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소 업무 중요도 및 공간 적절성에 관한 연구

        장정미(Chang, Chong Mi),이소은(Lee, So E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과거의 보건소의 기능이 전염병 관리나 가족계획사업과 같은 1차 보건사업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보건으로 점차 확대되고 다각화로 변화됨에 따라 보건소 업무에 따른 보건소 공간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으로 유기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보건소의 업무와 프로그램, 이와 관련된 공간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보건소 사업프로그램이 다양해짐에 따라 현재 보건소 업무 중요도와 공간 적절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지역주민의 보건 서비스를 위한 보건소 공간계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 및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경기도 소재 지역의 보건소 직원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정보 D/B 및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와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조사는 보건소에 20년 이상 근무 경력의 직원 3명을 대상으로 Depth Interview 방식을 활용하여 보건소 각 기능과 공간의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설계, 조사, 분석의 순으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논문, 관련서적 및 참고문헌의 선행연구를 통해 보건소 업무 중요도와 공간 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과 설문지를 통한 분석 및 보건소 업무공간에 관련한 제언이 포함되어진다. 업무중요도 분석 결과, 업무중요도의 125점(5점) 중 평균 96.15점(3.85점)으로, 이 중 결핵관리가 업무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금연사업, 보건교육, 만성질환 순으로 업무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검진이 업무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타나났다. 공간적절성은 165점(5점) 중 평균 94.55점(2.87점)으로 공간적절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예방 접종실이 공간적절성이 가장 낮고 다음은 방문보건실, 민원실 순으로 공간적절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의 중요도와 공간 적절성을 현재 보건소에서 운영 중인 조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질병관리와 행정사무를 제외한 의료검사, 건강증진, 지역보건, 감염병 관리는 업무의 중요도와 공간적절성이 역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 중요도에 비해 공간은 협소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보건소에서 업무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공간이 기획되어진 것으로, 향후 보건소 공간 계획 수립 시 업무 중요도를 고려한 공간 배분과 지역 사회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공간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past, community health centers used to engage in primary health project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nd family planning. Today their functions have become extensive and diversified gradually for the health of residents in the community. It is time to initiate discussion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spac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ccording to their tasks. There is a rising need to investigate the tasks and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which have been developing organicall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cerned space. The reality, however, indicates poor research efforts for the topic.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of curren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ly diverse projects and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providing basic data and guidance needed to make space plans for community health centers to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better health service. The study employed the survey technique for its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6 staffer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It was accompanied by literature study on the information databases, papers, and publications including books home and abroad and also a primary preliminary study, which involved three staffer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a depth interview and classified the functions and spatial feature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results were then used in questionnaire design, survey, and analysis in the order.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study encompassed papers, related books, and references in previous studies, investigations into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tial composition of community health centers,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ponses, and proposals for the working space of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of task importance show that they scored mean 96.15 points(3.85 points) out of 125(5) and that tuberculosis management recorded the highest task importance, being followed by anti-smoking projects, health education, and chronic diseases in the order. Checkup recorded the lowest level of task importance. The appropriateness of space was low at mean 94.55 points(2.87 points) out of 165(5). The vaccination room recorded the lowest level of space appropriateness, being followed by the visiting healthcare room and the civil service room in the order. The study then analyzed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th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were currently running and found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in medical examination, promotion of health, local healthcare,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Disease control and administrative affairs were exception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some important tasks were given small space. Tho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made spatial plans without taking task importance into consideration. They will serve as basic data in future spatial plan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to allow for spatial allocation according to task importance and spatial planning for organic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말하기ㆍ듣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적절성’에 대하여

