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도부인(Bible Woman), 한국 근대소설 속 신여성(New Woman) 이전의 여자들

        김예람(Ye-ram Kim)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본 논문은 개화기 신소설부터 일제 식민지기 근대소설에 이르기까지 신여성(New Woman)에 앞서 기독교를 통해 근대성을 내면화하기 시작한 전도부인(Bible Woman)에 착안하여 전도부인이 구여성과 신여성을 매개하는 과도기적 여성 인물이자, 근대작가들로 하여금 한국 여성과 일상화된 기독교 사이에 존재했던 여성주제들에 대한 탐색을 심화시킨 문학적 제재였음을 밝혔다. 신여성 작가의 소설과 신여성 모델소설이 창작되기 이전 전도부인은 석진형, 김일엽, 전영택의 소설에서 구여성에게 전통적 여성의 삶과 획기적으로 구분되는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여성계를 대표하는 직업여성으로 부각된다. 나아가 전도부인은 신여성 인물이 정착한 이후에도 여러 장편소설에서 기독교 농촌계몽운동, 기독교적 혼인율, 여성해방과 기독교에 관한 다양한 여성주제를 탐색하도록 만든 유용한 소재였다. 전도부인 최용신(崔容信)을 모델로 한 심훈의 『상록수』는 채영신을 세속화된 전도부인으로 형상화하여 종교적 열정을 농촌계몽운동에 수렴시킨 소설이고, 김말봉의 『밀림』은 전도부인 삽화를 통해 신자 간의 결혼만을 허용하는 기독교적 혼인율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 작품이며,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는 봉건적 부덕을 상징하는 소재로서 전도부인을 설정하여 그와 대립하는 여성해방의 주제를 전달한 소설이다. 전도부인은 근대적 여성 인물의 모색이라는 소설사적 과제에 과도기적 역할을 담당한 문학적 전형이자, 신여성에 편중된 근대적 여성상의 한 측면을 새롭게 드러내는 역사적 존재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ible Woman(傳道婦人), who began to internalize modernity through Christianity before the New Woman(新女性), from the New Nove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o the modern novel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ible Women were transitional female characters that mediated between old women and New Women. By the Bible Women as subject matters, modern writers deepened their literary exploration on feminist themes existed between Korean women and generalized Christianity. Before modern novels by New Women writers and roman à clefs on real New Women, Bible Women presented old women with new life possibilities that were radic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women's lives as well as stood out as career women representing the women's world in the novels of Jin-hyeong Seok, Il-yeop Kim, Young-taek Jeon. Even after New Woman characters were settled in Korean modern novels, Bible Women, in addition, proved to be useful matters for a number of novels to explore a variety of feminist themes; Christian v narod movement, Christian marriage law, women's liberation. Modeled on Bible Woman Yong-shin Choi(崔容信), Hoon Shim's Evergreen Tree is a novel that concentrates religious fervor on v narod movement by characterizing Young-shin Chae as a secularized Bible Woman. Mal-bong Kim's Jungle raises ethical questions about the Christian marriage law, which only allows marriages between believers by means of the episode of the Bible Woman character. Man-sik Chae's After Leaving A Doll's House is a novel that conveys the theme of women's liberation by characterizing the Bible Woman as a symbol of the virtues of feudal women. To conclude, the Bible Woman is a literary type that played a transitional role in the Korean modern novel's historical task of finding a modern female character, and a historical being that reinforced an aspect of the modern female figure that was biased toward the New Woman.

