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의 서벌턴화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 -‘전향’과 김남천의 소설

        공임순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이 논문은 전향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에 대한 논리의 일단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전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향은 전향한 당사자만의 문제도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만도 아니다. 오히려 전향과 관련해서 전향은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전향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져온 것이 사실이라면,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전향은 보편적인 의미가 아닌 그야말로 특정한 시각과 해석을 전제로 한 ‘전향’임을 먼저 밝힌다. 흔히 '전향'에 함축된 (지배하는) 권력과 (저항하는) 개인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일-국가적인 해석의 산물일 경우가 많다. 1937년 중일전쟁부터 급속하게 진행된 세계 질서의 강제적인 재편 속에서 식민지 조선 역시 아시아와 세계를 시야에 넣는 제국 주체로의 탄생을 피할 수 없었다. 이 상황의 변동을 어느 누구보다 민감하게 알아차린 사람이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전향'이라는 주어진 현실에 복종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변화된 지형 속에서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고자 주어진 현실을 최대한도로 활용한 능동적 행위자였으며, 이런 그들의 능동성은 자발적인 신민이기를 요구하는 제국의 정책과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익 못지않게 '전향' 사회주의자들에게 '전향'’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을 실현하는 일 계기로 다가온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전향'사회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담론 개입과 공격적인 의제 생산일 것이다. 현영섭은 내선일체를 통해 코스모폴리탄을 꿈꾼다. 내선일체에 적극적으로 복무함으로써 세계사적 이상을 실현한다는 현영섭의 견해가 극단적인 경우라면, 인정식은 과거의 업적이 오류에 찬 것이며 걸어온 노선이 잘못됐다는 말과 함께 새로운 진리와 신념을 향해 나아가는 이상인(理想人)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압력은 문학 내에서 유사하지만 다른 발화의 징후를 드러낸다. 김남천의 소설이 그 한 예가 된다. 김남천은 건설 기술자와 실업가, 전향한 사회주의자와 문학가를 소설의 중심인물로 삼아 서사를 주조해나간다. 김남천의 소설들은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자격을 갖춘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예리하게 변별하고 있다. 구질서의 표상인 '전향'사회주의자는 신질서의 전형인 건설 기술자로 대체된다. 이 둘은 전혀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들인 것이다. 한 쪽의 죽음을 댓가로 다른 한 쪽의 삶을 온존하는 기형적인 모습을 김남천의 소설들은 보여준다. 또한 구질서의 한 표상인 남성 - 문학가가 등장하는 김남천의 소설 '낭비'는 구질서의 모든 퇴폐와 타락을 도시의 신여성들에게로 되돌리고 있다. 이 타락한 자들과 동일한 공간에 존재한다는 불만과 공격성은 도시의 신여성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면서 한편으로 거부하는 주된 이유가 된다. 그가 구질서의 표상으로 사회에서 완전히 배제/탈락되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처럼 여성적인 자질의 부정성을 전유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김남천의 소설에서 ‘전향’은 과거와 현재와의 치열한 대결이 아니라 신질서의 제국 주체로 혹은 사회적 약자의 형상을 빌어 스스로를 변명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김남천의 많은 소설이 ‘전향’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research for clues of the logic of the Socialist writer's conversion. Today many investigators are working in the theme of conversion, and a number of results are produced. We have not to limit the matter of conversion to the person concerned or regard the matter as the past remains. Though the matter of conversion is always concerning the context of history. Thereby this matter which is used in this thesis is not the general notion, but the specified notion. Of course that supposes specific viewpoint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he matter of conversion have been implied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 that dominate over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who stands against the power. Mayb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idea of one-country. A colony Chosun(식민지 조선) had a fate to become empire-subject who has the sight range from the Asia to the world since the reorgnization of world order ; specially after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1937. The intelligentsia in Chosun early and sensitively had became aware of the situation and change.They did not only obey the given conditions, but also actively make possible effort to use the given conditions. They were active actor and wanted to the a subject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empire.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had the chance to make money and more to actualize the idea of cosmopolitan through the very conversion. This appeared the activity that conversed socialist writer produced continual intervention in social discourse and assaultive topic for discussion. Hyeon Yeong Seob(현영섭) was dreaming of becoming a cosmopolita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osun and Japan(Naeseon Ilchae). His dream, hoping the actualize idea of the history of world, is an extreme case, on the other case is founded In Jeong Shik. He criticized false remains and called for the notion of an ideal man who works away pursuing the new truth and belief. These enforcement of that time showed the similar at the same time and different symptom of speech. As it were Kim Nam Cheon'(김남천)s novels. Kim Nam Cheon(김남천) composed the novels focussing on the main character like as an architect and engineer, an businessman, and a conversed writer. His novels show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ideal cosmoplitan and not. Also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who standed the old and past order replaced with the ideal architect and engineer who standed the new order. His works has the deformed feature to build one part with killing other part. And in his novel 'Waste(낭비)', the hero, standing the old order, is corrupted by another fact. Writer takes hero's blame upon other women who are modern female in the city. Hero's corruption resulted from coexistence with that women, so in the novel there are lots of critic and attack for them. But those modern women is a dispensable fact, because their existence could explains the hero's corruption and hero, representation as the writer's own or male at that times, has a place of refuge. His novels common showed the fact that conversion is not result of competition with the real conditions of that world, but result of the vindication with the figuration an imperial subject in the new ordered world or a loser.It is interesting that his works are direct dealing with the theme of conversion, but indirect dealing with above that way of expression.

