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증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 사용경험과 욕구에 관한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우지희,장완호,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중증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에 대한 사용경험과 전동휠체어에 대한 그들의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사용된 질문은 Krueger 와 Casey가 제시한 4 가지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녹음하고 2명의 저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내용에 대해 합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전동휠체어 구조물과 휠체어 자체의 결함, 사후관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경험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동휠체어의 추진 및 지지구조물, 중증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전동휠체어에 대한 처방을 포함하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전동휠체어에 대한 구입 및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국가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재정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휠체어 사용자가 속한 환경, 원하는 활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휠체어 추진구조물을 제공해줘야 하고 사용자의 기능을 고려한 전동휠체어 착석옵션과 같은 지지구조물을 처방하여 중증장애인이 기능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작업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효율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변화를 이끄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severely disabled people in using a powered wheelchair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 Five severely disabled people using a powered wheelchair were recruited. The interview employed a question-asking method modified from the question-asking method presented by Krueger and Casey.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Krueger’s principle. Results : The subjects experienced defects of the wheelchair itself, problem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powered wheelchair, and wheelchair follow-up service. Accordingly, they want to enlarge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volving a wheelchair user assessment and proper prescription, and improvements in the supporting and propulsion structure of a powered wheelchair. Financial support concerning powered wheelchair payments and expenses for a follow-up service are also expected. Occupational therapist are considering a wheelchair user belong to the environment, the desired activity and user’s function when wheelchair prescriptions must be provided proper propulsion component and support structure such as power seat function. (note from editor, unfortunately, the red text is not clear. If you can revise itI can check your revision).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ed a point to be considered who occupational therapist able to prescribe using powered wheelchair with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have led to institutional change for effecti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note from editor, this part is also unclear).

      • KCI등재

        여가활동 참여에서 수ㆍ전동휠체어 사용자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동완,우지희,장완호,이윤환,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는 여가 및 사회참여를 위해 수 ․ 전동휠체어를 사용해본 휠체어 사용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여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 수 ․ 전동휠체어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임상 가의 수 ․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ㆍ전동휠체어를 사용해본 휠체어 사용 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질문은 Krueger와 Casey가 제시한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현 장메모, 녹음된 자료를 3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전사하여 Braun과 Clarke’s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 석하였다. 결과 : 참여자들은 수ㆍ전동휠체어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직업, 여가 그리고 해외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수ㆍ전동휠체어는 전동휠체어와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차량 탑 재 시 용이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하지만 휠체어 사용자들은 휠체어의 추진 구조물, 지지 구조물 그리 고 소재 등에 문제점을 보고하였다. 참여자들은 경험한 수ㆍ전동휠체어의 문제점 개선과 함께 외형 디자 인의 개선을 기대했고, 추가적으로 안전한 주행을 위해 가슴벨트나 넘어짐 방지 바퀴와 같은 부속품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처럼 적극적인 여가참여를 수행하기 위해 수ㆍ전동휠체어의 안전성에 대한 의견이 특히 강조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여가 및 사회참여 활동 시 수ㆍ전동휠체어 사용자의 경험을 임상가 관점에서 파악하였 다. 향후 노인 및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수ㆍ전동휠체어 개발 시 고려사항과 휠체어 사용자 평가 및 휠 체어 처방 시 임상가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하였으며, 실효성 높은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ser’s usage experience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manual/power hybrid wheelchairs and prescribing manual/power hybrid wheelchairs by clinicians. Methods: Fiv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used manual/power hybrid wheelchairs were recruited. Interview questions were based on the questionnaire presented by Krueger & Casey. Conversational data were transcribed independently by three authors. The transcribed data were then analyzed in accord with the procedures presented by Braun and Clarke. Results: The subjects conducted various activities in the community, including occupational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overseas activities. However, wheelchair users reported problems with wheelchair propulsion structures, supporting structures, and materials. Thus, they hoped to improve the existing manual/power hybrid wheelchair problems, and to include accessories such as chest belts and anti-tippers for safe driving. As a result of the study, opinions on the safety of manual/powered hybrid wheelchairs for active leisure participation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experiences of manual/power hybrid wheelchair users during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linicians.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ectiv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 KCI등재후보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조사 :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차류진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 항목의 적절성을 알아보며 전동휠체어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와 개선안을 제공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A 종합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를 받은 63명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에 대해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질문지는 대상자의 배경정보 9문항, 활용도 관련 9문항, 전동휠체어 사용 환경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 항목에 대한 평가에 대한 세부 검사도구는 표준화된 Purdu pegboard test, MMSE-K, K-MBI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와 사용 환경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가 전동휠체어 평가 항목으로서 적절하고, 전동휠체어 활용도 역시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혼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와 개선안 제공을 통해 전동 휠체어 사용자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고 일상생활에서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연구에는 외국 논문들의 전동휠체어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과 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3가지 건사항목의 구체적인 시행방법 및 기준을 모색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조사 :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차유진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09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 항목의 적절성을 알아보며 전동휠체어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와 개선안을 제공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A 종합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를 받은 63명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에 대해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질문지는 대상자의 배경정보 9문항, 활용도 관련 9문항, 전동휠체어 사용 환경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 항목에 대한 평가에 대한 세부 검사도구는 표준화된 Purdu pegboard test, MMSE-K, K-MBI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휠체어 처방 후 활용도 및 불편사항에 대한 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와 사용 환경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상지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동작검사가 전동휠체어 평가 항목으로서 적절하고, 전동휠체어 활용도 역시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와 개선안 제공을 통해 전동 휠체어 사용자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고 일상생활에서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연구에는 외국 논문들의 전동휠체어 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과 건강보험법에서 제시한 3가지 건사항목의 구체적인 시행방법 및 기준을 모색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립보조형 전동휠체어 개발에 따른 장애인 사용성 평가 연구

