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려~조선 전기 불교계의 전염병 대응과 대민 구료

        김수연(Sooyoun KIM)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고려~조선 전기 전염병에 대응하는 한국 불교의 모습을 신앙 의례, 승려의 활동, 사찰의 역할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신앙 중심의 대응 방식에 집중하였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넘어, 사람과 공간이라는 시각을 첨가하여 연구의 구체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우선 전염병이 발생하면 나라에서는 국가적 불교 의례를 개설하여 전염병을 기양하고자 하였다. 불교 신자가 사회 구성원의 다수를 점했던 고려, 조선 전기 사회에서 불보살의 가피력(加被力)에 기대는 것은 당연한 신앙심의 발로였다. 나아가 국가의 전염병 기양 노력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였다. 반야도량, 경행, 마리지천도량, 공작명왕도량, 불정심도량, 소룡도량, 점찰회, 수륙재 등이 개설되었다. 나아가 신이한 힘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지는 진언과 불부(佛符)를 활용하여 전염병을 막고자 하였던 개인적 노력도 확인할 수 있다. 전염병이 발생하였을 때 구체적인 행동을 전개하는 것은 사람이다. 승려들의 활동은 전염병 퇴치 행적과 구호 행적 및 전염병 확산 방지 역할 등으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는 주술과 법력으로 전염병을 물리쳤던 조유(祖猶)와 혼원(混元) 등의 사례가 보이며, 조선시대의 탄선(坦宣)은 의료 인력으로서 전염병 상황에서 사람들을 구료하였다. 나아가 매골승들이 활인서 등 구료 기관에 소속되어 시체를 매장하는 역할을 하였다. 시체를 통한 전염병 확산을 막고 보다 더 위생적인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찰은 기본적으로 여러 사람이 집단생활을 하는 공간이자 의약품이 구비되어 있는 곳이었다. 따라서 청결과 위생 관념이 있었고 질병이나 전염병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 이러한 의료 인프라는 전염병 발생 상황에서 사찰을 중심으로 구료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특히 고려의 경우 지방의 치소(治所)에 산재해 있는 자복사(資福寺)들이 지역 의료의 중심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eatures of Korean Buddhism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in the Goryŏ and early Chosŏn periods in three aspects: religious rituals, Buddhist monks' activities, and Buddhist temples' roles. Once an epidemic broke out, the government set up a Buddhist ritual at the national level to dispel it. This was a way of showing the nation's efforts to dispel an infectious disease in a visible manner. Many different Buddhist rituals were thus set up, including the banya-doryang (般若道場), gyŏnghaeng (經行), marijichŏn-doryang (摩利支天道場), gongjakmyŏngwang-doryang (孔雀明王道場), buljeongsim-doryang (佛頂心道場), soryong-doryang (召龍道場), jeomchalhoe (占察會), and suryukjae (水陸齋). Moreover, there were personal efforts to stop epidemics with dhāranīs and Buddhist talismans that were considered to have supernatural powers. It is people that carry out specific acts when an epidemic breaks out. Buddhist monks engaged in such roles as exterminating epidemics, giving out relief,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disease. In the Goryŏ period, Joyu (祖猶) and Honwon (混元) stopped an epidemic with their incantations and Buddhist powers. In the Chosŏn period, Tansŏn (坦宣) saved people in an epidemic situation as a member of the medical staff. Maegol-sŭng (埋骨僧), Buddhist monks who buried corpses, belonged to relief agencies such as Hwalinsŏ (活人署) that buried dead bodi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via dead bodies and contribute to a more sanitary environment. Buddhist temples were basically spaces where many people led a collective life and had access to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They had the concept of cleanness and a sense of hygiene and possessed the ability of dealing with an illness or epidemic situation. This medical infrastructure became a basis for Buddhist temples to take the central roles in relief activities in an epidemic situation. It is estimated, in particular, that Jabok-sa (資福寺) played central roles in local medicine as they scattered arou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in Goryŏ.

      • KCI등재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김은경 ( Eungyeong Kim ),이석 ( Seok Lee ),변영태 ( Young Tae Byun ),이혁재 ( Hyuk-jae Lee ),이택진 ( Taikjin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5

