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암 환자에서 국소구역 재발과 관련된 인자

        박인석 ( In Seok Park ),한세환 ( Se Hwan Han ),김기환 ( Ki Whan Kim ),배병노 ( Byung Noe Bae ),양근호 ( Keun Ho Yang ),곽금희 ( Geum Hee Gwak ),조현진 ( Hyun Jin Cho ),박경미 ( Kyeong Mee Park ),김지영 ( Ji Young Kim ),박성진 ( Su 대한임상종양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7 No.1

        목적: 유방암 환자에서 국소구역 재발은 환자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본 연구는 유방 보존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구역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진행 되었다. 방법: 단일 기관에서 유방 보존술을 받은 3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 및 조직 병리 보고서를 검토하여 국소구역 재발과 연관 있는 인자들을 분석 하였다. 결과: 302명의 환자 중 26명(8.6%)이 국소구역 재발을 보였고 중간 추적관찰기간 35.5개월 동안 18명(5.9%)이 국소재발을, 6명(2.0%)이 구역재발을, 그리고 2명(0.7%)이 국소구역 재발을 하였다.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 절제연 상태, HER2/neu 발현 양성, 광범위 관내상피 병소, 다발성 병변이 통계학적 유의한 인자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절제연 상태, HER2/neu 발현 양성, 다발성 병변이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침습 유방암에서 유방 보존술 후 국소구역 재발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수술 시 음성 절제연을 확보하고 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다발성 병변을 가지고 있거나 HER2/neu 양성인 유방암은 국소 재발율이 높으므로 보조치료 후 국소 재발을 발견하기 위한 적극적 추적관찰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Significant propor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ocoregional recurrence eventually die of their disea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ocoregional recurrence of breast cancer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02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locoregional recurrences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of each patients. Results: The 26 of 302 patients (8.6%) developed locoregional recurrence during a median follow-up of 35.5 months. 18 patients (5.9%) had local recurrence, 6 patients (2.0%) had regional recurrence and 2 patients (0.7%) had locoregional recurrence. On univariate analysis, positive margin (p<0.0001), HER2/neu positive, extensive intraductal component, multiplic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locoregional recurrence of breast cancer. On multivariate analysis, positive margin status, HER2/neu positivity and multiplic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coregional recurrence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adequate resection margin is the most important to reduce locoregional recurrence of breast cancer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In addition, HER2/neu amplification or multiplicity increased the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in breast cancer.

