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미술 장르에서 표절이 저작권 침해가 되기 위한 요건에 관한 연구

        최동배(Choi, Dong Bae),김별다비(Kim, Byul Da Bi)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본고는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대 미술 장르에서 표현만 보호하는 저작권법법리 상 아이디어의 복제인 표절의 경우 실질적으로 저작권을 침해받은 원고의 침해 입증을 어떠한 기준을 통하여 구성 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검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표절이 저작권 침해가 되기 위한 기준을 잡는 가장 큰 난제는 이러한 표절과 저작권침해의 경계선이 모호하다는 데에 있다. 역시 어려운 개념인 아이디어/표현의 이분법 및 독창적 창작성의 존재라는 판단이 요구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워진다. 미술 저작물은 사례가 적고 모호한 판례의 표현만 있어서 사례를 만났을 때 객관적인 계측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주관적인 방법으로는 일관적인 판단을 하기 어려워 국내외 미술 관련 판례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저작권 침해를 구성하기 위하여 원고는 저작권의 보유, 피고의 권한 없는 복제를 입증해야 한다. 피고의 권한 없는 복제는 목격자의 증언 및 복제의 시인과 같은 직접 증거외에 의거하였음이라는 주관적 요건과 실질적 유사성이라는 객관적 요건으로써 간접증거로 입증할 수 있었다. 피고의 권한 없는 복제를 입증하는 기준 중 하나인 의거하였음은 접근과 현저한 유사성, 공통의 오류, 대상과의 합리적이고 현저한 실질적 유사성이 입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질적 유사성은 그림의 기본소재와 배치, 전체적 구도, 형태가 유사할 것이 요구되며, 아이디어가 아닌 보호받는 표현에 대한 유사성이어야 한다. 표현이란 예술에 관한 사상을 말, 문자, 색 등으로 구체적으로 외부에 표현하는 창작적 표현형식이다. 아이디어와 표현을 나누는 기준은 미술 저작물의 경우 저작물을 전체적으로 관찰하는 외관이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은 전문가가 아닌 문제 작품이 합리적으로 예상한 연령과 교육수준의 관람자의 반응을 기준으로 한 일반인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원고의 공격에 대한 피고의 방어는 자신의 작품이 다루는 주제나 문제의식, 아이디어가 고유하다든가, 주제의 해석방식에 있어서의 독특함, 문제의식을 전개시키기 위한 착상이나 개념적 구상의 측면에서 상상력이 풍부하고 자생적인 완전히 새로운 독창성이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에는 풍자(패러디), 차용 등이 있다. 또한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중요하지 않은 부분의 적은 양을 사용한 공정이용이라고 항변할 수 있다. 이때는 이러한 저작물의 이용이 그 저작물의 현재 시장가치, 잠재적인 시장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법원에 의한 구체적인 판례가 더욱 자세하고 다양하게 제시되면서 학계의 연구를 토대로 하는 입법적 해결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concerns copyright issues concerning modern art, an industry and a genre that cherishes originality, by applying standards established by precedents in modern times. Defining originality in art remains a complicated issue because lines that separate one idea from another can be vague, creating obscurity when observing the intent of the artist and how it can be defined to be original in a legal context. Due to the scarcity in resources in finding appropriate precedents in relation to this genre, and the lack of an established legal standard or an established way of measuring originality, this article looks at cases that were deemed to be significant in legal settings outside of the Republic of Korea. To prove infringement of copyright, the plaintiff must prove his or her ownership of the idea and secondly the defendants violation of that ownership. The latter can be proved either by direct evidence, such as a witness testimony, or evidence that runs on subjective opinion and observation. Appropriate subjective evidence requires a major notion of applicability that characteriz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work and the copied work, found in the overall topic and structure of the artwork, and the visual performance that makes the underlying idea come to surface. The emphasis in visual performance highlights a significant factor, where for plagiarism to be recognized, infringement in performance, the way the idea is implemented, must be proved, making insignificant the intent or the idea of the artist. Performance can further be defined as a way of communication, embedded in text, color, and other means that directly sends out messages to those in observation. One method of measuring performance can be found by applying critique and artistic analysis that is ample throughout this industry. Industry critiques, if brought into evidence, must also be clear in its meaning and direct in its applicability to those who have reasonable judgment. To defend an accusation of this kind, the defendant must be able to prove that his or her work runs on a different and performance and therefore is able to carry a uniqueness of its own kind - the genre of parody being the most apparent example. This act of borrowing must not bring harm to the market value and/or the underlying value of the original work. A legislative resolution based on close precedents and research is therefore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fic method of measurement to bring more clarification when defining copyright infringement in art.