        세계적으로 전파력과 병원성이 높은 신종인플루엔자, 조류독감 등과 같은 전염병이 증가하고 있다. 전염병이란 특정 병원체(pathogen)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감수성이 있는 숙주(사람)에게 감염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전염병의 병원체는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이 있으며, 호흡기계 질환, 위장관 질환, 간질환, 급성 열성 질환 등을 일으킨다. 전파 방법은 식품이나 식수, 곤충 매개, 호흡에 의한 병원체의 흡입,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전 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은 전염병의 전파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서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와 달리 현대 사회는 지상과 지하 교통수단의 발달로 전염병의 전파 속도가 매우 복잡하고 빨라졌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의 시간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전염병의 전파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염병의 실시간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전염병의 감염 경로 추적 및 예측이 가능한 통합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전염병의 전파경로 예측에 관한 부분을 다루며, 이 시스템은 기존의 수학적 모델인Susceptible-Infectious-Recovered (SIR)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 모델의 특징은 교통수단인 버스, 기차, 승용차, 비행기를 포함시킴으로써, 도시내 뿐만 아니라 도시간의 교통수단을 이용한 이동으로 사람간의 접촉을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지리적 특성에 맞도록 실제 자료를 수정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현실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백신은 시간에 따라서 투여 지역과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어느 시점에서 어느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여할지 백신을 컨트롤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은 몇가지 가정과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통계청의 자료를 이용해서 인구 이동이 많은 주요 5개 도시인서울, 인천국제공항, 강릉, 평창, 원주를 선정했다. 상기 도시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으며 4가지의 교통수단들만 이용하여 전파된다고 가정하였다. 교통량은 국가통계포털에서 일일 교통량 자료를 입수하였으며, 각도시의 인구수는 통계청에서 통계자료를 입수하였다. 그리고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신종인플루엔자 A의 자료를 입수하였으며, 항공포털시스템에서는 항공 통계자료를 입수하였다. 이처럼 일일 교통량, 인구 통계, 신종인플루엔자 A 그리고 항공 통계자료는 한국의 지리적 특성에 맞도록 수정하여 현실에 가까운 가정과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신종인플루엔자 A가 인천공항에 발생하였을 때, 백신이 투여되지 않은 경우, 서울과 평창에 각각 백신이 투여된 경우의 3가지 시나리오에 대해서, 감염자가 피크인 날짜와 I (infectious)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백신이 투여되지 않은 경우, 감염자가 피크인 날짜는 교통량이 가장 많은 서울에서 37일로 가장 빠르고, 교통량이 가장 적은 평창에서 43일로 가장 느렸다. I의 비율은 서울에서 가장 높았고, 평창에서 가장 낮았다. 서울에 백신이 투여된 경우, 감염자가 피크인 날짜는 서울이 37일로 가장 빨랐으며, 평창은 43일로 가장 느렸다. 그리고 I의 비율은 강릉에서 가장 높으며, 평창에서 가장 낮았다. 평창에 백신을 투여한 경우, 감염자가 피크인 날짜는 37일로 서울이 가장 빠르고 평창은 43일로 가장 느렸다. I의 비율은 강릉에서 가장 높았고, 평창에서는 가장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신종인플루엔자 A가 발생하면 각 도시는 교통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 확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염병 발생시 전파 경로는 각 도시의 교통량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교통량의 분석을 통해서 전염병의 전파 경로를 추적하고 예측함으로써 전염병에 대한 대책이 가능할 것이다. The incidence of globally infectious and pathogenic diseases such as H1N1 (swine flu) and Avian Influenza (AI) has recently increased. An infectious disease is a pathogen-caused disease, which can be passed from the infected person to the susceptible host. Pathogens of infectious diseases, which are bacillus, spirochaeta, rickettsia, virus, fungus, and parasite, etc., cause various symptoms such as respiratory disease, gastrointestinal disease, liver disease, and acute febrile illness. They can be spread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food, water, insect, breathing and contact with other persons. Recently, m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use a mathematical model to predict and prepare for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a modern society, however, infectious diseases are spread in a fast and complicated manner because of rapi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both ground and underground). Therefore, we do not have enough time to predict the fast spreading and complicated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new system, which can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y predicting its pathway, needs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which can track and predict the pathway of infectious diseases for its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is developed. This system is implemented based on the conventional mathematical model called by `Susceptible-Infectious-Recovered (SIR) Model.` The proposed model has characteristics that both inter- and intra-city modes of transportation to express interpersonal contact (i.e., migration flow) are considered. They includ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bus, train, car and airplane. Also, modified real data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 are employed to reflect realistic circumstances of possible disease spreading in Korea. We can predict where and when vaccination needs to be performed by parameters control in this model. The simulation includes several assumptions and scenarios. Using the data of Statistics Korea, five major cities, which are assumed to have the most population migration have been chosen; Seoul, Inche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Gangneung, Pyeongchang and Wonju. It was assumed that the cities were connected in one network, and infectious disease was spread through denoted transportation methods only. In terms of traffic volume, daily traffic volume was obtain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In addition, the population of each city was acquired from Statistics Korea. Moreover, data on H1N1 (swine flu) were provid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air transport statistics were obtained from Aeronaut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As mentioned above, daily traffic volume, population statistics, H1N1 (swine flu) and air transport statistics data have been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onditions in Korea and several realistic assumptions and scenarios. Three scenarios (occurrence of H1N1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ot-vaccinated in all cities and vaccinated in Seoul and Pyeongchang respectively) were simulated, and the number of days taken for the number of the infected to reach its peak and proportion of Infectious (I)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the number of days was the fastest in Seoul with 37 days and the slowest in Pyeongchang with 43 days when vaccination was not considered.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I, Seoul was the highest while Pyeongchang was the lowest. When they were vaccinated in Seoul, the number of days taken for the number of the infected to reach at its peak was the fastest in Seoul with 37 days and the slowest in Pyeongchang with 43 day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I, Gangneung was the highest while Pyeongchang was the lowest. When they were vaccinated in Pyeongchang, the number of days was the fastest in Seoul with 37 days and the slowest in Pyeongchang with 43 day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I, Gangneung was the highest while Pyeongchang was the lowest.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has been confirmed that H1N1, upon the first occurrence, is proportionally spread by the traffic volume in each city. Because the infection pathway is different by the traffic volume in each c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e up with a preventive measurement against infectious disease by tracking and predicting its pathway through the analysis of traffic volume.