      • KCI등재

        한국 전도 부인에 대한 윤리적 이해

        박한별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전도 부인에 관한 연구는 교회 성장의 패러다임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전도 부인을 초기 한국 교회의 형성과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로 묘사하는데 주력해 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은 전도 부인의 공헌을 교회의 확장으로 환원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이 후대에 남긴 또 다른 신앙의 유산을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전도 부인의 정체성과 활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먼저, 세계 기독교학의 등장으로 인해 서구 중심의 선교 역사의 이해로부터 벗어나야 할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전도 부인을 선교사들의 조력자로 축소시키지 않고 협력자 이자 지도자, 즉 주체적인 활동 주체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전도 부인을 교회의 형성, 성장, 그리고 발전 중심의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윤리적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성, 회복 탄력성, 그리고 환대의 세 가지 윤리적 개념을 통해 전도 부인의 정체성과 활동을 새롭게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그 결과, 타인을 공감하 고, 위로하고, 돕고자 하는 사랑의 힘이 곧 전도 부인이 남긴 진정한 유산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Bible Woman and their works. Based on an examination of how the study of World Christianity challenges the Western-centric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ission, I will argue that this challenge leads us to see the contributions of the Korean Bible Women as more than the formation,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hurch. Along with the lession from the study of World Christianity, I will provide an ethical lens to see the Korean Bible Woman as more than the catalyst for the formation,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hurch. By offering three ethucal concepts such as marginality, resilience, and hospitality, I will attempt to re-identify the Korean Bible Woman as a particular type of agent who exercises the power of love to empathize, comfort, care, and help others. Thus, I will conclude that the legacy of the Korean Bible Woman will be understood in a different way.

      • 제 6 발표 : 한국 성결교회 전도부인의 활동과 복음전도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경한,구병옥,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15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15 No.05

        본 논문은 한국 성결교회에 소속된 전도부인의 양성 배경과 과정, 그들의 실태와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복음전도 활성화에 끼친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필자는 오늘날 한국 교회 가운데 적용될 수 있는 복음전도활성화의 제언들 을 찾아보려 하였다. 강력한 세속화의 영향아래 지속적으로 위축되어져 가는 한국교회 가운데, 온전한 복음을 전하며 직접전도 본위의 활발한 전도활동을 추구해갔던 한국성결교회 전도부 인의 활동을 복음전도 활성화의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 된 것은 한국성결교회 전도부인의 활동 중 가장 주된 활동이 직접전도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같은 직접전도활동은 성결교회 내에서 뿐 아니라 국내외 복음전도를 통하 여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역할을 감당하였다. 복음전도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전문적인 전도자로서 교육을 받은 전도부인의 삶 이 오늘날도 재현될 수 있기를 소망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연구이다. 오늘날 특별히 재 현되어져야 할 전도부인의 삶의 특성들은 말씀 중심의 삶, 현장 중심의 전도, 지속적 인 기도와 삶의 간증 준비, 치열한 영적전투의 싸움, 지속적인 심방과 돌봄 등이다. 이 처럼 복음전도의 본질적 요소들을 몸소 체험하고 실현하는 삶이야말로 당시 한국성결 교회 전도부인의 삶이었다. 이름도 빛도 없이 활동하였던 전도부인의 삶을 오늘날 구체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했던 이유는 그들 안에 복음전도의 본질로 무장된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부디 오늘날 한국교회의 복음전도에 관한 열정이 회복되어지기를 간절히 소망하며 전도학 적인 관점에서 조명한 ‘한국성결교회 전도부인’의 모습이 더욱 알려지고 훗날 더 깊이 재조명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초기 대구⋅경북지역 장로교의 전도부인 양성과 활동

