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벽가>의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와 창작소재로의 활용양상

        김기형 판소리학회 2006 판소리연구 Vol.22 No.-

        Transformation of Genre for recreation of <Chukbyukga> and Applications as creative subject matterKim, Kee HyungThe issue of <Chukbyukga>'s recreation can be separated into a subject of Transformation of Genre and Possibility that is useful to create a new work of art.<Chukbyukga> is still recognized meaningful text in these days by recreations through continuous Transformation of Genre.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recreation of <Chukbyukga> through Transformation of Genre goes on actively. It is still valuable as a Classical literature to bear new construction over the era. <Samkukjiyunhi> ―Chinese novel preceding <Chukbyukga>― has already acquired universality as a Classic in East-asia, and <Chukbyukga> has been comprehended a literary work which recreated in the same field of universal value.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work to recreate <Chukbyukga> is how to analyze the theme. I tried to present following 3 points of view to analyze <Chukbyukga>. <적벽가>의 주요 특징으로, 웅장하고 호방한 소리, <삼국지연의>와 구별되는 <적벽가>만의 독자적인 세계, 시대에 따라 늘 재해석될 수 있는 깊이 있는 주제의식 등을 꼽을 수 있다. <적벽가>가 장르 변용을 통해 재창조되었거나 창작 소재로 활용되는 사례가 여타의 전승 판소리 작품과 비교하여 그다지 많다고 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점검해 보는 일은 매우 긴요한 작업이다. 그동안 <적벽가>는 창극, 마당놀이, 창작극 등의 갈래로 거듭 재창조되면서 새로운 의미 영역을 개척해 왔다. 그렇지만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적벽가>의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적벽가>의 창극 공연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방대한 전쟁 상황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데 있었다. 지금까지 공연된 창극 <적벽가>를 보면, 판소리 <적벽가>의 음악어법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여 소리를 짰다. <적벽가>는 무대화하기가 무척 난해한 것으로 정평이 났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적벽가>를 창극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창극 양식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적벽가>는 창극 이외에 갈래 변용을 통해 마당놀이 <삼국지>, 창작극 <난세 조조> 등으로 공연되기도 하였다.<적벽가>는 창작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사설을 문맥에 맞게 차용하거나 부분적으로 변용하여 수용하는 경우, 남성적이고 웅건한 창법을 활용하는 경우, 전쟁(싸움) 이야기를 활용하는 경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오월 광주>, <스타크래프트 초반대전>, <대고구려>, <광시 적벽가> 등에서 그러한 활용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전통예술 - 특히 판소리에 기반하여 새로운 예술 작품을 창작할 때 <적벽가>는 창작의 소재로 긴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전쟁과 관련된 작품 혹은 음악적으로 호방하고 웅장한 소릿조가 필요할 때, <적벽가>는 창작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소재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적벽가의 원형과 형성 재검토