      • KCI등재

        저작권 침해 요건으로서의 ‘의거’ - 서울고등법원 2012나17150 판결(선덕여왕 사건)을 중심으로-

        홍승기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계간 저작권 Vol.26 No.3

        영상물 시장에서 저작권 침해를 방치한다면 창작자는 창작의욕을 잃게 되고 결과적으로 저작권법의 목적인 ‘문화의 향상 발전’에 반하는 결과가 된다. 한편, 침해 주장에 대하여 관대하게 저작권 침해를 인정한다면 영상 산업 전반에 위축 효과를 가져 올 것이 명백하다. 저작권 침해의 주관적 요건으로서 대법원은 ‘의거’와 ‘실질적 유사성’을 요구한다. ‘의거’는 ‘접근’이라는 정황증거로 입증하는데, ‘접근’이란 ‘대상 저작물을 경험하였을 상당한 기회’로서 ‘막연한 가능성’으로 충족되지 않는다. 한편 ‘접근’은 ‘현저한 유사성’에 의하여 대체될 수도 있는 개념이다. 서울고등법원은 2012나 17150호 선덕여왕 사건에서, 드라마 선덕여왕이 뮤지컬 극본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서울고등법원은 뮤지컬 중 일부가 유명 호텔에서 이미 공연된 사정 등을 들어 ‘접근’이 있었고, ‘덕만공주의 서역사막에서의 고난’ 등 사실이 역사적 오류일진데 뮤지컬 극본에 등장하는 역사적 오류가 드라마 대본에서도 발견되므로 ‘현저한 유사성’이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뮤지컬의 일부가 호텔의 이벤트에서 부수적으로 공연된 점 등이 접근의 ‘상당한 기회’가 된다고 보기는 어렵고, ‘덕만공주의 서역사막에서의 고난’ 등의 요소도 신라와 서역과의 왕성한 교류 등에 비추어 공통의 역사적 오류로 판단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한편, 항소심 판결이 ‘의거’ 단계의 요건으로 요구하는 ‘실질적 유사성’은 저작권 침해의 객관적 요건인 ‘실질적 유사성’과 용어가 동일하므로 ‘증명적 유사성’으로 용어를 정리함으로써 혼동을 막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 KCI등재

        안무저작물의 성립요건과 침해 판단에 관한 소고

        계승균(Seungkyoon Kye) 한국저작권위원회 2024 계간 저작권 Vol.37 No.2

        이 글은 저작권법에 규정되어 있는 무용저작물에 대한 글이다. 우리 사회는 최근에 한류의 영향에 따라 인기 그룹의 백댄서를 비롯해서 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무용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권리의식도 향상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을 비롯해서 대부분 나라의 저작권법에는 무용저작물에 대해서 정의를 하고 있지 않다. 안무를 관련된 춤동작의 연속과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는 패턴을 조합과 배열로서 독창성이 있으면 저작물로 본다. 무용저작물은 인간의 신체를 이용한 저작물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저작물로서의 무용도 저작물 성립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즉 인간의 사상, 감정이 독창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독일의 경우 무용저작물의 경우 상당수의 저작물을 작은 동전론으로 파악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사례를 살펴보더라도 무용저작물 그 자체에 대한 표절 시비나 저작권 침해에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만큼 무용저작물의 창작성에 대해서 정의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필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무용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판단은 그동안 다른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 기준을 이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용저작물을 연극저작물의 한 유형으로 보는 것은 입법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dance works stipulated in the Copyright Act. Recently, in our societ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interest in dance, including back dancing for popular groups, is increasing, and the awareness of the rights of people engaged in dance is also improving. The copyright laws of most countries, including Korea’s copyright law, do not define dance works. Choreography is considered a copyrighted work if it has originality as a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a sequence of related dance movements and an overall consistent pattern. A characteristic feature of dance works is that they are works using the human body. In addition, dance as a copyrighted work must meet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a copyrighted work. In other words, human thoughts and emotions must appear in an original way. In Germany, a significant number of dance works are considered small coins. Even if we look at cases from around the world,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of plagiarism or copyright infringement regarding the dance work itself. As such,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creativity of dance works. In my personal opinion, judgment of copyright infringement for dance works should be made using the copyright infringement standards for other works. Also, viewing dance works as a type of theatrical work needs to be improved legislatively.