      • SCOPUSKCI등재

        수술 후 국소재발한 자궁경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 성적

        유미령(Mi Ryeong Ryu),계철승(Chul Seung Kay),강기문(Ki Moon Kang),김연실(Yeon Shil Kim),정수미(Su Mi Chung),남궁성은(Sung Eun Namkoong),윤세철(Sei Chul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 적 : 근치적 수술 후 국소재발한 자궁경부암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및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10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FIGO병기 I, II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수술 후 국소재발한 환자 중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53명을 대상으로 치료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3세에서 69세 사이(중앙값 53세)였으며, 병리조직학적 분류로는 편평상피암이 45명(84.9%), 선암이 7명(13.2%), 편평상피선암이 1명(1.9%)이었다.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2 개월에서 25년 사이로 평균 34.4 개월이었다. 재발한 병소의 위치에 따라서 질 절제단(vaginal stump )이 41명(77.4%), 골반외벽(pelvic side wall)이 12명(22.6%)이었고, 재발한 병소를 크기에 따라 나누었을 때 3cm 이하인 경우가 43명(81.1%), 3 cm보다 큰 경우가 10명(18.9%)이었다.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환자에서 전골반에 외부 방사선치료를 하루 1.8 Gy 의 양으로 주 5회씩 치료하여 46.8∼50.4 Gy 까지 치료한 후, 18명(34%)에서는 병소부위에 외 부방사선치료를, 24명(45.3%)의 환자에서는 강내근접치료를 각각 추가하여 총방사선량 46.8∼111 Gy(중앙값 70.2 Gy)까지 치료하였다. 추적조사 기간은 2 개월에서 153 개월 사이(중앙값 35 개월)였다. 결 과 : 방사선치료후 초기관해율은 66% (35/53) 이었고, 이 중 6명(17.1%)에서 방사선치료후 7 개월에서 116 개월사이(평균 47.7 개월)에 다시 국소재발하여 전체환자의 국소재발율은 45.3%였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78.9%였으며, 원격전이율은 10% (5/50)로 발생부위별로는 폐 2명, 뇌 1명, 원격 임파절 2명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술후 재발까지의 기간( p=0.0055), 재발 병소의 크기( p=0.0039), 방사선치료에 대한 초기반응 유무( p=0.0428) 등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외에 초기 병기, 연령, 조직학적 유형, 재발병소의 위치, 방사선 조사량, 약물치료 유무 등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방사선치료의 합병증은 10명(20%)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하부위장관 또는 비뇨기계, 피부 합병 증이었고, 한명이 강내 방사선치료 직후 폐전색증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근치적 수술 후 국소재발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는 매우 효과적이며,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 재발병소의 크기, 방사선치료에 대한 초기반응 등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Purpose : To evaluate prognostic factors and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recurrent uterine cervic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October 1983 and July 1996, fifty three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for locally recurrent cervic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Age at diagn osis ranged from 33 to 69 years (median 53 years). Path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forty five (84.9%)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seven (13.2%) patients had adenocarcinoma, and one (1.9%) patient had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The interval between hysterectomy and tumor recurrence ranged from 2 months to 25 years (mean 34.4 months). The recurrent sites were vaginal stump in 41 patients (77.4%) and pelvic side wall in 12 patients (22.6%). Recurrent tumor size was devided into two groups : less than 3 cm in 43 patients (81.1%) and more than 3cm in 10 patients (18.9%). External beam irradiation of whole pelvis was done first up to 46.8 Gy to 50.4 Gy in 5 weeks to 6 weeks, followed by either external beam boost to the recurrent site in 18 patient s (34%) or intracavitary irradiation in 24 patients (45.3%). Total dose of radiation ranged from 46.8 Gy to 111 Gy (median 70.2 Gy).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2 to 153 months with a median of 35 months. Results : Overall response rate was 66% (35/53). Among them, six patients (17.1%) relapsed between 7 months and 116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mean 47.7 months). Therefore overall recurrence rate was 45.3%. Overall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te was 78.9% and distant failure rate was 10% (5/50).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rate were interval between primary surgery and tumor recurrence ( p=0.0055), recurrent tumor size (p=0.0039), and initi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p=0.0428).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0 (20%) patients, which included mild to moderate lower gastrointestinal, genitourinary, or skin manifestations. One patient died of pulmonary embolism just after intracavitary irradiation. Conclusion : Radiation therapy is the effective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cervical cancer after curative surge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al between primary surgery and tumor recurrence, recurrrent tumor size, and initial response to radiation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recur rent cervical cancer.

      •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간재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

        황정환,김찬영,김종훈,황용,양두현,Hwang, Jeong-Hwan,Kim, Chan-Young,Kim, Jong-Hun,Hwang, Yong,Yang, Doo-Hyun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4

        목적: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에 재발은 여러 형태로 발생한다. 특히 현행성 재발은 간 부위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간계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를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치료를 받았던 838명의 환자 중 201명의 재발환자를 대상으로 간 재발과 관련된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를 찾기 위해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과: 201명의 재발환자 중 59명이 간재발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다변량분석에서 간재발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Lauren의 분류에서 장형인 경우(OR, 6.66; 95% Cl, 1.53 to 28.9; P=0.011),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6cm 미만인 경우(OR, 3.76; 95% Cl, 1.03 to 13.67; P=0.045)가 관련되어 있었다. 결론: 위암의 수술 치료 후 간재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들의 다양한 연구 조사와 더불어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더해진다면 간 재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고위험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법의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Recurrence occurs in various forms and in different organs after a curative resection of gastric cancer. The most common location for hematogenous recurrence is the li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epatic recurrenc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38 patients who had taken radical surgery for primary gastric cancer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1999. According to the medical recor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and hepatic recurence. Results: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was documented in 201 out of the 838 patients (23.98%). Hepatic recurrences were found in 59 out of 201 patients (29.3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e following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hepatic recurrence: Lauren's Intestinal type (OR, 6.60; 95% Cl, 1.53 to 28.9; p=0.011) and proximal resection of margin below 6 cm (OR, 3.76; 95% Cl, 1.03 to 13.67; P=0.045). Conclusion: Various studies on clinocopathologic risk factors of liver recurrence with molecular biologic research should make possible the prediction of recurrence and help high-risk patients to find appropriate management.