        김상훈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7 No.-

        19세기 초·중엽에 편찬된 육당본 『청구영언』에 들어 있는 ‘가곡 <적벽가>’는, 송만재(1788~1851)의 1843년 작 <관우희> 및 이유원(1814~1888)의 1871년경 작 <관극팔령>의 ‘판소리 <적벽가>’ 묘사 부분과 그 서사(敍事)가 같다. 육당본 『청구영언』에는 ‘가곡 <적벽가>’ 외에도 <삼국지연의>를 소재로 한 가곡(시조)들이 다수 들어 있다. 이 같은 시조들이 김수장을 비롯한 가객들에 의해 19세기 초·중엽 이후 널리 가곡으로 불려진 현상은 <삼국지연의>의 전래 시기와 그 향유 및 전파 방식의 통시적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삼국지연의>는 16세기에 우리나라로 유입되었고, 17세기에는 한글 번역본의 유통 등으로 그 이야기가 민간에 널리 알려졌다. 이 같은 시대적 흐름 위에서, 18세기에 들어와 김수장을 비롯한 가객들에 의해 <삼국지연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시조들이 창작되고 또 가곡으로 불려졌던 것이다. <삼국지연의>의 전편을 넘나들며 소재를 취한 위 작품들 중 관우의 장한 의기를 주제로 삼은 ‘가곡 <적벽가>’가 특히 돋보여서 ‘12잡가’와 ‘판소리’ 같은 후대의 노래 갈래들로 확대·전이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07년 3월 19일 발매된 한국 최초의 상업 음반의 하나에 취입된 ‘12잡가 <적벽가>’의 노랫말은 1976년 발간된 이창배(1916~1983)의 『가요집성』에 실린 노랫말과 같을 뿐만 아니라, 100여 년이 지난 오늘날 불려지고 있는 노랫말과도 같다. 이에 비추어, ‘12잡가 <적벽가>’는 그 노랫말의 성립 시기가 19세기를 넘어서 18세기까지 소급된다 하더라도 강한 고정성으로 인해 오늘날까지 원형 그대로 전승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12잡가 <적벽가>’는 <삼국지연의>의 ‘화용도 대목’을 소재로 하였으나, 관우와 조조의 대화 부분을 확대하면서 조조를 비하하고 관우를 격상한 작품이다. ‘장군’과 ‘승상’으로서의 동격적 대화를, ‘장군님’에 대한 ‘소장 조조’의 비루한 목숨 구걸과 ‘이놈 조조’에 대한 ‘장군님 또는 관왕’의 준엄한 꾸짖음으로 변개하면서, 관우의 장한 의기를 흠모하고 조조의 간흉한 처세를 질타하는 일반의 정서를 담았다.‘12잡가 <적벽가>’는 ‘가곡 <적벽가>’에 비해 훨씬 자유로워진 형식을 적극 활용하여 관우를 격상하고 조조를 비하하는 개작 추이를 더욱 분명하게 하였다. ‘판소리 <적벽가>’의 ‘화용도 대목’에는, 충직한 신하에서 방자적 인물로 변모한 정욱이 조조의 얕은 꾀를 책망하는 장면과 주창이 조조의 멱살을 잡고 위협하여 술 대접 할 테니 놓아달라고 비는 우스운 장면을 연출케 하는 장면(‘주창 사설’)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러한 단위 사설들은 ‘판소리 <적벽가>’를 ‘12잡가 <적벽가>’와 구분짓게 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조조를 비하하고 관우를 격상하는 일련의 확대 개작은, ‘가곡 <적벽가>’에서 시작하여 ‘12잡가 <적벽가>’에서 진일보하고, ‘판소리 <적벽가>’에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12잡가 <적벽가>’를 불렀던 사계축 소리꾼들의 활약 시기(1820년대)는 ‘판소리 <적벽가>’의 초기 명창 송흥록과 모흥갑의 활약 시기(순조·헌종·철종 연간, 1800~1863)보다 늦다 할 수 없다. 1820년대부터 사계축 소리꾼들이 12잡가를 불렀고 또한 그들이 최초 창작자가 아니라고 한다면, 최소한 12잡가 중 몇 작품의 형성 시기는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할 것이다. 경기 12잡가는 ‘유산․적벽’이라는 말이... The ‘song <Jeokbyeokga>’ was published in Yookdangbon 『Cheongguyoungeon』 compiled in the early to mid 19th century. This song has the same descriptive part and narration with Songmanjae(1788~1851)'s work, <Kwanwoohui>, published in 1843 and Leeyoowon(1814~1888)'s work, ‘pansori <Jeokbyeokga>’ of <Kwangeukpalryung>, published in 1871. In addition to this, the Yookdangbon 『Cheonggooyoungeon』 includes many songs(sijos) related to <Samgukjiyeonui>. The sijos were sung by Gageks like Kimsoojang since the early to mid 19th century. This phenomenon can grasp through diachronic process which is The <Samgukjiyeonui>'s the time handed down, the enjoyment and the spread method. The <Samgukjiyeonui> was came to the Joseon in 16th century. In 17th century, this was widely known to crowd. Over the stream of times, sijos based in the stories of <Samgukjiyeonui> were made and sung by Gageks like Kimsoojang. Among the stories, the ‘song <Jeokbyeokga>’ which is the story about Kwanwoo's great chivalrous spirit stood out clearly from other things. So It was distendedly spread to later song genre like ‘12 japga’ and ‘pansori’. The ‘12 japga <Jeokbyeokga>’ known as one of the first commercial records was released in March 19, 1907. Lyrics of the song are same to lyrics of Leechangbae(1916~1983) 『Gayojipseong』 released in 1976. Also, The lyrics are samely being sung these days. Hence, the ‘12 japga <Jeokbyeokga>’ has been supposedly passed down as original form because of strong fixity although the year of foundation of the lyrics traces bak to 18th century. The ‘12 japga <Jeokbyeokga>’ was based on <Samgukjiyeonui>'s ‘Hwayongdo passage’. However, by enlarging dialogues of kwanwoo and Jojo, kwanwoo was highly appreciated and Jojo was depreciated in the work. There are dialogue of ‘general’ and ‘prime minster’ which are equal status, dialogue of begging for his life of ‘Jojo who is petty and crafty’ and dialogue of ‘general or Kwanwoo’'s scolding ‘you rascal Jojo’ severly. Through the dialogues, the songs included crowd's hearts admiring kwanwoo's great chivalrous spirit and blaming Jojo's mean behaving. The ‘12 japga <Jeokbyeokga>’ highlighted its topic admiring kwanwoo and blaming Jojo using free-form maximally in comparison with ‘song <Jeokbyeokga>’. In the ‘Hwayongdo passage’ of the ‘Pansoji <Jeokbyeokga>’, new scenes were added. One scene is that jungwook changing loyalist into rude person reproaches Jojo's transparent subterfuge. And the other scence(‘Joochang sasul’) is that Joochang grabs Jojo by the collar and threatens him so Jojo begs him. These parts of the Sasul are critical elements distingushing the ‘Pansoji <Jeokbyeokga>’ from the ‘12 japga <Jeokbyeokga>’. This expanded adaption that kwanwoo was highly appreciated and Jojo was depreciated started of the ‘song <Jeokbyeokga>’, growed to the ‘12 japga <Jeokbyeokga>’ and was completed to the ‘Pansoji <Jeokbyeokga>’. A activity time(the 1820s) of Sakechook singers who sung the ‘12 japga <Jeokbyeokga>’ seems not to later than a activity time(King Soonjo·Hunjong·Chuljong, 1800~1863) of SongHeungrok and Moheungkab who sung ‘Pansori <Jeokbyeokga>’ well at the beginning. If Sakechook singers sung the 12 japga from the 1820s and they were not originators, a time of formation of the 12 japga's some works traces back to 18th century at least. There are words like ‘Yusan·Jeokbyeok’ in the Kyungki 12 japga. Judging from this, the ‘12 japga <Jeokbyeokga>’ has a long history with ‘Goojo <Yusanga>’ not adapted by Parkchoonkyung. Hence, the ‘12 japga <Jeokbyeokga>’ is one of the 12 japga made in 18th century. Seeng that the order of the genre's formation, the universal development law which all advance from short and simple to long and complex, different identities and unique customs, the three genres went along ‘song → 12 japga → Pansori’. Eventually,...