        오현진 한국화법학회 2008 화법연구 Vol.0 No.13

        This study was intended to systemically look at terms which are uttered many times as the purpose or content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yet whose range or concepts were ambiguous-such as ‘appropriate’, ‘appropriately’, ‘in appropriate ways’, and so on. To do this, the concept of what ‘appropriateness’ was first defined, and appropriateness principals considered between speaking and listening were summarized. ‘Appropriateness’ can be stated as the ability for the speaker and listener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by selecting the most compatible and natural thing, with considerations on their communicational situation or purpose. Based on this definition about appropriateness, when we summarize the content articles directly/indirectly connected to appropriateness in the revised curriculum, we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1) A specific and clear conceptual definition about appropriateness was not formed in any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or commentary. 2) The range of the “situation” which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appropriate speaking and listening is unclear. 3) The content articles related to appropriateness were su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relation or connection between divisions of grade and field along satisfaction standards and content factors. 4)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ness of reflection’ related to appropriateness became rather weak compared to the 7th curriculum. ‘Appropriateness’ is one of the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eded to improve speaking and listening abilities. Therefore, ‘appropriateness’ in the curriculum and commentar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guide and handbook of speaking/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more clear and specific. 이 연구는 말하기와 듣기 교육의 목표나 내용으로서 교육과정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그 개념이나 범위가 불분명하였던 ‘적절한’, ‘적절하게’, ‘적절히’ 등과 같은 용어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적절성’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을 정의하고, 말하기와 듣기 중 고려해야 하는 적절성의 원리를 정리해 보았다. ‘적절성’은 화자와 청자가 의사소통의 상황이나 목적을 고려하여 그에 가장 부합하고 자연스러운 것을 선택하여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적절성에 대한 이와 같은 정의를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에서 적절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항목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1) 개정 교육과정이나 해설의 어느 곳에서도 적절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개념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적절한 말하기와 듣기의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상황’에 대한 범주가 불분명하다. 3) 적절성과 관련된 내용 항목들이 성취 기준과 내용 요소의 학년별, 영역별 관련성이나 연계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제시되었다. 4) 적절성과 관련된 ‘반응의 적절성’의 비중이 7차 교육과정에 비해 오히려 약화되었다. ‘적절성’은 정확하고 효과적인 말하기와 듣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 중 하나이다. 이에 말하기․듣기 교육의 지침이자 안내서라고 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해설에서 ‘적절성’에 대해 보다 명시적이고 구체적으로 진술해 주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신의료시설 입원 / 입소환자의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이영문,이호영,정영기,이충순,김병후,이주훈,임기영,이만홍,오병훈,도정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3

        정신과 입원시설에 입원 중이며 주요 정신과 진단이 정신분열증, 기질성 뇌증후군 등인 환자들의 재원 적절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정신요양원 입소환자 50명, 정신병원 입원환자 50명, 대학병원 입원환자 28명 등 총 1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고안한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 32개 항목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의 32개 항목과 정신과 의사의 임상적 평가와 항목분석을 시행한 결과, 자해 및 타해 위험도 항목 9개, 자기관리 및 신체위생 유지능력 항목 7개, 치료서비스 수준 항목 6개, 시간제한적 프로그램 수준 항목 4개 등 4개 영역 총 26개의 항목만이 재원적절성 판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6개 항목으로 구성된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와 임상적 평가에 의한 재원 적절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의 재원 부적절군에 대한 예민도는 100%로 나타났으며 특이도는 49%로 나타나 재원 부적절군에 대해서는 임상적 평가가 보완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중심으로 생각해 볼 때, 정신과 입원환자의 재원 적절성 평가 도구는 정신보건요원에 의해 일차적인 재원 적절성 판정을 하고, 재원 부적절군에 한해서는 임상의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가 이차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tay whose the hospitalized inpatients in various psychiatric facilities in Korea, the authors conducted the Appropriateness Evaluation Scale(AES) which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expert committee. Total 196 inpatients were evaluated ; 50 from asylums, 50 from mental hospitals, 30 from public hospitals, 38 from university hospital, 28 private clinic. Main diagnoses were schizophrenia, organic brain syndrome according to DSM-Ⅲ-R. The results were followed ; 1) The initial 32 items of AES were evaluated for their significance of clinical judgement by item analysis. The result revealed that only 26 items of AES contributed to appropriateness of clinical judgement. 2) The final 26 items from item analysis were compared with appropriateness of clinical judgement throu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sensitivity of appropriateness from AES was 100%, but the specificity was 49%. From the above results, the authors concluded that AES must be complemented the clinical judgement items for the group of inappropriateness. For the future study to conduct the appropriateness among hospitalized psychiatric inpatients, the authors recommended two stage screening method ; full first stage screening test conducted by non-psychiatrist with 26 items of AES, and second stage of clinical evaluation by psychiatrist in terms of psychopathology.

