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의 설화적 상상력과 희생 시스템의 타자성 ‒인주(人柱)설화를 중심으로‒

        김영미(Kim, Youngmi)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5 No.-

        인주(人柱)설화는 종, 집, 제방 등의 축조물을 만들 때 제대로 완성하지 못하고 계속 실패하자 살아있는 사람을 기둥으로 써서 성공적으로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인주설화가 지니고 있는 ‘재난 서사’에 주목하여 재난 모티프를 찾아보고 ‘재난’에 대한 설화적 상상력과 희생의 의미를 탐구했다. 먼저 세 유형의 제방 축조형, 집 건축형, 종 주조형 인주설화 속에 내재된 ‘재난’ 모티프를 찾아보고 이야기를 관통하는 마스터플롯을 정리했다. 인주설화는 ‘축조물 만들기의 계속적인 실패[재난 발생]-인주 방법 실행-축조물의 성공적 완성[재난 극복]’의 플롯을 공유하고 있는데 각 유형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심층적 의미맥락은 차이가 있다. 재난의 관점에서 봤을 때 제방 축조형은 자연재난이 어떻게 사회재난의 폭력성을 배태하게 되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제방 축조형은 홍수라는 ‘자연재난’이 바탕이 되지만 그 해결 방안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재난’으로 변질되는 재난의 이중적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집 건축형은 애초에 인간이 만든 폭력을 상상한 ‘인적 재난’에 대한 이야기이며 종 주조형은 종교와 국가가 분리되지 않은 시대에 종교를 통해 국가적 재난을 해결하고자 한 ‘사회재난’에 대한 상상력의 일단을 보여준다. 이때 상상력은 설화적으로 포진된다. 축조물이 계속 무너지는 것은 신이나 용 같은 어떤 알 수 없는 힘의 작용 때문이라는 인식,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희생양을 써야 한다는 것, 희생양을 쓰도록 해결 방법을 알려주는 예지적·예언적 존재가 등장하는 것이 모두 설화적이다. 이는 재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신과 인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있는 설화적 상상력의 장치들이다. 결국 인주설화는 자연적·인적·사회적 재난을 복합적으로 섞어 설화적으로 형상화한 이야기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런 설화적 상상력 속에는 희생 논리의 전형이 숨겨져 있다. 인주로 희생되는 모든 인물은 공동체의 내부인이 아니고 외지에서 온 스님이거나 처녀, 자기 결정권이 없는 어린아이들로, 공동체 내부의 어떤 사회적 관계도 갖지 못한 타자적 인물들이다. 공동체의 이익이 타자들을 희생시켜 산출되고 유지되는 폭력적 ‘희생 시스템’인 것이다. 공동체 내부인들은 이러한 타자성과 폭력성을 은폐하기 위해 희생의 가치를 찬미하고, 때로는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며 희생을 강제하고, 희생자를 추모하기도 한다. 본고는 재난 서사 분석을 통해 공동체의 안녕이라는 미명 아래 혹시 우리도 희생의 타자성과 폭력성을 은폐하고 있지 않은지 코로나 19 같은 작금의 ‘재난 현실’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e Imagination of Disaster Falk Tales and the Otherness of a Sacrifice System – focusing on the Inju Falk Tale The Inju falk tale is a story that continuous failing of the builing bells, houses and embarkments causes human sacrifice, and finally succeeds to finish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aster narrative’ in the Inju falk tale and examines its imagination and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The Inju falk tale includes the narrative about building embarkments, house and bell. Disaster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each narrative: clearly in the embarkments narrative, changeably in the house narrative and connotatively in the bell narrative. Viewed in the disaster light, the narrative of building embarkments is about a imaginative disaster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and its solution, the narrative of building houses is about the violence made by humans and the narrative of building bells is a imaginary story about overcoming a national disaster through religions in the era of unity of the church and state. The Inju falk tale is a series of stories or tales mixed natural, human, and social disasters together. Followings are typical imaginative strategies.: continuing collapsing structures was thought to be the inexplicable force actions such as gods or dragons, sacrifices is needed to prevent them, and a prophetic being appears and advises to use a sacrifice. These are means to understand the cause and solution of a disaster in relationship between gods and humans. The stereotypes of sacrifice are hidden in the imaginary falk tales. All people sacrificed in the Inju falk tale are not insiders in the community but others such a monk, a virgin or children who have no the right of self-decision and any social relationship. ‘Sacrifice system’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in the community for their benefits and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They praise the sacrifice to conceal their violence and sometimes compel such a sacrifice by the name of gods.

