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동사 시제형의 전이적 사용 연구

        김신효(Shin Hyo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러시아어는 일정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전이 과정(하나의 형태적 형태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모든 전이 유형은 다양한 문체적 뉘앙스를 표현하고 문장의 의미에 오버톤(обертон)을 전달한다. 즉, 화자의 표현 수단이며 주관적인 양상 표현 수단이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가장 빈도와 비중이 높은 것이 동사의 시제 형태이다. 러시아어 동사는 과거, 현재, 미래 3가지 문법적 시제 형태를 가지고 각시제의 고유한 의미 뿐 아니라 다른 시제형태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것은술어 역할을 하는 동사의 형태적 시제가 의미적 시제와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사 시제의 전이 유형은 6가지가 있다. 즉, 과거시제 의 미인 문맥에서 동사의 문법적 형태를 현재시제나 미래시제로 사용하고, 현 재시제 의미인 문맥에서 과거시제나 미래시제의 문법적 형태를 사용하며, 미래시제 의미인 문맥에서 과거시제나 현재시제 형태의 동사를 사용하는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모든 유형의 시제 전이는 서술적 기능면에서 형태적 시제와 의미적 시제의 불일치를 유발하게 된다. 그래서 형태적 시제에 대한 행위의 연관성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문법 시제의미가 가지는 뉘앙스도 약해진다. 문법적 형태의 의미는 내포적인 뉘앙스(коннотативный оттенок)로작용하여 외연적 의미(денотативное значение)인 문맥적 의미에 오버톤(обертон)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러시아 문학작품 텍스트를 주로 이용하여 러시아어 동사의 시제 전이 현상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문맥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language system, there are transposition processes - the use of one morphological form in another meaning in certain communicative situations. All types of transpositions express different stylistic nuances, inform the sentence of brighter overtones of meaning, and the act as means of expression and the subjective modality of the speaker.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orms of tense have various meanings. They are used not only in their own meaning, but also in the meaning of other tense forms. This means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 in the predicate function may not coincide with the semantic tense. Thus, the following transposition variants of the verb tense are possible: - use of the form of the presen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ast (the so-called present historical); - use of the form of the presen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future; - use of the form of the pas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resent; - use of the form of the past tense in the meaning of the future; - use of the form of the future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ast; - use of the form of the future tense in the meaning of the present; When the grammatical tense and in-context meaning are paired together, the result is (1) the weaken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attribution of the action to the grammatical form, (2)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form eventually weakens, sometimes imperceptibly. The meaning of the grammatical form becomes a connotative nuance that accompanies, as a kind of overtone, the basic denotative meaning from the context.

      • KCI등재

        외래어(外來語)의 의미전이(意味轉移)