      • KCI등재

        창극 <적벽가>들의 ‘이면’과 연출적 감수성

        김향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서 제작한 허규 연출 <적벽가>(1985), 김홍승 연출 <삼국지 적벽가>(2003), 이윤택 연출 <적벽>(2009) 그리고 이소영 연출 <적벽가>(2015)의 ‘이면’ 연구를 통해 ‘연출적 감수성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창극 무대화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여겨지던 판소리 <적벽가>를 무대화한 것이기에 어떠한 고유의 ‘연출적 감수성’을 생성했는지를 중심으로 논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판소리의 미학론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면론’을 창극 연출을 논하는데 원용하였다. 네 편의 창극 <적벽가>들은 공통적으로 박봉술제 <적벽가>를 저본으로 한 것이지만, 사설·장단·조에 변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무대 형상화에서 큰 차이를 내보이고 있기에 2장에서는 창본들의 차이점을 논하고 3장에서 구체적인 무대 형상화를 통한 개별 작품들의 ‘이면’ 창출을 살폈으며 4장에서는 연출가들의 ‘예술적·시대의식’을 논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허규 연출은 1985년 처음으로 완판창극 형태로 <적벽가>를 연출하여 ‘남녀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고통’과 ‘간웅 조조 연기에서 희극적인 감수성’을 구현하고 TV와 라디오매체의 생중계를 통해 그 소통을 확장하려 노력하였다. 2003년 김홍승 연출은 <삼국지 적벽가>를 연출하여 ‘장쾌하고 대중적인 감수성’을 구현하였으며 2009년 이윤택 연출은 <적벽>을 연출하여 ‘서로 대립하는 영웅들의 의로운 감수성’을, 이소영 연출은 2015년 <적벽가>를 연출하여 ‘여성들을 비롯하여 전쟁을 일삼는 삼국의 백성들의 억울한 죽음과 원한’을 구현하였다. 각 연출가들이 위와 같은 ‘연출적 감수성’을 발휘하여 대중화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점들을 해소하고 <적벽가>를 창극화한 것은 이 작품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uses Yi-myoun theory (裡面論)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yles of the Changgeuk Jeokbyeokgas, as directed by Hur Gyu (1985), Kim Hong-Seung (2003), Yi Yun-Taek (2009) and Yi So-young (2015). Pansori Jeokbyeokga have noticed that difficult repertory to direct into Changgeuk for a long time, so Changgeuk Jeokbyeokgas deserved academic attention. This article researched performances’ "sensibility of direction" based on Yi-myoun theory, which extends to Changgeuk from Pansori aesthetics. The four Changgeuk versions of Jeokbyeokga were all recreations of Park Bong-sul’s Jeokbyeokga, but varied in Sasul (辭說, script), Sangdan (長短) and Seongzo (聲調). So, at first, this paper discussed differences of Changgeuk Jeokbyeokgas’ scripts in the second chapter and realization of Yi-myoun researching stage embodiments of four performances in the third chapter, then extracted directors’ “sensibility of direction and consciousness.” Director Hur Gyu directed the first wanpan-changgeuk version of Jeokbyeokga (1985) and focused on the pain of human beings without distinction of sex and comic sensibility in the role of Cao Cao. He tried to enhance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live television and radio broadcasts. Kim Hong-seung’s version of Jeokbyeokga (2003) created an exciting and popular sensibility. Yi Yoon-taek directed Changgeuk Jeokbyeokga (2009) focusing on the righteous sensibility of antagonistic heroes. Finally, Yi So-young’s version (2015) presented the victimization, death, and resentment of the people under the warring Three States. These four directors each succeeded in popularizing the Changgeuk Jeokbyeokga using their own directorial styles.