      • KCI등재

        ‘전향’의 윤리, ‘혁명’의 기억 : 해방 이후 박영희의 문학사 서술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

        박지영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4 No.-

        본고는 전향자이자 친일부역자인 박영희가 해방 직후 서술한 문학사를 분석하여 한국근대문학사 서술의 한 경향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 박영희는 자신의 전력으로 인해 생긴 소외감과 고독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문학사를 서술했다고 회고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학사 서술의 목적은 자신들의 전향과 친일의 경력을 역사적으로 정당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박영희의 문학사를 ‘전향 서사’로 분석하고자 한다. 해방 이전 박영희는 전향 서사를 통해서 자신의 변절 행위에 대한 윤리적 정당화를 시도한다. ‘독방’에 갇힌 개별자의 고독이 가져온 존재론적 공포를 부각시키며 생존서사로 전향서사를 탈정치화시킨다. 또한 전향자를 윤리적 인간으로 형상화하여 전향 선택에 ‘어쩔 수 없음’이라는 정당성을 부여한다. 여기에 유물론 비판이 이어지면서 전향 행위에 논리적 필연성을 가미한다. 해방 이후 서술된 문학사는 이러한 개별자의 전향 서사를 보편적 역사로 치환시켜 전향 행위를 정당화시키고자 한 박영희의 기획된 산물이다. 해방 이후 박영희는 문학사에서는 프로문학 운동사를 민족해방운동사로 치환하여 서술한다. 그러면서도 프로문학 운동의 전성기는 서술하지 않고, 대신 전단계인 신경향파 문학의 고평을 통해서 프로문학의 공적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신경향파 문학을 프로문학의 비중만큼 부각시켜 그 시대의 정치성을 희석시키고자 한 의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프로문학 운동이 발전하지 못하고 왜 소멸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부각시키며, 그 이유를 외부적 압력보다는 소재의 제약이라는 내부적인 한계를 통해서 증명하고자 한다. 프로문학의 정당성을 부각시키기보다는 몰락의 서사를 통해 운동사를 구성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의도는 전향소설로 프로문학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점이 증명해 주는 것이다. 또한 프로 문학의 소멸 이후의 문학사는 『문장』지 중심의 전통론과 역사소설로 끝맺는데, 이 관점에는 친일 서사와 민족주의 서사가 혼용되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박영희는 문학사 서술을 통해서 자신의 프로문학 활동을 민족해방을 위한 투쟁으로 둔갑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전향 행위도 정당화시키고자 했다. 또한 그의 근대문학사 서술에서 친일의 시대가 지워져 있는 것은 전향은 정당화될 수 있어도 친일은 용서받지 못했던 당대 사회적 상황을 의식한 행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영희의 문학사는 전향 서사로만 매끈하게 봉합되지 않는데, 이 균열은 그가 혁명가로서의 형상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다. 비록 신경항파나 민족주의 서사 내부에서 만들어진 혁명가의 서사지만, 비밀결사와 동지, 그리고 죽음이라는 키워드로 이어지는 혁명 운동의 형상을 부각시킨 것은, 그가 전향하기 이전 혁명가상에 대한 전유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분열된 전향자의 내면은 한국의 혁명가를 굳건한 사상가로 표현하지 못하고, 그 대상의 실체와 사상적 고뇌라는 매개 없이 낭만화된 형태로 인식하게 한다. 이처럼 박영희 문학사 서술은 전향과 친일, 그리고 해방 이후의 건국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파고 내부에서 벌어지는 여러 사상사적 변전 형태가 균열하며 봉합된 복합적 텍스트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history of literature narrated by Park Yeong-hee a convert and pro-Japanese collaborator and to discuss a tendency of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Park Yeong-hee reflected that he wrote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overcome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loneliness arising from his past. However,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his narra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to historically justify their conversion and pro-Japanese pas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Park Yeong-hee’s history of literature as “conversion narration.” Park Yeong-hee attempts to do ethical justification of his conversion act before the liberation through the conversion narration. He depoliticizes the conversion narration into survival narration by highlighting ontological fear brought about by the loneliness of the individual locked in a “cell.” Also, he justifies the choosing of conversion into “inevitability” by embodying a convert into an ethical human being. By adding materialistic criticism to this, logical necessity is added to the conversion act. The history of literature narrated after the liberation is Park Yeong-hee’s planned product to justify the conversion act by replacing the conversion narration of an individual with universal histor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Park Yeong-hee narrates by replacing the history of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with the history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ut he does not narrate the peak period of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and instead, he attempts to discuss the contribu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through the review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of its prior stage. This can be seen as the intention of attempting to dilute the politics of the age by highlighting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as much as the proletarian literature. Also, he highlights why the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was not able to develop further and became extinct and attempts to prove the reason through internal limitations of limited material rather than external pressure. He composed the history of movement through the narration of collapse rather than highlighting the justification of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is intention is proved by his marking the end of proletarian literature age with a conversion novel. Also,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extinction of proletarian ends up with the theory of tradition and a historical novel centering on Munjang magazine, and in this perspective, pro-Japanese narration and nationalism narration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is way, Park Yeong-hee turned his proletarian literature activities into the struggle for national liberation through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attempted to justify his conversion act. Also, in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the pro-Japanese age was deleted and this can be seen as the act conscious of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where conversion could be justified but pro-Japanese act could not be forgiven Nevertheless, however, Park Yeong-hee’s history of literature is not stitched smoothly as conversion narration alone, and this crack results from his refusal to give up his image as a revolutionary. Although it is the narration of a revolutionary made on the inside of the narration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or nationalism, his highlighting the embodiment of revolutionary movement that is connected with the keywords as underground organization and comrade, and death shows that he did not give up the exclusive possession of revolutionary image that he had before he turned into a convert. The inner side of such a divided convert could not express a Korean revolutionary as an indomitable thinker and it is recognized in the romanticized form without the mediation of the substance of the object and ide...