      • KCI등재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재난 서사의 변주

        윤정화 대중서사학회 2018 대중서사연구 Vol.24 No.1

        소설에서 재난은 현대소설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인물 간 갈등을 극대화하는 조건으로서, 소설의 인물들에게 인간으로서의 윤리적 판단 등을 시험하는 배경으로 작동한다. 때로는 재난 자체가 역동하는 하나의 인물이 되어 생명력을 드러내기도 한다. 즉 서사의 한 요소로서 기능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이 소설 서사의 한 요소로서 재현되는 양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소설가들 중에서도 ‘재난’에 대하여 다양한 실험적 서사를 작품화해 온 김중혁 작가가 이 주제를 여러 소설 속에서 상호텍스트적으로 서사화하는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지금까지 재난을 다룬 소설들이 대체로 종말, 파국의 상상력을 다룬 것과는 달리 김중혁이 재현하는 재난은 철저히 인간을 중심으로 두고 인간 외 세계와의 갈등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때 재난은 대적할 수 없는 거대 공포로서의 폭력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일견 거대 식물, 유리창, 지진, 외계인 등으로 공통성이 없어 보이지만 가공할 힘을 지닌 비인간계의 존재물이라는 유사점을 지닌다. 본고는 김중혁 소설에 등장하는 ‘재난’ 서사를 시간적으로 ‘재난의 발생 이전’과 ‘재난 발생의 순간’과 ‘재난 그 이후’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는 작가 김중혁이 ‘재난’의 체험을 소설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며 서사장르인 소설에 있어 시간의 흐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분석을 하면서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의의를 탐색하고, 재난이 작동하는 방식, 그리고 그 재난에 대응하는 인물의 반응과 양식의 차이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김중혁의 재난 소설들은 「유리의 도시」, 「바질」, 「좀비들」에서 나타나듯 초기에는 재난의 존재방식과 재난의 공격 방식을 표현하는 것에서 차츰 재난을 공고한 실재로 전제하고 재난을 당하는 인간을 초점화하는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관계 설정에도 큰 변화를 보이는데 혼자인 단독자에서 연인이나 형제관계로 변모해 간다. 이러한 변모 양상은 이미 재난이 전제된 상황에서 인간의 행동 방식과 존재 가능케 하는 조건이 무엇인지를 사유하게 한다. 김중혁은 소설 초기에는 재난의 존재방식을 다루었지만 차츰 재난 앞에서 인간이 어떠한 윤리적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를 전언하는 것에 몰두하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재난 이후 - 복구 책임의 사사화(Privatization)와 통치성에 관하여 : 2020년 구례지역 수해 사례 연구

