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행성 요추 편평배부 질환에서 최소 절개를 이용한 상부 전방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병용 결과

        김응하,조우인,유정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4

        Study Design: Res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minimal invasive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LIF) combined with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for degenerative lumbar flat back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IF combined with PLIF is effective in correcting lumbar lordosis. However, the complication rate with conventional ALIF is higher on the lower level. Materials and Methods: 21 cases (9 men and 12 women, 46-83 years of age) of having undergone minimal invasive ALIF and PLIF due to degenerative flat back disease were reviewed. The follow-up period was an average of 23 months. We compared the prepostoperative pain, the functional outcome, the correction of sagittal imbalance and lordotic angle. Results: At final follow-up, 21 cases with the solid fusion experienced a great improvement in their lower back pain(VAS: 7.3 → 2.6)and leg pain (VAS: 7.0 → 2.7) and ODI(38.5 → 18.1). And we experienced correction in sagital imbalance. On levels with anterior fusion,lordotic angle is corrected 6.3 degrees while on levels with posterior fusion, lordotic angle is corrected 9.7 degrees. Plumb line is corrected by 5.2cm, and no complication was found in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Combined surgery with minimal invasive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nd posterior fusion is an effective procedure on patients who need long level surgery for correction of lumbar deformity and decompressio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우리는 퇴행성 요추 편평배부 질환에서 최소 칩습 전방 추체간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병용 하였을때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하요추부 전후방 유합술은 전만의 복원과 유합을 높일수 있는 술식이나, 하 요추부에 대한 고식적 전방 추체간 유합술의 경우 높은 합병증률을 보인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편평배부 질환으로 최소 침습적 전방 추체간 유합술과 하부 1-2 분절에 대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함께 시행한 21 례 (남자9명, 여자 12명, 46-83세) 를 대상으로 하였다. VAS (Visual Analogue Scale) 및 ODI (Oswestry Disability Index) 를 이용하여 수술 전 후 통증 및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수술 전 후 방사선 학적 전만각의 변화와 시상면상 불균형의 교정정도를 평가하였고, 합병증과 유합률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유합된 소견을 보였으며,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 추시시의 통증 척도는 수술전에 비해 크게 호전된 소견을 보였고, (VAS, 배통7.3 → 2.6, 하지통 7.0 → 2.7) 기능적 척도 또한 호전을 보였다. (ODI, 38.5 → 18.1) 전방 유합술을 시행한 분절에서 6.3도의 전만각 교정을 보였고, 후방 유합술을 시행한 분절에서 9.7도의 전만각 교정을 보였으며, plumb line 또한 수술 후 5.2cm 의 교정을 보였다. 결론: 척추의 변형 교정과 감압이 필요한 퇴행성 척추의 장분절 수술에서 최소 절제를 통한 상부 요추 전방 유합술 및 하부 요추의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병용은 전후방 유합술의 합병증을 최소화 하는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일측성 접근을 통한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로 충분한 정복 및 유합을 얻을 수 있는가?: 고식적 요추 추체간 유합술 및 양측성 최소 침습 요추 추체간 유합술과의 방사선학적결과 비교