        김병희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초기 한국 교회의 사역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도부인들의 역할과 활동은 한국교회의 성장뿐 아니라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성장에 초석이 되었다. 특히 전도부인의 다양한 활동과 희생적 헌신은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부흥과 성장을 이끌었을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이러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대구·경북지역 교회는 전도부인들의 공적을 배제한 채, 남성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대구·경북지역 교회에서 장로교의 전도부인이 어떻게 양성되어 활동하였는지를 밝히고 또 대구-경북지역 교회의 부흥과 성장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보았다. 전도부인은 한국의 언어와 풍습에 익숙하지 못하여 독자적인 선교활동을 할 수 없었던 선교사들을 대신하여, 자신들이 이해한 기독 복음의 진리를 전파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들은 네비우스 선교정책 프로그램을 따라 비정규과정인 부인사경회, 부인성경반, 성경연구반과 정규과정인 성경학교에서 발굴되어 훈련과 양육을 받고 전도부인으로 임명받아 활동하였다. 전도부인은 부인성경반을 운영하고 부인야학교와 사경회를 통한 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생활을 개선시키고, 여성의 문맹퇴치와 여성 계몽운동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또 그들은 성경판매 활동, 순회전도, 해외전도를 통해 기독교의 복음을 전하는 전도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각 지방을 순회하며 상심한 교인들을 심방하여 위로하고, 개 교회 내에 부인전도회를 조직하고 지도하여 부흥시켰으며, 교회가 없는 곳에 복음을 전파하여 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충분한 임금을 받지 못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희생적인 봉사와 헌신으로 대구·경북지역 교회를 부흥시키고 성장시키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미국 남장로교 한국선교회의 전도부인 양성과 교육 정책 연구 (1902-1925)

        임희모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본 글은 미국남장로교 한국선교회가 선교 초기(1902-1925)에 행한 한국인 전도부인 양성과 교육 정책을 연구한다. 한국선교회는 학생들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감안하여 4가지 형태 즉 4일 시골교회 사경회, 10일 선교부 성경반, 1달 성경학원, 2개월 선교회 성경학교를 운영하였다. 변화하는 1920년대 상황은 2년제 선교회성경 학교의 예비과정으로 2년제 초급여자성경학교를 1923년에 세우게 하였다. 한국선교회는 이 2개 학교의 학생들을 위하여 자조적 산업부를 만들어 학생들의 학업을 도왔고 재정적으로 지원하였다. 본 글은 이 연구를 위하여 주로 제1차 자료인 한국선교회의 연례회의록과 선교사 들의 선교보고를 분석하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policy of fostering and education for Korean Jeondo-Puin conducted by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in 1902-1925. The Mission operated four types: 4-days rural church Bible class, 10 days Station Bible class, 1 month Bible institute, and 2 month Mission Bible school. The changing situation in the 1920s led the Mission to establish a two-year junior women’s Bible school as a preliminary course for the two-year Mission Bible School in 1923. The Mission supported these two schools to keep a self-help industry department for students which resulted to aid them financially. This article mainly analyzed the first data including the annual meeting minutes of the Mission and the reports of missionaries for this study.

      • 광주이일학교에서 서서평의 교육과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이용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4 사회복지역사연구 Vol.6 No.-

