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 Some “Early Palaeolithic” Evidence of Japan – A Personal Observation

        Seonbok Yi 한국구석기학회 201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6

        일본의 구석기시대 연구에서 소위 “전기구석기”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점이 불확실하다. 일본의 “전기구석기”가 “Lower Palaeolithic”이 아니라 “Early Palaeolithic”이라고 번역되고 있다는 점이 말해주듯, 이 용어는 1965년 전형적인 후기구석기가 등장하기 이전의 시기를 가리키는 일본학계의 특유한 개념이다. “전기구석기”와 관련된 자료는 1950년대와 60년대에 도호쿠대학 조사단이 발견한 자료가 아직도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오이타 현의 소즈다이 유적, 나가사키 현의 후쿠이 동굴 유적, 군마 현의 공게야마 유적, 무코야마 유적, 호시노 유적 등을 꼽을 수 있다. 소즈다이 유적의 경우, 소위 구석기층의 연대가 4만 년 전보다 앞선 시기일 가능성이 있지만, 유물로 분류된 석기중 많은 것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일부 석영제 석기와 멀리 떨어진 산지로부터 수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원석이 존재할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구석기 유물이 살아남아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무코야마 및 호시노에서 수습된 자료 중 많은 것은 석기로 분류 함에 문제가 없다고 보인다. 1950년대에 공게야마 및 인근의 여러 지점에서 발견된 자료는 세련된 형태의 석기임에 틀림없다고 보인다. 유적의 층서 파악이 불가능한 현 시점에서 더 이상의 평가는 불가능하 지만, 그 전반적 형태와 기법은 유럽의 중기 구석기를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아직 많은 점이 불확실하지만, 일본에 보다 전형적 후기구석기 보다 이른 시기의 구석기 자료가 존재할 가능성은 크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중원 문화재 발굴 100년, 회고와 전망 ; 中國東北地區舊石器時代文化遺存的發現與認識 -兼談與朝鮮半島舊石器文化的關系-

        조빈복 ( Bin Puh Jao ) 한국고대학회 2011 先史와 古代 Vol.34 No.-

        동북지역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38곳의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유적과 출토된 유물은 수량이 풍부하고 종류가 다양하여 중국 동북지역 구석기시대 문화유적의 모습과 기술전통을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분석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한편, 한국 중원지역의 구석기시대 유적은 그 수량이 비교적 많은 편으로, 발견된 문화유적은 각각 구석기시대 초기, 중기, 후기를 대표하고 있다. 석기의 특징을 통해 볼 때, 한국 중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유적은 초기와 중기는 자갈돌 석기 위주이다. 석기의 원료는 석영암과 석영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중대형 석기가 다수를 점하고 있다. 후기의 석기는 소형석기 혹은 잔석기가 제작되었으며, 석재의 잔편이 주로 이용된다. 석기의 원료가 다양화되기 시작되며, 석영암, 석영 외에도 흑운모와 장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중국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구석기시대 문화는 진령(秦嶺)-회하(淮河)를 경계로 남북 양대계통(혹은 이원구조(二元結構))로 나눌 수 있다. 즉 남방의 구석기문화는 자갈돌석기 위주이며, 북방의 구석기문화는 석편석기 위주로 문화이다. 한국 중원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문화와 중국에서 발견된 구석기문화를 비교해 보면, 어렵지 않게 그들 사이의 매우 큰 유사성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나, 후기의 유적들 간의 잔석기 제작 전통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문화계통에 속한다는 것을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동북아 구석기시대 후기의 문화적 전파와 확산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The relics of Old Stone Age have been found in total 38 places in Northeastern area so far. The relics found and excavated are plentiful in numbers and various in kinds, which provide important data in recognizing and analyzing the cultural relics and technology tradition of Old Stone Age in Northeastern area of China in a comprehensive way. By the way, the relics of Old Stone Age in Joongwon region in Korea are relatively many in quantity and the cultural relics found there represent the early times, middle times, and latter times of Old Stone Age, respect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used, the relics in the early and middle times of Old Stone Age in Joongwon region in Korea were mainly pebbles. The materials of stone tools were mainly quartzite and quartz and most of them were middle and large-sized stone tools. In the latter times, small-sized stone tools or microlith were made and tiny fragments were mainly used. As the stone materials became diverse, biotite and feldspar were used in addition to quartzite and quartz. The culture of Old Stone Age that was found so far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two part of North and South (or dual structure) with the boundaries of Tsinling - Huaihe. That is, culture of Old Stone Age in South region was pebbles-centered while the culture of Old Stone Age in North region was flake tool-centered. Comparing the culture of Old Stone Age found in Joongwon region in Korea with the culture of Old Stone Age found in China, we can easily fi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cultures. In particular, the tradition to make microlith between the two cultures in latter times were quite similar, which not only explains that they belonged to the same cultural line but also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propagation and expansion of Old Stone Age in latter times in North East Asia.