        신유정 한국농촌사회학회 2023 農村社會 Vol.33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the Seomjin River flooding in Gurye in August 2020. Through reviewing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recovery and legal compensation, the study seeks to answer how Korean society responds to the suffering and losses of the victims, why the responsibility for disaster recovery has become solely individualized, and how this disaster is socially and historically constructed. Using discour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the excluded residents in flood control zones such as K and Y villages. The government's compensation rate for damages was finally determined to be 48% of the estimated amounts through th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ttee's mediation process. However, residents in the flood control zones were excluded from this public compensation. I argue that this case symbolically shows how the disaster is being normalized as an individual responsibility. The study particularly examines the procedures of governmentality, the changing relationships within those procedures, and the perspective of ‘apparatuses of security’. Firstly, residents in flood control zones are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community and fragmented through conflicts and compensation acceptance. During this process, the victims and their place become socially invisible, and the disaster is left to each individual's responsibility. Secondly, the designation and expansion of flood control zones, the operation policy of the dam, and the redevelopment project of the Seomjin River Dam can be discussed as apparatuses of security(Foucault)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population. However, when these devices are implemented, the safety of the rural area surrounding the Seomjin River is paradoxically threatened. Thirdly, I argue that the 2020 disaster was not a coincidence but a result of the continuous spatial restructuring of the Seomjin River and its riverside – the rural region - for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completion of the Seomjin River Dam in 1963. By reconstructing the Seomjin River and its riverside as a simple physical space with water as economic goods rather than a place with a locality, everything became possible.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the disaster becoming normalized as an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this study, known as "privatized," refers to the effect of governmentality that interpellate narrowly the residents in the flood control zones and broadly the local residents in the whole riverside rural region as subjects solely responsible for coping with this disaster. 이 연구는 2020년 8월 섬진강 범람으로 인한 전라남도 구례지역의 피해 사례를다루고 있다. 재난의 복구 및 배상 과정 전반을 살펴보면서 피해주민들의 고통과상실에 대해 한국 사회는 어떻게 답하고 있는지, 재난의 복구에 대한 책임은 어떻게 오롯한 개인의 몫이 되고 말았는지, 또한 이 재난은 어떻게 사회적, 역사적으로구성되어 왔는지의 문제들에 답해보고자 했다. 담론분석과 심층면접을 중심으로한 질적 연구를 수행했으며, K 마을과 Y 마을 등 홍수관리구역 주민들의 조정배제사례를 핵심 사건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홍수관리구역 주민들의 조정배제 사례란, 수해 이후 구례지역이 48% 비율의 공적 배상을 받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K, Y 마을 등의 피해는 배상에서 제외되었던 사건을 말한다. 이 사건은, 재난 이후 복구의 책임을 주민 각자가 오롯이 떠안게 되었다는 측면에서 재난이 어떻게 사사화되고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연구자는 특히 재난 이후 통치성이 작동하는 절차와 그 절차들 속에서 변하는 관계, 그리고 안전장치라는 관점에서 사례 전반을 검토하였다. 1) 홍수관리구역 주민들은 지역주민들과는 별도의 범주로 묶이게 되어 고립되었고, 배상금 지급과 배상비율을 둘러싼 갈등과 배상 수용 등을 계기로 파편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들과이들의 장소는 사회적으로 점차 비가시화되고, 재난은 이들 각자의 책임으로 남겨지게 되었다. 2) 홍수관리구역 지정·확대 지정, 댐 운용 기조 및 수문 안전성 강화를위한 섬진강댐 재개발사업 등은 인구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apparatuses of security)로 논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장치들이 실행될 때 정작강 하류 주민들의 ‘안전’은 위협받는 역설적 상황이 발생했다. 3) 무엇보다 2020년의 재난은 우연히, 자연적으로 일어난 한 시점의 사건이 아니라 1963년 섬진강댐준공 이후 도시화, 산업화를 위해, 섬진강과 강 하류라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재구조화, 통치화해왔던 결과라 할 수 있다. 섬진강과 강 하류가 지역성을 담고 있는 장소로서가 아니라,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으로 재구성됨으로써 이 모든 것이 가능해질 수 있었다. 요컨대, 이 연구에서 말하는 재난의 사사화란, 좁게는 홍수관리구역 주민들, 넓게는 강 하류의 지역주민들이 오롯이 이 재난을 감당해야 할 책임을 지게 되는 주체들로 호명되는 통치성의 효과를 의미한다.