      • KCI등재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시 국소 재발의 임상 병리적 예후 인자

        최철원(Chul Won Choi),김미숙(Mi Sook Kim),류성렬(Seong Yul Yoo),조철구(Chul Koo Cho),양광모(Kwang Mo Yang),유형준(Hyung Jun Yoo),서영석(Young Seok Seo),김민석(Min Suk Kim),이승숙(Seung Sook Lee),황대용(Dae Yong Hwang),문선미(Sun Mi 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진행된 직장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국소 재발한 군의 병리학적 예후 인자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치료 방침의 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원자력의학원에서 수술을 시행한 후 병기 3기 이상으로 방사선치료 및 항암 요법을 시행 받은 직장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검체를 모두 조사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가 가능한 총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국소전이가 발견된 군이 14명, 발견되지 않은 군이 40명이었다. 이들의 조직 검체를 대상으로 종양의 침윤 깊이, 종양의 조직학적 등급, 임파절 침윤 여부, 혈관 침윤 여부, 신경 침윤 여부 등의 병리적인 특징 및 p53, Ki-67, c-erb, ezrin, c-met, phospho-S6K, S100A4, HIF-1 alpha의 다양한 암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단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 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치료 후 예후와 관련된 인자를 찾았다.결 론: 병리학적 예후 인자 중 단변량 분석상 종양 침윤 깊이, 종양의 등급, 혈관 침범이 의미 있었고 다변량 분석상 침윤의 깊이가 5.5 mm 이하, 혈관 침윤이 없는 경우가 국소 재발이 낮은 군이었다. 면역조직화학검사 결과의 단변량 분석상 c-met 양성, HIF-1 alpha 양성이 국소 재발률이 높은 예후 인자였고 다변량 분석상 c-met이 의미 있는 예후 인자였다.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해서 조사한 결과 HIF-1 alpha, c-met 및 종양 침윤 깊이가 국소재발과 관련된 인자로써 국소 재발을 한 군의 71.4%가 3가지 인자 중 2개 이상을 가지고 있는 반면 국소 재발을 하지 않은 군에서는 27.5%가 2개 이상을 가지고 있었다. 결 론: 국소적으로 진행되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 직장암 환자군 중에서 HIF-1 alpha 양성, c-met 양성,종양 침윤 깊이 5.5 mm 이상의 병리학적 예후 인자를 두 개 이상 가지는 환자는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인자가 방사선치료 저항군의 지표로써 유용한지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after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radiation therapy in advanced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ifty-four patients with advanced 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between February 1993 and December 200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se patients, 14 patients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Tissue specimens of the patients were obtained to determine pathologic parameters such as histological grade, depth of invasion, venous invasion, lymphatic invasion, neural invasion and immunohistopathological analysis for expression of p53, Ki-67, c-erb, ezrin, c-met, phosphorylated S6 kinase, S100A4, and HIF-1 alpha. The correlation of these parameters with the tumor response to radiotherapy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multivariate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the histological tumor grade, venous invasion, invasion depth of the tumor and the over expression of c-met and HIF-1 alpha were accompanied with radioresistance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venous invasion, invasion depth of tumor and over expression of c-met were also accompanied with radioresistance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nalysis with hierarchical clustering, the invasion depth of the tumor, and the over expression of c-met and HIF-1 alpha were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Whereas 71.4% of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had 2 or more these factors, only 27.5% of patients without local recurrence had 2 or more of these factors. Conclusion: In advanced 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by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local recurrence were HIF-1 alpha positive, c-met positive, and an invasion depth more than 5.5 mm. A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se factors would be useful clinical parameters to measure and predict a radio-resistance group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의학강좌 : 총수담관 결석의 치료 후 재발 요인

        정석 ( Seok Jeo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2

        내시경 치료로 총수담관 결석을 완전히 제거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치료 이후 평생 결석 재발로 인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으나 결석 재발의 위험인자를 가진 일부 환자들에서 결석이 재발할 수 있는데 재발석에 대한 치료 자체는 대부분 반복적인 ERCP로 쉽게 치료가 가능하다. 아직은 규명된 결석 재발 예방 약물이 없지만 일부 교정이 가능한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를 선별하고 개별화된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결석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고위험군에 한정된 개별화된 추적 관리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불필요한 검사비용을 절감하면서 결석 재발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 지방육종의 예후 인자: 52예 후향적 연구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김민우,Chung, Yang-Guk,Kang, Yong-Koo,Bahk, Won-Jong,Rhee, Seung-Koo,Lee, An-Hi,Park, Jung-Mee,Kim, Min-W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6 No.1

