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시장의 물리적 환경과 접근편의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 대도시 전통시장 중심으로

        최인혁,김훈구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6

        In overseas, the traditional market are considered as places to represent the history, and are regarded as a part of the local community's livelihood and the distribution of one part of the local economy. Against this backdrop, the traditional market has a strong reputation as a lagging region where the reputation of being a backwater is strong and deteriorating. However, the traditional market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revitalizing the economy and ordinary people, and the government continues to exert efforts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The Government's traditional market support projects can be broadly identified as a commercial infrastructure modernization project and a business modernization project.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the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s and access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s on sales of traditional markets.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se this.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utilized a fact-finding survey for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districts in 2015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events in the traditional market facilities, whether the site of a traditional market facility, the introduction of market guidance, LED ad boards, and the number of commercial products are affecting the sale of traditional market, and the number of TV commercials and TV commercials does not affect sales figures. This can be seen as an effective means of provid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promoting convenience facilities. Next, the number of available cars in accessibility convenience fac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le of traditional markets. The number of bicycle persecutions has not been affected by the sales of traditional markets. Variables that appear to have no impact on sales of traditional markets are likely to require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as the number of samples pales in comparison to those of other variables. Last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need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r commercial infrastructure modernization projects in the traditional market, as well as the effective support measures for future efficient support. 해외에서 전통시장은 역사를 나타내는 지역 명물로써 자리 잡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삶의 한 부분이자 지역 경제 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유통분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내에서 전통시장은 낙후된 지역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며 쇠퇴해가는 유통분야라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전통시장은 지역경제 및 서민경제 활성화의 매우 중요한 주체 로서 정부에서도 이러한 취지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 사업은 크게 상업기반시설 현대화사업과 경영현대화 사업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 사업 중의 하나인 상업기반시설 현대화사업 중에서 전통시장의 물리적 환경과 연관성이 높은 이벤트 광장, 테마거리, TV광고판, LED광고판, 시장안내도, 아치·조형물 등이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과 전통시장 의 접근 편의성과 연관성이 높은 주차시설, 자전거 보관소 등이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2015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실태조사의 데이 터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시장 시설의 물리적 환경 중 이벤트 광장 조성 여부, 시장안내도 설치 여부, LED 광고판 대수, 이치·조형물 수는 전통시장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테마거리 조성여부 와 TV광고판 대수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전통시장 사업기반시설 현대화사업 중 홍보편의시설 지원이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접근 편의시설인 주차가능대수와 자전거 보관함 수 중 주차가능대수만이 매출액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전거보관함 수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테마거리 조성 여부, TV광고판 대수, 자전거보관함 수의 경우는 해당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전통시장의 표본 수가 다른 변수들에 비하여 적 어 향후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통공예의 현대화 산업을 위한 전통문화융복합상품개발 방법 연구 -전통문화 융복합 상품개발 및 교육지원 사업시행을 중심으로-