      • KCI등재

        일제강점기 후반 사상전향과 전향 관변단체 그리고 사상전향의 유산

        김희훈(Kim, Hee-Hu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9 No.-

        일제강점기 일제는 조선인 사상범에 대해 엄벌주의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1930년대 초반, 민족해방운동의 고조와 그로 인한 조선인 사상범의 급증이란 문제에 직면한다. 그리하여 일제는 이미 일본에서 시행되어 왔던 사상전향을 조선에서도 적용하기 시작했다. 수용 초기에는 경찰, 검찰, 형무소, 법원 등 일선 관계기관에서 필요에 맞춰 시행되던 사상전향은 1936년 12월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과 1941년 2월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제정을 통해 공식 법제화되었다. 일제는 전향을 효율적으로 운영함과 동시에 전향자들을 전시 친일활동에 동원하기 위해 소위 ‘사상전향 관변 단체’를 조직했다. 대표적인 단체로 녹기연맹과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이 있다. 녹기연맹은 초기, 일본 국가주의 불교 단체였으나, 1937년부터 조선인 회원들을 수용하면서 전향단체가 되었다. 전향 논리로 조선이 일본에 완전히 흡수되어야 한다는 ‘철저적 내선일체’를 주장했는데, 대표적인 논자로는 현영섭이 있다. 보국연맹은 전향자와 보호관찰소 합작으로 구성된 단체로 조선의 고유성을 존중하면서 정신적으로 일본에 동화되어야 한다는 ‘협화적 내선일체’를 주장했는데, 대표적인 논자로는 인정식이 있다. 이렇게 조직된 사상전향 관변단체는 사상범과 전향자들을 통제함과 동시에 이들을 친일의 길로 몰아넣었다. 일제의 사상전향 정책은 1945년 해방 후에도 이어져, 국가보안법 제정과 보도연맹 학살 그리고 녹화사업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초래했다. In the Japanese colonial ear, Japanese empire use ‘a severe punishment policy’ to Korean(Joseon) political offender. But, they faced rising of Korean political offender caused in early 1930s upsurge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also 1931 Manchurian Incident started. Japanese empire take seriously maintenance of public orede in Colonial Korea (Joseon). For this reason ‘conversion’ came up. Japanese Empire applying conversion in Korea which they already started in Japan. First, conversion start in police, prosecution, prison. 1936 probation order of political offender in Joseon and 1941 preventive detention order of political offender in Joseon has effected. Conversion has legislated. Based these policy Japanese Empire guide the political offenders to conversion. And also control to them Japanese Empire organized pro-Japanese interest group. Such as Rokki-Renmei(綠旗聯盟), Sigukdaeung jeonson Sasangbogukyonmang (時局對應全鮮思想報國聯盟). Rokki-Renmei is Japan Nationalism group. They changed conversion interest group since they accepting Korean member in 1937. They claimed Exhaustive Integration(徹底的 內鮮一體論) which is Korean assimilate exhaustive to Japan. Hyun Youngsub is typical arguer this theory. Sasangbogukyonmang organized by converted offender and probation officer. They claimed Concording Integration(協和的 內鮮一體論) which Joseon assimilate psychological to japan. But Joseon’s original cultural must maintain. In Jeongshik is typical arguer this theory. Pro-Japanese interest group conciliate and control converted offenders. And these man lead to the pro-japanese movement. These policy connected to after liberation in 1945. Caused the tragic incident in Korean modern history such as Bodo League Massacre in 1950, fraction crafts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 KCI등재