        이 글은 서서평(Elizabeth Johanna Shepping)의 주요 활동을 정리하고, 광주이일학교에서 교육활동, 이일 학교의 재학생과 졸업생과 함께 한 사회활동, 양녀와 이일학교 출신 전도부인 등의 사회복지사업을 연구하 였다. 그녀는 1912년에 의료선교사로 조선에 와서 1934년에 별세할 때까지 22년간 제중원, 구암예수병원, 세브 란스병원 등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조선간호부회를 창설하였다. 광주 금정교회에서 확장 주일학교를 이끌고 교회를 개척했다. 부인조력회를 최초로 조직하여 전국화시켰으며, 과부와 고아 등을 위해 광주이일학교를 설립하여 전도부인과 사회사업가 등으로 양성하였다. 그녀는 첫 사역지인 제중원에서 평생의 동역자인 로버트 윌슨 원장, 최흥종 목사를 만났다. 동갑인 세 사 람은 의사·간호사·목회자로서 힘을 합쳐 나환자 등 무의탁자, 극빈자와 병자 등을 치료하고 간호하며 보호 하였다. 그녀는 1922년에 주로 가난하여 학교에 갈 수 없는 여인들을 상대로 ‘전도부인 양성학교’를 개교하였다. 1926년에 친구 로이스 닐(Ms, Lois Neel)이 준 후원금으로 벽돌로 3층 교사를 짓고 ‘광주이일학교’로 불 렀다. 4개의 교실과 1개의 사무실을 갖춘 학교는 정부가 공식 인정한 3년제 사립학교(보통과, 성경과)였다. 서서평은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지만 13명의 딸과 1명의 아들을 양자로 키웠고, 38명의 전도부인들과 함께 살았다. 광주이일학교는 보통과를 통해 기초교육을 시키고, 성경과를 통해 여성 전도자를 키웠다. 이일학 교는 학교이면서 생활공동체이었고, 학생들의 자립을 추구하는 자활센터이며 선교단체이고 절제운동을 하 는 사회운동기구이었다. 1961년에 이일성경학교는 전주 한예정과 통합되어 오늘날 한일장신대학교로 발전 하였다. 서서평의 사회구제에 영향을 받은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이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였다. 또한, 서서평의 양 딸과 이일학교 출신 전도부인(전도사) 등이 선교와 복지활동을 계승 발전시켰다. 양딸 곽애례는 고흥읍교 회를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하였고, 이홍효는 계명여사에서 전도사와 전서노회 여전도회장을 역임하였다. 제자인 김화남 전도사는 전남성노원을 설립하고, 이정희 전도사는 전도부인들과 함께 이일성로원을 발전시 켰으며, 오복희 전도사는 동광원과 귀일원에서 활동하였다. 교사인 홍승애 전도사는 ‘사랑의집’에서 봉사하 였고, 조아라는 성빈여사와 계명여사를 설립하는 등 광주YWCA를 통해 여성운동과 사회운동을 발전시켰 다. 이 밖에도 많은 이일학교 출신자와 전도부인 등은 교회 여성지도자와 사회사업가로 살았다. 여성지도 자를 키워 이 땅을 하나님의 나라로 만들겠다는 서서평 선교사의 꿈은 동역자, 자녀, 제자들에 의해 구현 되고 있다. 섬김을 통해 성공한 삶을 산 서서평은 많은 사람들의 마음 속에 살아있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main activities of Seo Seo-pyeong(Elizabeth Johanna Shepping) and researches educational activities at Gwangju Neel School, social activities with students and graduates of Neel School, and social welfare programs such as adoptive women and evangelical women from Neel School. Seo-pyeong came to Joseon as a medical missionary in 1912 and worked as a nurse at Jejungwon, Guam Jesus Hospital, and Severance Hospital for 22 years until her death in 1934, and founded the Joseon Nursing Association. Seo-pyeong led an extended Sunday school at Geumjeong Church in Gwangju to pioneer a church. The first women’s support group was organized and nationalized, and Gwangju Neel School was established for widows and orphans to train them as evangelical women and social entrepreneurs. Seo-pyeong met with lifelong collaborators, Director Robert Wilson and Pastor Choi Heung-jong, at Jejungwon, her first ministry. The three of the same age, as doctors, nurses, and pastors, joined forces to treat, care, and protect the mediocrats such as lepers, the poorest, and the sick. Seo-pyeong opened the First Lady Training School in 1922 mainly for women who were poor and could not go to school. In 1926, she built a three-story teacher with bricks with a donation from her friend, Lois Neel, and called it ‘Gwangju Neel School.’ The school, which had four classrooms and one office, was a three-year private school (ordinary and Bible) officiall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Seo-pyeong raised 13 daughters and one son as single children all her life, and lived with 38 evangelical ladies. Gwangju Neel School provided basic education through the ordinary course and raised female evangelists through the Bible course. Neel School was a school and a living community, a self-support center for students’ self-reliance, a missionary organization, and a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that exercised moderation. In 1961, Neel bible School was integrated with Jeonju Hanjeol and developed into Hanil Jangshin University today. Many Christian leaders who were affected by Seo-pyeong’s social relief establish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ddition, Seo-pyeong’s adoptive daughter and the evangelist from Neel-school succeeded and developed missionary and welfare activities. Kwak Ae-rye, the adoptive daughter, performed missionary activities centered on Goheung-eup Church, and Lee Hong-hyo served as a preacher and the president of the former Seonho Association at Keimyung Women’s Association. His pupil, Kim Hwa-nam, established the Jeonnam Seongnowon, Lee Jeong-hee, developed the Neel-sung Senior Citizen Center with his evangelical ladies, and Oh Bok-hee worked at Donggwangwon and Gwiyilwon. A teacher, Hong Seung-ae, served at the House of Love, and Jo A-ra developed women’s movements and social movements through the Gwangju YWCA by establishing Seong-bin and Keimyung Women’s Association. In addition, many graduates of Neel School and evangelist ladies lived as church women leaders and social workers. Seo-pyeong’s dream of raising female leaders and making the land the kingdom of God is realized by his fellow workers, children, and disciples. Seo Seo-pyeong, who lived a successful life through serving, lives in the hearts of many people.