        목적: 지방육종의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이후 치료받은 52명의 지방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시 연령, 종양의 크기, 발생 부위,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 유형, 수술적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 원격 전이 그리고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39개월이었고 통계적 분석에는 단일변수 및 다중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이 11예(21.2%)에서 발생하였으며 원격전이는 4예(8%)에서 발생하였다.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 후 4년에 67%였다. 단일변수 분석에서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절제연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불량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p<0.05). 무병생존율에 대한 단일변수 분석에서는 조직학적 악성도 및 항암화학요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결론: 선택오차를 고려할 때 절제연 양성이 국소재발의 불량한 예후인자였으며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 무병생존율과 관련하여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of lipo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tients managed for liposarcomas since 1993 were analyzed respectively in the view of prognostic influence of patient age, tumor size, location, histologic type, histologic grade, resection type,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on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event-free survival.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9 months.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Results: The local recurrences occurred in 11 patients (21.2%) and distant metastasis in 4 patients (8%), Event-free survival rate at 4 year follow up was 67%. In univariate analysis, histologic grade, surgical margin,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local recurrence (p<0.05). However, histologic grade lost its significance in muitivariate analysis. Trunk location revealed higher rate of distant metastasis than extremity location. In univariate analysis on event-free survival. histologic grade and chemotherapy were significant factors (p<0.05). No factor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Considering selection bias, positive surgical margin was negative prognostic factor on local recurrence. Liposarcomas arisen in trunk revealed higher rate of distant metastasis. There was no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on event-free survival of patients with liposarcomas.

      • KCI등재

        24주 추적 조사를 통한 한국인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재발 예측 인자 규명 연구

        김철민,김성곤,남궁기,조동환,이병욱,최인근,김민정,Kim, Cheol Min,Kim, Sung Gon,NamKoong, Kee,Cho, Dong Hwan,Lee, Byung Ook,Choi, Ihn Geun,Kim, Min Je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7 생물정신의학 Vol.14 No.4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의 재발 예측 인자로 중요하다고 알려진 사회 인구학적 변인, 음주력, 음주갈망, 치료 동기, 병식과 같은 요인들 중에 어떤 요인들이 한국인 알코올 의존의 재발을 예측하는지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 법: 알코올 의존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음주력, Timeline Follow-Back(TLFB),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OCDS), Alcohol Urge Questionnaire(AUQ), Pennsylvania Alcohol Craving Scale(PACS), University of Rhode Island Change Assessment(URICA), Hanil Alcohol Insight Scale(HAIS)등을 조사한 후, 24주간 총 11회에 걸쳐 외래를 방문하도록 하였다. 24주 동안 조사한 TLFB자료에 근거하여 대상자 중에서 과음(일일 5standard drinking 이상)일이 나타난 경우 혹은 더 이상 추적 방문이 되지 않은 경우 모두 재발한 것으로 하여 재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재발군으로 분류하였다. 알코올 의존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찾는 방법으로 SPSS PC+11.5 프로그램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음주를 시작한 연령, 음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된 연령, 최근 1년간 1일 음주량, 최근 1년간 월 음주일수, PACS, AUQ, OCDS, URICA, HAIS와 같은 요인들 중 최근 1년간 1일 음주량과 HAIS 점수가 알코올 의존의 재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 론: 알코올 의존 환자의 치료에서 1일 음주량이 많은 경우와 병식이 낮은 경우가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앞으로의 치료에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investigate predictors estimating relapse in Korean alcohol-dependent patients using variables like alcohol history, drinking craving, treatment motivation and insight. Methods : Alcohol dependent patients(N=48)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rinking history, Timeline Follow-Back(TLFB),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OCSD), Alcohol Urge Questionnaire(AUQ), Pennsylvania Alcohol Craving Scale(PACS), University of Rhode Island Change Assessment(URICA), Hanil Alcohol Insight Scale(HAIS) were followed-up for 24weeks. Subjects who drank heavily(5 standard drinking or more/day) or were not followed up anymore were classified as the relapse group.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backward elimination of SPSS PC+11.5 to investigate relapse estimate predictors. Results : Average drinking amount per drinking day for last 1 year and HAIS score were predictors of relapse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apist should give more attention to alcohol-dependent patients who had more drinks per drinking day for last 1 year and had lower insight level.