      • KCI등재

        사할린섬의 전기 신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탐색적 논의

        방민규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aspects of the Neolithic period in the reg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the Early Neolithic period of Sakhalin Island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ife of the indigenous people of Sakhalin in the past. Archaeological research on Sakhalin Island is divided into four major stage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was conducted in the flow of the times of the Russian Empire (1867-1905), Japan (1905-1945), the Soviet Union (1945-1980s), and the Russian Federation (1989-present). In the 1990s and 2000s, about 30 relics of the Early Neolithic, Early Paleolithic and Post Paleolithic were excavated,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continuity from the Paleolithic to the Neolithic. Since the Sakhalin-2 project (1994-2009) carried out in Sakhalin over the past 20 years involves long-term construction and pipeline construction, the Russian government has put special efforts into excavating and preserving cultural assets in the developed area. Remains from various periods from the Paleolithic to the Middle Ages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s. There are about 40 relics from the Early Neolithic period on Sakhalin Island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The ruins ar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island,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types, reflecting the livelihoods used to adapt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first type is distributed in coastal villages, the second is distributed along rivers far from the coast, and the third is distributed in mountainous areas. The pre-neolithic age of Sakhalin Island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9,000 to 7,200 years ago.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Neolithic ruins of Slavnaya-5 (Славная-5), Adofutu-2 (Одопту-2), Pugachevo-1 (Пугачево -1), Slavnaya-4 (Славная-4) and Cape Zigzag (Пещера Зигзаг). We were able to obtain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Paleolithic to the Neolithic on Sakhalin Isl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avnaya-5 (Славная-5) and Adofutu-2 (Одопту-2) sites, which are the first stage of the Early Neolithic period, are characterized by the obsidian stone-cutting culture, and the second stage, Pugachevo-1. The remains of (Пу гачево-1) and Slavnaya-4 (Славная-4) show the characteristics of a combination of double-sided obsidian stoneware and stone tiles with tang.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olithic Age in each region by comparing it with the Neolithic culture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the Neolithic Ag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의 목적은 사할린섬의 전기신석기시대 고고학 유적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과거 사 할린 원주민의 삶의 모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할린섬의 고고학 연구는 시대적 배경에 따라 크게 4단계로 구분된 다. 러시아제국(1867∼1905년), 일본(1905∼1945년), 소련(1945∼1980년대), 그리고 러시아연방(1989∼현재)의 시대적 흐름속에서 진행되었다. 1990 ∼2000년대에는 30 여개의 전기신석기시대 유적, 전기구석기시대 그리고 후기구석기시대 유적들이 발굴되어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의 연 속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지난 20년간 사할린에서 진행된 사할린-2 프로젝트(1994-2009)는 장기간의 공사와 파이프라인 공사를 동 반하기 때문에 러시아 정부는 개발 지역 내 문화재 발굴과 보존에 각별 한 노력을 기울이며 공사를 진행했다. 구제발굴을 통해 구석기시대부터 중세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의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할린섬의 전기신석기시대 유적들은 40여 곳에 이 른다. 유적은 섬 전체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으며, 분포양상은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생계양식을 반영하여 크게 세가지 형태로 구분된 다. 첫 번째 유형은 해안가 만연안 지역 마을(슬라브나야-5, 아도푸투-2, 슬라브나야-4), 두 번째는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강가(푸가체보-1), 세 번째는 산악지대에 분포(지그자그 동굴)한다. 사할린섬의 전기신석기시 대의 편년은 보통 9,000∼7,200년 전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인 전기신석기시대 유적인 슬라브나야-5(Славная-5), 아도푸투 -2(Одопту-2), 슬라브나야-4(Славная-4), 푸가체보-1(Пугачево-1), 지그 지그 동굴(Пещера Зигзаг) 유적의 특징을 통해 사할린섬의 구석기시 대로부터 신석기시대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 다. 전기신석기시대 유적 중 1단계에 해당되는 슬라브나야-5(Славная -5), 아도푸투-2(Одопту-2) 유적의 특징은 흑요석제 뗀돌살촉 문화로 특 징지어지며, 2단계인 푸가체보-1(Пугачево-1), 슬라브나야-4(Славная -4) 유적은 양면가공 흑요석제 석기와 슴베가 있는 석기와의 조합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준다. 한반도 신석기시대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각 지역 신석기시대의 특징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여서도패총유적 자갈돌석기의 고고학적 의미 연구