        최경란,김명,박유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최근들어 전통공예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전통공예의 현대화에 관한 연구 및 사업이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그방향성에 있어서 현대 사회의 변화와 수요에 알맞은 방향으로서는 아쉬움이 많았다. 본 연구는 전통공예와 전통공예산업의전문가, 신진작가 및 공예장인들과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여 융합교육을 통해 전통공예의 국제적인 브랜드 상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것은 단순히 작품지원이나 전시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며, 상품개발을 수행할 인력의 양성과 상품개발 노하우 습득, 그리고 개발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마케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고, 전통의 다양한분야와 디자이너 및 상품개발의 전문가들의 융합적 협업을 통해 가능하다. 노하우 축적을 통한 지속적인 상품 개발이 가능하도록 교육-개발-마케팅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전통공예와 디자인의 융합교육을 통해 상품개발을 수행할 우수한 인력을 발굴 및 양성하였다. 둘째, 상품개발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전통공예의 현대화, 산업화로 대중과 소통 할 수 있는 상품울 개발하였다. 셋째, 전통공예와 디자인 산업의 융합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브랜드를 개발하고 국제전시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통문화융복합상품개발 과정을 통해 문화적 특성과 현대적 기능이 만나 전통공예의 세계적 수준으로 새로운 디자인 세계를 열기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제적 수준의 디자인을 통해 세계 시장 개척을 위한 브랜드로 한국 고유의 전통가치를 발견하여 디자인의 정체성을 수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점차 잊혀져가고 어렵게 느껴지는 전통이 현대에 새롭게 재해석되어 현대인의 삶에 반영됨으로써 다시금 한국의 미를 일깨우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통문화에서 공예의 산업화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대중화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한다. 본 사업을 통해 개발된 작품들을 바탕으로 상품화및 브랜드 개발이라는 구체적인 지원으로 현대화 산업을 활성화시켜 전통공예 상품의 지속적인 개발 및 세계시장 개척의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Recently, various research and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to modernize traditional crafts as it has been identified and draws much attention. However, they have been limited as a one-time event in terms of public attention and budget support, failing to show substantial result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internationality-known brands by providing convergence education targeting experts, young artists, craftsmen and designers. With only supporting the budget, the goal of education will not be achieved. The workforce to develop products should be nurtured, the know-how for product development needs to be obtained, and the marketing to sell the developed products should be pursued simultaneously. In a nutshell, various traditional fields, designers, and product developers should realize converged cooperation. It is composed of three stages encompassing education, development and marketing to make possible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as follows: first, it is designed to find and nurture potent human resources through converged education of traditional crafts and design; second, its goal is to develop products connected to consumers based on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product development experts; and third, an intranational exhibition was held to develop internationally-renowned brands by converging traditional crafts and design industries. As such, the process to develop converged products has been proven its possibility to lead to a new design field by harmonizing traditional features and modern functions. In addition, designs of international standards helps identity of Korea's traditional value to be developed into the brands fitted to the international market. Recently, Korea's tradition is being forgotten or getting distant among many. The study is posied to interpret it to be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life and draw attention to its beauty. Ultimately, possibility of modernizing the traditional crafts of Korea and new direction is being tested. With the products developed, detailed supports to develop products and brands will promote development of more of its kind to continue the trend and advance to the foreign markets.

      • KCI등재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여성 전통복식의 변화 -1960년~1970년대를 중심으로-

        이상례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Traditional dress symbolizes a country’s culture and reflects its people’s customs, traditions and social system. Hanbok is a traditional ethnic Korean dress that has undergone changes and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Hanbok in the past has been influenced by China, but it has maintained and shaped our own unique national dress, emphasizing its own characteristics. The period in which the clothing we wear today is divided into hanbok and suit and modernized can be seen from the 1960s and 1970s. This is a time when Korea is modernized and industrialized, and these social changes have had a lot of impact on the change in the costume. In particular, Hanbok appeared in order to improve the clothing and settle down from everyday clothes into practical clothes, and it become a formal dress.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dress for women is the process that the traditional dress for women is changed from daily wear to formal dress, as the daily dress gradually disappears and the western clothes is settled, as solves the inconveniences of traditional hanbok that has emerged along with social change, and emphasizes practicality.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mote the beauty of Korean dress by applying the basic elements of traditional dress to modern fashion. In order to develop designs with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sens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nges in traditional dress and their causes rather than excessive changes in design. This paper divided the changes in design into form, material, decoration and pattern, and looked at the changes in wear and the process of becoming formal dress in order to see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women’s traditional dress and the change in traditional dress due to the period change factor. With this paper, I would like to know the change of traditional clothes and expect to be born as a unique and creative national clothes. 전통복식은 한 나라의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그 민족의 관습이나 전통, 사회제도를 반영한다. 한복은 한국의 민족복으로 전통적인 민족 고유의 복식이며, 시대의 사회적 특성에 따라 변화와 발전을 거쳐 왔다. 과거의 한복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나름대로의 특성을 강조하면서 우리만의 독특한 민족복을 유지, 형성시켜왔다. 오늘날 우리가 착용하고 있는 의복이 한복과 양복으로 나누어지고 현대화되는 시기는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기점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 시기는 한국이 산업화, 현대화, 공업화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이러한 사회변동은 복식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한복은 의복을 개선하여 일상복에서 실용복으로 정착시키고자 개량한복이 등장하였고, 점차 예복화되기 시작하였다. 여성 전통 복식의 현대화 과정이란 사회 변화와 더불어 대두된 전통한복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실용성을 중시하면서, 이에 따라 일상복이던 한복은 차츰 사라지고 양장이 정착되어, 여성 전통한복이 종래의 일상복에서 예복화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최근에는 전통복식의 기본 요소를 현대 패션에 응용하여 한국 복식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다. 전통적인 미와 현대적인 감각을 갖는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리한 디자인의 변화보다 전통복식의 변화와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본 논문은 한국 여성 전통복식의 현대화 과정과, 시대적 변천 요인에 따른 전통복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디자인의 변화를 형태, 소재, 장식과 문양으로 나누고, 착용에 대한 변화와 예복화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계기로 전통복식의 변화를 바로 알고, 독자적이고 창의적인 민족복으로 새롭게 태어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부산지역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신청현황분석