        이근민(Kun Min Rhee),김동옥(Dong Ok Kim),황보치욱(Chi Wook Hwang bo)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본 연구는 교통약자에게 안전한 이동 및 기립보조의 전동휠체어를 개발하여 휠체어 장애인 31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약자에게 기립 및 착석이 가능하고, 좁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립형 전동휠체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개발 시제품의 사용성 평가에서 장애인 집단 중 수동휠체어집단대상자 16명과 전동휠체어집단 15명으로 나누어 사용성 평가항목의 60개 유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개 집단의 전체 평균값이 2.72점, 편차는 0.820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세부적으로 나누어보면 수동휠체어집단대상자의 평균값은 2.85점, 전동휠체어 집단대상자의 평균값은 2.57점으로 나타났다. 이중 수동휠체어 및 전동휠체어의 탑승동작과 하차 동작 시 불편여부에서 승하차 모두 가장 불편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에 운전자의 안전한 승하차를 위해 양하지 지체장애인의 인체공학적인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사용성 평가에서 나타난 불편사항과 개선방안을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교통약자들에게 스스로 탑승하여 기립 후 이동하며 간단한 일상생활하는데 있어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scheme by examining 31 of the disabled who used power wheelchair developed for safe moving and standing sup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nding power wheelchair that enables the disabled to sit and stand up was developed. It can also be used as means of transportation for moving in narrow space and in a short distance. In the usability test of this prototype, two groups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60 evaluation items. One group consisted of 16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manual wheelchairs. And the other one consisted of 15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automatic wheelchairs. The entire average figure of two groups was shown to be 2.72 and standard deviation was 0.820. Specifically, the average figure of the group in manual wheelchair was 2.85 and the one of the other group in automatic wheelchair was 2.57. And both group replied that the move to stand up and sit on both types of wheelchair was the most inconvenient thing. It shows why ergonomic design for persons with under extremity disabilities to stand up and sit is needed. Second, with further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of the disabled, it will make contribu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helping them move and do daily lives on their own.