        노명희 ( Myung Hee N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英語外來語의 意味轉移樣相을 意味範圍擴大와 縮小, 價値上의 上昇과 下落으로 나눠 고찰하였다. 意味縮小는 借用語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意味轉移類型으로, ‘골, 메일’처럼 原語의 多義的용법이 制限되어 나타나는 類型과 ‘치킨, 바이어’처럼 하나의 의미 범위가 特殊化되는 類型이 있다. 意味擴大에는 隱喩나 換喩와 같은 比喩的用法에 의해 확대되는 예들이 주로 해당되며 歷史的意味變化에서처럼 일반적이지는 않다. 價値上의 의미 전이에서는 외래어가 威勢的動機에 의해 차용된다는 인식과 달리 意味下落의 예들이 다수 발견된다. ‘팁, 호스티스’와 같이 특정 업종과 관련하여 의미가 하락한 類型과 ‘커넥션, 리베이트’와 같이 否定的文脈에 한정하여 사용되면서 그 價値가 하락한 類型이 있다. 意味上昇에는‘레스토랑, 티슈’처럼 對應漢字語와 指示對象자체가 달라 의미가 分化된 경우와 ‘트렌드, 셰프’처럼 含蓄的意味가 상승된 예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aspects of semantic shift in loanwords in terms of the semantic broadening, narrowing, elevation and degeneration. The semantic narrowing is the most popular type of semantic shift in borrowing words. This type is divided into two subtypes. The one is that polysemy in source language is restricted to one meaning in Korean loanword such as ``gol (goal), meil (mail)``. The other is that the range of one meaning is specialized such as ``chikin (chicken), baieo (buyer)``. Semantic broadening in loanword isn`t so common as in the historical semantic change and has the examples generated by the figure of speech such as metaphor and metonymy. As to the semantic shift of the evaluation, many examples of the semantic degeneration are found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at loanwords are borrowed through the prestige motive. One type of semantic degeneration is related to the socially humble occupation where the examples are ``tip (tip), hostes (hostess)`` etc. The other type of semantic degeneration is produced by its restrictive use in negative contexts. Semantic elevation also has two cases. Words such as ‘restorang (restaurant), tishu (tissue)’ have different reference from the corresponding Sino-Korean ‘食堂, 休紙’ and words such as ‘trend (trend), shep (chef)`` have a elevated meaning in their connotation.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재귀동사 구문 연구

        유학수(Yoo Hak S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1

        재귀동사(또는 -ся동사)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저동사의 의미적 상관관계를 의미론적 층위뿐 아니라 구문론적 층위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ся동사의 유형별 세밀한 분류를 통해 -ся동사에서 발생한 의미의 축소 그리고 전이된 의미, 새로운 의미의 획득 등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저동사가 갖고 있는 중심적 의미 또는 여러 주변적 의미 중에서 -ся동사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를 분석해 보면, 재귀동사는 크게 두 그룹, 즉 의미가 축소된 재귀동사군과 의미가 전이 또는 새로운 의미가 획득된 재귀동사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저동사가 가지고 있던 의미 보다 축소된 의미를 갖고 있는 -ся동사군에는 하나의 집약된 의미만 갖고 있는 재귀동사군(звониться, стучаться), 한정적 의미를 갖고 있는 재귀동사군(алеться, белеться, чернеться 등), 피의체와의 어결합을 통해 신체 동작을 표현하는 기저동사와 피의체 없이도 신체 일부의 의미를 포함한 재귀동사군(дуться, коситься, морщиться 등)이 포함되는데, 이 재귀동사들은 기저동사가 갖고 있는 의미 보다 축소된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재귀구문에서 참여자가 감소하는 재귀동사군(мириться, ссориться 등)과 복수형이 행위주로 표현될 뿐 참여자의 감소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재귀동사군(встречаться, обниматься 등), 그리고 일부 자동사에서 파생된 재귀동사군 중 무인칭 재귀동사군(думаться, работаться, спаться 등)도 기저동사가 가지고 있는 의미보다 축소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기저동사의 의미가 축소되지 않고 확장된 재귀동사군은 기저동사 의미의 전이현상을 거친 재귀동사군(заниматься, оказываться, справляться 등) 그리고 전혀 다른 의미를 획득한 재귀동사군(жаловаться, разучиваться, сходиться 등)이 있으며 이 두 그룹의 의미적 스펙트럼 분석은 기저동사가 갖고 있던 의미에서 전이 또는 변화되어 새롭게 획득된 의미도 파악할 수 있었다. 끝으로 최근에 만들어진 신조어 재귀동사들(организоваться, чатиться, шифроваться 등)의 후치사 -ся의 의미가 ‘피동’ 또는 ‘상호재귀’의 의미에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을 적시하면서, 통시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신조어 재귀동사의 후치사 -ся의 개별적 의미에 주목해 보았다.