      • KCI등재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 - 19세기 콜레라의 유행과 <변강쇠가>를 중심으로 -

        오성준(Oh, Seong-jun)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 논문은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에 주목하여, 19세기 조선에 유행했던 콜레라의 실상 위에서 <변강쇠가>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먼저 19세기 조선의 콜레라 대유행과 관련된 기록들을 통해 전염병의 시작과 전파 속도 및 범위, 증상과 대상을 중심으로 전염병 체험이 집단의 기억 속에 각인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평안도에서 시작된 콜레라가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며 19세기 조선 사회 전체에 큰 고통과 수많은 시체를 남겼던 사실, 그리고 상층보다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현실에 놓여있었던 하층 민중들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던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체험이 당시 조선 사람들에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방불케하는 공포와 불안의 기억을 남겼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변강쇠가>에 형상화된 흔적을 살펴보았다. <변강쇠가>의 전반부에서는 평안도라는 작중 공간 설정, 접촉으로 인한 대량의 죽음을 중심으로 전염병의 기억이 작품 속에 형상화된 모습을 확인했다. 작품의 중반부에서는 강쇠의 죽음을 둘러싸고 전염병이 남긴 고통의 증상 및 빠른 전파 속도와 관련된 기억, 그리고 ‘가난한 자의 역병’이라는 씁쓸한 현실에 대한 기억이 형상화의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공간 설정, 땅과 사람에 붙어버린 시체의 모습, 이를 갈아 없애는 결말에 콜레라로 인해 시체가 범람했던 19세기의 흔한 풍경이 투영되어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전대미문의 전염병 충격에 대한 반응이 <변강쇠가>에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 공동체 경계 안에 있는 존재들이 공론을 통해 옹녀와 강쇠를 타자화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우리’와 ‘그들’ 사이에 놓인 담장이 더욱 높고 견고해지는 모습을 통해, 전염병에 대한 반응으로서‘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변강쇠가>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대처할 수 없는 위기의 상황마다 ‘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등장하는 역사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19세기 조선 사회에서 콜레라라는 전대미문의 질병이 빚어낸 인간성의 비극을 <변강쇠가>가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다. 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 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mories and reaction to the disease in Pansori Byeongangsoi-ga based on the facts of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First,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we looked 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mprinted in the memory of the group,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the speed and spread range, symptoms and objects. It was confirmed that cholera, which started in Pyeongando, boasted a tremendous speed and left great pain and numerous corpses in the entir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class people who were in a difficult economic condition were damaged more than the upper 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experience left the memories of fear and anxiety reminiscent of PTSD to the Joseon people at that time. Based on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traces of the memorie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n Byeongangsoi-ga. In the first half of Byeongangsoi-ga, the memory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confirmed through the setting of death due to contact, mass death, and the starting space(Pyeongando). In the middle of the work, it can be seen that memories related to the symptoms of the pain left by the contagious disease, the rapid spreading speed, and bitter reality of “the plague of the poor” are the main elements of the form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 scenery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body was flooded, is projected into the space wh e re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 the appearance of the corpse stuck to the ground and people, and the ending of grinding away teeth. After that, I tried to understand how the reaction to the shock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revealed in Byeongangsoi-ga.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by which people in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otherize Ongnyeo and Gangsoi through public opin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fence between ‘we’ and ‘them’ becoming taller and more soli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as leading the way in response to the epidemic.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cases in which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ppears in, Byeongangsoi-ga shows the tragedy of humanity caused by the unprecedented disease of cholera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In a similar crisis situation of cholera in the 19th century and COVID-19 in the 21st century, How much has the ‘level of humanity’ which can be confirmed by the response to the disease improved compared to 200 years ago? Are the logics of discrimination and hostility, hatred and exclusion still in operation? The above questions posed by Byeongangsoi-ga have great implications even today. As such, Byeongangsoi-ga literately well portrays the memories of the cholera pandemic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their reactions to it,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 problems based on the memory of the epidemic. In this regard, when discussing “disease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Pansori Byeongangsoi-ga can be “epidemic narrative”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서울의 전염병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사적 고찰