      • KCI등재

        끝까지 군사들과 화합하지 못한 ‘신재효본 적벽가’의 조조

        김상훈 ( Kim Sang-h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6

        적벽대전 이후, <삼국지연의>의 조조는 패주에 방해되는 다친 군사들을 짓밟아 죽이게 하는 잔학함과, 관우를 만나 목숨을 빌어야 하는 처지에 빠졌는데도 의연함을 잃지 않는 영웅적인 면모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판소리 <적벽가>에서는 조조의 영웅성을 처음부터 수용하지 않았고, 적벽대전 이후의 조조에게는 이전의 잔학한 성격마저 사라지게 하였다. 판소리 <적벽가>는 조조에게 패전의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그의 모든 권위가 추락한 것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판소리 <적벽가>는 적벽대전 이전의 조조를 원본 <삼국지연의>보다 더욱 이기적이고 잔학한 인물로 묘사한 반면, 적벽대전 이후의 조조를 정욱과 군사들에 의해 더없이 비하되면서도 그들과 화합을 추구하는 유화적인 인물로 그리고 있다. <적벽가>에 나타난 이러한 조조의 이중적 인물상에는, 그 자체로 모순이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작품의 본질적인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이 숨어 있다고 본다. <적벽가>에서 민중을 상징하는 군사들의 의식은 무의미한 침략 전쟁에 대한 반항 그리고 긍정적 지도자에 대한 희구 등으로 표출된다. 군사들이 ‘군사 점고’ 등에서 조조를 공격하고 비하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 조조가 <삼국지연의>와 같은 절대적 권위와 잔혹한 성품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면 당키나 한 일이겠는가. 따라서 <적벽가>에 나타난 적벽대전 이후의 조조의 인물 변화는 군사들의 정서와 의식을 발현하기 위한 소통 전략의 결과물이라고 필자는 해석한다. ‘신재효본 적벽가’에도 적벽대전 직전 조조가 유복을 살해하는 장면이 있으나 유복을 장사지내게 하는 장면은 없다. 현행 창본들과 마찬가지로 적벽대전 이전의 조조를 <삼국지연의>보다 더 악인형 인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적벽대전 이후의 조조를 권위가 상실된 만큼 군사들과 거리를 좁히려는 유화적인 인물로 묘사한 <적벽가> 일반과 달리, 유일하게 ‘신재효본 적벽가’의 조조는 적벽대전 이후에도 여전한 권위의식과 잔악한 성품을 지닌 단면적 인물로 그려져 있다. 그 결과 절대적인 권위와 잔인한 성품의 조조를 상대로 힘없는 군사들이 강도 높은 비하와 풍자를 감행하게 하는 상황이 조성되어 작품 내부적 모순을 유발하게 된다. 이중적 인물형을 허용하는 판소리 문법을 의도적으로 무시한 개작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판소리적 관점과 그 층위에서 본다면 무리한 개작이었다는 비판을 받을 여지가 분명히 있다. 그러나 판소리적 관점을 벗어나서 살펴보면 이 같은 개작에 의미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합리성 혹은 사실성을 추구하는 근대적 시각에서 보면, 현실의 모순을 환상적으로 해결할 수 없듯이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도 그 성격이 비현실적으로 변화하여서는 안 된다. 신재효가 <적벽가>에서 조조를 수미일관한 단면적 인물로 그린 이면에는, 그의 근대적 합리주의자로서의 작가 의식이 숨어 있었다고 볼 수 있을 터이다. After the great battle at Jeokbyeok, Jojo of <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still maintain heroic appearance. he cruelly trampled his forces who got in the way of rout to death. And he didn’t lose the dignity when he run into Guanyu despite he have to beg for his life. However, Jojo was not acknowledged as hero from the first and lost even his cruelty after the war in the pansori < Jeokbyeokga >. Because Jojo was set to lose his all prestige as claiming responsibility for the lost battle in < Jeokbyeokga >. Jojo of < Jeokbyeokga > before the great battle at Jeokbyeok is described as more selfish and cruel than Jojo of <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But jojo of < Jeokbyeokga > after the war is quite belittled by Jungyuk and soldiers and depicted as pacificatory character pursuing harmony with them. Jojo’s double-sided character in < Jeokbyeokga > is contradictory in itself. It may be a strategy to realize essential subject, though. Soldiers symbolize the people in < Jeokbyeokga > and their consciousness is expressed as disobedience for meaningless aggressive war and desire for great leader. That’s the reason why soldiers reproached and belittled Jojo in ‘Gunsa Jeomgo’ and so on. If Jojo kept his absolute power and cruel nature as in <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It would be impossible. So I interpret a change of Jojo’s character after the great battle at Jeokbyeok as a product of communication strategy. ‘Shinjaehyo version Jeokbyeokga’ has a scene where Jojo killed Yubok just before the battle but no scene where Jojo held a funeral Yubok, too. Jojo before the war was set to more wicked man in common with other versions. Jojo in general version of < Jeokbyeokga > after the war is described as pacificatory character because of losing authority. Unlike such version, ‘Shinjaehyo version Jeokbyeokga’ is the only one depicting Jojo as a flat character maintaining consciousness of authority and personality of cruelty after the battle. As a result, week soldiers venture into intensive belittlement and satire to Jojo with absolute power and brutal nature and this situation leads to internal contradiction of the work. Because Shinjaehyo attempted hard adaption disregarding a pansori grammar deliberately which is permitting two-sided character. Therefore, from a ponsori perspective and this substratum, it must be open to criticism of excessive adaption. According to a perspective out of pansori viewpoint, this adaption can not be meaningless, though. In a modern point of view pursuing rationality and realism, the inconsistency of reality cannot be resolved fantastically. Likewise, a character of literary work is not supposed to change the personality unrealistically. Behind the matter Shinjaehyo described jojo as a flat character consistently, there are certainly a writer consciousness as a modern rationalist.