        전향자의 역사 다시쓰기 - 최정희의 『인간사』를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여성문학연구 Vol.24 No.-

        The problem of the conversion from a leftist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is not connected with only the formation of the social-political subject for anti-communism but it is also related to the nature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South Korea. Therefore, we need to research the problem very carefully. Choi, Jung-Hee carried out that kind of conversion twice, one was before the Liberation and the other was after it. She wrote a novel about the conversion problem and tried her rewriting of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rt. It was an unusual case in South Korea. Furthermore Ingansa(human matters) is a novel to strive for the formation of subject for the anti-communist in South Korea and for the historical necessity of conversions by pseudo-communists . The first half of the novel has a characteristic of 'love-narrative' to review in a later tim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sts of 1930's, and the second half has a characteristic of 'political narrative'. The novel shows us some distinctive facts in South Korea. The first fact is that the social-political subject of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was formed by pro-Japanese and anti-communist group. The second one is that the main group to build a new society in South Korea was masculine in gender, and the group was not an old generation but a new generation. The heroin, Chae-Hee's being absent from ideology, being enslaved to love, getting rid of female's self-identity, and retrogressing from feminity to motherhood, these things mean the deviation from Choi, Jung-Hee's original orientation. The gender in the convert's rewriting of history in anti-communist society, was masculine. 최정희는 해방 전-후 전향을 모두 경험하였을 뿐 아니라, 전향과 관련한내용을 소설로 형상화 하여 전향자의 역사다시쓰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매우 이례적인 경우에 속한다. 남한의 어떤 소설가도 전향의 문제와 전향자의주체형성 문제를 직접 형상화 하지 않았고, 그것의 의미화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남한사회의 복잡성, 주체의 부정성, 생존의 문제 등을 포함한 뜨거운 감자였기 때문인데, 『인간사』는 이러한 문제를 직접 의미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 필요가 있었다. 이 소설은 사회주의 운동-친일-반공주체로의 전향으로 이어지는 식민지지식인의 삶을 통해 전향의 역사적 불가항력성을 설파하고, 더 나아가서는 4·19를 전유하여 반공주의 사회에서의 역사의 주체화를 꾀한 소설이다. 전반부는 운동자들의 후일담 성격의 애정서사에, 후반부는 정치서사에 가까웠다. 이 소설의 문제는 이들 전향자들을 부정적으로 처리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친일행위를 ‘무한 포용’과 ‘용서’의 논리인 ‘정 사상’으로 포장하면서 전향의역사적 불가항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전향자 및 친일자에게 면죄부를 주고있었다. 친일을 시대의 죄로, 사회·국가의 죄로 전가하면서 개인은 무죄임을직접 설파하였다. 더욱이 친일분자를 사회적 갈등 및 사상을 ‘통합’하는 존재,4·19의 주체로까지 형상화 함으로써 태생적 한계인 ‘부정적 기원’을 없애고이 땅 역사의 주체로 재정의하려는 의도를 확인시켰다. 민주(주의)에 대한 성찰을 거의 보여주지 않았다는 점에서 4·19의 성과라 볼 수 없으며, 여주인공인 마채희를 배제함으로써 새로운 사회 만들기 주체는 ‘여성’이 아닌 ‘남성’,‘구세대’가 아닌 홍이, 금아, 민 등의 ‘신세대’임을 강조하였다. . 이들의 전향은 ‘구복(口腹)’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었는데, ‘구복의 윤리’야말로 전향의 불가항력성을 보장해 주는 강력한 무기로 설명되었다. 구복의 윤리가 ‘생활’을 그려내면서 ‘돌봄’의 아버지라는 새로운 모습을 제시해 준 부분은 눈여겨 볼 만하였다. ‘아버지’를 호명하여 그 의미의 재발견을 이끌어낸 점은 이 소설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대치였다. 여주인공 채희는 아내의 역할도, 어머니의 역할도 모두 거부하는 ‘역할 거부자’(role rejector)로 형상화 되었는데, 이러한 채희의 사상성 부재 및 사랑의 노예화, 여성의 주체성 탈각, 여성성의 모성성으로의 환원은 이전 시기에보여 주었던 ‘최정희적 경향’을 부정, 수정하는 것이었다. 독립변수로서의 여성젠더가 배제되고 여성성은 모성성으로 축소 환원되었다. 이는 ‘완전한 어른’개념의 젠더화와 함께, 전향자의 역사다시쓰기의 젠더, 반공주의의 젠더가 남성젠더임을 반증해 주는 것이었다. 이것이 『인간사』가 제시하는 반공주의 사회에서의 주체형성 방식이자 성별 배치였다. 연구결과 『인간사』는 4·19의 성과도, 최정희 문학 30년의 결산도 아니었다.