        구기형,이장연,김재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radiologic results of unilateral or bilateral minimal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S TLIF) and conventional open lumbar interbody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slip reduction and fusion rate between unilateral or bilateral MIS TLIF and conventional open TLIF.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7 and May 2015, 80 patients with single-level low-grade spondylolisthesis underwent unilateral MIS TLIF (26 patients), bilateral MIS TLIF (10 patients), or open TLIF (44 patients) by a single surgeon. Radiologic studie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2 weeks postoperatively,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Slip reduction, the lumbar lordortic angle, and the fusion rate were analyzed. Results: The 3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improved slip after oper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3 groups (p=0.015) and between the MIS TLIF group (31.76%±14.42%) and the open TLIF group (41.66%±15.98%) (p=0.01) in the slip reduction rate at 2 weeks after the oper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unilateral MIS TLIF and bilateral MIS TLIF (37.61%±15.0% vs. 29.5%±13.82%, p=0.148). In the lumbar lordotic ang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3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 groups in slip reduction or the fusion rate at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unilateral MIS TLIF showed a similar slip reduction and fusion rate to bilateral MIS TLIF, but that conventional open TLIF showed better slip reduction than MIS TLIF, although it had a similar fusion rat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일측성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MIS TLIF), 양측성 MIS TLIF과 고식적 접근법을 통한 경추간공 요추 유합술의 방사선학적 결과를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일측성 최소 침습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MIS TLIF), 양측성 MIS TLIF과 고식적 접근법을 통한 경추간공 요추 유합술의 전위 정복 정도와 유합율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단분절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80명을 대상으로하였다. 고식적 유합술을 시행받은 환자가 44명, 양측성 최소 침습 유합술을 시행받았던 환자가 10명, 일측성 최소 침습 유합술을 시행받았던 환자가 26 명이었다. 수술 전, 수술 후 2 주 및 12개월에 단순 방사선 영상을 시행하였다. 정복의 정도, 요추 전만각, 수술 분절의 유합을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 모두에서 수술 후 유의한 전위 정복을 얻을 수 있었다. 수술 후 2주에 시행한 단순 방사선 영상에서 척추 전방 전위의 정복 정도에서 유의한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p=0.015), 고식적 유합술군(41.66±15.98%)이 양측성군과 일측성군을 포함한 MIS TLIF 군(31.76±14.42%) 보다 우수하였다(p=0.01). MIS TLIF 군 내에서 양측성군과 일측성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7.61±15.0%, 29.5±13.82%, p=0.148). 세 군간에 요추 전만각의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1년에 측정한 정복의 유지 정도 및 수술 분절의 유합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저도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고식적 요추 유합술은 최소 침습 유합술 보다 정복의 정도에서 우수하였으나, 유합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최소침습군 내에서 양측성군과 일측성군 사이의 전방 전위의 정복 정도나 정복의 유지 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약칭 제목: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의 MIS TLIF

      • KCI등재

        단분절 경추 추간판 탈출중에서 추체간 골유합술의 결과 : 전방 금속판 보강술과의 비교

        김환정,김규현,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3

        연구 설계 : 전방금속판을 사용한 전방 추 체간 유합술과 전방금속판을 사용하지 않은 전방 추 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단 분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 : 단 부절의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에서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과 추 체간 유합술 후 치료결과 및 전방금숙판 보강술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단분절에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35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군 모두 자가골이식술을 이용한 Smith Robinson 방법을 사용하여 추간판 제거술 및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A군은 14례로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경우였으며 B군은 21례로 전방금속판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였다. 곧 유합 및 추간 간격의 변화를 방사선적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고 Robinson의 방법에 의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적 분석에서 추간 간격의 감소는 B군(특히 61세 이상의 환자)에서 흔하였으나 골유합 기간은 두 군에서 비슷하였다. 임상적 결과 분석에서는 양호이상이 A군에서 86%, B군에서 90% 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전방금속판 보강술을 골다공증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시 조기에 활동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이식골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며 비록 여러가지 전방 금속판 보강술의 장저미 보고되고는 있지만 단분절의 추체간 유합술 시에는 특별한 효과가 없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one 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who had undergone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with or without plate fixation.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sis the result of anterior discectomy and fusion, and to assess the benefits of the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plate in the treatment of one level cervical disc hern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35 surgically treated patients for one level disc herniation were reviewed. The Smith Robinson with autologous iliac crest bone graft was performed in both groups. Group A consisted of 14 patients who had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fixation performed. Group B consisted of 21 patients treated without plate fixation. Radiologic parameters included the bone union and changes of intervertebral space. Clinical results were classified using the criteria of Robinson. Results : In radiologic analysis, decreases in intervertebral space were common in group B, especially in older than 61 years old age group, and the bone union time was same in both groups. The overall clinical success rate was 86% in group A and 90% in group B. This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group B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When selectively used in osteoporotic patient, supplemental anterior cervical plate fixation allows an early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and prevent deformities in graft bone.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ed to confirm this result. Although many advantages of anterior plate stablilzation have been previously reporte, the plate osteosynthesis after on level fusion for radiculopathy was not thought to be a major advantage.