        최충익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의 전염병 발생 특성을 연구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있다. 지난 1세기 동안 서울 의 전염병 발생과 대응에 관한 논의는 향후 서울의 전염병 대응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 고 있다. 최근 서울의 전염병 발생은 낙후된 위생시스템의 문제도 아니었고 부족한 영양상태 때문도 아니었기에 전염병 확산이 현대 도시에 주는 메시지는 어느 때보다 진지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전염병은 오랜 도시의 역사와 함께 하고 있으며, 과거 서울의 전염병 확산에 관한 연구사적 고찰을 통해 현대 서울의 전염병 대응 및 바람직한 보건행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도시에서의 전염병 확산은 지역경제 및 도시 개발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전염병에 대한 도시사적 연구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연구방법론으로 역사적 연구기법과 발견적 탐색기법이 활용되었다. 이 같은 맥락에서 과거 서울의 전염병의 발생특성에 대한 역사적 연 구는 현재 서울의 전염병 및 방재정책수립에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s in Seoul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study. The research question starts with the idea that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the outbreak of communicable diseases for the last decade could help public health authorities in Seoul to better cope with upcoming risks in the future. The high frequency of the recent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in Seoul is due to neither malnutrition nor unhygienic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e rap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has had a strong impact on regional economy and urban development in Seoul, historical research and heuristic search were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ong-term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The findings could be used to better deal with infectious diseases in other cities as well.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 전염병 확산과 보건 협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세계화, 민주화, 소득양극화, 전염병확산, 보건협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상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3

        Global epidemic problems should be accepted as one of security issues threatening human survival rather than a simple medical concern in East Asia. Major causal factors of international conflict in the 21st century are connected with sustainability problems of energy, environment, and biological resources. Epidemic problems can be one of the factors, too. Unfortunately, East Asian countries have not taken adequat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ecent epidemic cases, and don’t have regional health regimes for eliminating epidemic problems. Shortly speaking,health cooperation among East Asian countries needs to be accelerated nowadays. They have to build up the frameworks of health cooperation called ‘epidemic regimes.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 전염병 확산과 보건협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라는 주제 하에서 본 연구는 동아시아를 동북아(한국, 북한, 일본, 중국, 대만, 몽골) 지역과 동남아(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싱가포르, 미얀마) 지역으로 구분하여 동아시아 16개국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상호의존론(interdependence perspective)의 연구시각에서 세계화지수, 민주화지수, 소득양극화지수, 전염병발생 관련 지표, 보건의료 관련 지표 등을 토대로 경험적으로 연구의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간략히 말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단계를 통해 연구의제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첫째, 세계화의 흐름이 동아시아에서 전염병의 확산을 촉진하였는지를고찰한다. 둘째, 동아시아에서 세계화와 전염병의 확산이 개별 국가의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과 지역협력의 필요성을 제고시켰는지를 검토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전염병 발생이 개별 국가의 이러한 관심과 필요성을 무조건 제고시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즉 비민주적인 국가, 소득양극화가 심화된 국가에서 전염병 발생은 정부의 관심사가 크게 되지 않으며 시민사회 역시 정부에 이를 요구할 역량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개별 국가의 민주화 정도와 소득양극화 정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제사회에서 전염병 문제는 단순한 의료적 관심사가 아니라 인간 생존을 위협하는 안보적 이슈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인간안보 개념 속에서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염병 문제는 단지 인간안보 차원에 머무는 것만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 국제 분쟁의 주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에너지, 환경, 생물자원 등 지속가능성과 연관된 것이다. 이들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무한경쟁 시대에 돌입하였고 전쟁을 불사할 가능성이 있다. 전염병도 유사한 성격의 의제라고 할 수 있다. 다행히도 국제사회는 사스 사례보다는 조류독감 사례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초기 대응을 하였으며, 이어 조류독감 사례보다는 신종플루 사례에 있어서 보다 능동적인 초기 대응을 한바 있다. 한마디로 말하여, 국제사회 내 보건협력이 보다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전염병을 둘러싼 동아시아의 협력 틀은 새로운 전염병 레짐의 출현을 촉진하는 것이다. 지난 수십 년 간 동아시아 국가들은 전염병 문제에 대해 개별 국가 수준의 대응을 하였고,아직 동아시아 국가들은 이에 대한 협력의 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이 연구는 현실적 및 학문적 맥락에서 동아시아 내 보건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다.