      • KCI등재

        교육재정 배분의 공평성ㆍ적절성 개념과 측정방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준렬(Choi, Joon Yu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4

        연구는 교육재정 배분의 기준이 되는 공평성과 적절성의 개념과 측정방법을 살펴보고 이들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평성의 개념을 수평적 공평성, 수직성 공평성, 재정의 중립성 차원에서 분석하였고, 적절성을 교육의 목표달성도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공평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범위와 연방범위비율, 분산계수, 기니계수, 맥룬지수, 가중학생수, 가중가격지수, 상관계수, 탄력성을 분석하였으며, 적정교육비를 산출하는 모형으로 전문가판단모형, 성공교육청모형, 비용함수모형, 증거기반모형을, 적절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오든피쿠스 적절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교육재정배분의 공평성은 다각적으로 측정되고 있으나 적절성을 측정한 많지 않다. 교육재정을 합리적으로 배분하고 책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성을 측정하고 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at reviewing and applying the concepts and methods of the equity and adequacy of educational funding. There are several kinds of concepts of equity and measuring methods. The equity means broader than the equal opportunity, including fairness. The types of equity are the horizontal equity, the vertical equity, and the fiscal neutrality, focused on the input of resources. The adequacy focuses more on the process and the output than the input. It is the criteria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or local office of education sets to achieve the goal such as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The methods to measure the equity or the adequacy are range, ratio, decile distribution ratio, coefficient of variation, Gini coefficient, McLoone coefficient, pupil need weight, price difference, correlation coefficient, elasticity, and OPAI. Most of them are methods to measure the horizontal equity. Many measuring methods for the horizontal equity have been developed because of the object data and easy management. On the contrary, the methods for the vertical equity has not developed well. The methods developed for the vertical equity focuses only on the cost differentials considering the local educational condition or the traits of students. As educational expenditures for the adequacy is very hard to estimate and to relate it with student outcomes, few methods are developed. To estimate the adequate expenditure they use the input or professional judgement approach, the successful district approach, the cost function approach, and the evidence based approach. The method measuring the adequacy is only the. Odden-Picus Adequacy Index. The rational distribu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educational outcomes depend on the distribution methods and level. The distribution methods should shift from the equity oriented tp the adequacy oriented. To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the adequacy based distribution should be eagerly used.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내용 적절성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이용주(Lee, Yong Joo),조숙영(Cho, Suk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3-5세 누리과정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누리과정의 주요구성 방향, 목적 및 목표, 5개 영역별 내용 적절성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강원도지역에 근무하는 어린이집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3-5세 누리과정 해설서에 제시된 주요구성 방향, 목적 및 목표, 5개 영역별 내용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주요구성방향의 내용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5개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 한다’에서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25세 미만의 교사가 연령이 높은 교사보다 주요구성 방향의 모든 내용에서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목적 및 목표의 내용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일상생활의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과 바른 언어 사용 습관을 기른다.’의 목표에서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신체운동․건강영역의 내용 중 ‘건강하게 생활하기’를, 의사소통영역의 내용 중‘듣기’를, 사회관계영역의 내용 중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조절하기’를, 예술경험영역의 내용 중‘아름다움 찾아보기’를, 자연탐구영역의 내용 중‘과학적 탐구하기’에서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main composition direction of Nuri curriculum, purpose and goal, and perception on the appropriacy of contents by 5 domain-specific contents. To do so, this study composed a questionnaire in reference to the precedent studies based on the main composition direction suggested in a handbook of Nuri curriculum of 3-5 years, purpose and goal, and contents by 5 areas around 288 child 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do. First, the highest relevance of perception was shown on 'Five central areas of comprised of physical․exercise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 and nature exploration'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content adequacy of the main content's direction of three to five year Nuri curriculum by age group. Especially, teachers under 25 years old showed higher perception regarding adequacy in all content of main content direction than older teachers. Second, for perception on the appropriacy of the purpose and goal of Nuri curriculum by age of 3-5 years, it was identified that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level on the purpose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develop necessary communication skill in everyday life and habit of using proper and correct language.' Third, for perception on the appropriacy of the purpose and goal of Nuri curriculum by age of 3-5 years, 'to live healthy' showed highest perception level among contents of the physical exercise․health area, 'listening' among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area, 'to know and work with other people's feelings' among contents of the social relation area, 'to find beauty' among contents of the art experience area, and 'to conduct scientific investigation' among nature inquiry area.