      • KCI등재

        협부성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전위 형태 및 유합 방법에 따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비교

        이규열,한동훈,서종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3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을 전위 형태 및 유합 방법에 따라 후향적으로 분류하고 수술 후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후외방 유합술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이 시행되며 이 술식의 술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전위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고한 사례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 114명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신전 굴곡 단순 방사선 영상을 분석하여 분절간 불안정성을 그 유형에 따라 전위도(instability of the slippage)가 증가하는 과전위 운동군(excessive translation - I군)과 전위각(angular movement)이 증가하는 과각 운동군(excessive angulation - II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술 방법에 따라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한 군과 후외방 유합술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Visual Analogue Scale(VAS) 및 Oswestry Distability Index(ODI), 수술 시간 및 출혈량, 재원기간, 합병증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수술 전후 전위 정복의 유지, 요추 분절각의 변화, 추간판 높이의 변화, 골 유합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으로 과전위 운동군(I)과 과각 운동군(II)에서 각각 전위 정복 소실율, 요추 분절각 복원 소실, 추간판 높이 복원 소실, 골 유합율에서 비교군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추간판 높이 복원 소실은 과전위 운동군-후외방 유합술군(I-A)과 과전위 운동군-후외방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군(I-B), 과각 운동군- 후외방 유합술군(II-A)군과 과각 운동군-후외방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군(II-B)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임상적인 결과로 수술 시간, 출혈량, 재원기간, 합병증은 조사되었으나 유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협부형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과전위 운동군(I)과 과각 운동군(II)은 수술적 치료 시행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군의 후외방 유합술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의 비교에서 추간판 높이의 복원 유지면에서 후외방 유합술 및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군이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나은 결과를 보였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amin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patients classified as excessive translation and excessive angulation,treated by posterolateral fusion only, or posterolateral fusion with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in isthmic spondylolisthe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sthmic spondylolisthesis is usually treated by PLF only or PLF with PLIF. But it is not repor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classified by translation type.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had received surgery for spondylolisthesis between January 2005 to January 2010, there were 56 for whom follow-up observations were possible for 2 years. According to the fusion methods and preoperative flexion-extension simple radiograph, we classified as excessive translation and excessive angulation by segmental instability and as PLF and PLIF by surgical methods. We examine the clinical results(Visual Analogue Scale, Oswestry Distability Index, operation time, blood loss,complication rate) and the radiologic results(reduction rate of slippage, change of segmental angle, reduction ratio of disc height , bone union). Results: In radiologic results, excessive angulation(group I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xcessive translation(group I)in terms of reduction rate of slippage, change of segmental angle, reduction ratio of disc height, bone union. But we found excessive translation-PLIF(group I-B) was better than excessive translation-PLF(group I-A) and excessive angulation-PLIF(group II-B) was better than excessive angulation-PLF(II-A) in terms of reduction ratio of disc height(P<0.05). In clinical results, both sides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on time, blood loss, complication rate. Conclusions: In spondylolisthesis patients, excessive translation group(I) and excessive angulation group(I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radiologic results and clinical results. But both sides group showed the PLF with PLIF was better than the PLF only in terms of reduction ratio of disc height.

      • KCI등재

        경추 전방 유합술에서의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의 유용성

        김동준,김종오,윤여헌,고영도,김남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fusion rate, degree of subsidence and donor site morbidity of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and anterior cervical locking plat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with autogenous tricortical iliac bone graft, a large percentage of patients report chronic donor site pain.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research was done for 39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from January 2006 to July 2011, with a follow up period of longer than 1 year. Fusion rates and subsidece of the graft is estimated with radiographs. Neck pain and donor site pain was estima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dysfunction was estimated with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Results: A 95% of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revealed definitive fusion with little amount of subsidence. The mean VAS score was 0.7 on the donor site and the mean NDI score was 3.8 at the final visit. There was excellent clinical outcome without complication at the donor site or the recipient site. Conclusions: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with autogenous bicortical iliac bone graft showed high fusion rates and minimal subsidence with excellent clinical outcomes. Therefore, bicortical iliac bone graft is an effective operational procedure in anterior cervical interbody fusion.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과 경추 전방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경추의 전방 추체 유합술에서 유합률, 골침하 정도, 공여부의 이환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자가 삼면 피질 장골 이식을 이용한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전방 추체 유합술 후 많은 환자들이 공여부의 만성 통증을 호소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7월까지 본원에서 장골에서 채취한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을 이용하여 경추 전방 추체 유합술을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9명의 환자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사진을 이용하여 유합률, 골침하 정도를 조사하고, visual analogue scale(VAS)을 이용하여 경부, 공여부 통증을 평가하고 neck disability index(NDI)를 이용하여 기능 장애를 평가하였다. 결과: 경추 전방 유합술에서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을 이용한 결과, 95%의 환자에서 확실한 골유합을 얻었으며 및 골침하 정도도 경미하였다. 최종 추시시에 VAS를 이용하여 평가한 공여부 통증은 0.7점이었고, NDI를 이용하여 평가한 기능 장애는 3.8점이었다. 그 외 이식부나 공여부의 다른 합병증도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결론: 자가 양면 피질골 이식을 이용하여 경추 전방 유합술을 시행한 결과, 우수한 유합률과 경미한 골침하 정도를 보였으며, 임상 결과도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경추 전방 추체 유합술에서 양면 피질골 이식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단순 감압술과 유합술의 비교