      • KCI등재

        저작권 침해에 대한 방어로서의 묵시적 라이선스에 관한 연구- 묵시적 라이선스의 법적 성질 및 적용 요건을 중심으로 -

        김창화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27 No.2

        지식재산법 분야에서 묵시적 라이선스는 특허권의 집행에 합리성을 불어넣는 역할로시작되었고, 이후 저작권법에 도입되면서 저작물을 온전히 사용하고 저작권 관련 계약을보충하는 기능을 해왔다. 묵시적 라이선스 원칙은 법원이 공정성과 합리성 그리고 정책적 근거에 따라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법적 성질은 정책적 고려를통한 비계약적 수단이며, 적극적 항변으로 기능한다. 또한, 묵시적 라이선스 원칙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왔지만, 최근에는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사용을 알고, 그사용을 장려하는 2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묵시적 라이선스 원칙은 저작권법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칙이 되어 구체적 분쟁에서 중요한 해결의 도구가되고 있다. 묵시적 라이선스의 도입 및 적용은 검색엔진과 링크의 문제 그리고 디지털 저작물의최초 판매에 대한 구체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먼저, 묵시적 라이선스는 저작권자가저작물의 이용을 막은 경우에도 정책, 즉 합리성을 근거로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방법은 또한, 최근의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이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고,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을 최소화한다. 다음으로, 링크와 관련하여 묵시적 라이선스는 링크를 허락하는 이유를 웹의 성질이나 운영에 있어 의도된 결과이자 기본이어서, 사이트소유자의 실제 의도를 넘어, 불합리하게 사이트 소유자의 이익을 방해하지 않는 한 허락될 수 있게 하여, 링크를 적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묵시적 라이선스는저작권자가 최초판매원칙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는 온라인에서의 최초판매원칙을 우회하기 위해 라이선스 등의 방식을 채용하고, 이를 통해 이용에 제한을 가하는 등 그 이용을 통제하려 한다. 묵시적 라이선스는 온라인에서의 이전을 오프라인에서의 판매와 똑같이 보면서, 같은 법적 기준이 적용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부당한 제한을 막고, 합리적인 조치를 할 수 있게 한다.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implied licenses originated as a way to inject reasonableness into the enforcement of patent rights and were later introduced into copyright law to ensure full use of works and to supplement copyright contracts. The implied license doctrine has allowed courts to resolve certain issues on fairness, reasonableness, and policy grounds, and its legal nature is that it is a non-contractual, non-contractual means of addressing policy considerations, and it functions as an affirmative defense. In addition, the implied license doctrine has gone through several stages of development, but now requires two steps: the copyright holder must know of the use of the work and encourage that use. The implied license doctrine has become a doctrine that can address many complex and diverse issues in copyright law, making it an important resolution tool in specific disputes. The adoption and application of implied licenses can address the issues of search engines and links, as well as the specific issue of the initial sale of digital works. First of all, implied licenses can enable access on policy grounds, i.e., reasonableness, even when the copyright holder has prevented access to the work. Such a solution could also address the recent problem of using AI training data, and minimize conflicts with freedom of expression. Next, with respect to linking, an implied license would make linking lawful by making the reason for permitting linking an intended consequence and fundamental to the nature and operation of the web, so that it is permissible so long as it does not unreasonably interfere with the site owner’s interests beyond the site owner’s actual intentions. Finally, implied licenses can be used to prevent copyright holders from circumventing the first sale doctrine. Copyright holders attempt to circumvent the first sale doctrine online by adopting licenses and other means to control use, such as imposing restrictions on use. Implied licenses ensure that online transfers are viewed the same as offline sales and subject to the same legal standards, preventing unreasonable restrictions and allowing reasonable steps to be taken.

      • KCI등재
      • KCI등재

        ISP 책임규정의 범죄체계론상 지위와 법적 효과

        민영성(Min, Young Sung)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연구 Vol.55 No.1

        본 논문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제한 규정의 법적 성질을 논하여 이들의 범죄체계론상의 지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인터넷서비스제공자는 자신들의 행위에 대해서는 당연히 책임을 지지만 이용자의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만 책임을 지도록 제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저작권법 제102조도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과 관련하여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면책을 형사책임의 가벌성 심사의 어느 단계에서 심사하여야 하는지 문제가 된다. 어느 단계에서 심사하느냐에 따라 착오나 공범의 성립문제에서 형사책임이 달라질 수 있다. 국내에서는 OSP의 책임제한 규정의 형법상 법적 성질에 관한 문제가 연구대상으로 거의 논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가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그 동안 성과를 축적해 온 독일의 논의상황을 비교법적 차원에서 검토하면서, 우리의 논의에 일정부분 원용하였다. ISP의 책임제한규정을 구성요건에서 파악하려는 견해나 책임조각사유로 해결하려는 견해는 전통적인 형법의 이해와는 일치할 수 없고 또한 기존의 범죄체계를 붕괴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수긍하기 어렵다. ISP의 책임제한규정은 형벌 외적인 국가의 이익을 충족하는 인적처벌조각사유의 존재이유에 해당하므로 이들의 법적 성격을 인적처벌 조각사유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따라서 그 법적 효과는 책임제한규정이 ‘책임을 지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ISP가 책임제한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유죄판결인 형면제 판결이 아니라 무죄판결이 선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캐리커처(caricature)의 저작물성에 관한 소고