      • KCI등재

        코로나19와 가정폭력 : 팬데믹의 젠더화된 효과

        김효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여성연구 Vol.107 No.4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가정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 위험이 증가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에도이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세계적 재난으로서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정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하고, 여성주의적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한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국의실증자료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 가정폭력,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의미를 논한다. 다음으로 재난과 젠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고 사회에 내재된 젠더 규범과질서가 어떻게 재난의 효과를 젠더화하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위기에 대한 위계적인식, 헤게모니적 남성성, 근대적 공사 이분법의 세 가지 개념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여성에 대한폭력을 사적이고 우발적인 사건으로 간주하려는 오래된 시도가 팬데믹 시기에 어떻게 용이해지는지논증한다. 결론에서는 코로나19 대응 방안이 성평등의 실현이라는 보편적 가치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위해서는 젠더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재난도시와 적대의 정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또는 비대칭적 세계에 응답한다는 것

        차승기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 민주주의와 인권 Vol.24 No.1

        이 논문은, 조세희의 독특한 책임의식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으로 약칭)을 쓰게 만들었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가 전달하고자 했던 ‘난장이의 눈’의 정체를 탐구하고, 그 눈의 가시성의 정치-윤리를 고찰하고자 했다. 흔히 『난쏘공』의 세계는 개념적으로 양립불가능한 대립항들이 공존・충돌하며 형성하는 명백한 모순성에 기초해 있다고 읽어 왔다. 그러나 저 선명한 대립의 표상들은 실제로 현실의 비대칭적 관계를 함축하고 있으며, 조세희가 발견하고 전달하고자 했던 ‘난장이의 눈’은 비대칭적 세계를 향한 적대적 시선에 다름 아니었다. ‘난장이들’은 국가 주도의 폭력적인 근대화・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뿌리뽑힘을 당하며 이 비대칭적 세계에 적대하게 되고, ‘전치’ 및 ‘이주 없는 전치’를 경험하는 난장이와 그의 아들딸의 눈 앞에 자본 축적의 식민주의적 본질과 ‘재난도시’의 실체가 드러난다. 『난쏘공』은 서사의 저변에 ‘터전의 박탈’이라는 주제가 흐르고 있는 만큼, 각 계층 및 집단이 환경과 관계 맺는 방식과 관련해서도 의미심장한 차이들을 전개한다. 마치 환경 바깥에, 책임 바깥에 존재할 수 있기라도 한 듯이 행동하는 ‘그들의 환경주의’, 오염 속에 있으면서도 자본과 국가가 세계에 가한 폭력을 자연의 문제로 치환하는 ‘시민들의 환경주의’, 그리고 오염과 파괴의 현장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절망적으로 자각하는 ‘난장이들의 환경주의’가 그것이다. ‘난장이들’의 절망과 적대는 비대칭적 세계를 향한 징벌적 폭력을 낳는다. 적대의 정치의 맹목과 통찰을 모두 함축한 이들의 폭력은, 끝없이 절망하지만 절망 자체에 정복당하지 않는 절망, 소멸되지도 마비되지도 않는 절망, 즉 ‘패배를 모르는 절망’을 드러내는 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ndeavors to scrutinize the essence of the “dwarf’s eye” motif within Cho Se-Hui's literary oeuvre,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nuanced politics and ethics surrounding its visibility. It posits that Cho’s distinctive sense of authorial responsibility prompted the creation of The Dwarf (1975-1978). Commonly construed as a narrative marked by the coalescence and confrontation of seemingly incongruent opposites, the work’s stark dialectics subtly underscor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endemic to reality. The “dwarf's eye,” a conceptual prism discerned and conveyed by Cho, emerges as a gaze inherently antagonistic toward such asymmetry. The narrative of The Dwarf elucidates the plight of marginalized individuals, metaphorically represented as “dwarfs,” ensnared in the tumultuous vortex of state-driven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seindividuals find themselves in direct opposition to an asymmetrically structured world, wherein the colonialist undertone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the dystopian reality of the “disaster city” unravel before their gaze. The thematic thread of displacement intricately woven throughout the narrative serves to delineate disparate modes of environmental engagement across various social strata. Three distinct typologies of environmentalismemerge from Cho’s narrative tapestry: firstly, “their environmentalism,” which espouses a delusion of detachment from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secondly, “civic environmentalism,” which, while acknowledg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relegates it to a deterministic facet of capitalist and state-induced violence; and lastly, “dwarf environmentalism,” characterized by a somber acknowledgment of the futility in evading scenes of pollution and desolation. The palpable despair and antagonism pervading the “dwarfs’” existence serve as precursors to acts of punitive violence directed at the asymmetrical world they inhabit. Such violence is emblematic of a dialectical interplay between the blindness inherent in despair and the lucidity encapsulated within acts of resistance. It embodies a form of despair that remains undefeated, persisting in defiance of its own inevitability, neither succumbing to annihilation nor succumbing to paralysis.