        안중현,최성우,신병준,이재철,김성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ontrolled studyObjectives: To assess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decompression without fusion surgery in the treatment of stable lumbar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LDS) and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of fusion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it is reported that decompression surgery is effective in treating LDS, few reports havecompared the outcomes of treatment using decompression and instrumented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nd fifty eight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patients who receiveddecompression treatment with or without fusion surgery with follow up for at least 2 years were included. The number of patients inthe decompression and fusion groups were 23 each and they were selected with age and slip degree taken into account. Clinical factorswere evaluat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Visual Analogue Scale (VAS) of the back/leg and high risk of operation. Radiological factors were evaluated such as slippage, angulation, and disc height at the affected level in preoperative and final followup.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decompression and fusion groups in the VAS of the back/leg, slippage, andhigh risk of operation preoperatively (p>0.05). The mean operative time was 73.9 minutes in the decompression group and 123.7 minutesin the fusion group. The mean blood loss was 134.5mL in the decompression group and 323.5mL in the fusion group. VAS of the back/legand ODI improved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Conclusions: Decompression with/without fusion had a favorable clinical outcome in stable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patients. However, fusion involves more operative time and blood loss compared to simple decompression. Simple decompression is a goodtreatment option, especially in operative high risk patients. 연구 계획: 후향적, 대조군 연구목적: 안정형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단순 감압술만 시행한 경우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와 임상적 치료 결과를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선행문헌 요약: 요추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감압술이 효과적인 치료라는 문헌이 있다. 그러나, 감압술과 금속 삽입 유합술의 임상 결과를 비교한 문헌은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안정형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고 최소 2년 이상 추시 된 환자 총 58명 중에서 단순 감압술을 시행한 23명의환자군과 유합술을 시행한 3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합술을 시행한 35명의 환자군 중에서 연령과 전위 정도를 감압술군과 고려하여23명의 환자를 선택하였다. 임상 요소는 요통과 방사통에 대한 통증지수(VAS),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ODI)와 수술 고 위험 요소 등을 측정하였고, 방사선적 결과는 이환 분절의 전위(slippage), 각 운동(angulation), 추간판 높이(disc height) 등을 수술 전, 최종 추시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전 양군의 요통과 방사통에 대한 통증 지수, 전위, 수술 고 위험 요소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평균 수술 시간은 감압술군이73.9분, 유합술군이 123.7분이고, 출혈량은 감압술군이 134.5cc, 유합술군이 323.5cc였다. 두 군 모두 요통과 방사통에 대한 통증 지수와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가 호전되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안정형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의 경우에 감압술군과 금속 고정 및 유합술을 시행한 군 모두 임상적으로 비슷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수술 시간이 더 길고 출혈량도 많으며 수술 중 합병증도 더 많았다. 수술 고위험 요소가 있는 환자군에서 단순 감압술이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전방 전위증에서 후측방 유합술 시행 후 예후 관련 인자