      • KCI등재

        앨리스 샤프(Alice H. Sharp)의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본 논문은 1908년에 재내한하여 1939년까지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을 위해 헌신했던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선교 업적을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였다. 앨리스 샤프가 충청지역에서 벌인 선교 사업은 크게 순회전도여행, 사경회, 전도부인 양성, 그리고 교육 사업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8년 공주로 돌아오자마자 순회전도 여행을 시작하였다. 1년 중에 상반기에는 사경회를, 하반기에는 순회전도여행에 집중하였다. 1909년만 해도 73곳의 교회와 마을을 방문했다. 쉬지 않고 순회전도활동을 한 결과, 선교사업을 재개한지 5년만인 1913년에는 동 지방에 여성교인이 남성교인의 수를 넘어서는 놀라운 사실을 기록했다. 앨리스 샤프가 여성선교를 착수한 지 12년만인 1916년, 마침내 남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홀아비 교회’를 탈피하게 되었고 여자교인수가 남자교인수를 넘어서게 되었다. 사경회 진행 횟수는 해마다 늘어 1929년에 이르면 49회에 달했다. 1916년에는 ‘가정성경공부 과정’(Home Study Course)을 개설했다 전도부인 양성 훈련 역시 중요한 사역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9년 공주에서, 1910년에는 논산에서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강좌를 열었다. 1916년에 ‘십일조회(날연보, tithing class)’를 개설하였고 1922년에 공주에 성경학원이 세워졌다. 앨리스 샤프와 더불어 충청지역 여선교사들이 추구했던 여성교육의 긍극적 목적은 ‘여성차별적인 무지한 관습과 미신에서 진리로의 해방’이었다. 이를 위해 설립한 학교는 공주·논산·강경을 포함하여 최소한 20개가 넘었다. 또한 강경·홍성·진천·대전·논산 등지에 유치원도 설립하였다. 앨리스 샤프를 통하여 복음과 교육을 받아들인 충청지역 여성들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새로운 여자가 되었다”고 고백하며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갔다. 앨리스 샤프는 실로 ‘충청지역 여성교육의 어머니’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This article has written to describe the achievement from mission work by Ms. Alice Sharp which had been conducted in Chung-cheong region where she devoted her potential from 1908 to 1939. Mostly, Sharp"s Mission work primarily consist of Mission Itinerating travel over the work, Bible study, Women Training and education work. Soon after she came back to Kong Ju, she concentrated on mission tour to visit 73 churches and village on 1909. From this committed effort, five years after she re-started her mission work, the number of women believers outstanded that of men, surprisingly. The ‘widower churches’ had broken from the convention and soon became Women"s church. Bible study was taken place more and more frequently so that its number increased about 49 times a year in 1929. Moreover in 1916, ‘Home Study Course’ had been opened. Training Bible women was also the very important work of her mission. Sharp had opened the lecture at Kong Ju, 1909, but also started at Non-san next year. Furthermore, She opened Tithing class in 1916 and established Bible school at Kong Ju. Including Sharp, Female Missionaries" ultimate purpose on same age was ‘Liberation from ignorant tradition and convention and Advancement to Holy Truth’. For this goal, missionaries established more than twenty schools and kindergartens all around in Chungcheong region. Those who became Christian through Sharp’s effort confessed that they"ve born in new way and tried to find their own identity. To sum, It would be not an exaggeration that Mrs. Sharp is the ‘Mother of Education in Chung-cheong’.