        이헌종,김건수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8 島嶼文化 Vol.0 No.31

        신석기시대 여서도 패총유적에서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의 특성을 보이는 석기들이 출토되었다. 이 석기들이 주목되는 것은 그 고졸성 때문이다. 자갈돌석기들은 격지떼기를 위한 다양한 몸돌들과 격지 뿐 아니라 양면찍개, 외면찍개, 주먹도끼와 같은 중량석기들과 긁개, 톱날석기, 뚜루개 등 격지 석기들이 확인되었다. 유적의 발굴범위가 넓지는 않지만 석기구성은 구조적으로 석기제작과정을 이해하기에 충분하였다. 소형석기가 많지 않은 것은 격지를 석기의 용도로 사용했을 가능성과 발굴된 많은 골각기류들이 이를 대체했기 때문이다. 신석기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여서도 패총유적에서 확인된 이러한 자갈돌 석기들은 그 기술-형태상 후기구석기시대까지 연속되었던 자갈돌석기전통과 많은 상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와 북미의 갱신세-전신세 과도기 상에 나타나는 주요 석기문화 전개과정을 통해 연속될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에서는 전신세의 구석기시대가 있었으나 기존 후기구석기시대 최말기의 세형 돌날문화를 이어가고 있었다. 북미 지역에서는 서해안일대와 주요 강에 폭넓게 자갈돌석기가 넓게 확산되어 있었으나 세형돌날문화와 석창문화가 다양하게 확산되는 시기와 같은 시점에 나타났으며 주요석기들 가운데 창끝찌르개와 같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문화를 이어갔다. 우리나라도 역시 이 시기의 유적들 가운데 고산리유적에서 볼 수 있듯이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제작전통의 연속선상에서 석기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동안 신석기시대의 연구자들에게 간과되었던 타제석기류들이 확인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석기들이 최근 신석기시대 전기유적에서 폭넓게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여서도패총유적의 자갈돌석기는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의 연속선상에서 확인되었기 보다는 당시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타제석기제작기술 메카니즘 속에서 풍부한 주변 석재를 활용하여 제작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자갈돌석기들은 석재수급이 제한된 섬에서 나무를 다루는 크고 작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그 행위와 연관된 일정한 공간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된다. In Yeoseodo shell mound on the Neolithic Age, it is excavated to many stone tools which have the feature of Korean traditional pebble tools in the Paleolithic Age. The reason why these tools attract public attention comes from their archaic features. Pebble tools shows a lot of cores for flaking as well as heavy weight tools like chopping tool, chopper, hand-axe etc. and flake tools like scraper, denticulate, borer etc. Even though the excavated range of this site is not wide, the construction of tools is fully enough to be understood to their making processes systematically. The reason there is little small tools comes from the possibility to use flake as stone tools and the fact that the small tools were replaced by many excavated tools of bone and antler. Yeoseodo shell mound site is applicable to the former term of the Neolithic Age, and the pebble tools of the site have a lot of similarity with the tradition of the pebble tools which had been continued until the late Paleolithic Age in the technical and shapely aspect.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continuing possibility by the developing process of major stone-tools culture to be appeared in the transition stage between Pleistocene and Holocene of Northeast Asia and North America. In Siberia and the Far Eastern area, there was the Paleolithic Age of Holocene, but the area had continued the existed micro-blade culture in the latest term of the late Paleolithic Age. In case of North American area, pebble tools were widely expanded to all over the west coast and major rivers, but they appeared at the same time as micro-blade culture and stone-spear culture were diversely extended. The cultures was also transmitted to the stone culture of the late Paleolithic Age like spear point among major stone tools. In case of Korea, as we can see in Gosan-li site among the sites of those period, the stone tool complex was formed on the continuous line of tools manufacture tradition in the last Paleolithic Age. For the meantime, researchers on the Neolithic Age have passed over chipped stone tools, and according to excavating the tools, various kinds of tools recently was widely found in the early period sites of the Neolithic Age. On this background, the pebble tools of Yeoseodo shell mound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Neolithic Age’s people made and use the pebble tools by utilizing abundant peripheral stones under the mechanism of making technique for chipped stone tools, not that they were on the continuous line of pebble tools tradition in the Paleolithic Age. Especially, the study presumes that these pebble tools were used to carry out works to deal with woods in islands which the income and outgo of stones was limited, and were also excavated in the definite space related with the works.