        성태우,안기찬,공규민,박대현,윤태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3

        연구 계획: 요추부 퇴행성 전방전위증에 대한 후측방 유합술 시행의 후향적 분석목적: 요추 4-5번 간 Meyerding 1,2 단계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환자에 대해 후측방 유합술 시행 후 임상 결과의 후향적 연구를 통해 예후에 영향을미치는 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부 퇴행성 전방 전위증에서는 후측방 유합술이 환상 유합이나 추체간 유합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등한 술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있으나 실제 후측방 단독 유합술 시행 후 만족치 못한 결과를 얻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의 예후인자에 대한 보고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요추 4-5번 간 Meyerding 1,2 단계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진단 받고 후측방 유합술 시행 받은 환자 42명 중 Kirkaldy-Willis 방법을 이용하여 술 후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여 보통 및 불량인 환자 10명을 I군으로 하고 우수(excellent)와 양호(good)인 환자32명을 II군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6.3(12-23)개월이었다. 후향적으로 술 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와 골밀도(bone mass density)를 조사하였으며 술 전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디스크 퇴행 정도를 관찰하였다. 술 전 동적 방사선 촬영을 통해 각운동(Angular motion)을 측정하였으며, Taillard 방법을 통해 술 전 전위각(slip angle)을 측정하였다. 결과: I군의 경우 술 전 체질량 지수는 평균 25.7(21.2~31.4), 골밀도는 T score 평균 -3.01(-1.9~-4.2)이었다. 술 전 Pfirmann 분류 상 디스크 퇴행 정도 Grade3가 1례, Grade 4가 3례, Grade5가 6례였다. 술 전 동적 방사선상 각운동은 11.8(9.1~14.2도), 술 전 전위각은 8.4(6.9-9.6)도였다. II군의 경우 술 전 체질량 지수는 평균 24.3(20.7~28.1), 골밀도는 T score 평균 -2.1(-0.9~-3.1)이었다. 술 전 Pfirmann 분류 상 디스크 퇴행 정도 Grade3가 26례,Grade4가 5례였고 Grade5가 1례였다. 술 전 동적 방사선상 각운동은 8.8(6.2~12.1도), 술 전 전위각은 5.6(3.6-8.1)도였다. 두 군 간에 골밀도, 디스크 퇴행 단계, 술 전 동적 방사선상 각운동, 술 전 전위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p=0.04, 0.04, 0.05, 0.03)결론: Meyerding 1,2 단계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하였을 때 BMD가 -2.8 이하로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디스크 퇴행 정도가 Grade 4 이상인 경우 및 술 전 동적 방사선상 각운동은 9.4도, 술 전 전위각은 7.1도 보다 큰 경우에는 술 후 불량한 예후를 가질것으로 예측되어 다른 수술적 방법들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posterolateral fusion in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Objectives: Posterolateral fusion has been performed for patients about Meyerding grade1, 2 with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in L4-5. We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of posterolateral fusion, alone for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t is reported that posterolateral fusion has almost equal postoperativ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with the interbody or circumferential fusion for spondylolisthesis.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unsatisfactory results after posterolateral fusion alone and the causes are yet unknown. Material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July 2008, we analyzed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of 4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eyerding 1 or 2 grade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at L4-5. All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 I and group II, based on the clinical outcome evaluation method by Kirkaldy-Willis. Ten patients (Group I) were found to have poor or fair clinical outcomes, while 32 patients (Group II) were found to have excellent or good clinical outcomes. The mean duration of the follow up was 16.3 (12-23) months. We looked into postoperative body mass index and bone mass density, and found degenrative lumbar disc through preoperative MRI, retrospectively. We measured angular motion by dynamic radiographs and preoperative slip angle through a Taillard method. Results: In group I, the average preoperative BMI was 25.7 (21.2~31.4) and the average T score of bone density was -3.0 (-1.9~-4.2). There was 1 case of Grade 3, 3 cases of Grade 4 and 6 cases of Grade 5 by preoperative Pfirmann classification. The average angular motion was 11.8 (9.1~14.2) and the average preoperative slip angle was 8.4 (6.9-9.6). In group II, the average preoperative BMI was 24.3 (20.72~28.1) and the average T score of bone density was -2.1 (-0.9~-3.1). There were 26 cases of Grade 3, 5 cases of Grade 4 and 1 case of Grade 5 by preoperative Pfirmann classification. The average angular motion was 8.8 (6.2~12.1) and the average preoperative slip angle was 6.2 (3.6-7.9).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BMI, stage of disc degeneration,preoperative angular motion, and slip angle. (p=0.04, 0.04, 0.05, 0.03, respectively)Conclusion: We concluded that posterolateral fusion has exhibited worse clinical results in cases of BMI less than –2.8, disc degeneration greater than grade 4, angular motion greater than 9.4 degrees, and slip angle greater than 7.1 degrees; as such, we need to consider other surgical methods.