      • KCI등재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우지희,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pose, method, and effectiveness of powered seating function intervention, and to shar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ed seating function to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suggest the usefulness of the powered seating function to improve wheelchair payment systems. Methods: This research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in ScienceDirect and ProQuest databases from 2007 to 2016. The key words were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 Results: The PSF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the comfort and stability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of wheelchair users, and reduced the seating pressur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tervention, the angle of the tiling and backrest reclining were combined. The tilt and reclining seating function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sitting pressure on the ischial and coccygeal areas of wheelchair users who cannot achieve postural control. Conclusions: In the future, a study from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should be carried out on how the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intervention to various subject in the environment affect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wheelchair users. 목적:본 연구는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의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작업치료사들에게 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전동휠체어 급여제도 개선을 위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2007년 이후부터 2016년까지 데이터베이스 ScienceDirect, ProQuest에서 주요검색어 “Power wheelchair user” OR “Handicapped with people” AND “Tilt-in-space” OR “Backrest recline” OR “Elevating legrest” OR “Seat elevator” OR “Power Seat Function(PSF)”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4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전동 휠체어 착석기능은 휠체어 내에서의 편안함, 착석압력 감소 및 휠체어 사용자들의 안정적인 일상생활수행을 위해 중재되었다. 중재 목적에 따라 틸팅과 등받이 리클라인의 각도 조합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 틸트와 등받이 리클라인은 자세조절을 스스로 할 수 없는 휠체어 사용자의 엉덩뼈 및 꼬리뼈에 가해지는 착석압력 감소에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전동휠체어 착석기능 중재 목적, 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착석기능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추후에는 다양한 환경에 속한 여러 대상자들에게 중재를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가 사용자의 사회참여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작업치료적 관점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전동휠체어 기술 특허 동향 분석

        함성훈 한국특허학회 2015 특허학연구 : 한국특허학회지 Vol.16 No.1

        지체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생산 활동 및 사회 활동에 독립적인 참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맞 춰진 생활 패턴을 장애 없이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보조 기구가 필요하다. 그 중 환자 및 노약자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휠체어 분야에서 전동휠체어의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본의 전동휠체어는 이동적인 면과 자세적인 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현재의 휠체어 관련 특허 현황을 살펴보 면, 휠체어의 기본 구조에다가 다양한 변화를 준 특허들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시 편의를 주는 기술들과 자세의 편의를 주는 기술들에 대한 특허 동향을 조사하여 기술하였다. In order to enable an independent participate in productive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disabled person or elderly, they need a various aids that be able to adapt living patterns tailored to public without obstacle. In the wheelchair secto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ovement of patients and the elderly, using of electric wheelchair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basic electric wheelchair, there is a limit on aspect of the movement and position.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wheelchair-related patents, patents that given a variety of changes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wheelchair occupies a considerable par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atent trends in the technologies that ease of movement skills and attitude to the convenience.

      • KCI등재

        전동휠체어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무한궤도형 기반의 프레임 응력 및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조경호(Kyeong Ho Jo),정세훈(Se Hoon Jung),박재성(Jae Sung Park),유승현(Seung Hyun Yoo),심춘보(Chun Bo S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5

        전동휠체어는 과거 장애인 및 노약자만 활용하는 장비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기능 및 형태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다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야와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무한궤도형 전동휠체어의 프로토타입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휠체어와 비교하여 운행 시 안전성 향상을 위한 프레임 응력 설계와 안드로이드기반의 앱(App)을 이용하여 전동휠체어를 자유롭고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다량의 전동휠체어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시스템 구현 및 성능평가 결과, 응력설계는 5번의 응력 해석을 통하여 존 미제스 응력 값이 정상범위에 해당하는 4.401%로 측정되었으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통신 부분에 대한 정확률도 98.75%로 측정되어 기존 휠체어와 비교하여 안전성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An electric wheelchair used to be utilized as a piece of equip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n the past, but the recent changes to its functions and forms have made it available across various fields and purpo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inuous track type of electric wheelchair prototype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and environments and a monitoring system to control it. A frame stress design was applied to improve its stability during driving compared with the previous wheelchairs. In addition, we provide a convenience for free and easy operation of them using the App. based on android.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C# was also added to control a large number of electric wheelchairs.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the von Mises stress value was measured 4.401% within the normal range through five times of stress interpretations, and its accuracy of communication for system manipulation was recorded about 98.75%, which means that it has been proven to be safer than the previous wheelchairs.