      • KCI등재

        판소리 패트론으로서의 대원군과 박유전 <적벽가>의 변모

        유민형 ( Yoo Min-hy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8

        이 논문은 판소리의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요소 중 판소리의 ‘패트론’의 비중을 점검하고자 시도되었다. 문화예술의 향유계층인 동시에, 후원자로서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인 패트론은, 서양 예술의 역사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그 존재가 적극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여러 장르의 예술에 있어서 패트론의 영향력은 언제나 중요하게 연구되었다. 판소리의 패트론은 좌상객으로 통칭되는 양반층이었는데, 판소리가 양반층 사이에 애호되면서 왕실 패트론도 생겨나게 된다. 흥선 대원군은 판소리애호가로 유명했으며, 또한 판소리 명창의 패트론으로서 후원했다. 대원군은 통인청대사습을 통해 판소리를 후원함과 동시에, 판소리의 선발 과정에 개입함으로써 패트론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운현궁을 중심으로 활동한 가객 안민영과 함께 판소리 명창으로 박유전을 후원하였다. 대원군이 아직 세도를 잡기 전 전주에서 머무를 때 전주의 토호였던 백진석에게 도움을 받았다. 대원군은 세도를 잡게 되면서 전주에 통인청대사습 운용에 관여하였고, 백진석의 청을 들어서 전주에 판소리 감상용의 저택인 학인당(學忍堂)을 지을 수 있게 하였다. 대원군이 특히 후원했던 판소리 명창으로 박유전을 들 수 있다. 박유전은 대원군의 운현궁에서 좌상객들의 영향아래, 자신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판소리의 텍스트와 음악을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박유전은 순창출신의 명창으로 서편제의 비조로 불렸고, <심청가>와 <적벽가>로 이름을 날렸다. 그의 제자로는 이날치를 들 수 있고 초기 박유전의 소리는 이날치를 통하여 서편제로 전승되었다. 박유전이 한양으로 와서 운현궁에 머무르게 되면서 그가 이전에 가지고 있던 소리는 창곡과 사설에서 많은 변화를 가지게 된다. 그래서 박유전의 판소리는 이원성을 띠게 된다. 대원군은 박유전 판소리의 변화과정에서 크게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박유전이 운현궁에서 다듬어 정제화한 판소리가 이른 바 강산제이다. 박유전이 한양으로 오기 전의 소리인 서편제와, 한양에서 다듬어 새롭게 완성한 강산제와는 완전히 구별될 수 있을 정도로 음악, 사설, 그리고 이념적 기반에서 차별화되어 있다. 그 변화의 모습을 동편제 및 서편제 <적벽가>와 강산제 <적벽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강산제 <적벽가>는 사상적으로는 유교적인 이데올로기를 일관적으로 띠게 되며, 조조에 대한 야유와 비하의 수위가 동·서편제 적벽가에 비하여 훨씬 약화되어 있다. <삼국지연의>에서 장수들의 전투장면을 사설에 재인용하여 포함시킨 부분과, 한시의 적극적인 인용을 늘린 것 또한 양반좌상객의 취향에 부합하여 변화한 부분이다. This research argues that Pansori had patrons in its development. Patrons are commonly discussed aspect of history of any art form. Pansori is no exception. While Pansori originally began as the art of the common people, Yangban class became the primary audience.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royal family of Choson dynasty in development of Pansori. Heungseon Daewongun (흥선대원군) in particular was a Pansori aficionado. The record around Daewongun's involvement to Pansori proves that heavy monetary investment was made. He hosted Pansori competitions and sponsored creation of Pansori tradition, Boseong Sori (보성소리) and Gangsanje (강산제). Also the aspect of Pansori patronage lies not just in Yangban class, but also in Jung'in class, which is roughly analoguous to European bourgeois in that they were not of Yangban class, but had gained monetary status, and had aesthetics of both Yangban and commoner class. I argue that Heungseon Daewongun's ties to the Jung'in class is reflected in his actions towards Pansori artists. The traditions he had sponsored have important characteristics, including sophisticated lyrics heavily utilizing Classical Chinese poetry, highly artistic musical composition, and conservative Confucian ethics. Tho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Pansori traditions sponsored by the royal patrons have changed to cater to their artistic taste and philosophy. This paper conducts a textual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angsanje Pansori Jeokbyeokga (강산제 판소리 적벽가), Dongpyeonje's Pansori Jeokbyeokga (동편제 판소리 적벽가), and Seopyeonje Pansori Jeokbyeokga, who share the same plot yet offers a stark differences in tone, philosophy, and sense of humor. Daewongun was a primary sponsor of Pansori, which proves that Yangban class and the royal family have played important role as patrons of Pansori.

      • KCI등재

        적벽가의 형성과 난리 체험

        정충권 판소리학회 2007 판소리연구 Vol.24 No.-

        The Formation of <Jeokbyeokga> and War ExperiencesJeong, Choong KwonAs to the formation of <Jeokbyeokga>, previous researches viewed that it was formed by adding several new accounts to the great battle at Jeokbyeok in <Samgukjiyeoneui> as people’s consciousness was cracked before and after the battle. Consciousness observed in the newly added accounts is criticism of national wars destroying individual people’s daily life and desire for the image of positive leaders. However, previous researches vaguely saw that this consciousness originated from people’s consciousnes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ddition to their reading of <Samgukjiyeoneui>. In fact,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experiences in violent commotion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following the two wars in the 17th century might play an intermediary role. This possibility was examined through <Nanrigara>, the memoirs of a soldier who participated in the fight against the uprising of military officials in 1728. <Nanrigara> describes soldiers shedding tears out of homesickness, the value of personal life, negative views against some generals, praises for generals of positive image, etc. These coincide with the state and consciousness of Jojo’s soldiers in <Jeokbyeokga>.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possible that the consciousness of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s might work as a medium in the formation of <Jeokbyeokga> by penetrating into the lines of <Samgukjiyeoneui> and adding new accounts. Of course, this paper does not insist that the uprising of military officials was directly related to <Jeokbyeokga> or that the formation of <Jeokbyeokga> was affected by the wars in those days. However, it is considered provable that the consciousness of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wars frequent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might be in some correlation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of <Jeokbyeokga>. <적벽가> 형성 문제에 대해서는 그 간 <삼국지연의> 적벽대전 전후의 사건에 조선 후기 민중 의식이 균열을 일으켜 새로운 사설들을 첨가함으로써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이때 균열을 일으킨 민중 의식은 개인의 일상을 파괴하는 명분없는 국가적 차원의 대사에 대한 비판과, 조선 후기 현실의 피폐상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긍정적 지도자에 대한 희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보고, <삼국지연의>의 독서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적벽가>를 형성시킨 근원적인 배경으로서, 양란 이후 당시 18-19세기에 격화된 亂의 체험을 주목해야 한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 점을 본고에서는 1728년 무신란 때 馬兵으로 출전했던 한 군사의 수기 <난리가>와 <적벽가>에 나타난 정서와 의식을 비교함으로써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 <난리가>에는 고향을 돌아 보며 눈물만 뿌리는 군사들, 개인적 삶의 소중함, 일부 장수들에 대한 부정적 시각, 긍정적 장수상의 찬양 등이 그려져 있어 <적벽가>의 조조측 군사들의 형상 및 의식과 상통하는 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더 깊이 있는 고찰이 있어야 하겠으나, 이 작업만으로도 일단, <삼국지연의> 서사의 틈 속으로 침투하여 새로운 사설을 첨가함으로써 <적벽가>를 형성시킨 데에는, 당시 전란을 사회적 배경으로 한, 하층민의 의식이 매개적 작용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드러낼 수 있었다고 본다.