      • KCI등재

        척추 후방기기 고정후 전방유합술과 후측방유합술의 전향적 비교

        이진영,권덕주,신성일,송경원,박인헌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3

        목적 : 후측방유합술과 추체간 전방유합술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불안정성을 동반한 추간판 탈출증, 척추 협착증, 척추 전방 전위증과 추간판 내장증으로 진단되어 척추 유합술이 요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기 위하여 제 1군은 후방기기술 및 추체간 전방유합술을 시행한 20명의 환자로, 제 2군은 후방기기술 및 후측방유합술을 시행한 20명의 환자로 분류하여 수술시간 및 수술전후의 혈액학적 변화와 기능회복 정도, 골유합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1군과 2군의 평균 수술시간은 각각 180분과 100분이었으며, 수혈량과 총 실혈량의 평균치는 1군이 926cc, 1225cc, 2군이 880cc, 1034cc 이었다. 임상 결과에 있어서 제 1군의 경우 우수 25%, 양호 65%, 저효 10% 였으며, 제 2군의 경우 우수 15%, 양호 50%, 저효 30%, 무효 5%를 보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골유합률은 제 1군의 경우 전례에서, 제 2군의 경우 75%에서 골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 골유합률 및 임상적 만족도에서 후방기기술 및 추체간 전방유합술이 후측방유합술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Objectives : To campare the differences of clinical and raiological results berween the posterolateral fusion and the anterior interbody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 For prospective study, the anterior interbody fusion was performed in 20 patients(Group Ⅰ)and the posterolateral fusion was performed in 20 patients(Group Ⅱ). The operation time, pre-& post-operative hemodynamic changes, functional recovery and fusion rate were compared. Results :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180 min in group Ⅰ and 100 min in group Ⅱ. The average estimated blood loss and transfusion amount were assessed 1225cc,926cc in group Ⅰ and 1034cc, 880cc in group Ⅱ. Clinical results weere as follows: excelient 25%, good 65%, fair 10% in group Ⅰ and excelent 15%, good 50%, fair 30%, poor 5% in group Ⅱ. The fusion rate was 100% i group Ⅰ and 75% in group Ⅱ. Conclusion : The anterior nterbody fusion with posterior instrumentation is considered encouraging operative methods.

      • KCI등재

        퇴행성 경추질환에서 PEEK 케이지와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경추 다분절 및 한분절 전방 유합술 후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의 비교

        송경진(Kyung-Jin Song),이수경(Su-Kyung Lee),송지훈(Ji-Hun Song),최병열(Byeong-Y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퇴행성 경추 질환의 전방 유합술 후 다분절 유합이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임상적인 결과를 한분절 유합술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경추 질환에 대해 추간판 제거 후 PEEK케이지를 이용한 전방 유합술과 전방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4.4±10.6세이며, 평균 추시 관찰은 48.5±8.5개월이었다. 한분절 유합술을 시행한 55명을 A군, 두분절 이상 유합술을 시행한 72명을 B군으로 분류하였다.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에 대하여 인접 분절의 골극 형성 및 퇴행성 변화의 등급을 비교하였으며, 인접분절 질환은 인접분절의 방사통 및 척수병증의 발생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인접 분절 골극 형성 단계는 A군에서 1.62±0.85점, B군에서는 2.43±1.14점으로 두 군간 차이를 보였으며(p=0.02), 퇴행성 변화 등급은 A군에서 l.71±0.94점, B군 2.38±1.11점으로 B군에서 퇴행성 변화가 많이 진행되었다(p=0.01). 인접분절의 방사통 및 척수병증 발생률은 추시 관찰 중에 A군에서 3.6% (2/55예), B군에서 4.2% (3/77예)로 두 군간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으며(p>0.05), 유합 분절 수에 따라 증상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퇴행성 경추 질환에서 케이지와 전방금속판을 이용한 유합술시 다분절 유합술은 한분절 유합술에 비해 인접 분절의 골극 형성 및 추간판 간격 감소의 퇴행성 변화 소견은 많이 발생되지만 인접 분절 질환 발생률은 유합분절 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level fusion in the development of adjacent level degeneration (ALD) in anterior cervical arthrodesis, as a treatment for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ly, we analyzed 127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desis with PEEK cage and plate construction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The mean patient age was 54.4±10.6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8.5±8.5 months. Group A composed of 55 patients who underwent one level fusion and group B composed of 72 patients who underwent two or three level fusion. We evaluated and compared the severity of ALD, such as the stage of osteophyte formation, the grade of ALD, and the incidence of ALD according to 4 grading system. Results: The stage of osteophyte formation was 1.62±0.85 points in group A and 2.43±1.14 points in group B (p=0.02). The grade of ADL was 1.71±0.94 points in group A and 2.38±1.11 points in group B (p=0.01).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ALD (radiculopathy and/or myelopathy) was 3.6% (2/55 cases) in group A and 4.2% (3/77 cases) in group B (p>0.05). Conclusion: Multi-level fusion can accelerate the severity of adjacent level degeneration as compared with one level fus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in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adjacent level degeneration to the fusion level number after anterior cervical arthrodesis for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