      • KCI등재

        러시아어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본 논문은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와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평가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색채어는 색의 스펙트럼과 관련된 물리현상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그 외의 다른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이와 연관된 평가적인 의미도 내포하게 된다. 이는 객관적인 물리현상인 색 속성, 그리고 색이 지시하는 원형에 대해 인간의 감정적, 연상적 측면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이때 색채어는 일정한 가치평가적 의미로 확장될 수도 있고, 혹은 그 색의 원형에서 비롯한 새로운 속성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컨대 белый, красный의 ‘좋은’이라는 전이적 의미와 чёрный의 ‘나쁜’의 전이적 의미는 이미 가치평가적인 의미를 획득한 것으로 보이고, зелёный가 ‘미성숙한’, ‘친환경적인’이라는 의미로, серый가 ‘흔한, 재능 없는’의 의미, голубой가 ‘빛나는’, ‘비현실적인’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는 아직 일정한 가치평가는 없지만, 이 색의 원형적인 지시체에 대한 일정한 감정적 평가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는 현재 은어에서도 계속 새롭게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белый는 긍정적 가치에서 비롯한 ‘질 좋은’을 의미하고, 부사형태 фиолетово는 ‘관심 없다’는 의미를 지닌다. 새롭게 등장한 이러한 의미 역시 색의 원형적 지시체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평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색채어가 일차적인 색 속성의 의미뿐만 아니라, 색에 대한 일정한 주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가치평가적인 의미로 전이되고 있고, 이러한 과정은 은어에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예시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

        {높다/낮다}와 {高/低}의 다의 구조 비교․대조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민영란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높다/낮다’와 중국어 ‘高/低’의 다의 구조 대조를 통해 이것들의 의 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기본 의미에서 ‘높다/낮다’와 ‘高/低’는 ‘사람의 키’를 제외한 ‘이어진 수직거리’나 ‘벌어진 수직사이’에서는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단어는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 기본의미를 벗어나 여러 가지 의미를 파생시킨다. ‘높 다/낮다’와 ‘高/低’의 전이 현상을 살펴보면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 상속성이 ‘수치, 수준, 신분, 성품, 소리, 연령, 항렬’일 때, ‘높다’와 ‘高’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그 대상이 ‘가능성, 심리활동, 기세, 신체, 정도, 속도, 포부․취미’일 때는 비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낮다’와 ‘低’에서도 그 대상 속성이 ‘수치, 수준, 신분․지위․등급, 소리’를 나타낼 때 대응을 이루었으나 ‘연령’을 나타낼 때에는 비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기본 의미 대응의 특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일 대 다의 대응양 상을 살펴보았고, 의미전이 대응의 특징으로 ①공간성에서 추상성으로의 전이, ②문자성에서 관용성으로의 전이, ③공간성에서 청각성으로의 전이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Chinese pairs of ‘high/low’ (‘높다/낮다’-‘高/低’)from the stand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In the basic meanings of the paired words ‘high/low’ (‘높다/낮다’-‘高/低’),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of height except stature. Words, though having customary basic meanings, can exhibit meaning transfer when put in various contexts or situations. Significa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discovered in the pairs of ‘high/low’ (‘높다/낮다’-‘高/低’)through comparing transferred meanings. For instance, there is correspondence of ‘높다’ (‘high’ in Korean) with ‘高’ (‘high’ in Chinese) when both pertain to numerical value, level, social status, moral character, sound, age, education level, whereas there appears no correspondence when they relate to possibility, mentality, morale, stature, degree, speed, ambition, interest. Correspondence is made for the meaning of Korean ‘낮다’ and Chinese ‘低’ when both designate numerical value, level, social status, status, grade, sound, but no correspondence between ‘다’ and ‘低’ when concerned with ag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chapters, the study investigates one-to-many correspondence of basic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following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① spatial words transferred to abstract words ②spatial words transferred to idiomatic words ③ spatial words transferred to audial words.