      • 노인복지정책 진단과 발전 전략 모색

        정경희,강은나,이윤경,황남희,양찬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노인인구의 절대적인 규모 증가와 다양성 증대로 인하여 경험적 기반에 기초한 구체적인 노인복지정책 수립 및 방향 설정 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인구(65세 이상)의 비중이 14%에 달하는 2018년이 가까워진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노인복지정책을 노인의 특성과 욕구라는 정책수요자의 시각에서 진단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2. 주요 연구 결과 노년기의 4고[苦(빈곤, 질병, 소외, 무위)]로 언급되는 4종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정책을 중심으로 방향성, 충분성(양적 측면), 적절성(질적 측면), 형평성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 정책적 함의 및 과제 정책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도출된 정책적 함의를 정책 영역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소득보장 정책과 관련해서는 적절성과 관련하여 노인의 빈곤 감소 목표 설정의 합리성 제고와 소득 대체율 조정을 통한 국민연금의 소득보장 기능 강화, 충분성과 관련해서는 기초연금의 급여수준 조정 및 국민기초생활보장의 부양 의무자 기준 완화, 형평성과 관련해서는 형평성 제고를 위한 국민연금 개선 방향 마련이 제안되었다. 둘째, 노인 건강 지원 정책과 관련해서는 적절성이 가장 큰 문제로 파악되었다. 적절성 제고를 위한 방법으로는 이용자 중심의 맞춤형 노인 건강 증진 사업 추진 및 서비스 개발과 인력 및 인프라의 질적 개선 및 지역사회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lace)의 구현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노인 돌봄 정책의 경우는 적절성 제고를 위한 연속적 돌봄 체계 구축, 재가 중심 보호의 확대를 위한 체계 개편과 서비스의 질 향상 방안 모색이 제안되었다. 넷째, 노인의 경제활동 지원 정책의 경우, 노년기 경제활동에 대한 관점 정립을 통하여 적절성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민간 일자리 연계 및 발굴,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의 적극적인 협업이 제안되었다. 또한 노인의 건강 및 경제 상태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통하여 정책의 적절성과 형평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활동 지원 정책과 관련해서는 정책의 지향성을 적절한 공공과 민간의 역할 분담 방안 모색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여가활동에 대한 균형 잡힌 지원을 통하여 적절성을 제고하며, 서비스 내용과 인력의 고령 친화성을 증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보건복지기본계획(가칭)과 서비스의 내용 대비 담당 행정 체계, 또는 전문기관의 적절성과 전문성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추진 체계에 관한 규율을 노인복지법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With rapid demographic changes in Korea,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have increased in both proportion and number. In 10 years, those aged 65 and over will take up 20% of the Korean population. In addition, the diversity among older persons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dramatic socioeconomic changes over the last 40 years. Therefore, it is time we come up with long-term policy strategies in respons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welfare polices on older persons and suggest strategies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Part 1 reviews previous evaluations of policies on older persons and existing statistics on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persons. Part 2 presents the results of evaluation( in terms of the coverage, adequacy and equity) of policies concerning economic security, health, long-term care, labor and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se evaluations, policy issues and strategies are discussed. Part 3 presents the results of survey regarding policy issues and strategies of welfare polices for older persons. The respondents are professors and researchers on gerontology. The last part makes policy suggestions and priority setting toward the society older persons can enjoy stable and active lives.