        표응석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5

        본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전통시장들의 시설현대화사업 신청현황 분석을 통하여 정부의 국비지원사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의 현장 상황을 파악하는데 기본목적이 있다. 아울러 시설현대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 시장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시설의 수요와 세부 종류별 현황을 분석 할 것이다. 향후 지역의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과 관련하여 지원사업의 문제점파악과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기본 자료로서활용이 되고자 한다. 연구대상시장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3년간 최소 1회 이상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신청한 부산지역 전통시장 68개소를 선정하였다. 분석의 기초자료는 부산광역시의 14개 구청에서 작성한 세부사업계획서 3년 누적, 123건를 기반으로 하였다.

      • KCI등재후보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전통문화예술프로그램의 변화양상 연구

        김산효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6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program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of the Seoul Olympic Games an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held in Korea. This is a mega-sport event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status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two Olympics.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Seoul Olympics in Korea and the most recent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veals the differences in the ways of expressing traditional culture due to the 30-year ga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s of traditional cultural practic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program of The Seoul Olympic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introduced 13 traditional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for each of the two Olympic Games. The time required was reduced from 73 minutes (Seoul) to 31 minutes (Pyeongchang). This aspect can be found in the development of globalized popular culture such as Korean Wave and various forms of performances including musicals, which are activated more than 30 years ago, and introducing other cultural art programs based on various enjoyment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raditional arts and culture programs of Seoul Olympics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n terms of performance elements, narrative structure, and advanced technology, and derived the following six change patterns through comparison. (1) independence of stage space, (2) changes to multi-genre performances with characteristics of variety shows, (3) storytelling of themes, (4) dismantling and restructuring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forms, (5) introduction of local public relations programs, (6) Expanding the elements of interest and empathy. In sum, it seems that there are two main points of change in the aspect of ‘change of performance’ and ‘expansion of interest and empathy’. The comparison of the Seoul Olympic Games an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program is a process of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during a specific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globalization aspect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raditional cultural arts programs that are modernized in each age. This study compares traditional arts and culture programs of Seoul Olympics and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e last 30 years, we have confirmed that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pursued with the aim of ‘modernization centering on enjoy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의 개·폐회식 전통문화예술프로그램을 연 구대상으로 삼는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열린 서울올림픽과 가장 최근에 열린 평창동계올림픽의 비교는 30년 간극으로 인한 전통문화 표현방식의 차이를 드러낸다. 이에 시대별 전통문화 활용사례에 따른 변화양 상을 탐구하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기로 한다.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전통문화예술프로그램에서는 두 올림픽 모두 각 13개의 전통문화 예술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소요시간은 73분(서울)에서 31분(평창)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원인은 근래 한류 등 글로벌화된 대중문화의 발전과 뮤지컬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공연양식이 30년 전에 비하여 활성 화되었고, 다양한 향유적 요소에 기반한 타문화예술프로그램이 개·폐회식에 도입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공연요소와 서사구조, 첨단기술면에서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의 전통문화예 술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양상 6가지를 도출하였다. ① 개·폐회식 무대공간의 독립화, ② 버라이어티쇼 성격의 복합장르 공연으로 변화, ③ 주제의 이야기 구조화, ④ 전통공연예술 양식의 해체와 재구성, ⑤ 지역 홍보 프로그램의 도입, ⑥ 첨단기술을 활용한 흥미·공감 요 소 확대이다. 내용을 종합하면, 변화양상에 ‘공연성의 강화’와 ‘흥미와 공감 요소의 확대’라는 두 가지 지향점 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 전통문화예술프로그램 비교는 특정 기간 동안 전개된 전통문화의 현대화 과정에 대한 고찰이다. 이 때문에 각 시대별로 현대화된 전통문화예술프로그램에서 전통문화의 세계화양상 을 탐색해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올림픽과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전통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지난 30년 동안 ‘향유자 중심의 현대화’를 지향점으로 하여 전통문화의 세계화를 전제로 변화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현대 중국의 현대성 의미