      • KCI등재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우리는 대표적인 다의어로써 신체어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심리적, 인지적 원리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즉 우리는 인간의 인지체계에서 이루어지는 인접성과 유사성에 의한 환유와 은유를 단어가 의미를 확장하는 중심 기제로 설정했다. 그러나 언어사용자의 심리적 요인 외에도 언어요소의 의미변화에는 해당 언어공동체의 사회적, 문화적 요인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접근을 통해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전이 양상을 단일어, 관용어, 파생어를 대상으로 살펴보고, 그 분석의 결과를 이전에 연구 되었던 다른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과 비교하여, 러시아어 신체어 의미확장 경향에 대한 좀 더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의미가 확장되는 데는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거의 예외 없이 작용한다. 모든 신체어들이 ‘각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축소지칭한다. 반면 신체어들이 인접하는 전체인 사람을 확대지칭하는 데에는 강한 제약이 있다. 2) 신체어의 의미확장에는 기능면이 매우 활발한 작용을 한다. 3) 전이의미들간의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난다. 4) 신체부위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행위는 좀더 추상적인 의미로 전이된다. 5) 많은 신체어의 전의의미들이 기본의미에 비해 형태적, 통사적 제약을 갖고 있다. 6) 신체어는 동물의 해당 신체부위를 지칭하며, 나아가 유사한 속성을 지닌 무생물이나 현상을 지칭할 수 있다. 7)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와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8)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리하여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거나,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신체어 파생어 역시 해당 신체부위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대상을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9)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은 여러 언어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어휘 의미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인간의 심리, 인지구조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띠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 언어별로 신체어의 의미확장은 분명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데, 이러한 차이는 이들 언어가 사용되는 공동체의 역사, 관습, 전통, 경험의 이질성에서 비롯한다.