      • KCI등재

        3·1운동에서 전도부인의 역할과 의의

        고유경 한국여성사학회 2019 여성과 역사 Vol.0 No.31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great affair. It was an extremely rare occurrence that a national movement could occur so rapidly in a short amount of time despite the existence of diverse forms of restriction and suppression due to the military rule of the Japanese Empire. At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key roles and person-based contacts. While several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Bible women, most inquire into their roles as missionaries in church or in their contributions to church revivals. It is a shame that, even though Bible women had clear roles with regard to independence movements, especially the March 1st movement, these were simply accompanying descriptions and not illuminated with focus. Christian women represented by Bible women were active through church, school, and women’s organizations. Afterwards, they became active in enlightenment movemen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is has greatly important meaning, not only in historical aspects but also in aspects of Christian education as well. This article attempted to observe the formation of Bible women along with the roles and significance of Bible Women in the March 1st Movement. 3.1운동은 당시 일제의 무단통치로 인해 각종 제한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다. 이에 대해 인적기반으로서의 연락책과 주도적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해 여성 지도자로서 전도부인을 조명하였다. 기존의 전도부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의 경우 교회에서 전도자의 역할이나 교회의 부흥에 기여한 점에만 천착하고 있다. 전도부인이 3.1운동 속에서의 역할들이 분명하게 있었으며 그들의 활동이 이후 독립운동의 한 축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남성 독립운동가들의 부수적 역할로 기술될 뿐 집중적으로 조명되지 못하였다. 전도부인은 교회를 넘어 학교와 여성 단체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3.1운동 이전 이미 형성되어있던 교회와 학교, 그리고 여성 단체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락책 뿐 아니라 지도자로서의 역할까지 하였을 만큼 자주적인 신여성이었다. 이후 3.1운동의 경험을 살려 여성 계몽운동과 독립운동에서 적극적으로 활약하게 되는데, 이것은 여성사 뿐 아니라 민족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전도부인의 형성과 3.1운동에서의 전도부인의 역할과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선교사 해리엇 깁슨에 대한 연구