      • KCI등재

        한국 정신보건시설 입원/입소에 대한 재원 적절성 분석

        이영문,김현수,이호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한국에서 정신보건시설에 입원중인 환자들의 재원 적절성을 분석하여 재원적절성의 상황을 평가하고 입원중인 환자의 재분류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한국 정신보건의 정책과 대안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방 법 : 재원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집단에서 표본집단을 추출하였고 이들에게 재원적절성 평가도구를 실시하였다. 정신보건요원과 정신과 의사에 의해 척도평가와 임상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다시 종합평가함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Chi-square test에 의해 검정되었다. 결 과 : 종합적 평가에 의하면 한국 정신보건시설에서의 재원적절성은 45.1%로 나타났으며, 척도평가에 의한 재원적절성 판정을 하는데 기여한 주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조사기관과 연령이 재원적절성 판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성별, 진단분류 등의 순이었다. 결 론 : 한국 정신보건시설 입소/입원 환자에 대한 재원적절성 분석의 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추후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재원부적절에 대한 연구도 더 조사되어져야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We tried to judge appropriate psychiatric hospitalization in Korea. Mental health policy necessitates the evaluation and discussion of the appropriateness for psychiatric hospitalization. This consideration will be the important index for mental health in Korea. Method : We selected samples by 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PPS). And we used Appropriateness Evaluation Scale(AES) developed by us. Criteria assessment and clinical assessment were done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psychiatrists. Overall assessment followed our flow chart. Data were analyzed with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 In the overall assessment, the rate of appropriate psychiatric hospitalization was 45.1%. The most contributing factors to appropriate psychiatric hospitalization were the kind of institutions, age, sex, the classification of diseases in descending order. Conclusion : We think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ies for appropriate psychiatric hospitalization will be followed by next other research and also the inappropriate psychiatric hospitalization will be scrutinized further.

      • KCI등재

        감정진리와 감정의 적절성 문제에 대한 고찰

        양선이 ( Sun Ny Y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49

        최근에 드 수자는 감정 진리(emotional truth)문제를 통해 감정에 관한 강한 인지주의가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감정에 관한 강한 인지주의자들은 감정을 명제적 판단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신체적 증후를 동반하는 감정 경험과 대상에 대한 판단이 실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립불가능한 비일관적 상태에 있게 된다고 비판받아왔다. 드 수자는 감정을 믿음 또는 판단과 달리 지각으로 보게 되면 강한 인지주의처럼 양립불가능한 비일관적인 상태에 있지 않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감정의 참 거짓 여부는 의미론적 만족과 독립적이고, 감정진리는 성공을 의미한다. 그리고 감정의 성공은 형식적 대상(formal object)과의 적합(fitting)여부이기 때문에, 예컨대, 거미 포비아의 경우, 공포의 형식적 대상인 위험성(dangerousness)에 그 공포감정은 적합하지 않으므로, 그 감정은 성공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거미 포비아 같은 경우 판단과 감정모순이 아닌 감각질에 수반한 유인가의 차이 때문이라고 말함으로써 인지주의가 부딪히게 될 모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러나 감정에 대해 형식적 대상과의 적합성(fittingness)외에도 적절성(appropriateness)을 말할 수 있으므로, 드 수자는 적합성 외에도 적절성의 문제 다루어야 한다. 그는 적절성의 기준으로 반성적 평형을 제시하는데, 그가 말하는 반성적 평형의 의미가 구체적이지 않고 너무 모호한 채 남겨져 있다. 드 수자 이론의 더 심각한 문제점은 감정진리를 논하는 데 있어 성공 개념과 적절성 개념을 섞어서 사용함으로써 그는 도덕적 고려와 관련되는 감정의 적절성과 인식적 보증과 관련되는 적합성의 구분을 흐리게 만들었다. 그는 소위 ‘합성문제(conflation problem)`에 빠진다고 볼 수 있다. 드 수자가 이러한 혐의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속성 귀속과 관련된 적절성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드 수자는 이러한 도전에 대해 응수하지 못하고 있다. 나는 드 수자가 처하게 된 합성문제를 가치에 관한 반응의존이론을 통해 해결해 보고자 한다. In his recent discussion, de Sousa tires to solve the problem that a strong version of cognitivism of emotion faces. The strong cognitivists put the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the cognitive element having intentional content and take the object of an emotion to be its propositional content. It has been argued that if the strong view were true, emotional recalcitrance would seem to predict that people can be inconsistent state. De Sousa argues that if we take emotion to be perception, unlike belief, we can avoid the difficulty that strong cognitivist faces. De Sousa claims that emotional truth is concerned with the correctness of the emotional evaluation, and holds that it refers not to semantic satisfaction but to success. If this is so, emotional truth can be said to be whether the particular emotional object fits the relevant formal object. A spider-phobic person`s fear of spider is satisfied if spider exists but it is not successful if spiders are not dangerous. Furthermore, he claims that in the case of spider-phobic person`s fear, s/he is not in a contradictory state between the belief and emotion, but it is due to valence supervenient on qualia. Given this, he argues that we can avoid the difficulty that the strong cognitivists face. I shall raise two objections against de Sousa and present the alternatives. In addition to fittingness to its formal object, emotion can be called appropriate or inappropriate. Hence, de Souse should distinguish between propriety and correctness. This is because an emotion can be fitting despite being wrong to feel. de Souse presents a wide reflective equilibrium as the standard of appropriateness. But this idea remains too unclear.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de Sousa`s theory is vulnerable to what D`arms and Jacobson call the “conflation problem”: it offers no resources to differentiate moral and prudential reasons for feeling a sentiment from reasons bearing on whether X is φ.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that de Sousa face, I shall take a response dependence theory of value.