      • KCI등재

        On Some “Early Palaeolithic” Evidence of Japan – A Personal Observation

        이선복 한국구석기학회 201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6

        This paper is a brief summary report of observations concerning the “Early Palaeolithic” problem of Japan. The existence of the “Early Palaeolithic” in Japan can be discussed with chronological and stratigraphic evaluation of the relevant sites and artifacts. Several key sites—Sozudai, Hoshino, Mukoyama, Gongenyama, Kiribara, Yamanoderayama and Fujiyama—are re-evaluated in terms of their lithic artifact composition, site formation, and their geological contexts. Notwithstanding that all of the suggested candidates are not to be genuine Japanese “Early Palaeolithic,” there is no reason to neglect the existence of early materials since the Japanese archipelago had been connected to the mainland Asia on and off to provide plenty of chances for early hominids to move into. Being covered by deep layers of volcanic materials, perhaps such earlier archaeological data are to be found; especially, specimens from the Akagi Mountain area shed a strong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 “Early Paleolithic” evidence will be found in the future, or that at least earlier sequence of Japanese palaeolithic would not be much different from that of neighboring area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구석기 유물의 탈색화 과정에 대한 고찰

        이형우 한국고고학회 2002 한국고고학보 Vol.47 No.-

        From the study of the Lower Palaeolithic artefacts from selected sites, I consider that the patination process can give a chance to answer the various archaeological questions.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patination is important is that the degree of alteration may vary significantly during the time after deposition. Patination occurs due to chemical weathering processes. More than 1000 artefacts which are come from England was assessed. Basically all the artefacts discussed here are made of flint. They are from all the archaeological sites which I concerned; Stanton Harcourt, Berinsfield, Iffley, Wolvercote, Highlands Farm, Clacton-on-Sea, Swanscombe and Barnham in England. Patination process on the artefacts offers its own kind of evidence to support the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It cannot be used to determine chronological sequence, however, it generate a speculation of post-deposition processes in specific contex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후기구석기시대 알타이 지역 돌날석기문화의 아시아 주변 지역으로의 확산 연구