        김은정(Kim Eun-J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6

        이 글은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심지어 왜곡된 기억 속에 존재하는 헤론 부인이자 게일 부인이었던 해리엇 깁슨의 선교사로서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헤론 부인은 재혼으로 인해 게일 부인이 되었고 그의 이름은 미국에서는 해외선교에 깊은 관심을 가진 깁슨 가문의 딸, 해리엇 깁슨으로 더 잘 알려져 있었다. 그는 미 북장로교가 한국선교를 위해 처음으로 임명한 헤론 의사와 결혼해서 한국에 파송되었다. 헤론 부인은 초기 선교부 내에서의 개인적 불화와 출산과 육아에 따른 여러 가지 질병 등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한국여성들을 위한 사역을 개시했으며 안방에서 여성들을 이끌어 내어 그들이 가진 어머니, 여성, 교사로서의 힘을 발견하게 했다. 헤론 부인은 남편의 제중원 의사라는 공적 지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한국여성들과 접촉했으며 남편의 죽음 이후에도 계속해서 사역을 이어나갔다. 헤론 부인이 이루어낸 여성사역에 대한 성과로 인해 선교부는 여성사역의 가능성과 가치를 알아보게 되었다. 헤론 부인은 한국인 여성들을 성경을 통해 교육하는 여러 거점들을 세웠으며 뒤이어 오는 여선교사들이 함께 활동할 수 있는 한국인 여성사역자들, 전도부인을 양성했다. 그가 닦아놓은 기초 위에서 장로교의 여성사역은 더욱 발전하게 된다. 게일과의 결혼으로 원산으로 이주한 이후에도 게일 부인으로서 원산의 여성사역을 개척하였다. 초기 개척선교사로서 헤론 부인과 게일 부인으로 살았던 해리엇은 여성에 대한 편견과 제약들을 극복하고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전략과 계획을 통해 한국 여성들을 교회로 이끈 대표적인 부인선교사였다. This is about a missionary wife who has been barely recognized and unfairly remembered, considering what she accomplished in those early days of the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She had a little confusing identity for she had been once Mrs. Heron and later called Mrs. Gale. Her maiden name was Harriet Elizabeth Gibson, who were raised in milieu of the 19th century American missionary movement. She accompanied Dr. Heron who was the first appointee for mission in Korea. Soon after their marriage the couple departed for Korea. In spite of the early difficulties like personal conflicts in the missionary community and her severe illness, she tirelessly tried and carried out her missionary work for women. Finally she drew out some Korean women from their inner rooms and made them realize their power as a mother, woman and teacher. She used her status, wife of king’s doctor for this purpose and contacted many Korean women to make them pay attention to the gospel. Her ministry with Korean women continued even after Dr. Heron’s death. In fact, it was so successful that missionaries recognized the value of work for women. She started several classes for women, established teaching stations which later became local churches, and raised Bible women, native women workers. On these foundation woman’s work for woman in Seoul had flourished. Her second marriage to Mr. Gale led her to a new frontier, Wonsan, where she again sowed a seed for church. She was true to her calling as a missionary wife, which was in a line of lay volunteer movement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초기 내한 의료선교사와 전도: 로제타 홀을 중심으로

        윤은석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evangelism of medical missionary in Korea, using Rosetta S. Hall as an example. The evangelism practices of evangelical missionaries in Korea has been studied to some extent within the academic world of church history, but little has been done in the case of medical evangelists. A medical missionary is an optimist for medical services as a doctor, but he did not focus solely on medical missionary work in Korean field. They tried to preach the gospel in many ways to non-Christians whenever they had the opportun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ngelistic work of a medical missionary, Rosetta S. Hall who arrived in Korea in 1890, along with other medical missionaries. This thesis first deals with the Rosetta Hall’s understanding of evangelism. Missionaries in Korea at the time disagre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the gospel. Opinions were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medicine was an instrument of the gospel or whether medical services themselves had to be emphasized. It will determine to which of these sides Rosetta Hall belongs. It also synthesizes the records that indicate Rosetta Hall evangelized directly to non-Christians and the cases which Rosetta Hall indirectly evangelized by fostering Bible Women. This will open up an overview of the evangelistic work of Rosetta Hall in Korea. 본 논문의 목적은 로제타 홀(Rosetta S. Hall)을 사례로 하여 내한 의료선교사의 복음전도를 연구하는 것이다. 교회사 학계에서 내한 복음선교사의 복음전도는 어느 정도 연구가 되었지만, 의료선교사의 복음전도의 경우 거의 연구가 되지 않았다. 의료선교사는 의사로서 의료봉사에 최적화된 인물이지만, 한국 땅에서 의료선교에만 매진하지 않았다. 그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비기독교인들에게 여러 방법으로 복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의료선교사들 중 1890년에 내한한 로제타 홀을 중심으로 의료선교사의 복음전도의 모습들을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로제타 홀의 전도 이해를 다룬다. 당시 내한 선교사들은 의술과 복음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견해가 일치하지 않았다. 의술이 복음의 도구인지, 의료봉사 자체를 강조하는지에 따라 견해가 양분되었다. 로제타 홀은 이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로제타 홀이 피전도자에게 직접 전도한 기록들과 전도부인 등을 양성하여 간접적으로 전도한 사례들도 정리한다. 이를 통해 로제타 홀의 한국에서의 전도의 모습을 개관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