      • KCI등재

        <적벽가> 창극화의 전략과 한계

        이진주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This thesis examines the difficulties of utilizing the narrative and music of Pansori: 판소리 in Changguk: 창극. For this examination, I consider that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of making Changguk is the difference between Pansori and Changguk as the genres. Most of the Changguk based on the traditional five Pansori works perform the narration and songs of Pansori literally. However, the original narrative of Pansori <Jeokbyeok-ga: 적벽가> has a distinctive dual structure since the formation of its first and second half is created separately. As the drama genre visualizes the story and emphasizes the consistency of action, unlike Pansori, the duality of the original narrative can be seen as the inconsistency of the action. In addition, since the sounds of the original Pansori are rather explanatory than dramatic even in the climax scenes of Jeokbyeok battlefields, it is difficult to produce dramatic scenes in Changguk. The voices of the military, not in the original works, play important roles in revealing the hidden theme effectively in Changguk. However It is impossible to relocate the original text of Pansori into Changguk, as even the voices of the military lack verisimilitude in terms of narrative. Changguk <Jeokbyeok-ga> can only be developed as its own work by actively researching and dismantling Pansori <Jeokbyeok-ga>. 본고는 판소리 <적벽가>를 창극으로 만드는 작업의 어려움을 판소리와 창극의 장르상 차이에 있다고 보고 판소리의 서사와 음악이 창극에 그대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전승 5가를 창극으로 만든 작품들은 대부분 판소리의 서사와 소리를 그대로 공연한다. 그러나 판소리 <적벽가>의 원본 서사는 전반부와 후반부의 생성이 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눈에 띄게 이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판소리와는 달리, 이야기를 무대화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드라마 장르에서는 행동의 일치가 중요하게 때문에, 원본 서사의 이원성은 행동의 불일치라는 결함으로 드러날 수 있다. 또한 판소리 원작의 소리들은 극적이기보다는 설명적인 대목이 많으며, 극적 클라이맥스인 적벽대전 장면도 설명적이고 해학적인 사설로 되어 있어서 창극에서 극적인 장면으로 연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다만 소설 원작에는 없는 군사들의 목소리는 창극에서 연출되었을 때, 이면적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군사들의 목소리마저도 서사적인 측면에서는 핍진성을 결여하고 있기에, 판소리 원본 텍스트를 그대로 창극에 이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창극 <적벽가>는 능동적으로 판소리 <적벽가>를 연구하고 해체해야만, 창극만의 독자적인 새로운 작품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 적벽가의 전환 양상과 시대정신 - 將帥의 목소리와 兵卒의 목소리가 엇갈리는 전쟁서사