      • KCI등재

        H.F.의 증언: 대니얼 디포의 『전염병 연대기』 연구

        조성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0 No.-

        Daniel Defoe's A Journal of Plague Year deals with the 1665 Great Plague of London, personal and collective trauma. This paper treats Defoe's novel as testimony and its narrator as a witness and explores the efficacy of such testimony.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the sufferings caused by the plague and discusses the plagu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lass.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the narrative strategy of using vivid imagery rather than the didactic narrative form. Regarding the narrator's treatment of the social class, the paper argues that H.F. has keen social consciousness and sympathy for the poor and his testimony shows that the poor suffer more from the plague because of their poverty. This testimony of suffering using vivid imagery renders the realistic picture of the past plague year of 1665, foretelling the reader about the imminent catastrophe of the plague in 1772. What Defoe intends using H.F. as the witness of the trauma is two-fold; first, he suggests that healthy people be quarantined separately from the sick people in case the plague spreads and increase the number of the plague houses. Second, he suggests people repent their sins to prevent another plague which is the sign of God's wrath. Ultimately, this paper argues that his testimony creates collective memory and functions as a memorial for the nameless plague victims, while warning against future calamity. The witness-narrator acquires partial healing from his trauma through his talking while the listener-reader partially participates in the vicarious experience with horror and sympathy, thus 'working through' their trauma. 대니얼 디포(Daniel Defoe)의 『전염병 연대기』(A Journal of the Plague Year) 가 다루는 1665년 런던 대역병(Great Plague of London)은 개인적, 그리고 집단적 트라우마이다. 서술자 H.F.는 이 트라우마의 생존자이다. 그는 자신에게능동적인 역할인 증인의 임무를 부여한다. 이 논문의 목표는 디포의 소설 『전염병 연대기』를 문학적 증언 서사 (literary testimony)로 보고 생존자 H.F.의 증언의 내용과 효용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첫째, 전염병과 전염병이 초래한고통의 재현을 논한다. 둘째, 이 전염병과 전염병이 낳은 고통을 사회계급과 관련지어 설파하는 디포의 입장을 논한다. 연구 방법으로 증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증인 H.F.가 사용하는 이미지 군(群)과 ‘생생함’의 서사 전략을 고찰한다. 사회계급과 전염병을 논하는 부분에서는 ‘가난한 자들의 역병’인 이 전염병에 대처하는 가난한 사람들의 가중된 고통을 논한다. H.F.는 예리한 계급의식을가지고 있으며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동정심을 가지고 있다. 이 부분이 전염병의 경험과 그에 대한 증언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고통의 이미지를 통한 증언은 과거 1665년 전염병의 시대를 생생하게현실적으로 보여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하여 1772년에 닥칠지 모를 전염병의위협에 대해 각성하게 된다. 감각과 감정에 강한 인상을 남기는 H.F.의 증언을통해 디포의 증언 서사가 이루고자 하는 것은 전염병 창궐에 대비해 병자를 건강한 자와 따로 격리하는 것, 페스트 하우스를 늘리는 것과 같이 그가 제시하는실질적인 제안이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당대 청교도인 디포가 가진 종교적 사고의 표현으로서 하나님의 분노를 막아 전염병이 다시 발발하지 않도록 인간의 죄를 참회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H.F.의 증언이 과거를 바라보며 ‘집단기억’을 창출하고 애도를 담당하는 서사가 되고 미래를 향한 경고의 글이 됨을 말하고자 한다. 증인으로서 H.F.의 의도는 미래지향적이고 공동체적이다. 말하는 자는 말함으로써 치유와 자아 통합에 더욱 근접해 간다. 듣는 자는 공포와 동정 등의 감정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고, 다음 행동의 실천으로 나아가는 것도 가능하다. 트라우마를 직면하고 정면 돌파할 가능성도 생긴다.