        이상옥(李相沃)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현대성”(modernity)의 개념표상을 중심으로 중국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중국 발전의 현상과 동력에 대한 총체적 모색과 반성을 분석해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중국의 “현대성” 논의는 중국 整體적인 개혁의 방향과 이념 및 실천과 그에 수반되는 윤리, 도덕의 요소들의 관련 맥락을 서양이론 검토를 통하여 모색하고 있다. 자아 반성 과정의 의미이다. “현대성”의 중국적 의미를 위해 세 가지 측면(aspects), 즉, 전통문화철학, 현대 통치 이데올로기 및 관방 문화건설과 대중문화의 構圖의 입장에서 조명한다. 전통문화철학의 입장은 중국 전통문화철학의 “현대화” 개념에 대한 인식과 개념화의 측면에서 주로 논의된다. 그 특징은 서양 자본주의발전과 현대성의 연계를 통한 “현대화” 정의의 정립, 현대성의 중국적 맥락의 의미파악, 문화적 보수와 중체서용의 절충형 그리고 전반 서양화 등의 “현대화” 인식 등의 이념 상황이다. “현대화”와 “주체성”의 대립과 융화가 중요한 명제가 된다. 그리고 가능한 양자의 일치성 내지는 “일체성”이 “현대성” 실현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데올로기 측면에서의 “현대성” 이론의 논의는 “현대성”의 본질성 특징, 즉, “현대성”의 본체적, 존재적 의미의 모색이다. 현 중국 사회 내재적 구조 관계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의 현대성 규명을 위한 가장 중요한 관건적 요소는 다름 아닌 이데올로기 담론의 중국 문화 친화성 정도이다. 역사 주류의 맥락에서 중국 당대의 이데올로기가 표상하는 “개혁 논리”는 상당 기간 “전통문화”와 일체화를 시도해 왔다. 그러나 주로 이데올로기 자체의 “제한성”과 “경직성”등의 기본 특성으로 말미암아 담론의 허구화와 空洞化를 가속화 시켜 온 위기 현상을 초래해 온 것이 현재 상황이다. 관방의 문화건설과 이에 대응하는 대중문화의 현대화 측면에서 본 중국 “현대화”의 이론적 고민은 “현대성”의 가치의 본질을 규명해 보려는 노력에서 출발한다. 이는 중국 당대의 역사 조건에서 “현대성”이 궁극적으로 어떤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해답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시도와 다름 아니다. 그 결과는 관방 이데올로기와 대중문화의 잠정적인 상호 암묵적 인정으로 인한 각자 독립적 영역의 “무계획적”, 비 통합적 발전이다. 이는 관방 이데올로기의 더 이상의 관방 통제권 지위 유지의 동요와 민중 문화 측의 초보적인 자립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중국의 “현대성” 의미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보아 서양식 현대화 논의를 통한 자아 주체성 모색의 단계를 겪어 온 총체적인 “과정”으로 “현대성”과 “주체성” 두 思考와 生活의 패러다임의 交互작용이다. 둘째, 중국의 “현대성”이 “현대화”와 유사한 혼용 가능한 개념 범주에서 현대 중국의 “현대성”의 과정은 물질적으로는 서양 자본주의의 무조건적 도입을 통한 경제발전과 패권의 추진, 정신적으로는 “중국적인 특색의 이데올로기”의 재정립을 위한 사회 담론의 주도권확보를 위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조작이 국가의 전면적 발전의 불균형에서 유래하는 여러 대중적 피지배층의 도전과 비판적 요소와의 모순과 절충의 패턴으로 표출되고 있다. 셋째, 중국의 향후 “현대성”과 국가 발전 및 이데올로기의 관계 설정에서 지배 및 피지배 계층 모두 인정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 요소는 “전통문화”의 개념에 근접한 문화-이데올로기의 융화 형태가 될 가능성을 보인다. 이 새로운 이념의 세계관이 관방의 이데올로기, 인민문화 및 대중문화를 아우르는 統攝的인 궁극 가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성적 연구