      • KCI등재

        전동휠체어를 위한 유무선 통합 제어기 개발

        김창걸,송병섭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2

        많은 지체장애인들이 전동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손의 정밀한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조이스틱을 사용한 휠체어 조작이 다소 힘들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의 경우 차량에 탑승한 다음 본인의 전동휠체어를 일정한 장소에 보관 하거나, 차량에 실어 이동하기를 원할 때 누군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해결 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휠체어 조작 미숙한 사용자의 보호자가 전동 휠체어를 대신 조작하여 주는 경우에도 추가비용을 들여 개조를 하거나 또 다른 컨트롤러 구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가지는 장애인들의 불편을 해소 하고자 조이스틱 사용이 힘든 대상자를 위한 대체 스위치 조작 기능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휠체어 무선 조정기능이 포함된 통합형 휠체어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대학생 3명을 대상으로 램프가 포함된 Z형 복도를 10회 주행하며 개발된 인터페이스의 사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행은 범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주행보다 조금 느린 속도를 보였으나 보호자나 대상자가 사용하기에 큰 무리가 없었다. 또한 대체 스위치를 이용한 주행은 속도는 느리지만 경 로의 이탈 없이 주행함으로서 대체 스위치를 통한 휠체어 조작이 가능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휠체어 조이스틱의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가 대체스위치를 통하여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할 것이며, 조이스틱의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사용자는 무선조정기능으로 인하여 휠체어의 수납과 운반이 용이해 질 것이다.1531707 A large number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use motorized wheelchair 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However, it may be a little difficult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ople who cannot precisely move their hands to use general-purpose wheelchair joystick. In addition, when physically disabled people get into an automobile,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them to solve problems such as to keep their motorized wheelchair at a certain place or to move loading it in the vehicle without any help of others. Furthermore, even when guardians help motorized wheelchair users to operate the motorized wheelchair instead of them due to the inexperience, it is required to customize by adding costs or to purchase another controller. Therefore,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integrated motorized wheelchair controller including the operational function of the alternative switch for the users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joystick and the wireless control function of motorized wheelchair using Android-based smartphone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who have these restraints. In this study, 3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at they ran down Z-shaped hallway in electric wheelchairs including lamps 10 times and examined the usability of the developed interface. As experimental results, it shows that the run using smartphone was a little slower than that using the general-purpose controller. However, it was not very difficult for the guardians or user to use it. In addition, the run using the alternative switch was slow, but it stayed on the course without breakaway. Thus,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the motorized wheelchair by the alternative switch. Thus, using the integrated motorized wheelchair controller created by this study will make it possible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joystick to move the motorized wheelchair by using the alternative switch. The wireless control using smartphone enables the guardians to easily control the motorized wheelchair and the electric wheelchair users to park it wherever they want, or to load it in their automobiles.

      • 후천적 지체장애인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동휠체어의 설계변수 분석

        김주진,조영재 한국소비자안전학회 2018 한국소비자안전학회지 Vol.8 No.1

        이 연구의 목표는 후천적 지체징애인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휠체어의 설계변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선천 적 지체장애보다 후천적 지체장애인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전동 휠체어의 후천적 장애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한 설계변 수의 설정의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연구에서는 후천적 지체장애인과 관련된 자료 및 문헌을 검색 한 후, 전동 휠체어를 개발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동 휠체어가 인체 공학적 요소를 고려하고 분석 된 설계 변 수를 기반으로 제조 된 경우 전동 휠체어는 장애인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our object is development of an electric wheelchair that can help and improve of safety for the acquired crippled people. We purpose to analyze the parameters for the design of this function is to consid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quired crippled people required products. It is a trend often acquired crippled people than congenital crippled people, the need for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ly is further rise. According to search of data and literature related to acquired crippled people, consider way to move for acquired crippled people and analysis design parameter for develop electric wheelchair. If electric wheelchair consider ergonomic factors and manufactured based on analyzed design parameter, electric wheelchair improved convinience productand safety for acquired cripple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