      • KCI등재후보

        식민지 조선의 전염병예방령 개정과 ‘보균자’ 문제

        백선례(Baek, Seon-Lye) 의료역사연구회 2021 의료사회사연구 Vol.7 No.1

        1910년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조선 통치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법령들을 차례로 공포하였으며, 위생행정과 관련된 법령들 역시 1910년대에 차례대로 제정되었다. 1915년 6월 제령 제2호로 전염병예방령이 제정되었고, 이로써 조선총독부 통치 초기의 위생 관련 법령이 정비되었다. 1915년 전염병예방령 제정이 지니는 의미와 그 제정과정, 그리고 그 성격에 대해서는 상당한 분석이 이루어졌지만, 이후 1920년대 전염병예방령이 개정된 것에 주목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 조선의 전염병예방령 개정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시행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전염병예방령 개정이 의미 있는 것 중의 하나는 ‘보균자’라는 의학지식이 법령이 반영되어 보균자 단속을 강조했다는 점에서이다. 20세기 초 새롭게 알려진 건강보균자에 대한 지식과 함께 보균자가 전염병 방역의 중요한 존재로 떠오르면서 보균자 취급 문제가 법령에 반영되었던 것이다. 조선에서는 1924년 6월 전염병예방령 개정이 관보를 통해 고시되었으나 실제 시행기일은 1928년 6월 1일로 시행까지 4년여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4년의 기간에 걸쳐 개정된 전염병예방령 및 시행규칙에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었던 부분은 역시 ‘보균자’ 단속의 강화였다. 이렇게 법령으로 보균자 취급이 강화된 만큼 언론에서 그려내는 보균자 묘사 또한 강화되었다. 언론을 통해 일반 대중들에게 보균자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것은 보균자 검사를 위한 시설 및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개인의 자발적 검사에 기댈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조선의 상황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였다. The typhoid outbreak that occurred in New York in the early 1900s and the case of Typhoid Mary, who was identified as the cause of the outbreak and sent a wave of the infection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the existence of disease carriers. In addition, thi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identification of carriers i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In order to apply this new finding to quarantine strategies for infectious disease control, regulations had to be put in place. Accordingly, in the 1910s, a category of ‘carrier(s)’ was added to the revise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in Taiwan and Korea. In the Japanese Empire, a 1922 revi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considered carriers as infected patients, recommending the same set of rules for both carriers and patients. After the revision of the Act in Japan, revisions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in Taiwan and Korea followed. In December 1925,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was abolished in Taiwan, to follow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of Japan. Although a revi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was announced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in June 1924 in Korea, the revision did not actually take place until 4 years later, on June 1, 1928. The most emphasized topic within the 4-year revi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also pertained to carriers. In fact, until the 1910s, Koreans were viewed as potential carriers. However, overtime, greater importance was placed on the role of carriers i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which thus emerged as an urgent issue. The existence of carriers in Colonial Korea was identified during the cholera outbreak in 1920, following an incident involving the accommodation of carriers in a hospital (Sunhwawon). The incident led to attempts to educate the public through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on the existence of carriers and the need to quarantine. During the revi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awareness regarding disease carriers was enforced due to a typhoid fever outbreak in Gyeonseong in January and February, 1928. Furthermore, attempt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bout carriers were continued in the press, albeit in such a way that labeled carriers as the source of infectious disease and emphasized their risk to others. As a result, expressions used to describe carriers were becoming increasingly unsavory, such as the “troops of infectious diseases” and “spies”. Medical information regarding carriers was included in the newly revise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Order and disseminated through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understanding with the aim of creating awareness about the need to investigate and quarantine carriers. Nevertheless, carriers continued to be framed as the major source of infectious diseases as a means to improv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their role in disease transmission.

      • KCI등재

        传染病防治中个人信息保护法律制度的建构 - 以隐私权保护模式与个人信息自决权保护模式的比较为视角 -

        ???(장어풍),尹鍾玟(윤종민)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0

        인터넷이 널리 보급된 오늘날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프라이버시권 보호모델은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이론은 개인정보를 기본적으로 자기의 결정에 따라 보호하여야 하지만 그 보호와 이용에 있어서는 균형 있게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염병 예방치료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의 필요성도 있으나 동시에 그 보호에 적절한 제한을 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전염병 예방치료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더욱 엄격하게 하면서도 개인정보 보호의 제한과 그 제한의 정도를 파악함에 있어서는 전염병 예방치료의 특별한 주체·목적·정보사용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중국의 「중화인민공화국전염병예방치료법」(中華人民共和國傳染病防治法)(이하 “전염병예방치료법”이라 함)과 「중화인민공화국돌발응급조례」(中華人民共和國突發應急條例)(이하 “돌발응급조례”라 함)는 전염병 예방치료에 관한 법령으로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하여 여전히 프라이버시권 보호모델을 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염병 예방치료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 간에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중국 전염병 예방치료 분야에서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론을 참고하되 전염병 예방치료의 현실을 바탕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에 관한 상세한 규칙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개인정보수집단계에서 개인정보의 수집 주체를 입법으로 명확히 함은 물론, 각 유형에 따라 전염병 예방치료에 있어서의 개인정보 수집 범위도 입법으로 명확하여야 한다. 개인정보 이용단계에서도 익명화된 개인정보의 이용에 관하여 규정으로 엄격히 명시하고, 익명화된 개인정보 이용에 관한 표본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염병 예방치료와 돌발적 응급의료에 있어서 개인정보 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각 전염병 예방치료 조직 간에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전문 관리 인력의 배치를 입법으로 규정하고, 개인정보의 전 수명주기를 관통하는 사전․사중․사후의 개인정보보호 메카니즘을 구축하여야 한다.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personal information can not meet the need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use today. The theory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lds that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but its protection and use should be balanced. It is also necessar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the particularity of the field of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it is better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more strictly. The restri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limit of the restriction should be combined with the special subject, purpose and scope of information use in the field etc. In China, as the legal documents regulating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till adopts the mode of privacy protection. This leads to the im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 in the field of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and control in China, it is best to establish the relevant detailed rule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use according to the theory of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and the actual needs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Specifically, in the stage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legislation should clarify the main body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tinguish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should be focused on collection in different types of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use stag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anonymization requir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use should be strictly enforced, and relevant examples and standards for anonymization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n the application authority of infectious diseases and public health emergency monitoring information system, and promote the sharing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departments. Finally, legislation should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the personnel who are responsible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establish a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mechanism in advance, during and after the event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personal information.