        정출헌 판소리학회 2009 판소리연구 Vol.27 No.-

        Pansori goes through uncommon aspect of transi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Pansori faces fatal division either passing down as one of Pansori Twelve Madang or being left out.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narrative there occurred quite a few changes. Jeokbyeokga had the same situation. Hwayongdo Taryeong that was focused on Gwanwu released Jojo, who fled to Hwayongdo, over the mid-nineteenth century was supplemented by various illustrations in the former half of the period. Hence it changed its narrative structure and renamed as Jeokbyeokga. Illustrations such as ‘Dowon Determination’, ‘Samgochoryeo', ‘Bakmangpa Battle’, ‘Jangpangyo Battle’ from Samgukjiyeoneui were inserted. The phenomenon was largely considered as a result of reflecting aristocrats or Yangban's taste in the latter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the procedure of the transition cannot be described only by the influence of Yangban social class, so it was the product of sharp spirit of the time and elaborate narrative strategy. Jeongeungmin body that belongs to Seopyeongje selected and arranged illustration focusing on Gongmyeong's resourcefulness, while Bakbongsul body that belongs to Dongpyeonje selected and arranged illustration focusing on righteousness of generals of the country Chok like Yubi. These two changing phases were not the reflection of remote memory of war but of periodical atmosphere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ich was concrete reality. Inner wars such as Imsul revolt, Donghak movement, outside wars such as the Taiping Rebellion, Anglo-Chinese Wars(Opium wars), and foreign ships showed up on the coast and the fear of war due to Byeongin invasion by France was evident. Pansori actors attempted to suggest from various angles through Jeokbyeokga who would be the true heroes that could rescue the unstable period. With representation of wretched reality of soldiers who were forced to fight in the war, and their angry voice against arrogant, unjust ruling class like Jojo, the spirit of the age in the changing aspect of Jeokbyokg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as never ordinary. Shin Jae-hyo's adaptation of Jeokbyeokga was there in the climax of the transition time. 19세기 판소리는 예사롭지 않은 전환의 양상을 겪었다.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전승과 탈락으로 운명이 갈라지는 한편 사설의 측면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났다. <적벽가>의 경우도 그러했다. 화용도로 패주하던 조조를 관우가 풀어주는 데 초점이 두어졌던 <화용도타령>은 19세기 중반을 넘어가면서 전반부에 다양한 삽화가 추가되고, 그에 따라 서사구조도 바뀌고 이름도 <적벽가>로 바뀌게 되었다. ‘도원결의’, ‘삼고초려’, ‘박망파전투’, ‘장판교전투’와 같은 <<삼국지연의>>의 삽화가 새롭게 들어간 것이다. 지금까지 이런 현상은 19세기 후반 양반좌상객의 취향을 반영한 결과로 범박하게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그런 전환의 과정은 양반층의 영향력이라는 이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날카로운 시대정신과 면밀한 서사전략에 의한 산물이었다. 서편제에 속하는 정응민 바디는 ‘공명의 지략’에 초점을 맞춘 삽화가 선별․배치된 반면, 동편제에 속하는 박봉술 바디는 ‘유비를 중심으로 한 촉나라 장수의 의로움’에 초점을 맞춘 삽화가 선별․배치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두 갈래의 전환 양상은 전란이 아득한 기억으로서가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로 실감되던 19세기 후반의 시대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기도 했다. 임술민란, 동학운동과 같은 내부의 전란, 태평천국의 난, 아편전쟁과 같은 외부의 전란, 그리고 해안에 수시로 출몰하던 이양선 및 병인양요가 가져다 준 전란의 공포가 그것이다. 그때, 판소리 광대들은 전란의 위협이 코앞에 닥친 불안한 시대를 구제할 수 있는 진정한 영웅은 과연 누구일 것인가를 <적벽가>를 통해 다각도로 제시해보고자 했다. 전쟁에 끌려나온 병졸들의 참혹한 현실의 재현, 그리고 조조와 같은 지배층이 보이던 교만하고 불의에 찬 행위에 대한 분노의 목소리와 함께. 그런 맥락에서 19세기 후반 <적벽가>의 전환 양상을 읽을 때, 거기에 담긴 시대정신은 결코 예사롭지 않은 것이었다. 그리고 그 극점에 신재효가 개작한 <적벽가>도 놓여 있다.

      • KCI등재

        군사설움타령의 형성과 변모 양상 연구

        김상훈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2 No.-

        적벽대전을 앞둔 백만 대군의 조조 진영은 상대 주유 진영에 비해 압도적인 전력을 갖추고 있었기에 사기 충천하였다. 따라서 전장에 나온 뭇 군사들이 고향의 부모처자를 그리워하며 신세 한탄하는 내용의 ‘군사설움타령’이 조조가 적벽대전을 앞두고 선상에서 설연한 부분에 들어가는 것은 이면에 맞지 않는다. ‘단국대 소장 27장본 <젹벽젼>’에는 ‘군사 자탄 사설’, ‘군사설움타령’, ‘군사 점고’ 등이 한 덩어리로 결합되어 ‘조조 패주’ 부분에 들어 있다. <적벽가> ‘군사설움타령’의 초기 형태는 이같이, ‘조조 패주’ 부분에 ‘군사 자탄 사설’, ‘군사 점고’와 뒤섞여 있는 소략한 내용이었을 것이라고 본다. ‘국립도서관 소장 19장본 <적벽가>’의 ‘선상 설연’ 부분에 들어 있는 ‘부모 생각’, ‘신부 생각’, ‘새·돈 생각’으로 구성된 ‘군사설움타령’이 ‘조조 패주’ 부분에서 ‘선상 설연’ 부분으로 옮겨진 직후의 간략한 형태로 보인다. 이러한 위치 이동은, 이후 ‘자식 생각’, ‘아내 생각’ 등이 ‘군사설움타령’에 덧붙는 비약적인 사설 확대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신재효본 적벽가’의 ‘군사설움타령’은 ‘부모 생각’, ‘아내 생각’, ‘자식 생각’, ‘신부 생각’, ‘형제 생각’, ‘새 생각’, ‘병교자 패’, ‘싸움타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타 <적벽가> 이본들의 ‘군사설움타령’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신재효에 의해 ‘군사설움타령’이 비약적으로 확대됨과 동시에 후대의 내용을 규정하는 완성본이 이루졌다고 할 수 있다. ‘박헌봉 <창악대강> 적벽가’를 비롯한 다수의 이본에 들어 있는 ‘팔십당년 우리 부모’는 현행 창본의 ‘아내 생각’으로 대체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동 대목이 ‘부모 생각’과 내용적으로 중첩되기 때문일 것이다. 현행 <적벽가> 창본의 ‘부모 생각’에는, 부모를 그리워하는 부분과 전장에 끌려와 생사가 조석인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부분이 함께 들어 있다. ‘군사설움타령’에서 이 두 부분이 별개의 대목으로 나뉘어져 불리기도 하였는데, 현행 창본들에는 합쳐진 것만 남았다고 할 수 있다. ‘군사설움타령’은 위와 같은 변모를 거친 후 현전 창본에 이르러 ‘부모 생각’, ‘자식 생각’, ‘아내 생각’, ‘신부 생각’, ‘돈 생각’, ‘위국자불고가’, ‘싸움타령’ 등을 포함하는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In Jojo’s camp, with a million men in the Battle at Jeokbyeok (Jeokbyeokdaejeon) the morale was high because of their overwhelming military strength against their opponent Juyu’s camp. “Gunsaseorumtaryeong” refers to the lamenting song of the soldiers in Jojo’s camp who were missing their parents, wife, and family and bemoaning their hard fate. Therefore, when Jojo held a huge feast toward the end of the war, this “Gunsaseorumtaryeong” did not match the sentiment of feasting displayed by Jojo. In Dongguk University´s 27th collection of books, <Jyeokbyeokjyeon>, the “Gunsa Jatan Saseol,” “Gunsaseorumtaryeong,” and “Gunsa Jeomgo” were all combined into the part “Jojo paeju.”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arly <Jeokbyeokga> “Gunsaseorumtaryeong” form might have been a small part of “Gunsa Jatan Saseol” and “Gunsa Jeomgo.” “Gunsaseorumtaryeong,” was composed with “Bumosaenggak,” “Sinbusaenggak,” and “Sae·donsaenggak” in “Seonsangseoryeon” as part of “the national library’s 19th collection of books, <Jeokbyeokga>” immediately after the transfer of the “Jojo paeju” part to the “Seonsangseoryeon” part. With the move to this location gaining momentum, “Anaesaenggak,” “Jasiksaenggak,” and others were added to “Gunsaseorumtaryeong” leading to a rapid expansion of Saseol. “Gunsaseorumtaryeong” of Sinjaehyo’s work “Jeokbyeokga” comprises the “Bumosaenggak,” “Anaesaenggak,” “Jasiksaenggak,” “Sinbusaenggak,” “Hyeon gjesaenggak,” “Saesaenggak,” “Byeonggyoja Pae,” “Ssaumtaryeong,” and so on. All the different versions of “Gunsaseorumtaryeong” were found in Sinjaehyo’s work. So he expanded the “Gunsaseorumtaryeong” and created a final work that defined the contents for future generations. “Palsibdangnyeonuribumo” in many versions including “Bakheonbong’s <Cha ngakdaegang> Jeokbyeokga” is probably a substitute for the current “Anaesa enggak” because the same passages overlap the “Bumosaenggak” in its contents. The existing “Bumosaenggak” of <Jeokbyeokga> has both the parts of the missing parents and the part of the soldiers lamenting their fate in a life-or-death situation. These two parts were sung separately earlier, but only the combined versions exist now. This was how “Gunsaseorumtaryeong” went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It became a fixed form containing “Bumosaenggak,” “Jasiksaenggak,” “Anae saenggak,” “Sinbusaenggak,” “Donsaenggak,” “Wigukjabulgoga,” and “Ssaumt aryeong” in the existing version. *Key Words: Jeokbyeokga, Hwayongdo, Gunsaseorumtaryeong, Bumosaenggak, Anaesaenggak, Jasiksaenggak, Sinbusaenggak, Wigukjabulgoga, Ssaumtaryeong