      • KCI등재

        국가폭력과 사랑/연애 서사 -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 역사적 재난들과 역사의식의 변화

        한순미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8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연이어 일어난 제주4 ․ 3, 6 ․ 25한국전쟁, 4 ․ 19혁명 등 역사적 재난들을 주요한 배경으로 삼은 박화성의 소설에서 국가폭력의 경험과 기억을 서사화하는 방식에 주목해 역사의식의 변화를 읽어볼 것이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는 왜 국가폭력의 경험과 기억을 다루면서 사랑/연애의 서사를 동반하고 있는지를 질문한다. 장편 『사랑』(1956∼1957), 장편 『태양은 날로 새롭다』(1960∼1961), 장편 『거리에는 바람이』(1963∼1964)와 단편 <활화산>(1949)/<휴화산>(1973)에는 “사랑”, “생명”, “태양” 등과 같은 상징들을 비롯해 “새 세대”, “미래”, “조국” 등의 표지들이 자주 등장한다. 그것은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는 여정과 관련이 있다.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 남녀 간의 연애를 통해 전개되는 사랑은 “생명”, “조국” 등과 연접해 “지식”과 “실천”의 가치로 구축된다. 『사랑』에서 용서를 전제한 사랑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문과 사상, 관념이 변화하듯이 “새 세대”와 “인간세계”에서 살기 위해서 요청된 것이다. 그런데 “우리들의 세대”를 향한 열망이 투영된 ‘사랑의 입체상’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빠르게 망각하고 미래세대를 향해 나아가려는 속도감이 느껴진다. 역사 속의 희생과 죽음을 충분히 애도하고 기억하는 대신에 미래세대를 향한 “생명”이 중요한 가치로 부상한다. 장편 『거리에는 바람이』와 장편 『태양은 날로 새롭다』에서 “4 ․ 19의 거리”에서 만난 사랑은 “새 세대”를 설계하고 “건축”하는 힘으로 요청된다. 역사적 재난으로 인한 복수와 원한, 증오의 감정은 점차 조국과 국가를 향한 사랑으로 흡수되어 간다. 동시대 작가들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해방 이후 박화성 소설에서 사랑/연애 서사가 견인한 방향이 지닌 의미와 한계를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재난 이후 인문학적 실천 — 세월호의 ‘바람’에게

        한순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After the Ferry Sewol disaster, trauma was quickly transmitted through the media and urgently called for a change in cognition that something had to be do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what issues have been raised in the realm of humanities since Ferry Sewol, focusing on several papers, books and media published before and after Ferry Sewol. First, in Section 2, we read about the emergence of sentences with unfamiliar structures since Ferry Sewol and looked at the context in which new issues emerged by reinterpreting some concepts. In the following Section 3, we analyze what thinking and how writing has been practiced at the intersection of other historical and social disasters such as Ferry Sewol, 5ㆍ18 Gwangju, Auschwitz and Fukushima. The final Section 4 will conclude by pointing to the limitations of forgiveness, mourning and healing efforts after Ferry Sewol. The task of genealogically exploring changes in concepts and perceptions caused by historical and social disasters remains a task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세월호 참사 이후 트라우마는 미디어를 통해 빠른 속도로 전염되었고무엇인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의 변화를 긴급하게 촉구했다. 이 글의 목적은 세월호 이후 인문학의 영역에서 어떤 쟁점들이 제기되어 왔는지를 세월호 전과 후에 출간된 몇 편의 논문과 저서, 매체 등을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세월호 이후 낯선 구조를 지닌 문장들이 출현하고 있는 현상을 읽고, 몇몇 개념들을 재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사유가 출현하게 된 맥락을 살펴보았다. 이어지는 3장에서는 세월호, 5ㆍ18 광주, 아우슈비츠, 후쿠시마 등의 교차점에서 어떤 사유와 글쓰기의 실천해 왔는지를읽어본다. 마지막 4장에서는 세월호 이후 애도와 치유를 위한 노력의 한계를 짚어보면서 마무리할 예정이다. 다양한 재난들로 인한 개념과 인식의 변화를 계보학적으로 탐색하는 작업은 향후 수행할 과제로 남겨둔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 인문학의 영역에서 제기한 논의들은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에서 일어난 재난들에서 무엇을 어떻게 다시 진단하고 성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안겨준다. 분명한 것은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재난들이 한 국가라는 범위에서 다룰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몸은 재난으로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이다.