      • KCI등재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小考

        윤종태 대한의료법학회 2015 의료법학 Vol.16 No.2

        2015년 5월 중동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레이트를 다녀온 68세의 남자가 고열, 근육통, 기침 호흡곤란으로 자택부근 2개 병원)과 삼성서울병원(SMC) 응급실을 거치면서 시작된 메르스(MERS)라는 전염병은 거의 3개월에 걸쳐 최근까지 대한민국을 유행성 전염병의 공포로 몰아넣었다. 특히 이 전염병은 중동지역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2012년 9월부터 현재까지 총 26개국에서 1,392명에게 발생하여, 538명의 사망환자가 보고(유럽질병센터, 2015.7.21. 기준)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총 확진자 186명, 사망자 36명(치사율 19.4%) 격리자 16,693명이라는 기록을 남기고 점차 우리의 뇌리에서 사라져가고 있다. 이 전염병의 파급으로 인하여 현 정부의 전염병 관리체계에 대한 많은 비판과 문제점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병원내 감염문제, 민간의료기관─지역 보건소─질병관리본부를 연결하는 감염병 관리전달체계의 미작동, 정부의 전염병과 관련된 정보 공개 거부, 냉난방 공조설비의 환기 등과 관련된 시설문제, 감염병 격리병상의 절대부족 문제, 지역보건소의 기능 및 권한의 제한문제, 격리자 및 의료기관에 대한 보상문제, 제도적으로는 감염병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개선문제, 법정감염병 재분류 문제, 질병관리본부의 역할 재정립 문제, 전염병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보완문제, 병원 이용문화의 개선으로서 다인실 조정과 간병인 대체문제, 사회적 후유증을 치유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문제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와 해결방안이 필요한 때이다. 국민들은 2015년 5월 이전에는 아주 낯설었던 메르스라는 외부유입 전염병에 국가 방역체계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고 극도의 공포감을 느꼈으며, 외국에서는 중동지방을 제외하고는 전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메르스라는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대한민국에 발길을 끊었다. 국민의 건강권이 심각하게 위협받았음은 물론이고 관광산업과 유통업계 등의 경제도 얼어붙었다. 정부는 메르스라는 전염병 확산의 초기대응 실패를 인정하고, 사태를 악화시킨 점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여야 한다. 국민들에 대한 신뢰상실을 반성하고 향후 각종 필요한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에 대한 정부정책을 투명하게 집행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국민들이 지역사회 감염에 대처하고 확산방지에 나설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며, 변경된 제도를 홍보하여 전염병 전파 예방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May, 2015, a 68 years old man, who has been Middle East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had high fever, muscle aches, cough and shortness of breath. he went two local hospital near his house and the S Medical Center emergency center. He was diagnosed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and the diseases had put South Korea the fear of epidemics for three months. Especially, this disease has firstly reported in Middle East Asia in September 2012 and spreaded to twenty-six countries. In 21, July, 2015, European Center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reported 533 people were died and in South Korea, 186 people were infected, 36 people were died and 16,693 people were isolated from MERS. South Korea government were faced into epidemic control and blamed from public. Especially, hospital acquired infection, disease control chain, opening of information, ventilation, lack of isolation bed, the problem of function of local health center, the issue of reparation for hospital and insurance cover rate, the classification of disease, the role of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culture of visiting hospital to see sick people, the issue of hospital multiple room and other related social support policy. it is time to study and discuss to solve these problems. South Korea citizens felt fear and fright from MERS. What is wore, they thought the dieses were out of their government control. It was unusual case for word except Middle East Asia. numerous tourists canceled visiting korea. South korea economic were severly damaged especially, tourism industry. South korea government should admit that they had failed initial action against MERS and take full reasonability from any damages. The government have to open information to public in terms of epidemic diseases and try to prevent any other epidemic diseases and try to work with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전염병과 요괴 : 역병 예언과 퇴치 기원의 요괴

        김학순(Kim, Hark-soo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1 일본연구 Vol.35 No.-