      • KCI등재

        법과 자기 검열

        김동환(Kim, Dong-hoan)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전향소설의 직접적 생산기제였던 전향 제도가 작품의 내적 형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밝혀보는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기존의 논의들이 전향과 전향 문학의 정신사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해 온 것과는 달리 법적 제도의 작동 방식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기왕의 논의들에서는 의심할 여지없이 전향소설의 작가들이 전향을 했으며 재판 과정에서 집행유예를 받았다는 사실 자체를 명백한 근거로 보았다. 그러나 이 논의에서는 관련 자료들을 다시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집행유예를 받았다는 사실이 전향의 표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향자를 다룬, 카프 소속 문인들의 출옥 후 소설들을 ‘전향을 한 결과’로 나타난 전향 소설로 보는데 동의하지 않게 되었다. 법적 처리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출옥을 했는가도 전향의 양상을 살피는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논의의 결과 카프 소속 작가들은 집행유예라는 법적 장치가 요구하는 조건인 ‘전향의 사후 표명’을 위해 소설을 썼으며 그에 따라 일련의 내적 형식들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판단했다. This thesis aim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conversion system as a direct producing mechanism for conversion novels on the inner form of novel. This article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articles in that deals with the conversion novels at the point of operational form of legal mechanism instead of focus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conversion and conversion novels. Former articles about conversion novels claimed that the writers of conversion novels actually conver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y were sentenced to probation. But in this article it was not accepted. I made the point that the conversion novels of KAPF writers were not the result of expressing conversion. That writers produced the conversion novels for post-factum expression for conversion. It means that the mechanism of conversion system decided the inner form of conversion novels.

      • KCI등재

        태풍의 전향에 관한 연구

        설동일,Seol, Dong-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5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1 No.2

        This paper analyzed recurvature of typhoons by using 20 years meteorological data from 1992 to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Yearly numbers of typhoon recurvature showed decreasing tendency gradually with decrease of numbers of typhoon occurrence. Typhoons recurvature were especially many between August and October and number of typhoon recurvature between July and October was occupied counts for 71 % of the whole typhoon recurvature. Life of typhoon recurvature in the North Pacific was most frequent at 5 days and 7 days. Mean life of typhoon recurvature was 6.8 days and this numerical value was longer than mean life of the whole typhoon including recuevatute and non-recurvature. Most of typhoons recurvature changed their direction north-eastwards in 20-34 degrees north latitude and 120-139 degrees east longitude. Mean latitude recurvature and longitude recurvature were 25 degrees north latitude and 135 degrees east longitude,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1992-2011년)의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풍의 전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별 전향하는 태풍의 수는 연별 태풍 발생 수의 감소와 함께 서서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전향하는 태풍은 특히 8-10월에 많고, 7-10월에 전향하는 태풍의 수는 전체 전향 태풍의 71 %를 차지하였다. 남중국해를 제외한 북태평양에서 전향한 태풍의 수명은 5일과 7일이 가장 많았고, 전향한 태풍의 평균 수명은 6.8일이었다. 이는 전향, 비전향의 모든 태풍의 평균 수명보다 다소 긴 값이다. 전향 태풍의 대부분은 태풍으로 발달한 후 5일 이내에 북위 20-34도, 동경 120-139도에서 북동쪽으로 전향하였다. 평균 전향 위도는 북위 25도, 평균 전향 경도는 동경 135도이었다.