      • KCI등재

        민속에 나타난 꽃의 기호적 의미와 변화

        표인주 ( Pyo In-j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본 고는 꽃의 기호적 경험의 원천영역을 꽃의 생태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민속에 나타난 꽃의 기호적 의미를 파악하여 기호적 전이와 문화적 중층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이 태어나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시각적 인지과정은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꽃의 물리적 경험으로 여러 지각방식이 있지만 시각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한다. 꽃이 그 어떤 식물보다도 생태적인 변화를 비롯해 다양한 색깔과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꽃을 ‘아름다움’으로 인식하는 토대가 되었다. 세계의 사물 가운데 꽃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인식하면서 아름다움의 상징이 된 것이다. 이처럼 꽃은 아름다움의 보편적인 상징으로 인식되어왔다. 인간은 몸으로 다양한 환경을 접촉하면서 수많은 지식을 쌓아가지만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도 이루어지는데, 그것은 인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학습을 통해 습득된 것이다. 꽃과 관련된 학습은 종교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크게 작용한다. 예컨대 무속에서는 무당과 신, 혹은 인간과 신의 관계 속에서 꽃의 활용이 이루어졌고, 불교에서는 연등회의 연꽃과 불단을 장식한 꽃, 부처님께 바치는 꽃 등은 당연히 불교적 이념을 통해 경험한다. 성리학에서는 꽃을 가까이하는 것은 유가의 수양이라는 윤리적 차원에서 이해하였고, 특히 문인들은 소나무와 매난국죽을 가까이 했다. 근대이후 기독교가 유입되면서 꽃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생태적 경험과 종교적 경험이 꽃의 다양한 기호적 경험을 발생시켜 온 것이다. 먼저 구술서사인 <꽃 유래담>은 공통적으로 한 여인이 죽어 매장된 무덤에 꽃으로 다시 피어난다는 불교적 사생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꽃은 환생이라는 은유적 사상이 작용하여 그 경험내용을 사상함으로써 기호적 의미를 구성하는데, 꽃의 기호적 의미는 ‘환생’으로서 그 발생적 원천은 바로 여인의 삶이다. 이러한 기호적 의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꽃이 여인이고, 여인이 꽃’이라는 상징적인 의미이다. 두 번째로 무속에서 신당과 굿상에 꽃을 바치고 화려하게 꾸미는 것은 생명의 공간이라는 기호내용이 작용하여 신성공간으로서 서천꽃밭의 상징적인 의미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무녀가 굿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꽃은 서천꽃밭의 꽃이자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이다. 이처럼 꽃이 신의 신체라고 하는 것은 무당들의 꿈이야기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꽃을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라는 기호내용이 사상되어 산신·용왕신·조상신이라는 신격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가에서 꽃은 신의 행적과 역할이 사상된 꽃신이다. 세 번째로 세시풍속에서 꽃의 기호적 의미를 보면, 화전놀이에서 사용하는 꽃은 진달래꽃으로 축귀적인 역할을 하고, 꽃에 신성성과 더불어 정화수단으로서 의미가 상호작용하고 그것이 은유적으로 사상되어 나타난 것이 화전놀이다. 또한 농악에 나타난 꽃은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라는 의미를 갖고 있고, 불교의례에서 공양물로 바치는 꽃은 아름다움의 결과물이다. 이처럼 꽃이 공양물로서 사용된 것뿐만 아니라 연등을 꽃모양으로 만들 때도 사용하였는데, 연꽃은 ‘생명-탄생-환생’이라는 기호내용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그것이 은유적으로 사상되어 부처님의 탄생이라는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네 번째로 의례생활에서 꽃의 의미를 보면, 전통혼례에서 꽃으로 장식하기도 하고, 불교의 혼례에서 화동이 꽃바구니를 들고 꽃을 뿌리면서 인도하는 것은 물론 신랑신부가 교배례가 끝나면 부처님께 헌화를 한다. 오늘날 결혼식에서 신부가 꽃다발인 신부화를 손에 쥐고 입장한다. 또한 회갑잔치에서도 부모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고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국화를 바치기도 하고, 장례를 치를 때 사용하는 영여의 지붕에 붉은색의 연꽃 봉오리가 달려 있고, 상여에도 연꽃이 그려져 있다. 