며, 규정의 체계에 있어서도 상이성이 있다. 이글은 Regulation S의 유가증권 해외발행과 유가증권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62조 및 제63조 제1항 소정의 유가증권 해외발행의 의미를 서로 비교 고찰함으로써 동 규정 제62조 및 제63조 제1항에 대한 체계적 해석을 시도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