      • KCI등재

        감옥서사에 나타난 ‘좌익 장기수’ 비교 연구

        음영철(Eum, Yeong Cheol)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3 No.-

        본 논문은 김하기의 중편 <미귀(未歸)>와 조정래의 장편 <인간 연습>에 나타난 ‘좌익 장기수’의 감옥서사를 비교한 것이다. 2000년 ‘6. 15 남북공동선언’ 이후에 북한 사회와 한국 사회에서는 ‘비전향 장기수 송환’ 문제가 화제가 되었다. 북한에서는 이 시기에 ‘비전향 장기수 주제 소설’이라 하여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감옥서사가 집중적으로 창작된다. 한국 문단에서는 김하기의 『완전한 만남』이 출간되면서 대중에게 ‘비전향 장기수’들의 실상이 알려진다. 감옥서사는 분단체제의 희생양을 다룬 ‘비전향 장기수’ 외에도 ‘전향 장기수’를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감옥 안팎에서 분단체제에 따른 감금의 정치가 ‘좌익 장기수’에게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다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반공주의에 따른 규율 권력은 정치범이 수용된 감옥에서는 반공주의에 따른 규율 권력이 강압적으로 행해졌다. 전근대적인 신체형 처벌에 해당되는 고문과 성폭행이 행해졌으며 이로 인해 사망과 자살과 같은 사건이 발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비전향 장기수들이 죽음 이외에 감옥을 나올 수 있는 방법은 전향이 있다. <미귀(未歸)>의 김길만이 고문과 성폭력에 견디지 못하고 강제된 전향을 하였다면 <인간 연습>의 윤혁은 고문에 따른 후유증인 어지럼증이 심해지자 전향을 한다. 감옥 안에서 행해진 신체를 감시하는 ‘일망 감시장치’인 판옵티콘은 감옥 밖에서는 보호관찰이라는 규범에 따라 행해지면서 신체와 사상을 통제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김하기와 조정래의 소설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서사라 할 것이다. 박정희 정권에서 추진된 전향공작은 강제성을 띤 것이었기에 감옥 밖에서도 사상과 신체를 감시할 수밖에 없었다. <미귀(未歸)>의 김길만은 강제로 전향하였지만 그가 처음부터 ‘조국통일’이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진 인물은 아니었다. 그는 출신성분에 따른 결함을 남파공작을 통해 보완하고 인정받기 위해 월남한 것이다. 그가 전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심적으로 전향을 거부하는 이유는 북에 두고 온 가족과 사회주의 환상 때문이다. 반면 <인간연습>의 윤혁은 타의에 의해 강제로 전향하였지만 심적으로 전향자로 볼 수 있는 것은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 북한, 베트남이 붕괴되거나 몰락하는 현실을 인식하면서 사회주의에 대해 환멸을 느꼈기 때문이다. 전향 장기수 윤혁은 자기 성찰을 통하여 사회주의의 굴레에서 벗어나 이념이 아닌 현실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comparison of narratives of left’ sid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appearing in both novels, Not Return by written Kim Ha-ki and Human Practice by Cho Jung-rae. After the June 15th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in 2000, the repatriation of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became a national topic of conversation in both North-South Korean society. In North Korea, as it is called “the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 novel”, so many prison narrative novels were written. In South Korean literary world, as the novel, The Perfect Meeting written by Kim Ha-ki came published, the reality of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became known to the public. Prison narrative novels are dealing not only the Left’ Sid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but the converted ones as victims of the divided system of Korea. This thesis focuses on what condition and how the political confinement caused by the divided system of Korea affected the long term political prisoners. Confining power pursuing anti-communism was executed unilaterally in the prison. The premodern physical torturing and sexual assault were prevailed, thus death because of them and suicides frequently appeared. The only way the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could sustain their lives was converting. Main character Kim Kil-man in the novel, Not Return by written Kim Ha-ki coverts because of torturing and sexual assault and Yoon Hyuk in the novel, Human Practice by Cho Jung-rae also converts as dizziness, the side effects of torturing gets worse. The Panopticon monito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prisoners inside the prison is executed in the name of probation monitoring their physical situation and their thoughts, which appear in the two novels in common. The maneuvering projects controlled under the Park Jung-hee regime were compulsory and supposed to monitor the prisoners’ physical situation and thoughts. Though Kim Kil-man converted himself, he had no confidence in the unified nation when he was dispatched to the South Korea. His defect of component of origin was supposed to be supplemented by becoming a dispatched spy to the South Korea. The reason he rejects to convert is because of the family in North Korea and belief in the socialism. On the contrary, though Yoon Hyuk in Human Practice was forced to convert not by his own will, collapse of Soviet Union and the decline of North Korea and Vietnam let him down to the socialism. 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 Yoon Hyuk escaping from the maze of socialism gets into the real life.