죽음의례에서 국화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오늘날의 장례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생의례에서 사용되는 꽃은 기본적으로 꽃이 갖는 아름다움의 결과물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의례의 성격에 따라 생명-탄생-환생이라는 기호적 의미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다섯 번째로 일상생활 속 꽃의 의미는 주거생활에서 화원 조성, 도자기나 생활용기, 민화 등에서 접할 수 있고, 외부활동인 개업식이나 특별전, 취임식이나 이임식, 기타 기념행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거생활 속에서 경험한 꽃이나 꽃그림은 재액초복이라는 기호내용이 투사되어 형성된 것이고, 외부활동에서 꽃다발/화환/화분을 선물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꽃이 갖는 아름다움의 결과물이라는 기호내용이 작용하여 으뜸이나 번영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꽃의 기호내용을 정리하면 환생, 신의 상징물로서 신체, 신의 행적과 역할, 신성성과 정화수단, 아름다움의 결과물, 탄생-환생-생명, 재액초복 등이다. 이러한 기호내용을 토대로 기호적 의미를 정리하면, 먼저 꽃은 신에게 바쳐지는 최고의 봉헌물로서 의미를 갖고 있고, 두 번째로 꽃은 정화와 재액초복의 도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세 번째로 꽃이 생명-탄생-환생의 의미를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꽃은 신체이자 신격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호적 의미는 꽃의 다양한 기호적 경험의 발생요인이 되면서 기호적 전이를 통해 이루어졌다. 꽃의 기호적 전이야 말로 꽃의 기호적 경험을 지속시키고 변화시켜 왔던 것이다. 이러한 것은 기호적 의미를 확장하는데도 크게 작용하였다. 기호적 전이가 꽃의 다양한 기호적 의미를 갖게 하고, 꽃에 대한 관념이나 의미의 중층성을 갖게 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꽃과 관련된 기호적 경험의 형성 토대가 되는 물리적 경험은 기본적으로 생태적이고 시각적 경험이고, 이것을 토대로 다시 민속신앙을 비롯한 무속신앙이나 불교신앙, 유교의 이데올로기적인 영향을 받아 다양한 기호적 경험을 발생시켰다. 꽃의 기호적 경험의 다양성은 기호적 전이를 통해 발생한 것이며, 꽃이 다양한 의미를 갖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꽃의 다양한 의미를 토대로 중층성이 드러나는데, 공공성은 꽃이 신에게 바쳐지는 최고의 봉헌물로서, 그리고 꽃은 정화와 재액초복의 도구라는 기호적 의미이고, 변이성은 기호적 층위로 올라갈수록 강하게 나타나는데 꽃이 탄생-환생-생명과 신체이자 신격으로서 기호적 의미이다. 여기서 공공성은 원초적이며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에 정체성 형성에 중요하게 역할하고, 변이성은 변화되고 발전된 형태로서 지속의 원동력이 된다. Flower was recognized as universal symbol of beauty through the ecological experience as source domain in flower. Also recognition of flower has changed through symbolic experience of social experience effected from religion and politics. The symbolic content of flower appeared to Oral-narration, Shamanism, Buddhism, Neo-Confucianism, Seasonal customs, Lifetime rituals and Lifetime is ① Reincarnation, ②God-object presented to god, ③One’s past and role of god, ④Sacred character and means of purification, ⑤Output of beauty, ⑥Life-birth-reincarnation, ⑦Mishap and blessing. Also, flower has symbolic meaning that ①The greatest votive offerings present to god, ②Tool of purification, mishap and blessing, ③Life-birthreincarnation, ④God-object and godhead. These symbolic meaning was become cause of occurrence of various symbolic meaning of flower and accomplished through symbolic metastasis. Symbolic metastasis had important role to get various symbolic meaning of flower, duplicity of idea and meaning about flower either. Flower has duplicity based on various meaning. Publicness is the symbolic meaning that flower is the best votive offerings to god and also flower is ‘Tool of purification’, ‘Mishap and blessing’. Variability is the symbolic meaning of flower as ‘God-object’, ‘Birth-reincarnation-life’ and ‘Godhead’. The higher to reach symbolic layer, the stronger variability is appeared.