        위생, 방역, 백신과 같은 현대적 의료체제에 대한 인식은 근대 이후에 발생한 것이다. 일본도 메이지시대 이후에 근대적 의료 인식이 확대되다. 그 이전까지 전염병은 역병으로 불리며 큰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리하여 에도시대에는 역병 퇴치를 기원하는 종교적 의식이 두드러지게 반영되어 퇴치에 대한 신앙적 염원이 사회, 문화적 집단 행위로 나타났다. 당시 대중들은 역병을 일으키는 존재를 신으로까지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을 기리는 축제인 마쓰리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고 전국 각지에 신사를 세웠다. 또한 역병이 돌 때에는 역병을 예언하는 요괴를 기록한 가와라반이 유행하며, 그 요괴 그림을 부적으로 사용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하여 팬데믹이 발생한 현재에도 역병 퇴치 기원의 전통은 아마비에라는 요괴의 다양한 이미지 확산과 관련 상품의 유행을 통해 지속되고 있다. 불교 전파의 영향으로 원령이 질병과 재앙을 일으킨다고 믿음이 생기며 오니 이미지가 시작되었다. 전염병이나 재앙을 일으키는 오니는 에마키에서 요괴로 변화하며 초기 역병과 관련된 요괴들은 역병을 퍼트리는 존재였다. 이러한 요괴들은 점차 계시자적 성격을 띠며 역병과 풍작을 예언하고 그 대처방법까지 전수해 준다. 바다에서 나타나 갑자기 사라지는 아마비에, 진자히메, 히메우오, 육지에서 등장하는 구단, 구다베, 예언새, 하쿠타쿠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전염병을 예언한 요괴들은 이질,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 외부 세계의 외국 선박이 등장하는 19세기 초부터 가와라반에 자주 기록되었다. 전염병을 간파하는 영험이 있는 요괴들은 예언자적 성격이 강하고 자신의 그림을 부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하고 사라진다. 재난, 재해, 전염병 등이 유행하면 토속적이거나 주술적인 신앙적 의식과 함께, 화를 모면하고 공포심을 줄이기 위해 역병을 예언하고 사라지는 요괴들이 등장한다. 이러한 점은 요괴가 갖고 있는 플러스적인 요소가 강조된 것이다. 민간에서는 강이나 바다로 흘려보내는 역병 보내기나 가타시로라는 액막이 도구를 이용하여 마을 밖으로 추방하는 의식을 행해왔다. 전염병을 마을로부터 격리시키려고 했던 주술적 행위로 역병 퇴치에 대한 민간 신앙의 염원을 강하게 보여준다. 이와 같이 당시 대중들은 전염병을 예언하고 대책을 알려 주는 요괴들과 공동체의 민간 신앙을 통하여 개인의 심리적 위안과 사회의 안정을 추구하였다. The perception of modern medical systems such as hygiene, quarantine, and vaccines has occurred since modern times. Japan also expanded its modern medical awareness after the Meiji era. Previously, infectious diseases were called epidemics and were subject to great fear. Thus, in the Edo period, religious ceremonies to fight the plague were reflected prominently, and religious aspirations for eradication were reflected in social and cultural group activities. At that time, the public even considered the existence that caused the plague as a god. Thus, Matsuri, a festival in honor of them, was held periodically and shrines were established throughout the country. Also, when the plague was circulating, Kawaraban, who recorded a Youkai predicting the plague, became popular. A ghost painting of Kawaraban was used as an amulet. Even now, when the covid-19 outbreak caused pandemics, the tradition of the origin of the plague continues through the spread of various images of the Youkai Amabier and the trend of related products. The image began when the original spirit was believed to cause disease and disaster due to the spread of Buddhism. Oni, which causes infectious diseases and disasters, changed from Emaki to Youkais, and early plague-related Youkais spread the plague. These Youkais gradually develop a prophetic nature, predicting epidemics and good harvests, and even teaching them how to cope with them. Amabie, Zinzahime, and Uohime suddenly disappear into the sea after a prophecy from the sea. Kudan, Kudabe, Prophetic Bird, and Hakutaku appear on land and predict plague. In particular, the Youkai that predicted the epidemic were frequently recorded in Kawaraban from the early 19th century, when foreign ships from the outside world appeared, such as dysentery, cholera,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The Youkais with the inspiration to see through the epidemic have a strong prophetic personality and recommend using their paintings as amulets and disappear. When disasters, disasters, and infectious diseases are in vogue, they show common characteristics of predicting and disappearing plague to avoid anger and reduce fear, along with native or shamanistic religious rituals. The positive elements of the Youkai were emphasized. In the private sector, there have been ceremonies to send plague to rivers or seas or to banish them out of the village using an exorcism tool called Katashiro. The shamanistic act of isolating the plague from the village strongly represents the desire to fight it. This ritual of using a plague-preventing Youkai as an amulet or letting it flow may seem like an unscientific superstition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However, at that time, the public pursued individual psychological comfort and social stability through the shamanistic collective action of Youkais and groups who predicted the epidemic and informed them of counter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