      • KCI등재

        통계학적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학 연구논문의 연구단계별 적절성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권재경,최원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1

        21세기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에서는 통계와 인간 생활과 의 관계가 더욱 밀접해지고 있어 디자인학 분야는 물론, 경영 학, 심리학, 공학, 인문학 등 심지어는 행정 업무에 이르기까 지 통계학적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분야가 거의 없다. 디자인 학 영역도 과학적 이론을 갖춘 학문적 영역으로 정착하려면 통계학적 방법을 거치지 않을 수 없고, 통계를 올바르게 적용 했는가에 대해 엄격히 점검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신속 정 확하게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은 의사 결정 과정에 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목적은 디자인학 연구논문의 통계학적 기법을 활 용한 연구단계별 적절성과 올바른 통계학적 기법 선택을 통 하여 보다 다각적인 해석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방안을 제고 하고, 디자인학 연구 방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2004년 창간 호부터 2012년 23호까지 ‘브랜드디자인학연구’ 학술지를 대상 으로 총 391편의 연구논문 중에서 분석 대상인 통계학적 기 법을 활용한 159편을 중심으로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연구단계별 적 절성에 대한 결론 도출단계에서는 대체로 만족스럽게 검정되 었으나 연구 설계단계에서는 많은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통 계학적 추론단계에서는 기술해야하는 내용들을 무무시하거 나 누락시킨 경우가 많았다. 통계학적 기법의 활용현황을 보 면, 통계학적 기법을 활용한 논문은 총 159편으로 통계학적 기법적용 빈도는 빈도분석을 포함한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다음이 T검정,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상관분석, 카이제곱 검정, 기타통계 등의 순서로 다양하게 사 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논문별 여러 개의 통계기법 을 활용한 경우가 많아 총 312회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 과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통계 패키지를 통한 단순한 자료처리 방법의 습득만이 아니라 연구단계별 통계학적 기법 적용방법에 대한 기본 원리의 이해와 적절성 이 충분히 확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연구결과에 나타나듯이 통계학적 기 법을 활용한 연구단계별 적절성은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브랜 드디자인학 연구 학술지에서는 아직까지 적절하게 적용된 논 문보다 미흡하거나 부적절한 논문, 무시함 논문의 빈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통계학적 기법을 활용한 연 구를 진행할 때, 과연 진실이라고 믿어도 좋은가를 검정하여 봄으로써 장점과 단점을 모두 밝혀내고 연구단계별 적절성의 오류로 인하여 과학적 연구로서 가치를 의심받거나 평가절하 되지 않도록 하고, 그 영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재고와 적절 성에 근거한 연구가 검토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는데 중 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계학적 오류를 피하는 동시에 디자인학 연구 활동에 참고가 되고, 통계학적 기법을 활용한 연구단계별 적절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통계학적 처리방법을 적용하여 다각적인 해석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학문적인 디자인학 연구논문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wishes to search method and reasonable design science research direction of effective research me thodology judging present condition class of suitability b y research phase and statistical method selection that infl ect statistical method inflection of design science researc h papers. Suitability by research phase of brand design science r esearch papers is 391 from 2004 till 2012. And used conte nt analysis method by 159 research papers that use statis tical method. If summarize result that appear in this rese arch, satisfactory was evaluated generally in conclusion. Also, at research design phase, a lot of mistakes were found, and there were a lot of occasions that statistical reasoning phase ignores and analyzes contents that shoul d describe. Also, research design phase a lot of mistakes were found, and there were a lot of occasions that statisti cal reasoning phase ignores and analyzes contents that s hould describe. Must do comprehension of basic principle about picking up and statistical method of simple data pr ocessing method through statistics package to improve p roblems that appear in study finding. Suggestion point of this research is making realization new about value as scientific study by mistakes of suitab ility by research phase and estimation. Therefore, wish to be consultable, and search effective design science resear ch direction because judges suitability by research phase and right statistical method selection etc. that use statisti cal method in design science research activity without do ing statistical mistakes through this research.