      • KCI등재

        색 어휘 голубой, синий의 의미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4

        색의 속성은 빛의 프리즘을 통한 물리적 현상으로서, 사람들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색을 지각하지만, 실제로 색은 매우 주관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색을 인지하고 어휘화하며 속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주관성은 두드러지는데, 그 예로 파란색과 하늘색을 들 수 있다. 영어를 비롯한 몇몇 유럽어에서 파란색과 하늘색의 어휘는 차별화되지 않는 반면, 러시아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파란색과 하늘색에 대한 상이한 어휘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분명히 이 두 가지 색은 언중들에게도 상이한 지각적 특성과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지님에 분명하다. 본 논문은 어두운 파란색의 색 표지인 синий와 밝은 파란색의 색 표지인 голубой의 의미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 두 색은 시각적으로는 비슷하지만, 전이적 의미에서는 다른 평가를 가진다. голубой는 밝음, 고귀함, 바람직함 등의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지지만, синий는 부정적인 의미의 관용구에서 사용되거나, 구어에서는 ‘술에 취한’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차이는 이 두 색상에서의 빛의 유무와 관련이 된다. синий는 빛이 없는 어두운 색을 지시하는 반면 голубой는 빛이 있는 하늘색을 의미하기 때문에, 빛이 가지는 긍정적 속성을 의미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색 의미의 차이는 그 색이 대표적으로 지시하는 자연대상과의 연관성에서 비롯한다. синий는 물을 그 원형적 지시대상으로 삼고 있는 반면 голубой는 하늘의 색을 우선적으로 지시한다. 따라서 물과 하늘이 지니는 속성이 어휘의 의미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은유적, 환유적 작용에 의해 새로운 의미로 전이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적 차이는 번역에서, 특히 관용구를 차용할 때 러시아어 어휘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어 어휘의 의미확장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의미 확장에서 발생하는 은유 및 환유를 중심으로 동사 및 명사를 살펴보았다. 동사의 의미 확장은 동사 그 자체의 의미가 확장하던가 혹은 이와 결합하는 지시체부류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동사 자체의 의미확장의 경우, 유사성의 은유, 인접성의 환유 등을 통해 다의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동사와 결합하는 명사가 추상적인 성격을 지닐 때, 그 동사는 구체적인 동작이 아닌 사고의 과정으로 은유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환유는 원의소는 간직된 채, 변별적 의소가 더 강하게 전면으로 나오면서 발생하는 의미의 포커스 이동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문장에서 태의 변화는 환유적으로 고려된다. 반면 명사에서는 지시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은유적으로 지시대상을 확장하는 측면과, 지시적 의미에서 함축적 의미로 전이되는 측면에서 몇몇 어휘들을 살펴보았다. 이때 은유는 유사성을 근거로 한 만큼, 원의미와 파생의미 간에 연상적으로 유사성을 찾아내야 하며, 지시적 의미에서 함축적 의미로의 전이에서는 추상적 측면으로의 전이가 발생하면서, 동시에 그 가치적 특성을 부여받기도 한다. 이처럼 의미확장 혹은 변형에서 인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 은유 및 환유적 기제는 우리가 어휘의 다의성을 쉽게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의미적, 통사적 요소의 언어 간 전이

        정보경(Jung Bo kyoung),이준규(Lee Jun kyu)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6 영미연구 Vol.37 No.-

        본 연구는 모국어 정보에서, 특히 의미적, 통사적 요소를 영어의 용법으로 전이하는 과정에 초점이 있다. 학습자들의 모국어 정보가 영어 동사에 입력되면서, 제2외국어의 형식이 학습자들의 모국어 어휘에서 전이된 의미적, 통사적 정보와 결합하는 현 상이 발생한다. 한국어와 영어 동사 간 형식-의미 구조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영어 어휘의 모국어 번역을 구조도 활동 중에 학습자들에게 제시했다. 그에 따라, 학습자들은 모국어 번역을 쉽게 받아들이고 번역을 이용하여 다른 종류의 영어 동사와 관련된 모국어 지식을 활성화시켰다. 구조도 활동의 결과를 통하여 모국어 의미적, 통사적 정보 전이과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실험 참여자들은 동사와 보어의 문장 안에서 의미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모국어 정보를 활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문장 안에서 보어의 위치를 이해하고 모국어 정보를 영어의 용법에 맞게 전이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었다. 정보를 전이하는 과정에서, 모국어 정보가 잘못된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사후 시험결과, 학습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모국어 정보를 동사의 의미적, 통사적 요소와 연결할 수 있었다. 교육학적 영향으로, 올바른 수정과 피드백은 모국어와 제 2외국어 형식-의미 구조 형성을 개선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er of L1 information, especially semantic and syntactic information, into English specific usage. As learners’ L1 information is mapped onto English verbs, L2 forms are integrated with the semantic and syntacticinformation transferred from L1 lexical entries. To examine into the form-meaning mapp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verbs, L1 translations corresponding to L2 words were provided during the mapping activities. Accordingly, learners easily adopted L1 translations and activated their L1 information to link with different types of English verbs. The outcome of the mapping activities might account for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emantic and syntactic information of L1. Participants benefited from their L1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semantic role of verbs and their complements. The result of the post-tests suggested that learners mostly could connect L1 information with the semantic and syntactic feature of verbs. As a pedagogical implication, the corrective specification and feedback enhanced the form-meaning mapping between L1 and L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