        이헌종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4 유라시아문화 Vol.11 No.-

        알타이지역 EUP의 돌날석기문화는 40-30ka BP에 카라-봄 유형과 카라콜 유형이 공존하였으며, 각 유형의 유적들은 지역구분 없이 알타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의 돌날제작기술체계에는 ‘기원지 효과(origin effect)’에 따라 돌날을 떼기 위한 모든 범주의 기술적 속성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시베리아와 주변 지역의 유적들에서는 시간적으로 대형돌날떼기법에서 중소형돌날떼기법으로 그 기술체계가 진화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알타이 지역은 대부분의 기술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 기술은 앞선 르발루아 기술에 기초하고 있으며 돌날을 떼는 기술로 전환되는 과정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카라-봄 유형은 커다란 각주형의 몸돌을 활용한 돌날떼기법을 통하여 대형돌날로부터 중소형돌날에 이르는 여러 크기의 돌날을 떼는 박리전략을 포함하고 있으며 초대형돌날을 떼어내는 경향성을 갖고 있다. 카라콜 유형에서는 측면몸돌과 원추형 및 쐐기형몸돌이 중소형의 규모로 작아지면서 소형몸돌 혹은 세형몸돌로 그 기술이 확장되는 경향성을 갖는다. 하지만 양면박리 기반의 세형몸돌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 유형별 돌날몸돌의 크기는 중기구석기시대의 르발루아 몸돌의 크기와 깊은 연관이 있다. 물론 이 두 유형 모두 대형돌날몸돌이나 소형 혹은 세형돌날몸돌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은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편년과 제작기술체계에 따르면 알타이 지역의 돌날떼기 기술은 40-30ka BP에 알타이 지역을 벗어나 초원지대를 따라 중부와 동부 시베리아로, 중앙아시아, 몽골, 내몽골 등 알타이 남부의 접경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EUP유적들의 석기의 진화단계를 살펴보면 알타이 지역과 달리 돌날제작기술체계가 카라-봄 유형이 발전하거나 카라-봄 유형에서 카라콜 유형으로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폭넓은 돌날 감쇄전략을 포괄한 [A 기술인자], 양면박리 기술이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B 기술인자], 다량의 돌날 및 세형돌날 소재가 필요한 경제적 요구가 있는 [환경인자]가 동시에 충족되어야 양면박리 기반의 세형돌날문화가 등장할 수 있다. 세형돌날문화 초기에 극동지역(셀렘자 후기구석기유적군)에서는 양면박리기반의 세형돌날문화가 정착했다면 알타이 지역 카라콜 유형에서 시작된 세형돌날기술은 돌날기술을 계승하여 알타이 지역 내(아누이 2유적)에서 뿐 아니라 몽골, 중앙아시아, 내몽골 일대의 쐐기형을 비롯해서 원추형, 각주형 등 세형돌날기술체계로 정착했을 가능성이 크다. The blade industry of Altai region largely consisted of Kara-Bom variant and Karakol variant coexisting between 40 and 30 ka, and relics of each type are distributed in various regions of Altai without regional distinction. The blade technological system in this region reflects all categories of technical elements for reducing the blade according to the ‘origin effect’. In particular, in sites in Siberia and contigeous regions, the technological system gradually evolves from large blade to middle and small blade reduction stratagy, but it is noteworthy that most technologies appear simultaneously in the Altai region. This technology is based on the succeeding Levallois technology and each influenced the transition to blade technology. The Kara-Bom variant includes reduction strategy, which flakes blades of various sizes from large blades to small and middle blades through blade production utilizing a large prismatic core, and has a tendency to remove very large blades. Producing these blades involves advanced technology that requires special skills in blade reduction technology. In the Karakol variant, it can be seen that the narrow faced core, conical core, wedge-shaped core that appear are reduced to small and medium-sized blades. This type shows the tendency of the technological system to produce small and medium-sized stone blades rather than large stone blades. Additionally, a microblade core based on bifacial flaking does not exist. The size of the blade core of each variant i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the Levallois core of the MP.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both of these variants do not have large blade cores or small and microblade cores, but that they show the same tendency. According to chronology and blade production technology, this technology in the Altai region left the Altai region in 40-30 ka and spread along the steppe of central and eastern Siberia, and to the border areas of southern Altai, such as Central Asia, Mongolia, and Inner Mongolia. Looking at the evolutionary stages of stone tools in representative EUP sites such as the Tolbor site in Mongolia, the Obi-Rakhmat and Ushbulak sites in Central Asia, the Shuidongou site in Inner Mongolia and the Suyanggae site in Korea, including the Siberian steppe, we can see that, unlike the Altai region, the stone blade production technology system tends to appear in stages from the Kara-Bom type to the Karakol type. This observation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Zwins and other scholars who have different views on the origin theory of blade industry in the Altai. This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spread of stone tool culture will be important data in understanding the migration flow of the Denisovan(Homo sapiens altaiensis). Meanwhile, the research results so far are clear that these two variants of blade industry have spread to various regions of North Asia and Northeast Asia, but they only confirm fragmented information centered on major sites. Among the blade technologies of the Karakol vari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blade core was manufactured. However, it is questionable how this technology evolved into a systematic microblade technology based on the bifacial flaking found in the Selemdja Upper Paleolithic complex(27ka BP). A microblade industry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can emerge only when [Technical Factor A] encompassing a wide range of blade reduction strategies, [Technical Factor B] where the bifacial technique is universally used in tool manufacturing, and [Environmental Factor] where there is an economic need for a large number of blades and microblades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Presumably, if the microblade industry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was initially established in the Far East, the microblade industry that started in the Altai region as the Anui 2 site is likely to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microblade technological system such as the wedge type, conical type, and prismatic type in Mongolia, 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