      • KCI등재후보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코호트 연구

        구미란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4 운동재활·복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를 이용하여 전국 단위 코호트를 기반으로 목 통증 재발의 특성과 그 위험인자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20년 1년간 목 통증 (ICD 10 codes: M54.2)으로 입내원한 환자 1,182,230명의 2년 간의 의료기록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수는 나이, 성별, 건강보험료 분위, 지역보건취약지역 점수, 최초 발병 시 발병기간, 총 입내원 기간, 발병 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의 유무로 선정하였다. 목 통증의 재발률과 재발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 중 19.5%인 230,259명이 2년 안에 목 통증의 재발을 경험하였으며, 여성이거나 높은 연령에서 더 높은 비율의 재발이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높은 연령(OR=1.58), 여성(OR=1.11), 의료수급권자(OR=1.45), 높은 지역보건취약지역 점수(OR=1.20) 및 긴 최초 발병기간(OR=1.02)은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높은 건강보험료 분위(OR=0.95), 최초 발병기간 중 긴 입내원 기간(OR=0.95) 및 약물치료를 받은 경우(OR=0.89)는 목 통증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목 통증 재발의 이해를 돕고, 예방과 관리를 위한 집중적이며 장기적인 중재를 시행하는데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neck pain recurrenc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Sharing Service that utilizes a nationwide cohort in South Korea. We extracted 2 years of medical record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for 1,182,230 patients who visited healthcare services with neck pain (ICD 10 codes: M54.2) in 2020. Selected variables included age, gender,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regional health vulnerability index, duration of first episode, length of stay in healthcare, and the use of physical therapy and drug treatments at the first episod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currence rate and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currence. Among the subjects, 230,259 individuals (19.5%) experienced a recurrence of neck pain within two years, with a higher recurrence rate observed in elders and femal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isk of neck pain recurrence increased with older age (OR=1.58), being female (OR= 1.11), being a medical aid recipient (OR=1.45), residing in a region with a high health vulnerability index (OR=1.20), and longer duration of first episode (OR= 1.02). Conversely, higher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OR=0.95), longer stay in healthcare (OR=0.95), and receiving drug treatment (OR=0.89) wer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neck pain recurr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eck pain recurrence and provide evidence of focused and long-term treatment pla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ck pain recurrence for healthcare providers.

      • KCI등재

        대형 관절에서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재발인자 분석

        한일규(Ilkyu Han),곽상호(Sang-Ho Kwak),김희중(Hee-Jung Kim),이명철(Myung-Chul Lee),이상훈(Sang-Hoon Lee),오주한(Joo-Han Oh),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관절의 활액낭이나 건막이나 점액낭의 활액막에 발생하는 증식성 질환이다.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의 소견을 보이나 임상적으로는 국소 재발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국소 재발과 관련된 임상적 및 조직학적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고 수지와 족지를 제외한 관절에 발생한 51예의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0예, 여자가 31예였으며 발병 부위는 슬관절 25예, 족근관절 11예, 고관절 7예, 족부 5예, 수근 관절 2예, 주관절 1예였다. 39예가 미만형(diffuse type)이었고 12예가 국소형(localized type)에 해당했다. 치료 방법에 있어서 수술적으로 완전히 절제된 경우가 39예(78%)였고 보조적인 방사건 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은 시행되지 않았다. 진단시 통증이 동반된 경우가 32예(64%)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1년(범위 1-25년)이었다. 결과: 국소 재발이 16예(31%)에서 발생하였으며 국소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24개월(범위 4-96개월)이었다. 국소 재발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인자들은 불완전한 수술적 절제(p<0.001)및 뼈침식(p=0.037)과 종양의 형태 (p=0.049)였다. 결론: 대형 관절에서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재발은 진단시 뼈침식이 있는 경우와 미만형인 경우 재발이 많았으며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완전한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proliferative disorder of the synovium, and this can affect the joints, tendon sheaths or bursae. PVNS is histologically benign, but it has a high propensity for local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local recurrence of PVN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with biopsy-proven PV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re were 20 men and 31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34 years (range: 12-73).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1 years (range: 1-25 years). All lesions were located in large joints (knee 25, ankle 11, hip 7, foot 5, wrist 2, elbow 1). Of the 51 lesions in the large joints, 39 were the diffuse type and 12 were the localized type. The initial clinical presentation was pain or a painful mass in 32 patients and a painless mass in 19 patients.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was performed in 39 cases, whereas incomplete excision was performed in 12. No adjuvant therapy was given in any cases. Results: Sixteen local recurrences (31%) developed at an average of 24 months (range, 4-96).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in the large joints were incomplete surgical removal (p < 0.001), diffuse type of the lesion (p=0.049) and the presence of bone erosion (p=0.037) Conclusion: In cases of PVNS in large joints,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local recurrence rate were incomplete surgical removal, diffuse type lesion and the presence of bone ero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