      • KCI등재

        식민지 조선에서 日帝의 轉向政策 도입과 변화 과정

        최선웅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Japanese converting policy enforced in colonial Korea can be roughly categorized into 4 stages. First, there is the stage from 1930 to 1933 when converting policy was enforced unofficially. In this stage, converting policy was established in Japan, but in Korea, this policy was enforced unofficially at discretion of first-line site with examination of thinking as the center. Second, there is the stage from 1933 to 1936 when so-called large converting was started and also converting policy was recognized officially in Korea. In this stage, a large converting was started in Japan, and in Korea, erstwhile controversy was calmed and then converting policy was adopted officially with instruction of Chief Prosecutor in a high court of justice in October 1933. Merely, in contrast with Japan, requirement and methods of converting were never specified in the shape of legislation in Korea, and in accordance with the custom, proper steps were taken in stage of questioning political offenders and making political offenders in jail such as non-prosecution disposition such as releasing with a warning and suspension of indictment, probation, and releasing on parole. In the meantime, legislation for converting was prepared systematically by proclamation of Probation Act in December 12th 1936. Third, there is the stage from 1937 to 1940 when national spiritual mobilization was started and ‘change as a thought’ and ‘communal converting’ happened. This time is that ‘change as a thought’ happened in earnest based on converting policy realigned as a system under a war footing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July 1937. Aspect of converting varied from converting announcement of individuality or small group to converting of party or organization. Last, there is the stage from 1941 to 1945 when this time had been a series of uniform converting under the national total strength movement and an assistance system. In this stage, uniform converting was forced in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so converts in Korea accepted Japanese demand thoroughgoingly and was mobilized. Uniform converting having no the minimum difference converts showed before was established fitting to Japanese ruling logic. 日帝는 효율적인 전시동원을 위해 안정적인 국가체제를 유지하려 했고, 이에 사회질서를 위협하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모든 요소를 전체주의적으로 통제하려 했다. 특히 1930년 전후 경제공황으로 피폐해진 상황에서 공산주의운동이 확산되자 그에 대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였다. 더욱이 식민지 조선의 경우 공산주의와 함께 독립문제가 결부되어 있어 당국의 입장에서는 사상 악화의 정도가 더 심했고 그만큼 해결은 난망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처벌뿐만 아니라 사상 그 자체를 변화시켜야 했다. 결국 日帝의 사상통제정책은 엄벌주의에서 교육형의 부과를 통해 사상선도를 유도하는 전향정책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하였다. 이렇게 하여 조선에도 시행된 日帝의 전향정책은 크게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전향제도가 비공식적으로 시행되던 1930년 전후~1933년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일본의 경우 전향제도가 수립되었지만, 조선의 경우 독립문제가 결부되어 있어 사상문제의 해결은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팽배했기 때문에 공인되지 못한 채 계속 논란을 이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이미 일선의 사상검사들은 전향정책을 도입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었고, 수많은 사상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기소유예 처분을 내려 전향을 유도하는 등 비공식적으로 전향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두 번째는 이른바 대량전향이 시작되었고, 조선에서도 전향제도가 공인받은 1933~1936년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조선에서도 그간의 논란을 잠재우고 1933년 10월 고등법원 검사장의 훈시로 전향정책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다만 일본과 달리 조선에서는 법령의 형태로 전향의 요건과 방법 등을 명시한 적은 없었고, 기존 관행대로 訓戒放免, 기소유예 등 불기소 처분, 집행유예, 假出獄 등 사상범의 문초 및 수형 단계에서 적절한 조치가 취해졌다. 그러다가 1936년 12월 12일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이 공포되면서 전향을 위한 법령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다. 세 번째는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이 전개되며 ‘사상으로서의 전향’과 ‘집단전향’이 벌어지기 시작한 1937~1940년 시기이다. 이 시기는 1937년 7월 중일전쟁 이후 戰時體制 下에 제도로서 정비된 전향정책을 기반으로 하여 ‘사상으로서의 전향’이 본격적으로 펼쳐진 때이다. 전향의 양상도 개인적 또는 소수그룹의 전향선언에서 黨이나 단체가 일괄적으로 전향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마지막은 국민총력운동과 翼贊體制 하의 획일적 전향으로 점철된 1941~1945년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태평양전쟁 발발을 전후한 시기 획일적 전향이 강요되면서 조선의 전향자들은 日帝의 요구에 철저하게 순응하며 동원되었다. 내선일체론이나 혁신에 관한 논의 자체가 봉쇄되어 이전 시기 전향자들이 보였던 최소한의 차이조차 발견할 수 없는 日帝의 지배논리에 맞춘 획일적인 전향이 확립되었다.