        김민정(Min Jung Kim),류성민(Sung Min Ryu) 한국유통학회 2016 流通硏究 Vol.21 No.4

        본 연구는 유통구조 변화와 소비자 행태의 변화에 따라 침체를 겪고 있는 전통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사례들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국내 전통 시장 두 곳을 방문하여 그곳의 상인들과 상인회 회장, 그리고 전통시장을 방문한 고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전통시장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전통시장의 개성과 특색을 발굴하여 활성화에 성공한 사례를 토대로 고객이 즐겨 찾는 매력 있는 시장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고찰해본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최근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전통시장의 현주소와 과제, 그리고 각 시장별 차별화된 미래의 생존전략을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서 전통시장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고 타 유통업체와의 차별화 및 전통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소도시 전통시장 현대화사업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효과분석

        홍경구(Hong, Keong G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4

        전통시장은 단순히 상품교환의 장소만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공공공간이자 대표적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통시장이 쇠퇴되면서 정부의 많은 재정지원이 있었지만 그 효과에 관한의 분석은 미진하다. 그래서 이 연구는 중소도시 전통시장의 현대화사업이 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서, 영천공설시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설현대화사업이 완료된 2007년과 운영현대화사업이 완료된 2012년을 대상으로 현대화사업의 효과와 시간적 변화에 대한 상인들의 의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7년도의 경우에는 시설현대화사업으로 인하여 약 85%가 환경이 좋아졌다고 응답하였고 세부사업항목에서도 ‘아케이드의 설치사업’, ‘통로포장사업’, ‘공동화장실설치사업’, ‘점포개축사업’ 등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수익에서도 과반 수 이상의 상인들이 증가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반면에 2012년 평가에서는 시설현대화의 세부항목들은 2007년도와 유사한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지만, 매출과 고객의 유입량에 대해서는 약 50%정도만이 증가하였다고 답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비록 활성화의 정도가 낮아지는 추세에 있지만, 현대화 사업의 효과가 아직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raditional retail markets in Korea are unique public places as well as market places for goods. These facilities are suffering from significant decline because of the emerging of big-box retailer and the consumer’s taste change. Therefore, the several branches of governments related to traditional retail markets have invested to revitalize these places.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what makes this renewal effective on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 on the merchants’ perspective by questionnaire surveys along time and whether it increases the revenues and the number of consumer’s revisiting to traditional retail market.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two surveys with time after environmental renewal and management project, are as follows : After environmental renewal, in 2007, 85% of merchants are satisfied with it and there are some effective items in merchant’s satisfaction : ‘the arcade equipment’, ‘passageway paving’, ‘parking garage’ and after management project, in 2012, 75% of merchants are contented with it and the important items are very similar to the result of 2007. Also, after the renewal, sales volumes and profit are increased by 63% and 8% each after environmental renewal, by 36.8% and 0.14% each after management project and most of merchants acknowledged the increase of daily visiting of consumer by 33% from the result in 2012. The influence factors in profit and daily visiting are ‘arcade equipment’, ‘passageway paving’, ‘the renovation of retail shops’ and ‘parking garage’ by correlation analysis.