      • KCI등재

        K-OTT드라마, 재난과 생존주의의 문제―드라마 <몸값>을 중심으로

        백소연 한국극예술학회 2023 한국극예술연구 Vol.- No.80

        OTT 플랫폼의 급격한 성장은 TV드라마와 OTT드라마의 구분을 가능하게 만들 만큼, 드라마의 외적, 내적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드라마들과 분명한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OTT드라마는 스펙타클을 구축할 수 있는 재난 서사를 적극 활용하며 K-드라마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다. 티빙이 제작한 <몸값>은 그 대표적 사례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 드라마는 짧은 재생 시간으로 기획된 6부작의 간결한 구성을 취하면서도 확장 가능한 이야기 구조로 향후 시즌을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재난이 가져온 각종 고난의 연속으로 인물들은 당장의 생존 자체에만 집중하는데 이러한 상황은 드라마 내에서 끝내 종결되지 않는다. 이는 오로지 생존이 유일한 목표가 되어 버린 우리 시대의 정서를 극명히 반영하기에 특히 주목해 보아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과도한 폭력성과 선정성으로 점철된 채 단지 생존에만 몰두하도록 만드는 방식이 K-OTT드라마를 대표하는 재난 서사의 귀결점이 된다는 것은 분명 우려할 만한 일이다. 재난이 던진 물음 앞에서 이제 폭넓은 연대의 가능성과 새로운 대안을 상상할 때이다. The rapid growth of the OTT platform is now actively pursuing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in dramas enough to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V dramas and OTT dramas. In particular, in order to secure a clear distinction from existing dramas, OTT dramas are building huge spectacles, creating disaster narratives, and forming their identity as K-dramas. In that sense, Bargain produced by TVING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reveals these attributes as they are. The drama has a six-part composition planned with a short play time and an expansive story structure, making us look forward to the production of future seaso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bringing about a universal situation of disaster but not ending hardship by suspending hope can be seen carefully. This also reflects the sentiment of our time, where survival has become the only goal. However, it is certainly worrisome that the narrative and expression method, which makes people immerse themselves only in survival games while being marked by excessive violence and sensationalism, is the consequence of the disaster narrative representing the K-OTT drama. In the face of the question posed by disaster, it is time to imagine the possibility of broad solidarity and new alternatives.

      • KCI등재
      • 학교 안전 관련 법령 및 매뉴얼 조사 연구 - 생활안전, 폭력·신변안전, 재난안전을 중점으로 -

        이필립(Lee, Phil-Lip),정상필(Jung, Sang-Pil),김진욱(Kim, Jin-Wook)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2

        School is a place of study for students, mainly this spot is for students and teachers living space. Also, students and teachers active area, is not just the building, playground, parking lot and so on including around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ould use vast living space with safety environment creation is required. For this reaso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2015 Seven Standards for School Safety Education was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development stage, as following the seven standards for school and related check list and safety check of school is on now.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relevant statutes, manuals and ordinances based on ‘life safety’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and ‘disaster safety’ among the seven standar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