      • KCI등재

        부호화 전략 유형과 동시과제 처리 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영신(Youngshin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6 인지과학 Vol.27 No.1

        본 연구는 미래계획기억(PM) 수행에서 기억전략과 동시과제 처리적절성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실험 1에서 목표단어 파지를 위한 기억전략 유형이 부호화 단계에서 조작되었다. 먼저 메타 전략을 통해 목표단어를 기억해야했던 참가자들은 PM 과제 수행에 대한 수행 난이도에 대한 주관적 평정과 자신의 수행 예측 정도를 판단해야 했으며, 인지 전략을 통해 목표단어를 기억해야 했던 참가자들은 목표단어에 대한 문장 산출과 주관적 호감도 평정을 해야 했다. 또한 모든 참가자들은 목표단어와의 처리적절성이 높은 동시과제와 낮은 동시과제 두 종류 모두를 수행하면서 PM 과제를 수행해야 했다. 실험 2는 실험 1의 반복검증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처리적절성에 대한 동시과제의 종류를 제외하고 실험 1과 모든 것이 동일하였다. 실험 결과, 두 실험 모두에서 메타 전략 조건의 참가자들이 인지 전략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PM 수행 정확률이 더 높았다. 또한 처리적절성이 높은 과제에서 PM 수행 정확률이 더 높았다. 두 조건들 간에 상호작용도 나타났다. 메타 인지 조건에서는 처리적절성이 높은 동시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PM 정확율이 좋았던 반면, 인지 전략 조건에서는 처리적절성에 따라 PM 정확율에 차이가 없었다. 동시과제에서는 조건들 간에 아무런 수행의 손실이나 이득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서 메타 인지처리과정에 의한 수행의 향상은 인지자원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y and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TAP) on prospective memory performance. In two experiments, encoding strategy for PM target words was manipulated by instructions. Participants who were assigned to meta strategic condition were engaged to rate task difficulty(EOL) in addition to predict their own performance(JOL), while participants in cognitive strategy condition were to remember target words by pleasantness ratings and sentence generation. In experiment1 and experiment 2, all participants in both conditions performed not only TAP ongoing task but also TIP ongoing task. Results revealed the benefit of meta cognition and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on PM performance. Furthermore, the benefit of TAP was diminished in cognitive strategy condition. There were no-costs on judgement tasks across condi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ta-cognition allows to sustain PM targets and intention without regard to cognitive re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