      • KCI등재

        전통옹기의 계승과 융합에 의한 현대옹기의 확장과 변용

        조성남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본 연구는 한국적인 아름다움의 표상으로서 전통 옹 기문화 계승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작되었다. 근대화로 인하여 우리의 문화지형은 과거와의 단절과 급격한 서구화를 경험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계승하는 방안으로 전통문화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전통옹기는 생활과 가장 밀착된 문화의 하나로서 인 간의 삶의 요건인 식문화를 비롯한 주거공간에서도 요 긴한 생활용품으로 생산되어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매체의 출현으로 옹기의 효용가치가 축소되어 이제는 소수의 계승자들에 의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된 전통 옹기의 현대적인 변용과 현대화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옹기문화의 현대적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옹기의 계승에서 전통공방을 운영하는 옹 기장들은 전통기법의 계승에도 치중하지만, 현대옹기의 달라진 개념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옹기에 대한 관점을 현대적 인식으로 확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현대미술의 영역으로서 옹기를 해석하는 현대의 도예가들은 옹기의 물리적 성질이나 제작공정 등 실재하는 것에 대하여 실험적 태도로 접근하고 있으며, 작가의 내면과 연속성을 갖고 옹기조형을 탐구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용성을 중심으로 한 현대의 옹기는 현대사회의 감성이나 요구에 따라 변화되고 있으며, 도예가들은 옹기를 표현매체로 선택하여 디자인 감각을 접목한 옹 기실용기의 제작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전통사회에서 옹기는 그릇으로서의 목적이 중심이 되었으나 현대사회에서의 옹기는 실용의 범위를 넘어 서 예술로서 인식되고 있다. 옹기를 제작하는 장인 및 도예가들은 옹기의 외적조형 이외에도 옹기의 정신적 인 기반을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옹기의 현대화를 추 구하고 있다. 현대옹기의 많은 부분이 전통옹기의 그 것과는 이질감을 갖기도 하지만 의식의 변화에 적극적 으로 반응해온 전통옹기의 기본정신이 오늘날에도 이 어지고 있어서 전위적인 자세로 현대사회의 변화를 해 석하고 적응하는 현대옹기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대옹기의 변용을 이해함으로써 미래의 옹기전통의 새로운 틀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started after cognizing the necessity to succeed to the traditional pottery culture as a symbol of Korean beauty.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was newly cognized as the measures for succeeding to the cultural identity after experiencing the severance of the past and the rapid westernization due to the modernization. As one of the culture the most closely related to our living, the traditional pottery was extensively used as essential household items even in residential space including food culture as a requirement for human’s life. However, with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appearance of new media, the effective value of pottery has been reduced in modern society, so that its existence is barely kept by a few successors now.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odern meanings of pottery culture,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modernization and moder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pottery reinterpreted in the modern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pottery, the potters who were running the traditional workshops not only concentrated on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but also expanded the perspective on pottery to the modern perception by pursuing the changed concept of modern pottery at the same time. Second, the modern potters interpreting the pottery as an area of modern art, had the experimental attitude toward the existence such as physical property or production process of pottery. Based on the inner side and continuity of artists, they had an attitude to explore the pottery formation. Third, the modern pottery focusing on the practicality was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sensitivity or needs of modern society while the potters were producing the practical pottery items by selecting the pottery as a medium of expression and combining a design sense. Even though the main purpose of pottery was the tableware in traditional society, the pottery in modern society is cognized as an art after exceeding the range of practical use. The master artisans producing pottery and potters are pursuing the modernization of pottery by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spiritual basis of pottery, on top of the external formation of pottery. Even though a lot of the modern pottery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pottery, the basic spirit of traditional pottery that has ac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 of consciousness, is continued till today,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modern pottery that interprets and adapts to the change of modern society based on the avant-garde attitude. Also, by understanding this transformation of modern pottery, the new frame of pottery tradition c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 KCI등재

        전통시장 상권크기에 따른 매출 영향요인 분석 : 아케이드 설치여부를 중심으로

        박용원(Park, Yongwon),김상휘(Kim, Sanghwi)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1996년 유통산업의 개방에 따른 대형점포 급증과 교통 및 인터넷의 발달 등 소비패턴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패턴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통시장 매출은 2005년 32조에서 2018년 23.9조로 감소했다. 정부는 2004년 「재래시장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 2009년「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으로 개정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문소비자 증가를 위해 시설현대화 및 경영현대화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시설현대화 사업 중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아케이드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앞으로 도시계획은 도시공간을 사람들이 방문할 가치가 있는 매력적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연 아케이드 설치를 통해 전통시장을 폐쇄된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전통시장을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방법인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아케이드를 통한 전통시장의 공간의 개념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아케이드가 전통시장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아케이드가 전통시장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62개 전통시장에서 아케이드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케이드는 전통시장의 매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2) 지역상권형과 근린상권형과 같은 인접 상권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시장의 아케이드는 매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Consumption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large market chains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internet. The pace of changes in lifestyle is expected to accelerate further due to COVID-19. Therefore, traditional market sales decreased by about 8 trillion won in 2018 compared to 2005. The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gerneral support to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through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s and management modernization projects. In particular, the arcade installation has been supported at a huge cost. However, it is wondered whether creating a traditional market as a closed space through arcade installation is encouraging in future urban planning. In order to discuss the concept of space through arcades,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s of arcades on sales in traditional marke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arcades affect sales in 1,662 traditional markets nationwid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clarifyed that arcad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ales in the entire model of traditional markets. 2) It was confirmed that arcad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ales in traditional markets that target adjacent commercial distr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