        최상필(Choi Sang Pil)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3

        최근 법원은 실존하는 유명 진행자 송해의 외관상 특징을 포착하여 희극적, 과장적으로 그린 캐리커처에 대해, 일반적으로 실존 인물의 캐리커처는 그 인물의 외관상 특징에 구속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누가 그리더라도 같거나 비슷할 수밖에 없는 표현이 두드러지고, 그 표현에 있어서 작성자만의 창조적 개성을 찾기 어려우며, 상업적 목적으로 제작된 점, 그리고 이 사건 캐리커처가 송해의 다른 캐리커처들과 다른 점에 작성자만의 독자적 표현방식이나 예술성, 창조성을 인정하기 곤란한 점 등을 들어 저작물성을 부인하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저작물의 성립에 일반적으로 세계각국의 입법에서 요구되는 창작성 기준인 "단지 어떠한 작품이 남의 것을 단순히 모방한 것이 아니고 작자 자신의 독자적인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을 담고 있을 것"에 위배되어 적절한 판단이 아니라고 보아, 본고에서는 이 판결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행하고 있다. Der Maßstab zur Entscheidung über das Vorliegen der Schöpfungshöhe von Werken ist in Korea in § 2 Nr. 1 UrhG festgelegt, sodass sich die heutige Literatur ganz nach ihm richtet. Demgemäss können Werke nur dann urheberrechtlich geschützt werden, wenn sie individuelle Werke im Sinne des Ergebnisses der eigenen geistigen Schöpfung ihres Urhebers darstellen. Weitere Kriterien sind zur Bestimmung der Schutzfähigkeit nicht erforderlich. Das Landesgericht Seoul hat vor kurzem urteilt, dass die Karitatur keinen Urheberschutz genissen sollte, weil ihre Schöpfunghöhe sehr niedrig ist. Jedoch fragt es sich, ob der Gerichtshof ein Urteil über die Schöpfungshöhe eines Werkes abgeben könnte und dürfte. Dem Schöpfer einer Karkatur, wie anderem, sollte das Urheberrecht zubillgen, wenn sie die Voraussetzungen für Urheberschutzfähigkeit nach dem § 2 Nr. 1 UrhG erfüllt.

      • KCI등재후보

        링크행위 규제를 위한 일본 저작권법 개정과 시사점

        김경석 ( Kim¸ Gyung-seok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국제법무 Vol.12 No.2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Internet-connected world is that it is a free and open space, and it should be avoided from such acts that hinder freedom and openness. However, where certain actions clearly result in infringement of rights and serious damage is caused by such infringement,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the damage, and such actions will play a role in protecting the positive aspects of the world connected to the Internet. For those who need information, the act of linking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hey need. However, if such information leads to illegal information, such information will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as infringement and damage.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Korean court and related legal provisions, it is not easy to prevent copyright holders from being harmed by the spread of illegal copies through links. Thus, legislativ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reality tha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otect th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Japan has begun to respond positively to the damage caused by links, and the revised law restricts illegal downloading across link sites and copyrighted works. We need to respond to the infringement of rights caused by the act of linking, referring to the revised law of Japan. Therefore, we will consider revising Article 124 of the Copyright Law to constitute the act of providing links to illegal reproductions as an act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establishing a punishment for such act. However, further discussion is necessary on the subject of the restriction on the download of illegally uploaded works. In addition, in the case of platform service providers, regulations should basically not be applied. Of course, such legal regulations should be accompanied by active education and publicity for copyright protection.

      • KCI등재

        패러디의 법적 성질로 살펴보는 저작권 침해 및 명예훼손 문제의 해결 - 대한민국 대법원 및 미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한 비교법적 고찰 -

        김석진 ( Suk Ji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硏究 Vol.25 No.2

        Parody, ``An amusing and instructive creation of mimicking a particular figure``, satirizes the social conditions in order to foster the value of the Constitutional right regarding the freedom of Art and the healthy growth of social criticism culture. Despite these good functions, parody is not effectively being protected under express provis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infringing the copyright and defamation. So a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focused on following points. First, the study is discussing about whether parody could be protected as object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econd, the study is dealing with the question ``whether parody could be protected as copyright``, based on the judicial precedents of each nation. Third, the study is analyzing the prior solving methods when parody infringes author`s property rights and moral rights. Fourth, the study also examines the problem of defamation and the remedy of it using the former comparative jurisprudence method.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Parody is protected through the freedom of speech, the freedom of scholarship and art; therefore it can be acknowledged as a copyright work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parody and the general legislative decision toward parody. Parody may infringe on others`` copyright, yet the solution of the problem should include the measure of the infringement and the positive points that the parody gives to the society. Meanwhile, defamation caused by pure parody cannot easily be punished according to the coherent precedents of Korea and America. As a conclusion, it is needed to safeguard the Constitutional value of parody by following the Korean precedents which thoroughly strongly protects author`s property rights, moral rights and the American precedents which broadly accepts the concept and the value of par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