      • KCI등재

        법과 자기 검열 치안유지법과 전향소설

        김동환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This thesis aim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conversion system as a direct producing mechanism for conversion novels on the inner form of novel. This article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articles in that deals with the conversion novels at the point of operational form of legal mechanism instead of focus o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conversion and conversion novels. Former articles about conversion novels claimed that the writers of conversion novels actually conver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y were sentenced to probation. But in this article it was not accepted. I made the point that the conversion novels of KAPF writers were not the result of expressing conversion. That writers produced the conversion novels for post-factum expression for conversion. It means that the mechanism of conversion system decided the inner form of conversion novels. 이 논문은 전향소설의 직접적 생산기제였던 전향 제도가 작품의 내적 형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밝혀보는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기존의 논의들이 전향과 전향 문학의 정신사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해 온 것과는 달리 법적 제도의 작동 방식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기왕의 논의들에서는 의심할 여지없이 전향소설의 작가들이 전향을 했으며 재판 과정에서 집행유예를 받았다는 사실 자체를 명백한 근거로 보았다. 그러나 이 논의에서는 관련 자료들을 다시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집행유예를 받았다는 사실이 전향의 표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향자를 다룬, 카프 소속 문인들의 출옥 후 소설들을 ‘전향을 한 결과’로 나타난 전향 소설로 보는데 동의하지 않게 되었다. 법적 처리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출옥을 했는가도 전향의 양상을 살피는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논의의 결과 카프 소속 작가들은 집행유예라는 법적 장치가 요구하는 조건인 ‘전향의 사후 표명’을 위해 소설을 썼으며 그에 따라 일련의 내적 형식들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판단했다.

      • KCI등재

        해방 후(1948~1950) ‘전향’ 선언의 문학적 형상화-이무영의 ‘전향성명서’와 「산정삽화」를 중심으로‘전향성명서’와 <산정삽화>를 중심으로

        조은정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19

        국가보안법 체제하에 무차별적으로 시행된 ‘전향’은 격동하던 해방기 사상의 자유를 통제하고 대한민국의 법과 제도를 준수하게 만드는 국민만들기의 과정이었다. 특히 일간신문 광고란에 ‘전향성명서’를 게재하는 형식의 ‘전향’은 국가보안법상 좌익으로 분류된 단체를 탈퇴하는 동시에 국가에 충성맹세를 하는 것으로 귀결되는 전형적인 선언의 공식화였다. 그런데 ‘전향성명서’의 도식성을 문학인들조차 그대로 모방했다는 점에서 이는 제도적 전향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선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전향 전후는 통치권력에 순응한 귀결점이 아니라, 어떠한 입장으로 삶과 문학을 대면할 것인가의 고민이 전면화되는 시간이었다. 「산정삽화」는 좌익으로 지목된 청년 김창우를 소설가 박준이 심문하는 구조를 통해 그 억울함을 들어주고 변호하는 소설로 해석된다. 하지만 소설 「산정삽화」와 전향성명서가 1949년 11월 1일, 2일이라는 시기적 동시성에서 영향 관계에 있는 만큼 전향자 이무영의 존재론적 위치를 고려하여 소설을 재독할 필요가 있다. 이무영은 전향자로서의 자신을 김창우에 투영하여 오인된 좌익의 알리바이를 마련하는 동시에, 소설가로서의 자신을 박준에 투영하여 국가보안법과 전향제도의 본질적 폭력성을 문제삼기보다 사상의 분할과 분단, 대한민국을 승인하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간략한 전향성명서로는 말할 수 없었거나 말하고 싶지 않았던 복잡한 내면이 작품에 반영되는 바, 국가보안법 체제의 전향 연구에서 문학 연구를 통해 맥락화된 전향의 다양한 의미가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