      • KCI등재

        중고제 판소리와 박동진 명창의 판소리

        김석배 판소리학회 2020 판소리연구 Vol.49 No.-

        At present Joonggoje pansori is in the state of extinction, and Pansori Master Park Dong jin maintained its slender existence in the mean time. This paper explores Joonggoje pansori in Chungcheong region, and Park Dong jin’s Joonggoje Shimcheongga and Jeokbyeokg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onggoje pansori developed in Chungcheong region, and some pansori masters appeared there, and pansori was in bloom. Especially, Bang Man choon family in Naepo Area, Shim Jeong soon family, Kim Seong ok family near the Geumgang River, Hwang Hae cheon family, Kim Seok-chang family, Baek Jeom taek family, etc.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Second, Park Dong jin learned Shimcheongga from Joonggoje Kim Chang jin. Park Dong jin’s Shimcheong ga has a close correlation to Shimcheongga that Goje or Joonggoje Huh Heung sik owns and Joong goje Shim Jeong soon’s Shimcheongga. Park Dong jin’s Shimcheong ga has characteristics of Joonggoje Shimcheongga in many places. Third, Park Dong jin learned Jeokbyeokga from Jo Hak jin. Park Dong jin’s Jeokbyeokga are unique in the scenes of prologue, Bakmangpa battle, Jangpanggyo battle, Jaegalgongmyeong’s getting one hundred thousand arrows, and Joochang’s shouting in a voice of thunder. These scenes are regarded as showing the true aspects of Joonggoje Jeokbyeokga. 현재 중고제 판소리는 거의 소멸 상태에 있는데, 그동안 박동진 명창에 의해 그 명맥이 겨우 이어져 왔다. 본고에서는 충청도의 중고제 판소리를 살피고, 그리고 박동진의 심청가와 적벽가의 중고제로서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도는 중고제 판소리의 중요한 기반으로, 일찍부터 명창들이 다수 등장하여 판소리 창단을 풍요롭게 했다. 특히 내포 지방의 방만춘 가문과 심정순 가문, 그리고 금강 유역의 김성옥 가문, 황해천 가문, 김석창 가문, 백점택 가문 등이 판소리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둘째, 박동진 명창은 중고제 김창진에게 심청가를 배웠다. 박동진의 심청가는 고제 또는 중고제인 허흥식 소장본 심청가와 중고제인 심정순의 심청가와 친연성이 상당히 크다. 또한 박동진의 심청가에는 여러 곳에서 중고제 심청가의 모습으로 짐작되는 독자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셋째, 박동진 명창은 조학진에게 적벽가를 배웠다. 박동진의 적벽가에는 서두 부분을 비롯하여 박망파 전투, 장판교 대전, 제갈공명이 화살 10만 개를 얻는 대목, 주창이 호통치는 대목 등에서 독자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대목들은 중고제 적벽가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